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1.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일당귀의 개화 후 일수에 따른 종자 등숙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2019년 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 시험 포장에서 채종한 종자를 시험재료로 사용하였다. 개화 후 일수에 따라 종자 무게와 발아율이 조사되었고, 등숙 과정 동안 종자 내에서 배종비(E:S ratio)가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는 각 소화서마다 개화 후 일수가 증가할수록 종자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각 소화서에서 발아가 시작되는 시기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종자 내에서 배의 길이는 계속해서 성장하여 배종비가 높아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일당귀는 다양한 소화서에서 꽃이 피기 때문에 종자의 배종비가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일당귀의 우량 종자 생산을 위해서는 개화 후 50일부터 70일경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2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Schizonepeta which is characterized by short growth period is used for the pedicel as a medicinal plant. Its main ingredients are essential oil, monoterpenoid, and flavonoid. Major effects include fever, pain, anti-inflammation, and anti-allergy. There are no varieties developed so far,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 varieties to supply domestically good varieties. In this study,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the genetic resources collected for cultivating good-quality varieties were tested. Three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early, medium, and late life. Methods and Results :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test packaging of the Medicinal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Hamyang) in Gyeongnam province. It was harvested in late May, early June, and mid June by flowering season. The harvest time was mid June, late June, mid July, late July, mid August, and late August. Flowering,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were investigated. Growth characteristic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delay of flowering and harvesting time, such as plant height, leaf length etc. As the flowering time and harvesting time were delayed, the number of trees increased. The selected early line showed 89.4 ㎝ in plant length, 38.3 g grain weight, medium line 69.5 ㎝, 61.0 g, late line 136.4 ㎝, 111.2 g. Conclusion : When the cultivars are selected for the selected strains, it is expected that the cultivars with high physiological activity characteristics will be able to develop the cultivars as high quality varieties and high yield varieties.
        23.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owering time is a important agronomic trait for grain production in rice. So the control of flowering time is a critical step. In Arabidopsis, expression of certain key flowering gene such as FLOWERING LOCUS C (FLC) is known to be epigenetically regulated by chromatin modification through Enhancer of Zeste[E(z)], a histone methyltransferase, that core component of repressive complex, polycomb repressive complex2(PRC2). However, the chromatin mechanism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rice flowering genes is presently not well known. Here we show that predict coding region of a intronic LncRNA[termed rice COLDAIR(OsCOLDAIR)], which is expected to associate with a component of PRC2, is predicted at rice FLC gene. And additionally we suggest interaction of histone methyltransferase and E3 SUMO ligase that indicate possibility of interaction with rice E(z) gene and rice E3 SUMO ligase. Our study contribute to control of rice flowering time by observing two factor that can regulate expression of related of rice FLC gene.
        2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ice (Oryza sativa L.), there is a diversity in flowering time that is strictly genetically regulated. The floral transition from vegetative to reproductive development is a very important step in the life cycle of a flowering plant. Although the genetic pathway for short-day flowering in rice is relatively well understood, the naturally occurring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flowering time diversity of the cultivated rice are still not clear. Resequencing of 295 rice accessions including 137 HS and 158 KB rice accessions, was recently finished with an average of approximately 10x depth and > 90% coverage. A wide range of variation in flowering time was observed within a diversity research set of 295 accessions ranging from 28 to 72 days. GWAS was performed using the resequencing data to investigate the candidate genes associated with flowering time in rice. Our GWAS result suggests that two SNPs in the promoter or 3’ UTR of the ‘Arabidopsis CO’ homolog FBH1 are potentially associated with early flowering. The new SNPs found in the FBH1 locus would be useful in developing markers to screen the varieties with early flowering time in the future molecular breeding.
        2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원 디자인 시 국내에서 이용 가능한 다년초 선정을 위한 목록을 만들고자 국내 화훼종묘회사와 생산농원 그리고 상업적 정원, 식물원, 수목원 홈페이지 160여 개를 검색하여, 보유 또는 생산하는 다년초의 사진, 학명, 일반명, 화색, 초장, 개화기의 6개 항목을 게시한 ㈜대한종묘조경, 우리꽃, 한택식물원을 대상으로 게시된 다년초를 정리하였다. 전체 다년초에서 생육 특성이 다른 구근류, 암석원식물, 그래스류, 고사리류, 수생식물을 분리하여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를 다년초라 하여 전체 다년초를 6개 식물군으로 나누었다. 6개 생육 특성별 식물을 각각 파랑(blue), 녹색(green), 주황(orange), 분홍(pink), 보라(purple), 빨강(red), 은색(silver), 흰색(white), 노랑(yellow)의 9가지 화색으로 나누고 같은 화색 내에서 초장을 고(120cm 이상), 중(60-120cm), 저(60cm 이하)의 세 단계로 나누어 해당하는 식물을 학명의 알파벳순으로 배치하여 1월부터 12월까지 개화 월을 표시하는 정원용 다년초의 목록을 만들었다. 조사한 자료에서 중부지방에서 정원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체 다년초는 1,091종류이며 다년초 839종류, 구근류 58종류, 암석원식물 46종류, 그래스류 70종류, 고사리류 46종류, 수생식물 32종류로 나눌 수 있었다. 전체 다년초는 화색별로 파랑 7.2%, 녹색 7.5%, 주황 2.8%, 분홍 17.0%, 보라 15.9%, 빨강 4.2%, 은색 0.5%, 흰색 24.7%, 노랑 20.0%로 나눌 수 있었는데 흰색과 노랑, 분홍, 보라의 화색을 가진 종류가 가장 많고 엽색이 포함된 은색과 초록을 제외하면 정원의 화려함을 더해주는 주황과 빨강, 파랑의 화색이 부족하였다. 전체 다년초의 6.0%만이 120cm 이상의 높은 초장이었고, 60-120cm 사이의 중간 초장은 24.9%, 60cm 이하의 초장은 69.1%였다.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전체 다년초의 0.0, 0.2, 1.1, 5.9, 11,5, 22.8, 22.3, 20.7, 10.1, 5.1, 0.3, 0.1%가 개화했는데 5, 6, 7, 8월에 77.3%가 개화하였다.
        27.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 자생하는 몇몇 조경용 수목의 만개일과 기온자료를 활용하여 생물계절에 따른 기본온도와 생장도일(Growing Degree Day, GDD)을 추정하였다. 2011~2012년 조경수목의 만개일를 조사하였으며 수원기상대의 온도자료를 사용하여 일평균온도에서 기본온도를 차감한 생장도일을 계산하였다. 기준온도 설정을 위하여 0.1℃ 단위로 생장도일을 계산하여 2011~2012년 생장도일의 표준편차가 적은 온도를 기본온도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식물의 기본온도는 진달래, 박태기나무, 팥꽃나무는 1.9℃, 공조팝나무 0℃, 장구밥나무 1.2℃로 나타났으며 만개기의 생장도일은 진달래 324.10±96.32℃, 박태기나무와 팥꽃나무 506.90±84.99℃, 공조팝나무 853.65±59.61℃, 장구밥나무 2112.70±11.74℃이다. 계산된 생장도일을 이용하여 홍릉수목원에서의 예측만개일과 실제만개일 비교 시 진달래의 예측만개일의 45%, 박태기나무의 35% 수준으로 일치하였다. 팥꽃나무는 박태기나무와 만개일이 유사하므로 비슷한 예측 정확도를 보일 것이라 생각된다.
        28.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금불초(Inula britannica) 종(種) 및 개화시기에 따른 금불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았다. 이들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살펴본 결과, 만개한 금불초 꽃(I. britannica var. chinensis)추출물의 경우 500 μg/mL의 농도에서 79.89%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금불초 유사종인 가는 금불초(I. britannica var. linariaefolia Regel), 가지 금불초(I. britannica var. ramosa) 및 버들 금불초(I. salicinavar. asiatica)의 꽃 추출물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꽃이 만개하였을경우 꽃 추출물 분획에서는 93.62%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봉우리 추출물 분획은 43.28%, 낙화추출물 분획은 14.11%를 나타냈다. 금불초의 종 및 개화시기를 선정 후, 추출용매, 온도, 시간을 조절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65 ℃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에서 세포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5 ~ 50 μg/mL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 μg/mL의 농도에서 τ50이 116.1 min으로 비교물질인 (+)-α-tocopherol에 비해 1.58배 더 큰 세포 보호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PLC로 금불초 꽃 추출물을 분석한결과 flavonoid의 일종인 quercet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65 ℃ 에탄올로추출한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의 경우 다량의 quercetin을 함유하며, 그로 인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29.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iming of flowering, which is of crucial importance for plant growth and survival, is controlled by intricate pathways. To identify heading date-QTL, we constructed high resolution map on chromosome 3 using heterogeneous inbred family-near isogenic lines (H-NILs) derived from F7 RILs generated by the cross of early-heading japonica rice ‘H143’ and middle-late-heading indica-japonica hybrid cultivar ‘Milyang23’. QTL and subsequent sequence analysis using H-NILs revealed that the gene underlining QTL EH3, which is detected in the region of Hd16, is EL1 encoding casein kinase I (CKI). Two types of single amino acid substitutions in Ser/Thr kinase domain of EL1 were found in various cultivars, among which H-NIL(eh3) caused loss of function in EL1 demonstrated by altered heading date and GA response. Moreover, the phosphorylation of EL1 appears to involve in EL1 activity to regulate heading date. Transcriptional analysis clearly indicated that H-NIL(EH3) suppresses heading under LD conditions by down-regulating Ehd1, there by Hd3a and RFT1 expressions were not induced, suggesting that EL1 is photoperiod-sensitive and functions as a LD-specific suppressor of heading. Further characterization suggested that EL1 is likely to involve in anther development and seed settings by regulating GAMYB expression. Our study demonstrated that the genetic basis of natural variation occurred in ‘H143’ was revealed by QTL analysis using H-NILs, and EH3/EL1 function is crucial for heading and development in rice. The genetic natural variation of H-NIL(eh3) may have contributed to adaptation of rice cultivation to the higher regions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rice flowering activator genes and GA signaling.
        30.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튤립(Tulipa ‘Showwinner’, ‘Ballerina’)과 수선(Narcissus ‘Tete a tete’, ‘Dutch Master’)의 고품질 분화 및 절화생산을 위한 구근 저온 저장 및 재배시스템이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튤립 ‘Ballerina'의 경우 재배시스템과 저온 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온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가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습윤 저온처리는 다른 저온 처리방법보다 개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튤립 ’Showwinner'의 경우 저온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가 촉진되었고, 개화율은 재배시스템이나 저온 처리기간보다 저온처리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윤 저온처리에서 90% 이상의 개화율을 보였다. 수선 ‘Dutch Master'의 경우 개화소요일수는 재배시스템 처리간에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저온 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가 촉진되었으며, 개화율은 습윤 저온처리시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100%를 나타내었다. 수선 ’Tete a tete'의 경우 Ebb & flow 시스템과 습윤 저온처리구에서 개화가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온 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었다. 개화율은 재배시스템이나 저온처리기간 보다 저장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습윤 저온처리나 건조 저온처리에 비해 자연 저온처리에서 다소 개화율이 낮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구근의 저온저장 및 양액재배 시스템에 의해 고품질 상품을 기획적으로 생산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32.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자생 개맨드라미를 초장생장을 억제시켜서 분화식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위하여 적심 및 왜화제처리에 따라서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적심의 횟수가 1회부터 3회까지 증가할수록 초장, 절간장 및 화서장은 월등히 작아지고 화서의 수, 엽수 및 측지수는 증가하였다. Diniconazole 12.5-50.0mg·L-1, hexaconazole 10.0-40.0mg·L-1 및 daminozide 3,400-13,600mg·L-1의 처리는 개맨드라미의 초장, 절간장 및 엽장 등의 생장을 감소시켰고 화서의 수 및 잎의 수는 증가되었다. 특히 diniconazole 50mg·L-1 및 daminozide 6,800mg·L-1 처리는 대조구의 초장이 81.3cm에 비교하여 50cm 이하로 월등히 작았고 화서의 수는 2.7개로 대조구 1개보다는 월등히 많았다. 한편 hexaconazole과 daminozide는 농도 및 처리횟수가 증가할 수록 초장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diniconazole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개맨드라미를 왜화시키기 위해서는 12cm 정도 자란, 생육 초기에 diniconazole 50mg·L-1 및 daminozide 6,800mg·L-1를 1회 경엽에 살포하거나 2~3회 정도 적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33.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절화수명연장을 위한 다양한 약품과 처리제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보다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석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식물의 절화수명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기초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절화수명연장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기장은 생명체들 세포의 이온(ion)에 영향을 주어 생물에 다양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식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아직 과학적으로 식물의 정확한 자기장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실험을 통하여 자기장의 영향에 따른 식물의 개화반응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S극은 절화의 생육기간을 연장하였으며 관상기간을 늘려 절화수명연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S극은 개화촉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분증발율을 높여 절화의 활성화를 도와 관상기간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석의 자기장이 절화수명연장에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약품이나 보존제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절화수명 연장의 대안이 될 것이다. 이에 앞으로 자석이 식물의 개화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보다 세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수종을 통하여 자석을 이용한 식물생육 활성화 및 절화수명연장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4.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ain quality and days to flowering are major characters to be considered in vegetable soybean improvement. The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heritance of both traits in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rived from a crossenvironments. T
        36.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들깨 속의 개화일수는 파종기 및 품종에 따라 큰 변이를 보였다. 5월 1일 이후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품종간 차이가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8월 1일 파종기에서 품종간 5일로 가장 적은 개화일수 차이를 보였다. 2) 들깨 속은 파종기 및 품종에 따라 개화반응이 다양하였다. 1월 1일 파종 및 5월 1일 이후 파종기에서는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정상적인 개화 반응을 보였으나, 2월에서 4월까지 파종한 경우에는 영양생장~→생식생장~→영양생장+생식생장~→근영양생장~→생식생장, 영양생장~→영양생장+생식생장~→영양생장~→생식생장, 상위분지는 영양생장만 하고 하위분지는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동시에 하는 등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가역 적으로 변화하였다. 3)들깨의 화성자극 이동방향과 분열조직에 있는 엽수에 따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처리한 결과 단일 처리된 부위만 개화반응을 보여 들깨에 있어 화성자극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도꼬마리 등 다른 식물과는 상이하였다. 4)단일처리 기간에 따른 개화일수 단축은 9월 상순 이전에 개화하는 품종은 8일 처리로 효과가 있었으나 9월 하순에 개화하는 품종은 14일 처리에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37.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Japonica rice variety 'Weonhwangbyeo', released in 1999,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Milyang96//Milyang95/Iri390 made at the Yeongdeog Substation of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The average heading date of Weonhwangbyeo i
        38.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variations of the flowering response to daylength in Perilla crop (var. frutescens). Seventeen accessions of Perilla crop and one accession of weedy type of var. crispa from China, Korea and Japan were cultivated under three daylength conditions, i.e., short-days, natural daylength and long-days. Most accessions of Perilla crop from China, Korea and Japan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early maturing type, intermediate maturing type and late maturing type by their natural flowering habit. In most of the accessions used, the flowering habit was significantly accelerated by short-day conditions and was delayed by long-day conditions. All the accessions of Perilla crops flowered within 57 days under the 10 hrs light treatment, whereas they did not flower at all even at 170 days after sowing under the 16 hrs light treatment. Thus, this finding suggest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flowering response to daylength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which determines the planting season in traditional cultivation practices of Perilla crops.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days to flowering and plant height or internode number in both the short-day and natural daylength conditions. Whereas, correlation was negative between days to flowering and inflorescence length or floret number in natural daylength condition, but it was positive in the short-day condition. Therefore, the daylength condition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for flowering habit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Perilla crops. Flowering habi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key character for the study of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of Perilla crop in East Asia.
        40.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egetable perilla, "Ipdlkkae 1"(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was tested about the flowering and maturing responce in summer and winter. In summer season, it was researched about those respons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eding date from May 15th to Oct. 15th at one month interval in the field. "Ipdlkkae 1" flowered Oct. 2nd under the day length of eleven hours and fourty-one minutes, compared with Sep. 6th (day length of twelve hours and fourty-three minutes) of "Yepsildlggae". And those responses showed that vegetable perilla was have to seeded before July 15th for two reason. The first is a unique response of perilla to day length. If perilla stay under short-day condition for some days, perilla will flower after four weeks. The second is a weather, especially frost and cold. In the test of latest seeding at Oct. 15th, the plants flowered more late than normal flowering period and they were not able to mature for frost of early winter. And this result showed that any other species,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later flowering than that of "Ipdlkkae 1", could not able to mature in the field. In winter time, this species was tested about the same respons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hort-day treatments. In the case of the test from May 1st (above fourteen hours day length), even if the test plants were stayed under short-day condition for more than 10 days, they were not able to mature, but flowerd. From the test of Apr. 15th, day length of thirteen hours, the plants were showed variable reaction to the short-day treatment. In this test, 11days for short-day treatment was a basic day to decide whether flowering was delayed or not. In the test from Apr. 1st, perilla seeds were able to harvest at least 5 days short-day treatment. In the final test from Mar. 15th, it had no need to take short-day treatment for harvesting of normal seeds, because the day length of that are twelve hours, which is an enough time to induce flowering and maturing, previously reported.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