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8

        2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육성한 톨 페스큐 신품종 푸르미의 종자증식 기술개발과 종자생산성 및 채종짚의 사료가치 평가를 통해 종자생산 기술체계를 확립하고자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파종시기별 종자생산성을 조사하였다. 파종시기에 따른 출수기의 차이는 약 2∼3일정도 차이를 보였으며 종자수량의 결정에 중요한 요소인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9월 17일 파종이 692본/m2로서 가장 많았고 이보다 10일 빠르거나 늦은 경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채종 종자의 천립중도 2g 내외로 발아율도 80~83%로 처리구간의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채종 종자수량의 수량성은 파종시기가 9월 17일 경우 1,711kg/ha로 가장 많았으며 파종시기가 이보다 10일 빠르거나 늦은 경우 생산된 종자의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생초 수량과 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9월 17일 파종시 각각 63,556kg/ha, 16,926kg/ha로서 가장 많았으며 파종시기가 10일 간격씩 늦어질수록 건물수량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채종짚의 사료가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000원
        2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민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소득 증가로 한약재 소비를 비롯한 식품과 화장품 원료로서의 산업적 가치가 커지면서 약용작물의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한, 중 FTA 체결로 인해 약용작물 시장개방의 수입증가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 서 약용작물을 포함한 농식품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산업 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종자품종육성과 생산유통기반의 정비와 확충, 산지이용규제 완화 등의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약용산업 육성 중장기 전략과 종자관리 체계의 구축에 필요한 약용작물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하고 향후 개발해야 할 중점기술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우수한 약용작물 품종 개발 및 보급으로 농업생산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약용작물 종자생산 및 보급에 필요한 제도정비가 필요하다. 넷째, 우량종자의 표준화 및 규격화 로 약용작물의 생산유통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현재 약용 작물의 소비행태는 직접적인 섭취보다 화장품, 의약품, 식품의 형태로 소비되는 패턴으로 바뀌고 있으며 규모가 점점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므로 향후 약용작물의 생산에서는 이러한 산업화 추세와 변화에 대응한 정책개 발과 제도적인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4,000원
        2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rrently, flies are used to pollinate Welsh onion for seed production. However, the use of flies for pollination has caused problems in Welsh onion seed production due to sanitation issues, smell, and the difficulty of feeding the flie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lination with bumblebees (Bombus terrestris), flies (e.g., houseflies, flesh flies, blue bottle flies), mason bees (Osmia cornifrons), honeybees (Apis mellifera) and blowflies (Lucilia illustris) in a small net screen house (2.2m×1.7m×2.5m) for onion seed production. Although the number of flies was about three times than that of other insect pollinators, fies and bumblebees showed equivalent pollination ratios, but the remaining three insect species showed lower values. For the percentage of seed set per umbel, the number of seeds per flower and umbel, bumblebees and flies showed similar results. These results showed that pollination by bumblebee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in breeding Welsh onion. An analysis of the most appropriate colony of bumblebees for use as pollinators for breeding Welsh onion in a small net screen house showed that colony of fifty to eighty bees was the most efficient level. The visiting time on the flower and spending time from a flower to another flower of B. terrestris worker on small net screen house was 2.2 seconds and 1.8 seconds, respectively.
        24.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Ethephon을 처리하여 호밀의 간장을 단축시켜 도복을 방지하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가. Ethephon 처리시 출수기는 수잉기에 처리했을 경우 무처리에 비해 250ppm 농도에서는 2일, 1,000ppm 농도에서는 5일이 늦어졌으나 개화기와 성숙기는 차이가 없었다.나. 간장은 Ethepon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작아졌고, 간장 단축률은 출수시의 1,500ppm 처리가 40.1%의 단축률로 처리효과가 가장 컸으며, 하위절보다 상위절 단축효과가 컸다.다. 수장, 영화수, 리터중 등에서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었고, 천립중은 무처리에 비해 약간 무거웠다. 라. 발아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수량은 처리 농도에 관계 없이 모두 증수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고 8%까지 증수하였다.마. Ethephon 처리시 출수시에 1,000ppm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2. 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수확시기를 앞당길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시한 건조제 처리 후 수확시기 단축효과와 종자의 품질을 보면가. 건조제 처리후 수확적기 수분함량에 도달하는 일수는 출수 후 30일 처리가 20일, 출수 후 35일 처리가 15일, 출수후 40일과 45일 처리는 10일이 걸렸고, 출수 후 50일 처리는5일이 걸렸다. 나. 건조제 처리 후 수확시기는 출수 후 30일 처리가 관행재배에 비해 14일, 출수 후 35일과 40일 처리가 9일 빨랐으며, 출수 후 45일과 50일 처리가 4일이 빨랐다.다. 건조제 처리시 천립중은 출수 후 처리 일수가 늦어질수록 무거웠고, 발아율 또한 출수 후 처리 일수가 늦어질수록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출수 후 40일 이후에는 통계적인유의성은 없었다. 라. 수량은 출수 후 30일 처리가 관행재배의 30%, 출수후 35일 처리는 48%수준, 출수 후 40일 처리는 74% 수준으로 생리적 성숙기 이전에 건조제를 처리하면 품질에 큰 영향을 주었다.마. 종자의 품질은 약간 떨어지지만 종자로서의 능력을 갖추고 발아에 영향이 없으면서 수확 시기가 가장 빠른 건조제처리시기는 출수 후 40일이었다.
        4,000원
        2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국에의 옥수수 재배는 종자 가격의 상승, 잦은 기후변화, 때때로 부족한 종자로 인하여 종자구입을 주저하고 있는 실정인데, 종자의 자가소비 및 이웃농가 보급을 통하여 옥수수 종자구입 비용의 절감을 목적으로, 태국 농업청(Department of Agriculture, Thailand)과 한국 농촌진흥청(Rural Development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과의 협력으로 AFACI(Asian Food and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의 태국 국별 과제로 옥수수 종자마을 조성(Maize Seed Village) 사업을 선정하여 추진하였다. 대상 품종은 태국 자체 육성종인 건조저항성 단교잡종 나콘사완3(Nakhon Sawan 3)로 교잡종 채종기술은 나콘사완전작물연구소가 운영한 채종농가 훈련을 거쳐 이전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종자채종기술 교재 600부를 제작 활용하였다. 2010 여름, 2011 우기, 2011 여름 기간, 총 3작기에 걸쳐 5개주 52개 마을 175농가 96 ha에서 종자 79,988kg을 생산하여 자가 소비 및 이웃 농가 보급에 활용하였다. 생산된 종자의 판매가격은 일반 상업화 종자 가격의 46~60%수준이었으며, 농가는 나콘사완 3 교잡 종자에 대한 채종재배기술과 품종의 성능에 크게 만족하였다.
        4,000원
        2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국내육성 내한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확대 보급을 위한 종자생산 시험으로 국내육성 품종인 화산 101호 및 코그린의 파종량별 종자수량 구성요소별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9월부터 2007년 6월까지 3년간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시험 포장에서 수행 되었다. 파종 재식거리는 20 cm 세조파로 파종하였고, 시험구 면적은 (), 파종량 은 5, 10, 20, 30, 40 kg/ha 품종별 5처리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채종시기는
        4,000원
        2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낙엽수림 지역에 혼재하고 있는 제비꽃 속 중 고깔제비꽃, 왜제비꽃, 남산제비꽃의 생육기간 중 개화 시기와 생식 방법에 따른 종자의 생산량 등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종 모두 수관이 폐쇄되기 전의 짧은 기간 동안 개화 시기에 미세한 차이를 두고 개방화를 생성하였고, 폐쇄화는 수관이 폐쇄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생성되었다. 삭과 한 개당 종자 수는 고깔제비꽃<남산제비꽃남산제비꽃>왜제비꽃 순서로 종간과 생식 방법에 따라 유의적으로
        4,000원
        3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의 주아재배를 통한 우량종구 생산을 위하여 주아크기, 파종시기, 재식거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남도마늘 주아는 클수록 출현이 빠르며 엽수, 엽폭, 초장의 신장이 좋은 편이며 단구크기도 커졌으나 단구형성율은 떨어졌다. 특히 단구형성율은 남도마늘 주아 0.1g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주아 크기가 클수록 낮아졌다. 대서마늘 주아는 남도마늘 주아에 비해 발아와 생육이 빠른 편이나 단구형성율이 낮고 단구크기가 작았다. 대주아 파종간격에 따른 생육은 파종간격이 넓을수록 엽수가 많고 엽폭도 넓었으며 구크기와 인편크기도 커졌으나 처리에 관계없이 단구형성율은 현저히 떨어졌으며 분구된 인편중 10×15cm처리구에서 3g이상 인편이 많고 경제성도 있어서 대주아를 이용한 인편 생산가능성이 있었다. 남도마늘 주아의 경우 9월 11일 파종구에서 수확주율, 단구형성율, 수량이 가장 많았다. 대서마늘의 경우 주아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수확주율이 많았지만 단구크기는 작아졌으며 단구형성율은 처리에 관계없이 낮아서 제주지역에서 재배는 적합하지 않았다.
        4,000원
        3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호밀과 보리의 혼파에 의해 수량성과 품질이 높은 조사료 생산방법을 강구하고자 2004년 9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 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시험 재료는 청예용 호밀인 Koolgrazer와 대면보리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호밀 100%, 호밀 60+보리 40%, 호밀 50+보리 50% 및 호밀 40+보리 60% 등 호밀과 보리의 혼파비율을 4수준으로 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
        4,000원
        37.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d-edible bean or snap bean is a fairly new crop to domestic farmers but the national demand is steadi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western food business and change in dietary patterns. At the same time, much efforts are being made to export it to foreign country, mainly to Japan. The amount of seeds introduced from outside is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along with the enlargement of area planted for the crop. Hybridization breeding for the crop has already been started to supply the cheaper and better seeds which will reduce the seed costs and foster the higher income to the farmers. In this experiment, several technologies related with the production of quality seeds are preliminary investigated. Some of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ighly significant interaction was recognized between planting dates and no. of pods per plant and no. of branches but no interaction between planting dates and plant height and no. of nodes on main stem. Days to maturity was proportionally reduced to later planting dates. 2. Rate of viviparous pods and seeds was gradually increased in later planting dates but rate of germination was increased in earlier planting dates with lower germination rate in white seed coat grains than in colored seed ones. 3. Seed yield was higher in the earlier planting dates with a great deal of varietal difference. Early to mid April was considered to he the optimum planting dates for snap bean in Kyungbuk area. High correlation was recognized between seed yield and no. of pods per plant, no. of seeds per plant, and 100 seed weight. 4. Days to flowering was three and seven days longer in Cheongsong, high mountainous area than in Kunwi, somewhat prairie lowland. One hundred seed weight was also higher in Cheongsong than in Kunwi. Rate of viviparous grains, pods, and decayed seeds was higher in Cheongsong but, at the same time, the rate of germination and seed yield was also higher in Cheongsong. 5. One hundred seed weight of KLG5007 increased continuously up to 35days after flowering and decreased thereafter but that of KLG50027 increased to 40days after flowering and slowly reduced thereafter. The content of crude oil reached to maximum at 40 days after flowering and reduced thereafter. The rate of germination in Gangnangkong 1 was the highest, 89.3%, at 35 days after flowering and reduced thereafter while that in KLG50027 reached to maximum, 70.7%. at 40days after flowering and reduced thereafter. Thus, the optimum harvesting time for snap bean was considered to be 35~40days after flowering. 6. The snap bean pods at yellow bean stage easily became viviparous ones under saturated moisture conditions for 24 hours at .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harvest pods somewhat earlier than yellow-bean stage and let them do post maturing, especially when it is to be rained.
        4,300원
        38.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생장 조절제 Uniconazole-P의 처리가 초지조건에서 목초의 생육억제와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초종은 화본과 목초 2초종(orchardgrass와 timothy)과 두과목초 2초종(red clover와 alfalfa)을 공시하였고, Uniconazole-P의 처리농도는 대조구, 20ppm구, 40ppm구의 3처리로 하여, 화본과 목초는 유수분화기에, 두과목초는 개화시기(開花始期)에서 엽면산포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Uniconazole-P의 처리효과는 처리농도, 초종 및 생육단계에 따라서 차이가 인정되었다. 2. Uniconazole-P의 처리는 출수초기의 화본과 목초에서 초장과 간장이 단축되었고, 수중과 엽록소 함량을 증가시켰다. 3. Uniconazole-P의 처리는 종자 결실기의 orchardgrass에서 수수, 1경중, 수중, 1수중 및 종자중을 증가시켰고, timothy에서는 초장의 단축과 수수, 1수중, 수중, 종자중 및 수확지수를 증가시켰다. 4. Uniconazole-P의 처리는 개화초기의 red clover와 alfalfa 2초종 모두 초장과 총절간장을 단축시켰지만, 총분지장과 엽록소 함량을 증가시켰다. 특히 red clover에서는 화수와 화중의 증가가 현저하였다. 5. Uniconazole-P의 처리는 종자 결실기의 red clover에서 초장을 단축시켰고, 화중과 종자중을 증가시켰으며, alfalfa에서는 초장을 단축시키고 화중, 종자중 및 수확지수를 증가시켰다. 6. Uniconazole-P의 처리에 의한 화본과 목초의 종자 생산과정은 1) 출수초기에서 초장과 간장의 단축, 2) 출수초기와 종자 결실기에서 수수와 l수중의 증가, 3) 종자 결실기에서 단위면적당 수중과 종자중의 증가 및 수확지수의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7. Uniconazole-P의 처리에 의한 두과목초의 종자 생산과정은 1) 개화초기에서 초장과 총절간장의 단축과 분지수와 총분지장의 증가, 2) 개화초기와 종자 결실기에서 화수와 화중의 증가, 3) 종자 결실 기에서 종자중과 수확지수의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4,300원
        39.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xvestigate matter production ability and growth characteristic variation for Italian ryegrass seed of introduced variety and the different seed production time of the next generation in paddy field at Iksan and Kyehwa exp
        4,000원
        40.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find out optimum seed production date according to different defoliation and flooding period of Italian ryegrass, this studies with Tetrone were canied out on the experimental field of Honam Crop Experiment Station from 1986 to 1988. Treatment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