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8

        2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육사업은 정부의 주도하에 급격한 양적성장을 이루었고, 이에 따라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 뿐 아니라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인 어린이집 보육교직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영유아기는 전인적 성장을 위한 토대로서 인생의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며, 영유아 교육은 영유아의 발달적 특성이나 교육과정, 교수방법,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의 특수성 때문에 교육의 질이 교사의 질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영유아기에 받은 교육의 질에 따라 이후의 삶에 결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는 점에서 교사의 자질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구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어린이집 및 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보육 전반의 어린이집 운영 및 보육과정 운영의 개선방법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전조사 및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보육교직원의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어려움은 국공립어린이집의 경우 안전, 시설ㆍ설비, 재정, 행정, 보육교직원에서 어려움을 보였으며,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을 비교해보았을 때 민간어린이집의 경우 보육교직원에 대한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상대적으로 가정어린이집은 학부모에 대한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어린이집에서 시급하게 개선해야 하는 내용은 국공립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의 경우 시설ㆍ설비 개선, 민간어린이집은 보육교사 급여 및 처우를 어려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3~5세 누리과정 시행에 있어서 느끼는 어려움은 국공립, 민간, 가정어린이집 모두 교사들 간의 임금 형평성 문제와 평가인증에서는 국공립, 민간, 가정어린이집 모두 업무 과중을 어려움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어린이집 운영과 보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보육교직원 들은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책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이를 지원할 수 있어야겠다.
        5,500원
        22.
        2014.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사례중심대학의 보육교사 양성과정별(유아교육과, 사회복지과, 언어재활과)로 진입동기와 전문성 등 교직관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양성과정별로 보육교사직을 지원하는 동기와 재학생들이 생각하는 보육교사직을 질문내용으로 하여 의견을 수집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백분율, 독립2표본, t-검증, One-way ANOVA, Turkey 사후분석 등으로 조사하였다.
        5,500원
        23.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ntomopathogenic fungi formulated as wettable powders and suspension concentrates have been sprayed to crop pests for pest management. However, the use of fungal granules to control paddy field pests has not been fully explored. Herein, several Beauveria bassiana isolates (ERL 1170, 1578 and 836) were produced as granules using a millet-based solid culture. The granules were applied to the rice nursery 3 days before transplanting and their control efficacy against rice water weevils was determined in paddy fields. The solid cultures produced ~1×108conidiag-1ofmilletgrains10daysaftertheinoculation. The granules were applied to the soil in the rice nursery 3 days before the rice seedlings were transplanted in the paddy fields. Rice in plots with granules of ERL1578 had 17.3% leaf damage (74% control efficacy) 14 days post application, whereas rice plants in the non-treated control had 66.5% damage. Rice plants treated in the nursery with ERL1170 and ERL836 had 52~54% damage. In the rice plots previously treated with ERL1578 the smallest numbers of larvae and adults were observed 38 days post application. In laboratory conditions, ERL1578-treated larvae were tuned pink and covered with mycelial mass. Applications of millet-based B. bassiana granules on rice nursery soil can be an effective and efficient biological control strategy for the management of rice water weevils. This method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requires less labor compared to practices involving the spraying of fungi directly on rice in paddy fields.
        2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사용한 QRD(Quadratic Residue Diffusor) 마이크로파는 일반적인 마이크로파와 달리 파장의 위상차를 변화시켜 균일한 살균을 유도할 수 있어 저전력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소비가 적은 QRD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식물공장에 이용되고 있는 배지를 멸균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다. 마이크로파의 조사 출력에 따른 배지의 외적변형은 배지 내의 수분의 함유량과 마이크로파 출력을 2~8kW까지에서 우레탄스폰지와 암면은 외적변형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PDA고체배지는 2kW 출력에 60초와 180초에서는 배지가 녹지 않았고, 그 외 처리에서는 전부 배지가 녹았다. Bacillus sp.와 Burkholderia sp.에서 마이크로파의 조사 출력과 처리시간에 따른 균주 표면 온도는 차이가 나타났다. 마이크로파의 조사 출력과 처리시간에 따른 균주 멸균 실험은 마이크로파의 출력 2kW에서 시간과 관계없이 Bacillus sp.와 Burkholderia sp.는 모두 자라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마이크로파의 출력 6kW에서는 Burkholderia sp.의 60초 처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멸균되었으며, Bacillus sp.는 모든 실험구에서 사멸되었다. 마이크로파의 출력 8kW에서 시간과 관계없이 Bacillus sp.와 Burkholderia sp.는 모두 멸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균주를 각각의 배지에 오염시킨 후 마이크로파를 처리한 배지 내의 온도는 처리시간 60초 지난 뒤에는 우레탄스폰지와 암면배지에서의 온도가 100℃ 이상으로 유지되어 대체로 60초 부터 멸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식물공장내에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Bacillus sp.와 Burkholderia sp.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QRD 마이크로파로 충분히 멸균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000원
        25.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품종인 '매향' 및 '설향'을 대상으로 비가림 포트 육묘 시 런너의 절단 시기에 따른 자묘의 생육과 정식 후 수량을 2작기(2009년 및 2010년)에 걸쳐 검토하였다. 자묘는 정식일(2009년 9월 11일 및 2010년 9월 10일)을 기준으로 30일, 20일, 10일 및 5일 전에 모주로부터 런너를 절단하였다. 런너의 절단 시기가 늦을수록 모주에서 양수분이 육묘 후기까지 자묘로 공급되어 지상부 생체중, 관부직경 및 엽록소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근중 등 지하부 생육은 런너의 절단 시기가 빨라서 모주로부터 자묘의 독립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모주에서 런너를 절단한 경우의 관수 요구량이 런너를 절단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하여 29.7% 증가하였다. 또한, 런너를 절단하였을 경우에 런너를 통하여 탄저병이 침입한 경우가 런너를 절단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하여 37.6% 높게 나타났다. 정식 후 정화방의 출뢰 및 개화 개시기는 런너 절단 시기가 늦을 경우 2~3일까지 지연되었으나 런너 절단 시기에 따른 조기 수량의 차이가 없으므로 런너 절단 시기를 정식일의 5~10일 전인 8월 하순 이후로 늦추어 실시하는 것이 탄저병 발생 경감 측면에서는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채류 공정육묘에서 접목작업 후 버려지는 재사용 상토의 이화학적 특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재사용상토와 perlite의 혼합비율이 상토의 이화학적 특성과 과채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재사용 상토의 적정 혼합비율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구는 신규상토(NPM: new plug media)와 1회 사용상토구(UPM: used plug media)및 용적대비 재사용상토의 첨가비율을 25, 50 및 75%로 첨가한 5개의 처리구를 설계한 뒤, 각 처리구별 이화학적 특성과 오이 및 토마토 묘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 재사용 상토의 물리성 개선을 위한 적정 펄라이트 첨가 비율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구는 UPM에 용적대비 펄라이트를 0, 5, 10 및 20% 첨가구와 NPM과 UPM을 1 : 1(v : v)로 혼합한 혼합상토(Mixed Soil)에 펄라이트를 0, 5, 10 및 20%를 첨가한 8개의 처리구를 설계하여 각 처리구별 이화학적 특성과 오이 및 토마토 묘의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구(NPM)와 비교하였다. UPM에 NPM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상토의 물리적 특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여 50% 이상 첨가구에서는 신규상토와 공극율, 용적밀도, 보수력은 물론 전반적인 묘소질도 NPM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토의 이화학적 특성, 플러그묘의 근권형성 정도, 묘소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UPM의 물리성 개선을 위한 펄라이트의 적정 혼합비율은 UPM 단용구에서는 20%, NPM과 UPM을 1 : 1(v : v)로 혼합한 상토에서는 10%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7.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hazard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and to investigate the reduction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A total of 59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were tested.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was 3.72 ± 0.38 log CFU/hand. Five children's hands(2 male and 3 female) were positive(14.3%) for the coliform bacteria. These results showed that hand washing education are required repetitively. Among the pathogenic bacteria tested in this study,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in 9(25.7%) and 16(45.7%) out of 35 their hands, respectively. Twelve out of sixteen B. cereus isolates(70.0%) produced enterotoxi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hand hygiene of nursery school children needs to be improved. Comparing before and after hand washing in educated and non-educated group, the reduction effect of total aerobic bacteria on their hands was 0.42 and 0.60 log CFU/hand, respectively. The educated group showed 0.18 log CFU/hand higher reduction effect than non-educated group but microorganism did not eliminate perfectly. From the results, using a hand sanitizer after washing with soap and the continuous hand washing education are required to control the contaminated bacteria on nursery school children's hands.
        4,000원
        2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시비 처리에 따른 생육상토의 화학적 특성, 생장 특성 및 생리적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최소 시비량에 대한 최대 생장 효과와 적정 시비 방법 적용에 따른 환경오염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비 처리에 따른 생육 상토의 화학적 특성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pH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였는데 시비량이 적은 Exponential 처리구에서 산성도는 가장 낮고, 시비량이 높은 Constant와 Three stage 처리에서 산성도가 높아, 시비에 따른 산성화가 진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시비 처리에 따른 근원경과 간장 생장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세 시비 처리구 모두에서 낙엽송 용기묘 규격 이상의 우수한 생장을 나타냈다. H/D율과 T/R율은 Exponential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반면 물질생산량과 묘목품질지수는 Constant 처리구가 높은 값을 나타냈다. 시비 처리에 따른 광화학 효율과 엽록소 함량은 Constant 처리구에서 높았지만, 세 처리구 모두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비량을 생장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시비량을 줄이면서 동시에 비슷한 생장 및 생리적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Exponential 처리구는 50% 시비량으로 생장, 묘목품질지수 및 생리적특성에서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규격묘 생산이 가능했다. 이는 낙엽송 용기묘 100만본 생산 시 비료량을 약 200kg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시설양묘과정에서 다른 시비 방법에 비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양묘장 토양 및 계류수의 오염을 줄이면서 비슷한 생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Exponential 시비 방법은 생산 비용을 줄이면서 비슷한 생장 효과 얻어 경제적이면서 친환경적 시비방법이라 판단된다.
        4,000원
        29.
        2012.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the levels of airborne bacteria in pig building according to pig housing type. Mean concentration of airborne bacteria in the housing room of gestation/farrowing pigs were 3,690(±1,528)cfu m-3 in spring, 10,145(±4,266)cfu m-3 in summer, 1,546(±835)cfu m-3 in autumn, and 2,582(±916)cfu m-3 in winter, respectively. Mean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in the housing room of nursery pigs were 11,628(±5,624)cfu m-3 in spring, 36,054(±13,260)cfu m-3 in summer, 2,743(±1,688)cfu m-3 in autumn, and 4,075(±2,300)cfu m-3 in winter, respectively. Mean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in the housing room of growing/fattening pigs were 34,025(±8,652)cfu m-3 in spring, 36,619(±10,234)cfu m-3 in summer, 10,230(±3,521)cfu m-3 in autumn, and 26,208(±5,248)cfu m-3 in winter, respectively. As a result, mean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in terms of pig housing type were highest in growing/fattening housing room followed by nursery housing room and gestation/farrowing housing room (p<0.05). The pig building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airborne bacteria in summer followed by spring, winter and autumn (p>0.05). Overall airborne bacteria which have particle size over 2.1㎛ (stage 1~stage 4) accounted for approximately 80% compared to total airborne bacteria regardless of pig housing type. The predominant airborne bacteria in pig building were Micrococcus spp., Brevibacillus spp. and G(+) Bacillus.
        4,000원
        3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공장에서 청경채와 상추의 발아조건과 육묘배지 및 육묘 시 양액농도가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청경채와 상추의 발아율은 광의 유무와 온도처리(15, 20, 25℃)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배지 간에는 우레탄스펀지의 경우 파종 전 후 수분관리 유 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즉, 우레탄스펀지 배지에서 파종전 후 수분관리를 하지 않았을 경우 암면에 비해 발아율이 현저히 낮았으나, 수분관리를 해주었을 때에는 암면보다 발아율이 높았으며, 묘의 생육도 암면과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청경채의 생체중은 EC 1.0dS·m-1에서 1.5dS·m-1에서보다 1.8배 무거웠고, 0.5dS·m-1에서보다는 6배 무거웠다. 상추의 생체중 또한 EC 1.0dS·m-1이 1.5dS·m-1와 0.5dS·m-1에 비해 1.7배와 3.5배 각각 무거웠다.
        4,000원
        3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품종인 '매향' 및 '설향'을 대상으로 비가림 포트 육묘 시 자묘 적엽에 따른 묘소질과 개화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딸기 연결 포트에 자묘 받기를 완료한 후 7월 하순부터 정식 전까지 10일 간격으로 4~5회에 걸쳐 완전히 전개된 엽을 기준으로 2매, 3매, 4매를 남기고 적엽하였고 대조구로 무적엽구를 두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적엽의 강도가 강할수록 엽병장이 감소하여 자묘의 도장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관부 외경은 적엽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관부 내경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차 근수는 3매 또는 4매 적엽 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체중, 엽면적은 적엽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근중은 일부 3매 또는 4매 적엽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엽은 지하부에 비해서 지상부의 생육을 억제하여 증산량 감소에 의한 정식 후 활착이 보다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엽록소 함량의 경우 적엽의 강도가 강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적엽 시 체내 질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 서 저온 단일 조건에서의 화아분화를 촉진하고 포장내 균일한 개화를 유도하였다. 상품과 수량은 3매 적엽 처리구에서 무적엽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
        4,000원
        3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프리카 공정육묘시 육묘일수와 적정 육묘소요면적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육묘블록의 크기를 5×5cm, 7.5×7.5cm, 10×10cm로 달리 하여 25, 30, 35, 40, 45, 50일간 육묘하는 시험처리를 하였다. 묘소질은 25일 육묘시에는 육묘블록의 크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길어지면 5×5cm 블록처리에서 나빠졌다. 7.5×7.5cm와 10×10cm간에는 엽수와 엽면적을 제외한 생육은 차이가 없었다. 정식이후 생육은 정식 후 35일까지는 육묘기간이나 블록크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육묘기간이 길어지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나빠졌다. 개화시기도 35일 육묘처리까지는 처리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이후 육묘기기간이 길어지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개화가 지연되었다. 수량은 30일과 35일 육묘구가 가장 많았고, 40일 이상 육묘할 경우 육묘기간이 길고 육묘블록의 크기가 작을수록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4,000원
        3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E. pellita와 A. mangium 용기묘를 대상으로 시비 처리에 따른 광합성, 엽록소 형광반응, 엽록소 함량 등의 생리적 특성 및 생장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열대림 두 수종에 대한 시설양묘과정에서의 최적 시비 조건을 구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시비처리에 따른 E. pellita의 광합성 능력, 광화학 효율 및 엽록소 함량은 1g·l-1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2g·l-1에서는 과량 시비로 인한 생육저하 현상으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 mangium은 2g·l-1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광합성 능력, 광화학 효율 및 엽록소 함량을 보이면서 시비수준이 높을수록 우수한 능력을 나타냈다. 두 수종 모두 적정 시비 조건에서 높은 엽록소 함량과 광화학 효율에 의해 활발한 광합성 활동이 이루어졌다. 즉, 양분 조건에 따라 광합성 기구가 유동적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근원경과 간장 생장 및 물질생산량 또한 E. pellita는 1g·l-1, A. mangium은 2g·l-1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생리적 특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H/D율과 T/R율은 시비 처리구가 무시비 처리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지만, 시비 처리 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묘목품질지수는 두 수종 모두 위 결과와 같이 수종별로 적정 시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적정 시비 처리에 의해 생산 된 묘목 우수한 형질을 나타낸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열대 수종인 E. pellita와 A. mangium의 용기묘 양묘 시 시비 처리에 따른 양분 조건에 의한 생리 및 생장 특성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양분 부족은 광합성 기구의 활동 감소에 의한 생장 저하가 초래되어 불량한 묘목이 생산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즉, 양묘과정에서 수종별 양분 요구도에 맞는 생육환경조절은 시설양묘시업에 의한 건전한 묘목을 대량 생산함과 동시에 조림과정에서도 높은 활착과 생장으로 우수한 조림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률적인 시비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기간별 상대생장량을 조사하여 수종별 생장패턴에 따라 기간별로 양분 요구량에 맞는 집중, 효율적인 시비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띠라 양묘과정에서의 환경적 측면과 함께, 비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어 경제적으로도 묘목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3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벼 DUS-Test를 위한 표준품종 선정에 관하여 국제미작연구소가 주관하는 국제연락시험(INEVDUST)에 참여하고 있으며 벼 재배국가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표준품종 선정을 위한 2007-2008년 동안의 시험결과를 요약하였다.76개의 품종을 이용하여 수원에서 출수된 56품종에 대해UPOV Guidelines를 기준으로 엽이색, 생육일수 영의 윤활도등 16개의 주요특성을 조사한 결과 엽이가 자색인 것은 WC1240, IR 69682-132-1-1-2 등 2품종, 매끄러운 영은 DV35,K 39-96-1-1-1-2 등 8품종, 줄기의 마디가 자색인 것은 K39-96-1-1-1-2 등 3개 품종이었다. 출수일수는 116-115일 사이에다수가 분포하였고 이삭의 형태는 약간 숙여지는(Semi-uplight)것이 48%를 차지하였고 지경의 형태는 반직립(Semi-errect)의 것이 61%, 장폭비는 2.6-3.5에 해당하는 품종이 가장 많았으며 56개의 품종은 16개의 형질을 변수로 하여 6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4,000원
        3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hizopogon roseolus (Corda) Th. M. Fr. (=R. rubescens Tul. & Tul.), known as “shoro” in Japan, is a hypogeous basidiomycete that is an important ectomycorrhizal symbiont of Pinaceae. In order to cultivate this edible ectomycorrhizal mushroom, several researches have tried to promote mycorrhization of this mushroom on host Pinus thunbergii roots: Pine seedlings were inoculated with mycelium in vitro, or with crushed fruiting bodies in nature. However, successful cultivation of this mushroom has not been fully refined. We have developed the useful mycelial inoculum that enable to produced abundant ectomycorrhizas and then to form fruiting body under greenhouse nursery conditions. We selected the superior strain that rapidly colonized and produced a lot of ectomycorrhizas in root of P. thunbergii. The mycelial inoculum was composed of mineral solution and homogenate of mycelium that had been cultured in liquid medium. Addition of surfactant in the mycelial inoculum resulted in stimulation of mycorrhzal formations in host roots. When the mycelial inoculum containng surfactant were introduced to the mother plant system in which the colonized seedling had been planted into in the nursery, stimulatally effects were observed on not only mycorrhzation of the seedlings but also fruiting body formation. Genotype analysi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for R. roseolus showed that fruiting bodies produced in the nursery were originated from the inoculated stra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ycelial inoculum containg surfactant could be the model of mycelial spawn for “shoro”.
        3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폐쇄형 육묘시설 내에서 균일한 품질의 플러그묘를 주년으로 생산함에 있어서 LED 광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토마토와 오이의 육묘기간 동안에 광원을 달리하여 묘소질을 비교하였다. 적색, 청색, 혼합(적색 2 + 청색 1) LED 및 형광등을 40~60μmol·m-2·s-1로 광도(PPF)를 조사하여 30일간 온도조절이 가능한 폐쇄형 육묘시스템에서 육묘하였다. 토마토와 오이 모두 형광등에 비해 적색 LED와 혼합 LED 처리에서 배축의 신장이 작으면서 튼튼한 묘을 생산할 수 있었다. 토마토와 오이의 생체중은 적색 LED에서 가장 무거웠는데 형광등에 비하여 각각 74% 증가하였다. 토마토의 1화방 착과절위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2화방의 착과절위는 혼합광 처리에서 낮았다. 화방별 착화수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오이의 20절까지의 암꽃 착생률은 적색 LED 처리에서 5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혼합광 처리로서 44%였다. 과실 착과수와 수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폐쇄형 육묘시설 내에서 토마토와 오이의 묘생산에는 적색 및 적색 2 +청색 1의 혼합 LED가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4,000원
        40.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활엽수 자원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쪽동백나무 유묘의 생육밀도에 따른 물질생산량과 생장특성 등 최적의 생장조건을 조사하였다. 묘목의 생육밀도는 수고생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본 실험 결과 쪽동백나무의 1m2당 생육 밀도에 따른 묘목의 생장은 49본구에서 간장과 근원직경이 우수한 생장량을 보인반면 생육밀도가 낮은 처리구는 근원직경 생장이 증가하면서 간장생장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 또한 생장 특성과 마찬가지로 1m2당 49본구 처리구에서 전체 물질생산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12±0.80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였고, T/R율에서도 1.59로 나타났다. 생리적 특성으로 광합성률 또한 쪽동백나무의 경우 1m2당 49/m2 본구와 64/m2 본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고 밀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생육 환경조건에서 적절한 공간 확보가 궁극적으로 최종 물질대사 작용인 광합성률 변화에서 최적의 상태를 보이면서 생리적으로 안정된 생장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며, 적정 공간의 장애가 실질적인 생장저하를 발생시키고, 궁극적으로 물질대사의 최고 단계인 광합성효율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