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01

        21.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 단일사례이다. 참여자는 중2 여학생이다. 본 연구는 2023년 1월 1일~ 2023년 4월29일 까지 총 18회기 진행되었다. 상담 초기 참여자는 분노 감정으로 인하여 쉼터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재가출을 시 도하고 혼란한 상태였다. 가족에 대한 불신감과 내면 깊이 내재 되어 있는 불안감 으로 계속 부적응을 보여왔다. 학교생활에서도 갈등이 심하고 학업성취도 매우 낮 았다. 자신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자아상을 갖고 있어 주변과 다툼이 지속되었다. 연구 결과, 자신의 깊은 내면의 감정들을 모래상자에 표현하면서 분노감정이 조금 씩 소거돠는 것을 보였다. 쉼터에서의 공격성, 분노, 가출 충동성의 문제성향이 구 체적으로 감소되었다. 학교생활에서도 자신의 문제행동을 스스로 알아차리고 주변과 타협하는 능력을 습득해나갔다. 참여자는 가출한 것을 후회하고 가족에게도 미 안함을 보였다. 참여자의 시각도 매우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5,500원
        22.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방암수술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지만 환자의 수술부위 통증, 상지근육의 변 화나 불균형 등의 체형변화뿐 아니라 재발에 대한 두려움, 자아존중감 저하와 우 울, 불안, 분노,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증상마저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유방암환 자를 위한 심신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프로그램의 1~3회기에는 단 축되거나 긴장된 부위의 자각훈련과 호흡훈련으로 구성되는 경견완부위 통증유발 점 스트레칭 요가체위가 실시된다. 4~8회기에는 통증유발점의 긴장부위를 자각하 는 훈련과 체형유지를 위한 주요근육을 강화하는 요가체위가 실시된다. 유도된 심 상 프로그램의 1~3회기에는 호흡과 신체자각, 심장박동소리듣기, 빛 명상이 실시 되고, 4~7회기에는 통증부위 빛 명상이 심화되며, 마지막 8회기는 임종명상으로 마무리된다. 유방암환자의 몸통 및 상지근육의 변화와 그에 동반되는 통증을 경감 시킬 수 있는 요가와 유도된 심상법으로 구성되는 자연치유요가 심신중재 프로그 램 개발을 위한 본 논문의 사례연구는 고유수용감각 훈련과 내수용감각 훈련을 설계하는 데 유용하다. 유방암수술을 받고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환자의 목과 어깨통증은 경감되었고 근육 밸런스는 회복되었으며 수술 후 방사선치료 등을 받으 며 느낀 공포와 불안감은 감소되었고 삶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죽음에 대한 인식 도 변했다.
        6,600원
        23.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그니와 효소의 종류와 기능을 고찰하고 활성화를 위한 섭생 요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음식 소화에 있어서 아그니와 효소의 불균형은 인체의 신진대사에 악영향을 주어 질병에 노출을 증 가시킨다. 섭생 요법은 소화와 대사를 촉진하고, 독소를 제거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기초이며 건강하 기 위한 중요한 요법이다. 아유르베다 의학의 섭생 요법은 개인의 도샤(doṣa)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나 타낼 수 있으며, 일상생활의 규칙성, 식사 시간이나 양, 조리방법 등을 고려해 도샤에 맞는 음식을 섭 취해야 한다. 현대 의학 효소는 화학적인 분자이며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수치화되고 정밀화되고 있다. 효소 활성화를 통해 음식의 칼로리와 영양소가 인체에 흡수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다양한 조리방법으로 흡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한 식사와 생 활 방식을 통해 만성 질환과 감염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섭생 요법을 권장하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우리는 아유르베다 의학과 현대 의학이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섭생 요법이 건강 을 유지하는 기본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24.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분노조절을 위한 모래놀이치료이며 단일 사례연구이다. 가정폭력 아동의 분노를 깊이 다루는 것이 본 연구의 필요성이다. 본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아동의 분노를 조절하는 기초자료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23년 2월1일부터 6월25일까지 연구하였다. 모래놀이기간은 3월 10일부 터 4월 25일까지 주 2회 총 20회기 회기당 50분 진행하였다. 참여자는 가정폭력 으로 인하여 어머니와 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 2(남아)학년이다. 자료분석은 동적 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K-HTP), 동적가족화(KFD)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가정폭력쉼터 아동의 분노행동이 감소되었 다. K-HTP에서는 무기력감, 고립, 철회와 밀착이 사라지고 적극적이고 사회와 상 호작용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으며, KFD에서는 가족의 상호작용과 개인별 역할이 회복되고 가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모래놀이치료 단계별 변화양상을 살펴본 결과에서도 분노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가정폭력쉼터 아동의 분노를 없애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5,500원
        25.
        2023.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관암은 예후가 좋지 않은 암 중 하나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발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했지만 치료 방법은 그 선택지가 제한적이다. 다양한 임상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이에 최근 담관암에서 분자유전학적 프로파일링이 진행됨에 따라 표적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표적치료제를 실제 환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적 요구사항이 충족되어야 한다. 환자의 조직이나 혈액에서 분자생물학적 검사가 수행되어야 하며, 적절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제를 사용할 환자 및 표적 물질을 결정해야한다. 담관암과 관련하여 유전적 변이는 중간 수준을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분자생물학적 표적을 위한 새로운 약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가장 흔한 유전적 이상은 간내 및 간외 담관암에서 거의 유사한 패턴을 보여준다. 그러나 HER2 유전자 증폭은 간외 담관암에서 더 잘 관찰되고 FGFR2 융합, IDH1 돌연변이 및 RAS-RAF-MEK-ERK 신호 시스템 돌연변이는 간내 담관암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 HER2 증폭을 타겟으로 하는 zanidatamab, FGFR 융합에 pemigatinib/ infigratinib, IDH1 돌연변이에는 ivosidenib, BRAFV600E 돌연변이에는 dabrafenib으로 임상 2상 또는 3상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NTRK, BRCA 및 ARID1A 유전자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약제에 대한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 이들 표적 치료제는 담관암에서 새로운 치료제의 밝은 미래로 기대를 받고 있다.
        4,000원
        26.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entral to retail therapy is the notion that stress can be eased by simple browsing, which produces immediate and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s through shopping. In the Philippines, retailers are slowly adopting omnichannel strategies as a response to the fundamental shift to online retailing. However, during the pandemic, shoppers resorted to retail therapy to appease emotions and senses. This might explain how the Filipino deserve ko ‘to (I deserve this) mindset can be a form of self-gifting that may relate to retail therapy.
        27.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음악 요법은 지난 세기 중반에 서구 국가에서 처음으로 등장 하여 음악학, 심리학, 의학 분야 이론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나온 요법이다. 등장할 때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 켰다. 현 단계에서 음악 요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심화 되면서 음악 요법 적용 범위도 확장되었다. 음악 요법은 삶의 모든 측면에 스며들어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 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노인 30명을 대상으 로 실험팀과 대조팀으로 나누어 해밀턴 척도를 적용하여 SPSS 15.0 통계학 소프트웨어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개성화 음악 요법이 노인 우울 집단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요인 을 도출하여 노인 집단의 우울 증상을 완화하고자 한다.
        5,400원
        28.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 환자 평가 및 중재에 대한 지침과 체계적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작업치료사들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 수용개작과 직접 개발방식을 적용하여, 핵심 질문과 가이드라인 개발 범위를 결정하고, 가이드 라인 검색을 수행하며, 선정된 가이드라인을 평가하고 권고를 선택한다. 해결되지 않은 임상 질문에 대 한 추가적인 권고사항을 개발하고, 가이드라인 초안을 완성하고, 전문가 그룹에 의한 평가를 수행하며, 최종 가이드라인을 완성한다. 결과 :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평가영역에서 17개 항목, 중재영역에서 58개 항목으로 총 75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각 항목은 권고 강도(A~D)에 따라 평가되었으며, 권고 강도가 높게 나타난 항목은 35개이 다. 신체기능개선중재, 욕창관리중재, 상지보호 전략, 일상생활활동 등에서 권고 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작업치료사들에게 근거기반 치료적 접근과 직무 역할의 확립을 돕는 중요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500원
        29.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작업치료사가 느끼는 두려움이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22년 6월 1일~8월 1일 동안 전국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두려움 및 정신건강과 관련된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40부의 설문지 중 오염 및 누락을 제외한 최종 234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첫쩨, 작업치료사의 코로나19 관련 두려움은 최종학력, 치료인원, 업무분야, 소속기관의 방역 시행 여부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최종학력, 근무기관, 업무분야에 따라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성별, 나이, 결혼, 직위, 근무지역, 고용형태, 최종학력, 근무기관, 임상경력, 치료인원 및 업무분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작업치료사의 코로나19 관련 두려움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고, 동시에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근무지역과 업무분야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작업치 료사의 코로나19 관련 두려움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근무기관, 임상경력, 치료인원, 근무지역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 연구결과, 코로나19 관련 두려움은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 작업치료사의 정신건강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직무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5,200원
        30.
        202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우리나라는 노인의 비중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노인들이 가정과 사회에서 점점 소외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사회 에서의 지위 저하, 노령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 경제 사정의 악화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 하면서 우울감 증가와 자아존중감 상실을 경험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삶의 질의 저하 또는 노인자살 증가 등과 같은 사회문제의 원인으로 두드러질 수 있어 노인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해결방안이 시급한 실정이 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동물매개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검사도구로는우울척도검 사와 자아존중감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종결 후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동 물매개 치료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 임을 알 수 있었다.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노인들이 심리적,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동 물매개치료의 개발과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31.
        202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물매개교육을 통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 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 방법을 설계로 진행하였다. 긍정심리 자본은 조직과 개인의 발전을 초래하는 개인의 긍정적인 심리 상태로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물매개교육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향상에 영 향을 미친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과이다. 따라서 대학 교육에서 동물매개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학생들의 긍정 심리자본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2.
        202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advanced countries that are members of the World Physiotherapy have established a 4-year education system or specialized graduate school system for physical therapists based on national standards. They have also expanded their laws and systems to provide physical therapists with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to offer services in their clinics. However, compared with developed countrie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there are issues with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physical therapists in Korea related to national regulations. Social status and recognition of the profession are also lagging. Korea is expe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by 2025.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f healthcare and welfare on the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time spent by older adults on independent activities and minimize their time spent using medical services. To achieve this goal and maximize the active life of older adults, a plan to efficiently use licensed physical therapists in the country should be prepared. Korea should increase the license utilization rate of physical therapists to reduce waste at the national level and increase the professional hope of the younger generations of physical therapists. To create a healthcare policy focusing on the use of physical therapy personnel, similar to that in advanced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unify educational systems and produce excellent physical therapists. Providing professional autonomy can help physical therapists develop a sense of job satisfaction. Outstanding talent will choose physical therapy as a profession if they can see hope for their future careers, and if physical therapy services in Korea are similar to those delivered in advanced countries, physical therapy in Korea can develop into a healthcare service that people desire.
        4,000원
        33.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미술치료에 대해 이론적, 과학적 기초를 제공해주는 정신역 동이론의 다양한 이론들과 실제 치료에 사용되는 검사방법들을 검토함으 로써 미술치료의 유효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 대한 이론적, 과학적 근거를 검토하기 위해 문헌분석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미술치료를 의학적 심리치료의 한 방식으로 취급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주장을 검토한다. 미술치료가 과연 의학적 으로 유효한 방법인지 검토하기 위해 이론적인 근거 및 과학적 근거로 나누어 분석한다. 또한 오늘날 미술치료가 정신역동이론을 투영하는 과 학적 방식을 검토하고, 정신분석과 전이현상을 활용하는 미술치료에 대 해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미술치료에 대한 반대론이 심리과학과 연동된 미술치료의 이면에 대한 오해로 인한 것이라는 점에서, 미술치료는 정신 역동이론의 이론적 근거 및 그 축적된 임상결과로 인해 치료의 유효성을 입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5,800원
        34.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외래 작업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동하는 동안 경험하는 어려움과 의존성을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고 뇌졸중 환자의 이동권과 독립성 확보를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현재 재활 병원 외래 재활치료실에 통원 치료 중이며 이동성에 제한을 겪고 있는 뇌졸중 환자들 중 여성 3명, 남성 2명으로 구성하였다. 면담 기간은 2022년 9월이었으며, 자료 수집을 위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은 녹음 및 필사로 담아 반복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현상학적 연구인 Giorgi의 방법에 따라 4단계로 분석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들의 이동 경험에 대해 면담한 결과, 20개의 의미단위들을 찾아내어 10개의 주요의미와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주제는 일상생활의 변화, 이동의 제약, 의존적인 몸과 마음,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깜깜함이었으며, 이동과 관련되어 어려움을 겪는 뇌졸중 환자들은 개인이 처한 상황과 신체적인 기능,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내 이동에서 어려움을 겪는 모든 장애인들을 위해 물리적, 환경적 그리고 제도적 개선을 통하여 이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독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4,600원
        36.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Korea citation index (KCI) enhances the quality of journals by securing a management system for domestic journals and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excellent domestic journals. Errors in studies, papers, and investigations of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in the medical field.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statistical methods and error investigations in physical therapy journals in Korea.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statistical methods and research errors in physical therapy journal articles evaluated by KCI. Design: Review. Methods: Ten journals classified as physical therapy journals by December 2021, which are candidate journals or higher, were targeted. The study focused on origi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17 to 2021 and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statistical methods used, sample size calculations, result tables, effect sizes, and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Statistical methods used in physical therapy studies in Korean journals mainly employed group comparative analysis. However, in most cases, the basis for sampling, effect size, and confidence interval were not presented, even though most of the results tables were included. Conclusion: This study allowed us to examine the most frequently used statistical methods in Korean physical therapy studies and assess the reporting status of sample size calculations, result tables, effect sizes, and confidence intervals. Efforts are needed to publish high-quality pap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physical therapy journals.
        4,000원
        37.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무릎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임상 가이드라인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무릎관절 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의 회복과 지역사회 복귀에 있어 작업치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문헌이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가 거의 제공되지 않는다는 현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릎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작업치료 중재를 확인하고 이것을 가이드라인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가이드라인 개발 방법은 영국 작업치료사협회의 「Practice guideline development manual(4th edition)」에서 소개한 절차를 따랐다. Patient/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s(PICO) 임상 질문 설정은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한국의 보건·의료제도를 고려하여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총 7,241건의 논문을 추출하였으며 논문의 질 평가 및 비평적 읽기를 통해 최종 66편의 근거 논문을 선정하였다. 논문의 중재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 내용을 구성하고 권고 강도는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s(GRADE) approach 체계를 활용하여 [권고]와 [제안]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 무릎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임상 가이드라인 권고 내용은 ‘환자 중심’과 ‘서비스 제공 중심’으로 범주화하였다. ‘환자 중심’범주에는 ‘일상생활 활동기능 향상’, ‘정신건강의 안정(불안, 우울 등)’, ‘환자 만족도 증가’, ‘지역사회복귀 향상’을, ‘서비스 제공 중심’범주에는 ‘작업치료사를 포함한 다학제 재활팀 구성’과 ‘작업치료 를 통한 병원 입원 기간 단축’을 위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결론 : 무릎관절 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 임상 가이드라인은 수술환자들의 안정적인 지역사회 복귀와 입원 기간 단축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정형외과 작업치료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의료비 용 감소를 위한 정책 마련에 근거 자료가 될 것이다.
        5,500원
        38.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의 역할 수행을 위한 역할 수행 작업치료를 중재, 역할 유형, 중재의 결과를 나타내 기 위한 종속 변수와 평가도구, 중재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은 국내와 국외 데이터베이스인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RISS), Pubmed,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CINAHL), Excerpta Medica Database(EMBASE), SCOPUS, Web of Science를 이용하였다. 문헌 선택은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PRISMA) 흐름도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최종 17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한 문헌을 근거기반 연구의 질적 수준모델과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CASP)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hecklist, CASP case control checklist, CASP qualitative checklist를 사용 하여 근거수준과 적용된 연구방법의 질적 평가를 하였다. 결과 : 최종 17편의 문헌 중 Ⅰ단계에 해당하는 무작위 대조연구는 6편으로 나타났으며, 6편의 연구가 CASP checklist의 모든 항목을 충족하였다. 작업치료 중재는 자기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중재가 13개로 가장 많았다. 여가 참여자 역할과 조직구성원 역할 각각 9편, 친구 역할 7편 순으로 나타났다. 중재 결 과를 도출하기 위한 종속변의 평가도구는 정신적 건강이 8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신체적 건강, 삶 의 질 평가가 각 6개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역할 수행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알아보았으며, 향후 노인의 역할 수행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전략과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향후 고찰 연구에는 생애주기에 따른 노인이 아닌 다른 역할 평가 및 역할 수행이 필요한 대상자 포함이 필요하며, 국내 실정에 맞는 역 할 수행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6,000원
        39.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21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유형, 근거수준, 연구 분야, 1 저자 정보, 연구 대상자, 연구 변인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로 연구 유형은 기술적 연구가 33.80%로 가장 많았고, 근거수준 중 수준 4가 47.89%로 가장 높았으며, 2016년에 비해 수준 1과 수준 4의 연구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야는 작업 치료일반이 28.64%로 높게 나타났으며, 게재된 논문의 1 저자 직위는 대학원생이 33.64%로 가장 높았 다. 실제 연구 대상자가 포함된 연구 중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4.95%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 대상 자 진단명은 뇌졸중이 가장 높았다. 연구 변인은 기술적 연구에서 작업/활동 기반 작업치료가 15.28%였 고, 실험연구의 독립변인은 작업/활동 기반 작업치료가 28.30%, 종속변인은 운동기능이 26.36%로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작업치료의 연구의 근거수준의 향상과 연구분야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연구 방향의 설정에 신뢰할 만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5,100원
        40.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non-face-to-face physical therapy would have similar exercise effects to face-to-face physical therapy. Hence, we developed an approach for patients, unable to visit hospitals due to circumstance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to conduct physical therapy comfortably at home. Object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 face-to-face and a non-face-to-face physical therapy treatment on improving a rounded shoulder posture. Methods: The participants with rounded should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face-toface group (n = 15) and a non-face-to-face group (n = 15), and each group performed exercises for four weeks.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the bare hands exercise, Thera-Band exercise, and foam roller exercise. The participants in the face-to-face group came to a designated place to perform their exercises, and those in the non-face-to-face group performed the exercises at their own home using Google Meet (Google). Acromial height, total scapular distance (TSD), shoulder pain and dysfunction index (SPADI), and pectoralis minor thickness were measur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Statistical Software (R Core Team), and a normality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hapiro-Wilk tes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ace-to-face and the non-face-toface groups (p > 0.05).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s, both the face-to-face and the non-face-to-fac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romial height, SPADI, and pectoralis minor thickness (p < 0.05), and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S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s (p > 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porting that shoulder stabilization exercise and pectoralis minor stretching training improves round shoulders.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both the face-to-face and the non-face-to-face physical therapy treatments had therapeutic effect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