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1

        22.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감홍’/M.9 사과나무의 인력 적과 시기가 영양생장, 고두증상, 과실품질 및 이듬해 개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인력 적과 시기는 만개 후 3, 5, 7, 9주였으며, 1차 적과(중심과만 남기는 적과)와 2차 적과(착과수 조절을 위한 적과)는 동시에 이루어졌다. 인력 적과 시기는 영양 생장, 평균 과중, 생산량, 가용성 고형물 함량, 고두증상 발생 률 및 이듬해 개화율과 역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나무별 중급 과실(과중이 214-299g이면서 고두증상이 발생하지 않은 과실)의 생산량, 잎 내 칼슘 함량 및 과실의 착색 정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과실의 경도, 산함량 및 나무 당 총 조수입은 인력 적과 시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감홍’/M.9 사과나무의 인력 적과가 만개 후 9주에 마무리되면 고두증상이 없는 300g 정도의 고품질 과실을 생산할 수 있었다.
        4,000원
        23.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ensory stimulation of a cosmetic product has been deemed to be an ancillary aspect until a decade ago. That point of view has drastically changed on different levels in just a decade. Nowadays cosmetic formulators should unavoidably meet the needs of consumers who want sensory satisfaction, although they do not have much time for new product development. The selection of new products from candidate products largely depend on the panel of human sensory experts. As new product development cycle time decreases, the formulators wanted to find systematic tools that are required to filter candidate products into a short list. Traditional statistical analysis on most physical property tests for the products including tribology tests and rheology tests, do not give any sound foundation for filtering candidate products. In this paper, we suggest a deep learning-based analysis method to identify hand cream products by raw electric signals from tribological sliding test. We compare the result of the deep learning-based method using raw data as input with the results of several machine learning-based analysis methods using manually extracted features as input. Among them, ResNet that is a deep learning model proved to be the best method to identify hand cream used in the test. According to our search in the scientific reported papers, this is the first attempt for predicting test cosmetic product with only raw time-series friction data without any manual feature extraction. Automatic product identification capability without manually extracted features can be used to narrow down the list of the newly developed candidate products.
        4,000원
        2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gree of intention to hand hygiene and hand hygiene behavior in new nurses based on education experience on infection control. Method: The participants comprised 108 new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in S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ith SPSS 26.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to hand hygiene (F=3.39, p=.021) and hand hygiene behavior (F=3.33, p=.022) depending on education experience related to infection control during undergraduate courses. Hand hygiene intention (F=4.41, p=.008) and hand hygiene behavior (F=4.13, p=.008)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ith infection control during undergraduate course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ention to hand hygiene and hand hygiene behavior (r=.21, p=.026).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education in infection control can reinforce intention to hand hygiene and hand hygiene behavior in new nurses.
        4,300원
        2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사이즈렌즈를 이용한 유발부등상시가 대비시력과 원·근거리 입체시, 눈과 손의 협응성에 미치는 영향 을 파악하고자한다. 방법 : 20~30대 일반인 30명을 대상으로 사이즈렌즈의 2, 4, 6%의 배율에 따른 고대비 및 저대비시력, 원거 리 입체시력, 근거리 입체시력을 측정하였다. 대비시력은 란돌트환으로 구성되어 있고 LogMAR 시력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표의 대비에 따라 고대비(100%) 및 저대비(25, 10%) 시력으로 나누었다. 원거리 입체시는 세막 대 검사를 이용하였으며, 근거리 입체시는 Random dot te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눈과 손의 협응성은 t-wall 을 모티브로 제작한 기기를 이용하였다. 결과 : 대비시력은 2% 부등상시 유발 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4, 6%의 부등상시 유발 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p<0.050). 대비시력은 부등상시도가 증가할수록, 대비도가 저하될수록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원·근거리 입체시는 2%의 부등상시를 제외한 4, 6%의 부등상시 유발 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감소 하였다(p<0.050). 눈과 손의 협응성은 부등상시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0). 결론 : 부등상시가 증가함에 따라 대비시력, 입체시 그리고 눈과 손의 협응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에서 안경사가 부등시를 처방할 때 부등상시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미관을 고려하여 처방이 기피되는 경우 배율의 차이를 최소 2% 이내로 유도해야한다. 이를 통해 부등상시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일상 시 생활의 저하 요인 을 예방하여 시 생활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28.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ale market of used items selled about U$ 16 billions in 2015 in the US. We interviewed twelve consumers to better understand this phenomenon, Our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choose SHP due to economic reasons, and sustainability is marginally considered. Contamination is the main barrier to consume used products.
        4,000원
        30.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여행객 휴대 수입금지식물에서 발생하는 금지해충(과실파리류, 코드린 나방 등)의 유입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품목별, 국가별로 검출되는 해충의 정보 축적이 필요하며, 검역해충 종 동정을 위하여 표본 확보 및 분류학적 정보가 필요하다. 2018년 1월부터 12월까지 인천공항 및 인천항으로 반입되어 압수한 휴대식물 중 사과, 배, 복숭아에서 검출되는 해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형태학적 동정 및 DNA 바코딩 분석을 통하여 Carposina sasakii (복숭아심식나방), Grapholta molesta (복숭아순나방), Grapholita dimorpha (복숭아순나방붙이) 등이 검출되었지만 우려하는 코드린나방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휴대 반입식물에서 검출되는 해충 종 구성에 대한 검역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과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으로 진단 받은 11세 남성 아동 1명을 대상으로, 증례 보고 방법 중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총 20회기로 매주 1회기씩 20주간 진행하였다. 기초선 5회기는 중재 없이 평가하였고 중재기 10회기는 하루 6시간 short thumb opponens splint를 착용 하는 중재를 실시한 후 평가하였다. 추적기 5회기는 중재 없이 평가하였다. 평가는 손기능 평가를 위한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BBT), 상지 기민성 검사(nine-hole pegboard test)와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상지 기능 평가를 위한 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 검사를 통해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중재 결과, 상지 기능(Mallet scale, active movement scale)과 손기능(BBT, nine-hole pegboard test)은 중재 전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short thumb opponens splint 착용이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아동의 상지 기능과 손기능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환자의 임상적 중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32.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afaring is an important occupation that requires stringent hand hygiene practices as a basic method for preventing food-borne illness and infectious diseases when the diseases occur on bo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prevention of food-borne illness and infectious disease on the ship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hand hygiene practices and influencing factors. A total of 222 seafarers were surveyed at a seafarers’ educational institution between July and August 2017. Their hand hygiene practice were examined by a modified method using the guidelines which are recommend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Hand Hygiene Australia. The mean of hand hygiene practice was 47.97 out of 75 points. By category, the most frequent hand hygiene practice was measured as 4.04 on a 5-point scale as ‘after working’. Factors affecting hand hygiene practices were ship tonnage relating to in job characteristics, exercise in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soap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d hygiene environment on board. To improve hand hygiene among seafarers,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hand hygiene among seafarers who work on small ships in particular, and to improve the systems of hand hygiene on ships with continuous education, hygiene practice evaluation and feedback.
        4,600원
        3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결제 시스템에는 전자 사인 , QR 코드, 바코드들이 사용된다. VR 환경 내에서 구현되어 있는 결제 시스템은 점점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결제 시스템을 VR 환경에서 구현하기 위해 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VR 전자사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VR 시스템에 서는 키보드를 두드리거나 마우스를 건드릴 수 없는 상황이다. VR 컨트롤러를 가지고 결제 시스템 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손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전자사인이 그 중 하나인데, 손 제스쳐 인식에는 크게 Warping Methods, Statistical Methods, Template Matching 방법 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emplate Matching 방법에 속한 $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VR 에서 결제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VR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Unity3D와 Vive 장비를 이용 해서 실제 결제가 이루어지는 paypal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4,000원
        3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sign upright parts of hand-made vehicles with the purpose of reducing material and machining cost while ensuring structural safety. Aluminum knuckles were modelled with three parts in order to enhance design flexibility as well as to reduce CNC machining cost. A vehicle model was constructed in CAD program and simulated in ADAMS View in order to estimate joint forces developing during 20 degree step steering condition at 60km/h. The joint forces obtained in the vehicle dynamics simulation were used for the structural analysis in ANSYS and dimensions of knuckle parts were adjusted until the lowest safety factor reached 2.0. The weight of knuckle decreased by 50% compared to the previous version that was designed without the structural analysis.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decreased by 33% due to the reduction in the material as well as the CNC machining effort.
        4,000원
        3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피젯 스피너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일반아동 중 우세손이 우측인 1~2학년(만 7~8세)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설계이다. 중재는 실험군 아동들에게만 실시하였으며, 5주간, 주 2회, 1회 당 4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중재 전, 후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의 비교를 위하여 젭슨-테일러 손 기능 검사(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HFT)와 장악력 검사(Grip Strength Test; GST) 그리고 명료도 검사(Legibility Test; LT)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lcoxon signed rank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 그리고 교차분석의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피젯 스피너 훈련은 실험군의 손 기능과 장악력, 글씨쓰기 명료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도구로써 피젯 스피너의 가치 및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피젯 스피너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4,500원
        37.
        2018.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젓가락 집기 패턴과 기술에 따른 손의 기민성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젓가락 기술과 관련 있는 요소를 파악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B대학교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4월까지 Chopstick Manipulation Test(CMT)와 퍼듀페그보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젓가락 집기 패턴에 따른 젓가락 기술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 따라 젓가락 기술의 차이가 나 타났으며, 젓가락 집기 패턴에 따라 퍼듀페그보드 조립 항목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젓가락 집기 패턴과 젓가락 기술에 따른 손가락 기민성 차이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젓가락 기술 관련 훈련 및 평가 도구 개발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8.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눈의 여러 가지 기능 중 버전스 기능을 토대로 눈과 손의 협응능력과 시각적 집중력을 어느 정도로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시지각 훈련이나 재활치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완전교정시력이 0.8 이상인 성인 33명을 대상으로 von Graefe 법을 사용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 사위 검사와 폭주 및 개산여력, 조절성폭주비(AC/A)를 측정했다.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는 세 가지 검사 (Purdue pegboard, concentration grid, dynavision)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시각인지 및 운동기능을 평가 했다. 결과: 근거리 내사위 군에서는 Purdue AS와 조절성폭주비에서, 외사위 군에서는 Purdue AS와 원거리 폭주여력에서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각각 r=-0.59, r=0.41). 세 가지 검사에서 모두 평균 이상인 8명을 대상으로 D2 검사에서 근거리 개산여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77) 그 다음으로 Purdue AS와 조절성 폭주비에서는 r=-0.76, 근거리 폭주여력에서는 r=0.41를 보여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결론: 눈과 손 협응과정에서 비교적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눈의 기능은 조절성 폭주비로 판단된다. 그러나 사위의 방향이나 운동기능 평가 방식을 고려하여 개인에 적합한 재활훈련을 설계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4,000원
        39.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종사자의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과 손씻기 수행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치과의원, 치과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140명의 치과종사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가보고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모든 자료는 통계분석은 t검정, 일원분산 분석, Pearson 상관계수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손씻기 수행도는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과 r=0.285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치과의원, 치과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치과종사자의 병원감염 예방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감염관리 교육 시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수행을 위한 동기로 구성된 손씻기에 대한 건강신념을 고려하고, 지속적인 손씻기 교육을 시행한다면 치과종사자의 손씻기 수행도도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과 평가를 적용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양손 기민성의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41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20명으로 성별·연령별 동질성을 확보하여 분류한 후 실험군은 매일 양손훈련도구와 일반작업치료를 각각 15분간 실시하고, 대조군은 일반작업치료를 30분간 실시하였다. 훈련 제공기간은 주 5회 6주 동안 실시하였다. 평가는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MVPT-3)와 Complete Minnesota Dexterity Test(CMDT)를 활용하여 모든 집단에 실시하고 실험군은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수행능력 측정을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총 3회(훈련 전, 3주후, 6주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에 대한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평가결과 수행시간에 대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p>.05) 수행시간은 평가 주차별로 감소하였으며, 오류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MVPT –3에서 실험군은 훈련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p<.05)로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간 분석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인 훈련기간은 3주후와 6주 후 훈련이었다. CMDT에서는 집단과 훈련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 및 평가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상지 기능향상에 효과적인 훈련도구로서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으며 향후 병실이나 가정에서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