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4

        21.
        201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rdiac and renal systems is important in determining blood pressure and blood volume, both of which play a role in the vasomotor system and fluid balance. Cardiorenal syndrome (CRS) occurs as a result of a disparity in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n veterinary medicine, cardiovascular-renal axis disorder (CvRD) lacks pathologically and etiologically specific data, but shares common pathophysiological patterns with CRS and CvRD in humans. CvRD is structural or functional damage caused by diseases of the heart or kidneys, or toxins or drugs, resulting in the disruption of normal interactions between these organs and the destruction of one or both orga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ong-term changes in various indicators, including hypertension, proteinuria and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telmisartan in cats with CvRD. This study found a clear gradual decrease in Urine protein to creatinine (UP/C) ratio and left atrium (LA) diameter in cats with CvRD, after administration of telmisartan. UP/C ratio (p<0.001) was found to decrease significantly over time, after administration of telmisartan. UP/C ratio before telmisartan administration was 0.39 ± 0.255 (Day 0) and 0.29 ± 0.056 on day 30 (Day 30), 0.28 ± 0.040 on day 60 (Day 60), and 0.20 ± 0.128 on day 90 (Day 90) after administration, respectively. LA diameter before telmisartan administration was 17.9 mm ± 1.6 before telmisartan administration (Day 0) and 17.4 mm ± 1.8 on day 30 (Day 30), 16.1 mm ± 1.6 on day 60 (Day 60), and 15.7 mm ± 1.7 on day 90 (Day 90) after administration, respectively. Oral administration of telmisartan to cats with CvRD is effective in improving proteinuria and LA diameter, which is a positive aspect of long-term survival in cats with CvRD.
        4,000원
        2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생동물의 신체부위의 절단은 야생에서 활동에 영향 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 동면기간에 새끼를 출산 하는 반달가슴곰의 경우 겨울철 생존과 양육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난 2017년 지리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이 올무에 걸려 오른쪽 앞발 절단 수술을 하여 같은 해에 야생에 방사되어 2개체의 새끼를 출산하였다. 이 개체와 함께 같은 해에 출산한 암컷 5마리의 출산 및 양육기간 동안 계절별로 행동권을 분석한 결과, 활동 시기에는 다른 개체들에 비해 넓은 행동권과 많은 이동거리를 나타냈다. 이는 신체장애로 인한 먹이 활동과 새끼 양육에 따른 영향으로 추정된다. 다른 개체들에 비해 불리한 환경에서 자라난 반달가슴곰 새끼가 현재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서 어미의 양육 학습의 성공여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여러 관점에서의 사람과의 갈등에 대한 장기적인 관리 방향을 설정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 된다.
        4,000원
        2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lthough magnetic resonance imaging is accurate, it is expensive to measure the mov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The three-dimensional (3D) motion analysis system is an inexpensive measurement tool. Objects: This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of quantifying the mouth opening and lateral mandibular shift and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using the hygienic method of surface markers on the skin with 3D ultrasound-based motion analysi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4 subjects (12 with and 12 without TMD). Temporomandibular joint motion during mouth opening was recorded using two surface markers with 3D ultrasound-based motion analysis.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3,k)] was used to confirm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quantifying kinematic temporomandibular joint motion,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evaluate differences in maximal mouth opening and lateral mandibular shift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ssessment of mouth opening and lateral mandibular shift showed excellent test–retest reliability with low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The lateral mandibular shift and opening-lateral mandibular shift ratio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MD group during maximum mouth opening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imal mouth opening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TMD (p>.05). Conclusion: This hygienic and simple surface marker method can be used to quantify the mouth opening and lateral mandibular shift at the end-range of mouth opening. The TMD group showed an increased lateral mandibular shift movement at the end-range of mouth opening. The lateral mandibular shift movement can be regarded as a symptom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MD.
        4,000원
        2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게임이용장애 대학생에 대한 감각자극 기반 미술치료 진단 및 개입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검증된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대학생이 게임이용장애에 취약할 수 있으며, 좀 더 주목해야 할 대상군이다. 게임이용장애자들이 시각적 자극에 매우 민감하므로 그들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진단과 개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온라인 게임 중독자들은 감각에 통해 받아들인 게임 자극을 뇌에서 적극적으로 분석하고 처리한다. 따라서 감각기반 개입방안들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기초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대학생 게임이용장애 원인을 바탕으로 한 진단과 개입을 위한 투사 그림검사는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성인애착과 나무그림, HTP(집-나무-사람), 우울과 발테그 그림검사(WZT), 대학생활 적응수준과 풍경구성기법(LMT), 가족건강성과 동적가족화(KFD),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빗속 사람 그림(PITR), 대인관계, 자아탄력성, 애착과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 자아탄력성과 좋아하는 날씨 그림(FKW), 우울 및 조증, 스트레스 대처수준과 사과 따는 사람 그림(PPAT), 우울 및 불안과 별-파도 그림(SWT)이었다.
        4,000원
        25.
        2019.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범불안장애의 지속에 관한 메커니즘들을 검토하여 범불안장애의 지속 메커니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각 메커니즘들은 범불안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회피하고자 하는 위협요인들과 범불안장애의 지속에 미치는 영향력의 영역은 전부 다르게 설명하고 있지만, 위협요인들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수단으로 대부분 걱정을 이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각 메커니즘들은 걱정의 기능에 대한 이해는 달랐고, 걱정의 과도한 사용으로 불안을 적절히 해결하지 못하고 오히려 불안을 증가시키는 악순환의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범불안장애의 지속 메커니즘에 대한 특성을 명확히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리고 실무적으로 범불안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과 치유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제 상담과 치유 현장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4,200원
        2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대상(이하 ASD)의 정서 인식 능력에 대한 행동 연구의 결과는 혼재되어 있고, 대부분 단일 감각 양식의 정서 인식 능력에 대한 검증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ASD가 실제로 정서 인식 결함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통합적 이해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중 감각 양식 정서 자극에 대한 따른 ASD 환자의 정서 인식 능력에 초점을 맞추고, ASD의 정서 인식 능력에 대한 혼재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최신 행동 연구와 인지신경과학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그 결과, 정서 인식 과제에서 행동적 결함을 보이지 않았던 ASD 일지라도, 뇌 영상 결과에서는 정서 정보 통합 기능에서 결함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개관 연구에서는, 최근에 제안된 ASD의 다중 감각 양식에 따른 정서 인식 능력의 결함, ASD의 정서 정보 통합 기능 결함, 그리고 실생활에서 정서 인식의 어려움에 대한 가능성과 선행 연구들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ASD가 정서 정보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활용하는 보상 기제를 살펴보고, ASD의 정서 기능 결함과 관련된 치료적 접근 방향과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4,600원
        2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타이밍과 운동기능 및 실행기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부산 지역에 거주하며, ADHD 진단을 받은 만 6~12세 아동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타이밍 기능 평가를 위해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운동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 그리고 실행기능 평가를 위해 스트룹 아동 색상 단어 검사와 아동 색 선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이밍과 운동기능 및 실행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 ADHD 아동의 타이밍과 운동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타이밍과 BOT-2 영역 중 미세한 손의 조절, 신체 협응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BOT-2 하위 영역에서는 미세 운동 정확성, 양측 협응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ADHD 아동의 타이밍 기능과 실행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타이밍과 스트룹 아동 색상 단어 검사의 단어 점수와 아동 색 선로 검사의 Children’s Color Trails Test(CCTT)-1 점수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타이밍과 운동 및 실행기능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타이밍 평가를 통해 ADHD 아동의 운동기능과 실행기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2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atypical sensory processing is a core featur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re is considerable heterogeneity among ASD individuals in the modality and symptoms of atypical sensory processing. The present study examined visual processing of children with ASD, focusing on the complexity and orientation of visual information. Age- and -IQ-matched Korean children (14 ASD and 14 typically-developing (TD) children) received an orientation discrimination task involving static spatial gratings varied in complexity (simple versus complex) and orientation (horizontal versus vertical). The results revealed that ASD children had difficulty perceiving complex information regardless of orientation, whereas TD children had more difficulty with vertical gratings than horizontal gratings. Thus, group-level differences between ASD and TD children appeared greater when gratings were presented horizontally. Unlike ASD adult literature, however, ASD children did not show superior performance on simple gratings. Our findings on typical and atypical processing of ASD children have implications for bot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SD children and developing diagnostic tools for ASD.
        4,300원
        2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 질환을 진단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양극성 장애 경향성에 따라 변화하는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을 탐구하는 것이다. 양극성 장애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자기보고형 양극성 장애 검사(K-MDQ)를 사용하였고, 시공간 주의집중력와 정서 지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공간 주의 과제(useful field of view task)와 정서 지각 과제(emotional perception task)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는 정신 질환 혹은 기타 의학적 문제가 없는 참가자들만 참여하였고 K-MDQ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시공간 주의 과제 수행 결과,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수행 수준이 낮았다. 이는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시공간 주의집중력의 저하가 나타난 것을 의미했다. 또한 정서 지각 과제 수행 결과,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즉,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정서 지각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는 양극성 장애 환자가 아닌 일반인이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아지면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나타난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의 저하가 점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함의한다.
        4,600원
        30.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worldwide PMA pavement is steadily increasing. Unlike straight asphalt at the specified temperature of the performance grade, PMA has little increase in complex modulus after RFTO. Even after satisfying the complex modulus of the original binder, the complex modulus after the RTFO does not satisfy the grade, so that the SBS may be over-prescribed. Unlike straight asphalt, PMA investigated the reason that the complex modulus did not increase after RTFO in this study. SBS consists of a styrene domain and a butadiene matrix. The morphology of SBS in PMA is not clear. The PMA was heat - treated to induce the formation of styrene domain and PG evaluation was carried out.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of styrene domain with aging effect changed the complex modulus after RTFO.
        31.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관련 중재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7년부터 2017년까지 PubMed, Google Scholar, Medline(ProQuest)을 통하여 10년간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Autism or Autistic Disorder or Asperger Syndrome or PDD-NOS AND Motor skills or Fine motor skills or Gross motor skills”를 사용하였다. 2차 분류 후, 최종적으로 총 15개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15편의 연구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연구 디자인은 두 그룹연구와 단일대상연구가 각각 6편이며, 관련 논문이 2013년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연구 분야는 작업치료와 특수체육 각각 4편이며, 중재 종류는 신체적 활동(7편)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14편의 연구에서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연구 참가자 선별에는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가 5회, 평가도구는 BOT(Bruininks-Oseretsky Test)-1(2회), BOT-2(5회)가 총 7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국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들을 조사함으로써, 국내 작업치료사들에게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운동기능에 대한 중재 및 연구를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4,900원
        32.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 have tried to make electronic listening and analyzing appratus, which were used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It can be heard T.M.J.D’s sounds. Normal person heard 20~20,000 Hz sound. Electronic appratus can capture furthermore. Electronic appratus composed of stethoscope rubber tube,small microphone, amplifier, telemetry, oscilloscope and speaker. The aim of oscilloscope and speaker are seen and heard T.M.J. sounds both dentists and patients.In developing countries, they use electronic stethoscope for diagnosis of heart sound and use for tele diagnosis. In my nation, laws of food and drugs were very rigid, so many researcher’s developed electronic stethoscope, but they could not produce it because of law. I suggest that soften the rigid law, and many new product will be produced. The apparatus that I developed was operated quite well both wired and wireless. It is suggested that we must develop new apparatus for T.M.D. patients and Telemedicine.
        4,000원
        33.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식이요법이 불안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내러티브 연구를 했다. 우울과 불안은 인간이 경험하는 불쾌한 심리상태 중의 하나이며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되기도 한다. 불안장애가 만성적으로 이어지면 회피 행동, 비판적인 사고의 패턴으로 또 다른 심리적인 문제들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자연 치유의 한 방법인 아유르베다식이요법을 활용하여 참여자의 체질에 알맞은 음식과 불안을 완화하는 채소류를 사용하여 밥상을 만들었다. 그리고 밥을 먹기 전에 심리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담을 하였다. 참여자의 이야기에 의미를 부여하고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돕고 불안이 더 이상 심각한 장애로 발전되지 않도록 하고 밥상을 통한 엄마로부터 받지 못한 사랑을 대신하고 연구자가 인정하고 지지하면서 참여자의 사랑 욕구를 채워주었다. 물론 아유르베다식이요법이 정화와 영양 차원에서 그리고 치유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연구자와 참여자의 상호관계에서 오는 특성 또한 긍정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게 만드는 데 일조를 한 것이다.
        4,500원
        3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ᆞ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실행기능에 대한 중재 동향과 적용된 접근 법을 분석하여 작업치료 임상에서 접근할 수 있는 근거중심의 중재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연구방법 :200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해외 학회지에 개제된 연구를 대상으로 MEDLINE, Scopus, PubMed, ProQuest, Cochrane Library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검색 키워드는 “Autism or ASD AND Executive function AND Intervention or therapy or approach or treatment or training” 이 었고 최종 21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결과 :선정된 연구는 연구의 질적수준, 연구 참여자의 특성, 중재종류, 종속변인으로 측정된 실행기능 영역, 실행기능과 함께 측정된 종속변인, 측정도구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근거수준은 수준Ⅰ에 해당하는 무작 위 대조연구가 8편(38.1%)으로 가장 많았고 19편의 연구가 고기능 자폐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행 기능에 대한 중재의 종류는 총 11가지로 응용행동분석, 인지행동 접근, 보완 대체요법을 사용한 중재가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으로 많이 사용된 실행기능 영역은 인지적 유연성이었고 실행기능과 함께 측정된 종속변인은 사회적 기술과 행동문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각 영역별 측정도구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도구로는 스트롭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 선로 잇기 검사, 런던타 워 검사, 실행기능행동평정척도가 있었다.결론 :연구를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ᆞ청소년의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동향 및 다양한 중재법, 평가 도구를 알 수 있었다. 실행기능 중재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평가도구가 다양하고 혼 재되어 있으며 실행기능 중재에 초점을 둔 연구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실행기능 결함이 자폐 범주성 장 애의 주요 특징으로 나타나고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작업치료 분야에서도 실행기능에 관심을 가지 고 평가도구 및 중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7,000원
        3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구강방어를 동반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에게 구강감각자극 가정 프로그램을 적용하 여 양치질의 변화, 양치질 수행도 및 보호자의 만족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자폐 범주성 장애로 진단받은 3명의 아동이었고 연구 설계는 개별 실험 연구 (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각각 4회, 8회, 3회기로 총 15회 기로 진행되었다. 가정 프로그램은 중재기간 동안 보호자가 대상자에게 매일 2회 이상 시행하도록 하였 다. 양치질의 활동 변화는 조작적 정의를 통해 거부행동과 허용시간을 측정하였다. 구강감각처리 수준은 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으며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을 이용하여 양치질에 대한 수행도와 보호자의 만족도 변화를 알아보았다.결과 :구강감각자극 가정 프로그램은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양치질 거부행동 감소, 허용시간 증가를 가 져왔다. 둘째, 모든 대상자의 양치질 수행도 및 구강감각처리수준, 보호자의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셋째, 모든 대상자의 향상된 양치질은 중재가 종료된 지 1개월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구강감각자극 가정 프로그램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양치질 수행도 향상에 효과 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연계된 중재 프로토콜 연구가 더욱 활 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500원
        36.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1-MCP), an inhibitor of ethylene action, on fruit quality and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during simulated marketing period in early-season Asian pear(Pyrus pyrifolia Nakai) ‘Noksu’. Flesh firmness was decreased abruptly at 15 days after shelf-life in control fruits. which showed less than 10.7N, although those of 1-MCP-treated fruits were kept high value(>30.4N) during 20 days of shelf-life. ‘Noksu’ pears did not show any considerable differences in quality indices such as soluble solids content, titratable acidity during the shelf-life regardless of 1-MCP treatment. The reduction of ethylene production level by 1-MCP treatment did not appeared in ‘Noksu’ pear. Meanwhile, 1-MCP treated ‘Noksu’ pears showed significantly low respiration rate during shelf-life. Also, 1-MCP treatment blocked the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including core browning, internal browning, water soaking and mealiness symptom during shelf-life. Consequently, we concluded that the 1-MCP treatment effectively inhibited the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and extended the shelf-life for 10 days in early-season Asian pear ‘Noksu’.
        4,000원
        37.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아동의 모방기술 획득을 위한 중재방 법을 소개하고, 이차적 효과 분석을 통해 모방을 위한 중재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으로서 작업치료사의 중요성과 작업치료 분야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해외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ProQuest, PubMed, MEDLINE과 Scopus 그리고 국내의 RISS, KISS, 국립중앙도서관을 사용하여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ASD AND Gesture imitation AND (Intervention OR Training)”를 사용하였다. 3차 분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13개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발달장애 특성상 단일대상설계를 이용한 연구가 많았고, 중재의 종류로는 상호모방훈련이 가장 많이 적용되었다. 광범위한 연령대에 중재가 적용되고 있었고, 이를 통한 모방기술의 향상이 아동 의 언어, 사회성기술, 문제행동, 놀이기술, 운동기술, 일상생활수행기술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결론 : 본 고찰을 통하여 ASD아동의 모방기술은 새로운 것을 학습할 때 선행요소이자 다른 발달영역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에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재활 전문가로서 작업치 료사가 직접 ASD아동에게 모방기술을 위한 중재전략을 적용하고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5,200원
        38.
        2016.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rier testing for autosomal recessive hereditary disorders in the elite sire population has great significance for the domestic animal breeding. Because the recessive allele embedded in carriers without clinical signs may be passed to the next generation and rapidly spread throughout the population. The occurrences of various autosomal recessive hereditary disorders have been reported, and several causative mutations were elucidated in cattle. However, there is no report for the hereditary disorders in Korean cattle (Hanwoo) although Hanwoo is the indigenous purebred in Korea and have been improved by the national breeding programs in the last 30 years. Here, we investigated the presence of carrier for the following hereditary disorders in the Korean proven bulls (n=78; 42 family) using DNA based analysis: Chediak–Higashi syndrome, spherocytosis, claudin-16 deficiency, factor XI deficiency. The causative genes for these diseases (lysosomal trafficking regulator, solute carrier family 4 member 1, Claudin-16 and coagulation factor XI, respectively) were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direct sequencing. As a results, there was no carrier individual, and all animals were normal. Although the recessive alleles for four disorders were not identified in this study, further investigation for other hereditary disorders still remains to remove deleterious factors in the genetic improvement of Korean cattle.
        4,000원
        39.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TMJ) disorder, the goals of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are not only to reduce the inflammatory process leading to pain, but also to decrease joint overload and muscle hyperactivity. To achieve those goals, physical therapists generally use a photo-therapy, joint mobilization, and massage. Objects: To examine the impact of an unloading technique using non-elastic taping on the pain, opening mouth, functional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MJ disorder. Method: Twenty patients with TMJ disord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n1=10), and control (n2=10) groups.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including massage and stretching for 30 min was performed in both groups. Non-elastic taping was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and they were recommended to keep the tape attached for 12 hours. Outcomes for pain, functional level,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using a survey. The opening mouth was measured using a general ruler.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pain level, opening mouth, functional level, and quality of life after the intervention and on follow-up in both groups. However, we found that while the levels of all parameters were maintained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functional status level was not maintained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Our unloading technique using non-elastic tape results comparable to those achieved by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in the treatment of TMJ. However, the unloading taping method using non-elastic tape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in maintaining the impact of intervention
        4,200원
        4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parent education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and coping skills for parents to nurture. After parental education participation to verify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conducted with mothers Gwangju and Jeonju 20 people twice a week to target a total of seven sessions of four weeks. Research tool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arenting stress (Korean-Parenting Stress Index; K-PSI) and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 was used for tes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8.0.Results : After a parent education parenting str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categories (p<.001). Influence on the child area has shown that most parenting stress the ‘reinforce parent’ impact on the parent area parenting stress is ‘attachment’ appeared to be the largest of its kind. Parenting Efficac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categories (p<.001).Conclusion : In this study, conducted by a parent education program have reduce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o nurture and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parenting efficacy.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