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2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vitro culture of murine embryos is an important step for in vitro production systems including in vitro fertilization and generations of genetically engineered mice. M16 is widely used commercialized culture media for the murine embryos. Compared to other media such as potassium simplex optimization medium, commercial M16 (Sigma) media lacks of amino acid, glutamine and antibiotics. In the present study, we optimized M16 based embryo culture system using commercialized antibiotics-glutamine or amino acids supplements. In vivo derived murine zygote were M16 media were supplemented with commercial Penicillin-Streptomycin-Glutamine solution (PSG; Gibco) or MEM Non- 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NEAA; Gibco) as experimental design. Addition of PSG did not improved cleavage and blastocyst rates. On the other hand, cleavage rate is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NEAA treated group, however, blastocyst formation is significantly (P<0.05) improved in NEAA treated group. Developmental competence between PSG and NEAA treated groups were also compared. Between two groups, cleavage rate was similar. However, blastocyst formation rate is significantly improved in NEAA treated group. Taken together, beneficial effect of NEAA on murine embryos development was confirmed. Effect of antibiotics and glutamine addition to M16 media is still not clear in the study.
        3,000원
        2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Kenaf(Hibiscus cannabinus L.) as mushroom culture media source, we analyzephysical condition and contents of nutritional components. The water absorption rate of Kenaf bast was 578% and it was 95%higher than that of poplar sawdust’s. This was caused by Kenaf’s porous cellular structure. so it could give more moisture andoxygen to cultured mushroom. Total carbon contents of Kenaf was 91.4%, it was quite higher than that of poplar sawdust, wheatbran and rice bran. Total nitrogen content was 1.76% and C/N ratio was 51.9. The content of NFE(Nitrogen free extract) was46.6% and it was similar with rice bran. Cellulose content was higher than poplar but lignin content was lower. speciallyhemicellulose and pectin complex which more digestible carbon source to mushroom was 3.7% higher than poplar. Mineralcomponent and amino acid contents were also maintained high compared with poplar. Fe was 4.2 times, P 3.2 times, K 2.2times more and Ca was higher 16 mg/kg than poplar. The content of amino acid was quite more higher than poplar sawdust butlower than chaff. Consequently Kenaf had a good trait for basic support material in mushroom culture media and also had agood character as nutritional source.
        4,000원
        2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wo different serum-free media, modified synthetic oviduct fluid (mSOF) and modified potassium simplex optimization medium (mKSOM) containing 20% RD (RPMI1640 + DMEM, 1:1 v/v) (RD-mKSOM), for in vitro culture (IVC) of bovine embryos. After in 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the presumptive zygotes were cultured in two different serum-free conditions for 7 days and 9 days to evaluate blastocyst formation and hatching, respectively. Serum supplemented conventional CR2 medium was used as control. After 7 day of cul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eavage and blastocyst formation rates among three groups (mSOF, 59.3 and 30.1%; RD-mKSOM, 65.0 and 41.5%; control, 51.6 and 38.0%, respectively). Hatching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ol (69.0%)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mSOF, 22.0%; RD-mKSOM, 39.5%) (P<0.0001 and P<0.001, respectively). Although both serum-free conditions showed lower hatching rates than serum-added control, in serum-free groups, RD-mKSO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tching rate than mSOF (P<0.001). In addition, one-step using RD-mKSOM may facilitate IVC procedure than two-step culture system.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one-step RD-mKSOM is more suitable defined culture system for IVC of bovine embryos than two-step mSOF.
        4,000원
        2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 버섯 No. 42균주를 5가지 배지에서 연구한결과, 리그닌 분해효소인 Lac와 MnP는 생산되었으나 LiP는 생산되지 않았다. 실험한 본 균주의 경우리그닌 분해효소인 Lac와 MnP의 생산에 밀기울이관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액체배지에서는GPYW에서 Lac(2.4U/ml)와 MnP(3.6U/ml)가 최대생산됨을 알 수 있었으며 고체배지에서는 WMW에서 MnP(4.0U/ml)가 최대 생산되었으며 W에서는Lac(11.0U/ml)가 최대 생산되었다.
        4,000원
        25.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fluence of the culture media on the growth and catechins and caffeine production was investigated in adventitious root cultures of tea tree. The growth rate of adventitious roots was higher than that of solid medium. Growth rate of adventitious roots was noted to be optimal in N6 liquid medium. Yields of (-)-epicatechin gallate (ECG) and caffeine were the highest when adventitious root cultures were maintained in Nitsch and B5 liquid medium,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epicatechin (EC)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from adventitious roots was maximal when cultured in 1/2MS liquid medium. The adventitious root extracts of tea tree produced on catechins as EC (20.77 mg/g) and EGCG (1.84 mg/g) in 1/2MS medium; EGC (24.39 mg/g) and caffeine (12.97 mg/g) in B5 medium and (-)-epigallocatechin (ECG) (2.16 mg/g) in Nitsch liquid medium.
        4,000원
        2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새버섯 적정 배지량 구명시험에서 배지량별 균사배양 소요일수는 1kg 30일, 2kg 39일, 2.5kg 42일 및 3kg 45일로서 배지량이 많을수록 배양일수가 늘어났고, 수확 소요일수 또한 93일에서 104일로 늘어났다. 수량에서는 1kg 봉지에서는 103.3g, 2kg 봉지 227.2g, 2.5kg 봉지 245.5g, 그리고 3kg 봉지 312.0g으로 배지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이 증가하였다. 잎새버섯 발효톱밥 첨가효과 구명시험에서 균사배양 소요일수는 발효톱밥을 첨가한 처리에서 4~7일 정도 빨랐고, 수량은 발효 참나무톱밥을 첨가한 처리에서 함박 1kg 봉지당 145.2g, 잎새1호 121.2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활엽수 톱밥 첨가율에 따른 시험관칼럼배지를 이용한 균사생장속도조사에서는 발효활엽수 톱밥을 60%까지 증가시켰을 경우 생장속도가 점점 빨라졌으며, 80% 첨가에서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000원
        27.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융합과 경쟁시대 미디어 수용자의 변화가 새로운 미디어와 인터 페이스 및 콘텐츠의 진화를 촉진하는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간주하고 디 지털 컨버전스에 따른 수용자의 위상 변화를 살펴보고 수용자 변화에 조응하는 정 책에 대해 검토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서 참여미디어의 생산성에 따른 수용성의 변화와 수용자 위상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수용자 위상의 변화에 걸 맞는 융 합미디어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융합시대 수용자의 소비 양식은 변화되었고, 미디어의 생산과 유통의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런 특성을 중심으로 수용자 위상을 보면, 수 용자의 참여와 공유의 정신이 일상의 정치화를 촉진하고 있으며, 집단 지성을 통 한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역할 수행, 자생적으로 역할의 세분화하는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융합 환경에서의 수용자 위상변화에 따른 정책은 양방향성 구현과 메 시지 처리 속도의 개선, 사용자 통제력 강화를 통한 스마트 사용자 주권을 확보하 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책은 결과적으로 융합시대 디지털 디바이드와 리 터러시를 개선하는 효과를 낳을 것이다. 이로 인해 수용자의 위상에 걸 맞는 디지 털 주권이 공고화될 것이다.
        6,900원
        2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ntomopathogenic bacterium, Photorhabdus temperata ssp. temperata (Ptt), suppresses insect immune responses and facilitates its symbiotic nematode development in target insects. The immunosuppressive activity of Ptt enhances pathogenicity of various microbial pesticides including Bacillus thuringiensis (B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a cheap and efficient bacterial culture medium for large scale culturing of the bacteria. Relatively cheap industrial bacterial culture media (MY and M2) were compared to two research media, Luria-Bertani (LB) and tryptic soy broth (TSB). In all tested media, a constant initial population of Ptt multiplied and reached a stationary phase at 48 h. However, more bacterial colony densities were detected in LB and TSB at the stationary phase compared to two industrial media. All bacterial culture broth gave significant synergism to Bt pathogenicity against third instars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Production of bacterial metabolites extracted by either hexane or ethyl acetat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mass among four culture media. Reverse phase HPLC separated the four bacterial metabolites, which were not much different in quantities among four bacterial culture broths. This study suggests that two industrial bacterial culture media can be used to economically culture Ptt in a large scale.
        4,000원
        2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장미의 새로운 수경재배 방식으로 용기재배를 제시하기 위하여 배수구의 높이와 적정 배지를 설정하는 두가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용기재배 시 적정한 배수구 높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규격이 30×30×25cm인 사각용기에 배수구를 0, 3, 6, 9cm 높이로 처리하였을 때 수량은 3cm 배수구 처리가 많았으나 절화품질은 처리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정식후 생존율은 각각 100, 100, 92, 92%였다. 배수구 높이와 배지조성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배수구 높아가 0, 3cm인 용기에 배지을 코이어와 펄라이트 단용 및 혼용하여 7가지 배지를 조성하였다. 수분센서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이 -5kPa에 도달했을 때 급액을 했을 때 코이어 혼합비율이 높은 배지와 3cm 배수구 높이 처리가 급액횟수가 감소하였다. 화중을 제외한 절화의 상품성과 2차 수확까지의 절화 수량은 배수구의 높이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고 3차 수확이후의 수량은 3cm 배수구 처리가 많았다. 배지별로는 코이어의 혼합 비율이 높은 처리에서 수량과 상품성이 우수하였다. 수량은 배수구를 높인 처리구가 절화품질과 수량이 많았으며,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이 높은 배지에서 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000원
        3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출용 접목선인장 ‘후홍’의 기존에 사용 되고 있는 배지인 피트모스 보다 가격이 낮으며 생육이 양호한 배지를 선발하여 선인장 농가의 비용절감을 이 끌어내어 소득증대를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접목선인장 ‘후홍’을 10종류 배지(피트모스, 배양토 BM6 , 코코피트, 수태, 하이드로톤, 하이드로크레이, 하이드로볼, 휴가토,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에 재배하여 배지의 이화학적 성분과 생육, 베타시아닌을 조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 았다. 수출용 접목 선인장 ‘후홍’의 식재 90일 후 배지의 물리성에서 대조구인 피트모스와 가장 유사한 값을 보인 배지는 배양토(BM6)과 코코피트였으며 배지의 화학성에 서는 코코피트가 90일 후에도 급격한 변화가 없어 큰 변화를 보인 다른 배지에 비해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생육은 코코피트에서 높은 생육을 보였으며 배양토(BM6) 와 수태는 전체적으로 다른 배지에 비해 낮은 생육상태를 보였다. 베타시아닌 색소는 두상관수와 저면과순처리 중 저면관수에서 조금 더 높은 값을 보였다. 10개의 배지에 서는 휴가토가 두상관수, 저면관수 모두 높은 값을 보였 다. 이와 같이 대조구인 피트모스와 유사한 값을 보이며 배지, 생육, 색소에서 양호한 상태를 보인 코코피트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1.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rent developments in IVF and animal cloning have resulted in increasing demand for large quantities of oocytes and ovarian follicles at specific stages of development. These medical and scientific needs may be met by developing an optimal culture system for preantral follicl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rowth of porcine preantral follicle cultures in different media and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erum. Follicles were manually dissected from ovaries obtained from prepubertal gilts at a local slaughterhouse, and cultured for 3 days in M199 or NCSU23 medium supplemented with porcine FSH, transferrin, L-ascorbic acid and insulin. Follicle diameters were measured on day 1 and 3 of culture. In Experiment 1, the effect of supplementing culture medium with fetal calf serum (FCS) on porcine preantral follicle growth was examined. In the group of cultures supplemented with FCS, follicle diameter after 3 days of culture, survival rate and antrum formation rate in the FC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culture medium (M199 and NCSU23) on follicle growth were compared. Follicle diameters were increased in the M199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NCSU23 (p<0.05), but w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and antrum formation rates between cultures grown in the two media.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 culture medium with serum enhances preantral follicle growth and antrum formation, and M199 is superior to NUSU23 for porcine preantral follicle culture in vitro.
        4,000원
        3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용 접목선인장 ‘황월’의 기존에 사용되는 배지인 피트모스 보다 가격이 낮으며, 생육이 피트모스와 비슷한 배지를 선발하고자 7가지 종류 배지 (피트모스, 배양토 BM6 , 코코피트, 하이드로크레이, 하이드로볼, 휴가토, 버 미큘라이트)에 재배하여 배지의 이화학적 성분과 생육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지의 이화학적 분석결과로는 코 코피트가 식재 90일 후에도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가 거의없어 안정적이었으며, 하이드로볼이 보수력이 높은 것으 로 조사되었다. 수출용 접목선인장 ‘황월’의 생육조사 결과 유기질 배지에서 대조구인 피트모스와 비슷한 생육을 보 인 배지는 코코피트 였으며, 무기질 배지에서는 휴가토, 버미큘라이트, 하이드로클레이가 대체적으로 양호한 생육 을 보였다. 그러나 무기질 배지는 무게가 가벼워 식물식재 후 이동 시 쓰러지는 단점이 있었다. 피트모스와 비슷한 생육조건과 낮은 가격을 가진 배지로는 유기질 배지인 코 코피트와 수태를 감싸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무기질 배 지인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겁고 값이 낮으며 국내 생산이 되는 하이드로볼이 수출용 선인장 재배 배지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3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충남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신품종 ‘미소’느타리버섯의 안정적인 생산을 도모하기 위하여 병재배에 적합한 최적배지를 개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배지로는 포플러톱밥+비트펄프+면실박(5:3:2), 포플러톱밥+밀기울(8:2), 포플러톱밥+비트펄프+면실박(6:2:2), 포플러톱밥+비트펄프+면실박(4:4:2), 그리고 포플러톱밥+비트펄트+밀기울(7:1:2)을 사용하였다. 배지별 pH는 5~6이었고, C/N율은 19.7~28.3의 범위에 있었다. 초발이 소요일수는 5~6일 이었으며 접종 후부터 자실체 형성까지의 전체생육일수는 29~31일이 소요되었다. 버섯 자실체의 수확량은‘포플러톱밥+비트+밀기울(7:1:2)’배지에서 110.4g/병으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포플러톱밥+비트+밀기울(7:1:2)’배지를 이용하면 신품종 미소버섯의 병재배 배지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3,000원
        3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earch for the optimum composition of media material and media size for vinyl bag culture using sawdust. Considering the incubation period and the successful culturing rate, the optimum media size was length 25cm diameter 14cm (weight 2.5kg). The saturation moisture amount of Oak sawdust was 251㎖/100g. It is a half of pine sawdust 495㎖/100g. In 10 treatments of media construction including Oak sawdust 100%, the optimum material mixing rate was Oak sawdust 80%+wheat bran 20% and Oak sawdust 80%+ bran 20% considering the hypha growing speed and hypha density. The optimum moisture amount in media for growing Lentinus edodes was 55%. Injection pipe with 20 holes in media was reduced the incubation periods to 11 days when 20cm length media and 32 days when 30cm length media. The best method for browning media surface was above 10℃ of hematocryal and punching the vinyl bag. This treat could shortened the browning periods to 54 days.
        3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체외수정란 생산효율을 향상시켜 돼지의 품종개량, 형질전환 돼지생산 등과 멸실위험에 처해 있는 유전자원의 보존을 위한 기술로 활용하기 위해 미성숙 난포란의 적정 체외성숙 시간을 알아보고, 배양액의 종류 및 체외 배양시의 산소 농도에 따른 체외수정란의 생산 효율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체외성숙 시간별 제2감수분열중기(M II)까지 성숙된 비율이 체외성숙 38, 40, 42시간째에 각각 61.1%, 42.9%
        4,000원
        38.
        200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earch for the optimum composition of media material and media size for vinyl bag culture using sawdust. Considering the incubation period and the successful culturing rate, the optimum media size was length 25cm× diameter 14cm (weight 2.5kg). The saturation moisture amount of Oak sawdust was 251㎖/100g. It is a half of pine sawdust 495㎖/100g. In 10 treatments of media construction including Oak sawdust 100%, the optimum material mixing rate was Oak sawdust 80%+wheat bran 20% and Oak sawdust 80%+ bran 20% considering the hypha growing speed and hypha density. The optimum moisture amount in media for growing Lentinus edodes was 55%. Injection pipe with 20 holes in media was reduced the incubation periods to 11 days when 20cm length media and 32 days when 30cm length media. The best method for browning media surface was above 10℃ of hematocryal and punching the vinyl bag. This treat could shortened the browning periods to 54 days.
        39.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간 난관액 또는 자궁액 내에 존재하는 에너지원이 생쥐 2-세포기 배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ICR 암 생쥐에 5 IU hCG 주사 후 46~50시간에 2-세포기 배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배는 3가지 배양 조건 [대조군: 0 mM, Group A: glucose(G) 0.5 mM + pyruvate(P) 0.32 mM + lactate(L) 10.5 mM, Group B: G 3.15 mM + P 0.1 mM + L 5.83 mM]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24 시간에 상실배 출현율은 group A (72.3%)와 group B (56.6%)가 대조군(34.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48시간에 배반포기 배 출현율은 대조군(51.8%)이 group A (39.8%)와 group B (28.9%)보다 유의하게 (p<0.05) 높았다. 72시간에 투명대 부착 (ZiB, 41.0~51.8%), 투명대 탈출 (ZeB, 18.1~32.5%) 및 총 배반포기 배 출현율 (68.7~73.5%)은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배반포기 배의 평균 세포수와 ICM 세포수는 group A (70.8, 13.4)와 group B (64.4, 11.8)가 대조군 (53.1, 5.7)보다 유의하게(p<0.05) 많았고,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group A가 group B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총 세포수에 대한 ICM 비율은 group A(22.9%)와 group B(23.7%)가 대조군(14.2%)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영양배엽(TE) 세포수(34.1~45.1)는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ICM에 대한 TE 비율(ICM:TE ratio)은 대조군(1:6.0)이 group A(1:3.4)나 group B(1:3.4)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생쥐 2-세포기 배를 배양하여 72시간까지의 배 발달율을 살펴보면 배양액에 에너지원을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자궁액 농도보다는 난관액 농도로 에너지원을 조절했을 때 배 발생 능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