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65

        401.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단일 입력 전이함수모형(Single-input transfer function model)을 적용하여 여수연안 2010년의 월평균 표면수온의 예측을 시도하였다. 전이함수모형을 수립하기 위한 입력시계열과 출력시계열은 각각 여수지방의 10년(2000-2009년)간의 월평균 기온자료와 표면수온자료를 이용하였다. 전이함수모형을 수립하기 위하여 입·출력 시계열을 사전백색화하고, 입·출력 시계열간의 각 시차에 대한 교차상관함수를 결정하였다. 교차상관함수는 음의 모든 시차에서 유의한 값을 갖지 않아 기온과 표면수온사이는 일방적 인과관계를 보였다. 또한 교차상관함수의 시차 0과 1에서 유의한 값을 보였다. 이러한 교차상관함수의 특징에 따라 입·출력시계열간 전이함수의 시차와 분모 및 분자의 차수(b, r, s)는 (0, 1, 0)으로 식별되었다. 구축된 전이함수모형에 따르면 기온과 표면수온 사이의 시차는 존재하지 않았다. 여기서 현재의 표면수온은 1개월 전의 표면수온과 선형관계가 있음을 보였으며, 잡음모형은 ARIMA(1,0,1)(2,0,0)12로 식별되었다. 전이함수모형에 의한 월평균 표면수온의 예측치는 실측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0.3-1.3℃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6.4 %의 평균절대백분율 오차를 포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8.3 %의 평균절대백분율오차를 보인 ARIMA 모형에 비하여 향상된 예측성능을 보이는 것이며, 표면 수온의 시계열적 예측을 시도할 경우, ARIMA 모형보다 전이함수모형의 적용을 통하여 그 예측성능의 개선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4,000원
        40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hibitor cysteine knot (ICK) peptides exhibit ion channel blocking, insecticidal,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but currently, no functional roles for bee-derived ICK peptides have been identified. In this study, a bee (Apis cerana) ICK peptide (AcICK) that acts as an antifungal peptide and as an insecticidal venom toxin was identified. AcICK contains an ICK fold that is expressed in the epidermis, fat body, or venom gland and is present as a 6.6-kDa peptide in bee venom. Recombinant AcICK peptide (expressed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bound directly to Beauveria bassiana and Fusarium graminearum, but not to Escherichia coli or Bacillus thuringiensis. Consistent with these findings, AcICK showed antifungal activity, indicating that AcICK acts as an antifungal peptide. Furthermore, AcICK expression is induced in the fat body and epidermis after injection with B. bassiana.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 into the role of AcICK during the innate immune response following fungal infection. Additionally, we show that AcICK has insecticidal activity. Our results demonstrate a functional role for AcICK in bees: AcICK acts as an antifungal peptide in innate immune reactions in the body and as an insecticidal toxin in venom. The finding that the AcICK peptide functions with different mechanisms of action in the body and in venom highlights the two-pronged strategy that is possible with the bee ICK peptide.
        40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itial mass function (IMF) and star formation history of high-mass stars in the Small Magellanic Cloud (SMC) using a population synthesis technique. We used the photometric survey catalog of Lee (2013) as the observable quantitie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synthetic populations based on Bayesian inference. For the IMF slope (γ) range of -1.1 to -3.5 with steps of 0.1, five types of star formation models were tested: 1) continuous; 2) single burst at 10 Myr; 3) single burst at 60 Myr; 4) double bursts at those epochs; and 5) a complex hybrid model. In this study, a total of 125 models were tested. Based on the model calculations, it was found that the continuous model could simulate the high-mass stars of the SMC and that its IMF slope was -1.6 which is slightly steeper than Salpeter's IMF, i.e., γ=-1.35.
        4,500원
        40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고카페인 에너지음료가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고카페인 에너지음료의 주요 소비층인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굴절이상도, 동공크기, 눈물막 파괴 시간, 순목횟수, 폭주근점, 조절력, 근거리 조절 용이성, 근거리 융합성 이향 용이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 고카페인 에너지음료 섭취 후 굴절이상도, 순목횟수, 폭주근점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동공크기 는 약간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조절력은 섭취 60분 후에는 최대 증가를 나타냈고 섭취 90분 후에는 복귀되 는 시점으로 나타났다. 눈물막 파괴시간, 폭주근점, 근거리 조절 용이성, 근거리 융합성 이향 용이성은 섭취 전과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결 론: 고카페인 에너지음료의 섭취가 시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지나친 섭취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4,800원
        40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원 방문자를 대상으로 연령군에 따른 굴절이상의 분포와 굴절상태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 서초동 소재 안경원에 내원한 922명(1,844안)을 대상으로 연령군에 따라 10대군(10∼19세), 20대군(20∼29세), 30대군(30∼39세), 40대군(40∼49세), 50대군(50∼59세), 60대 이상군(≥60세)으로 분류하고 타각적 굴절검사와 자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굴절이상은 등가구면굴절 력을 이용하여, 근시군(SE≥-0.75 D), 원시군(SE≥+0.75 D) 및 난시군(Cyl≥-1.00 D)으로 나누고, 난시는 (-) 원주축 방향에 따라 직난시(180°±15°), 도난시(90°±15°), 사난시(16°∼74° 또는 106°∼164°)로 구분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8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각 요인을 독립표본검 정(independent T-test),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안의 굴절이상 분포는 근시 84.4%, 원시 5.7%, 정시 9.9%그리고 난시는 46.1%로 나타 났다. 평균 등가구면굴절력은 10대 -3.77±2.06 D, 20대 -4.44±2.61 D, 30대 -3.85±2.61 D, 40대 -3.48± 2.70 D, 50대 -1.92±2.65 D, 60대 -0.56±2.58 D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근시에서 원시로 유의 하게 변하였다(p<0.05). 난시는 직난시 54.8%, 사난시 30.4%, 도난시 14.9% 로 나타났고 10대에서는 직난 시가 월등히 높았으며, 도난시는 60대에서 45.3%로 가장 높았다. 결 론: 청소년기에는 근시와 직난시의 유병률이 높지만, 연령이 증가하면서 굴절상태는 변하여 노년층에 서는 원시와 도난시의 유병률이 높았다. 굴절상태는 연령에 따라 청소년기에 근시화가 진행되고, 근시안과 정시안의 경우에는 40대 이후에 원시화가 나타나며, 근시화와 원시화 정도는 근시안이 정시안보다 더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40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신체활동, 인지훈련,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을 동시에 제공한 복합 중재법이 치매노인의 삶의 질, 우울,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복합 중재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써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2013년 9월 4일부터 2013년 11월 18일까지 10주간 주 1회씩, 치매진단을 받은 노인 총 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모든 연구 대상자는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는 1회기와 10회기에 실시하였으며, 복합 중재법은 8주 동안 주 1회, 매회 120분 씩 시행되었다. 측정도구로는 노인 삶의 질 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 GQOL), 한국판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K),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를 사용하였다.결과:치매노인의 GQOL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GDS-K의 점수는 중재 후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MMSE-K 역시 중재 후 점수가 증가하였지만,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경도 치매와 중등도 치매노인 집단 간의 GQOL, GDS-K, MMSE-K의 변화량에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결론:복합 중재법은 치매노인의 삶의 질 증가에 효과적이며, 우울과 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작업치료사들이 치매노인들에게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4,500원
        40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전통적인 치료와 비교했을 때, 강제 유도 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국내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06년∼2013년까지 게재된 14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을 대상으로 PEDro score를 사용하여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상지기능의 사전-사후 평균과 표준편차, 표본수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선정된 14편의 연구는 PEDro score가 6점 이상이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527명이었다. 효과크기 분석 결과 환측 상지의 운동 능력, 사용빈도 및 질에서는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01). 또한 분리된 움직임, 잡기 능력, 시각 운동 통합 능력에서는 “보통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결론:강제 유도 운동치료는 전통적인 치료보다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회복에 있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임상에서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치료 방법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4,800원
        40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기도흡인을 예측할 수 있는 연하기능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연구방법: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연하기능 검사, 비디오투시검사, 침습-흡인 척도,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를 통해 흡인에 대한 연하기능 검사의 분류기준점(cut-off score)에 따른 Area Under the Curve (AUC), 민감도, 특이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하기능 검사를 통해 흡인에 대한 양성과 음성예측도를 분석하였고, 연하기능 검사의 항목별 AUC를 분석하였다. 또한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연하기능 검사와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 및 침습-흡인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연하기능 검사를 통한 흡인의 AUC는 .94로 판별력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흡인에 대한 연하기능 검사의 분류기준점은 36점으로 이에 따른 민감도는 94.3%, 특이도는 90.9%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연하기능 검사의 흡인에 대한 음성예측도는 96.2%, 양성예측도는 86.8%로 분석되었고, 연하기능 검사에서 흡인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항목으로는 수의적 기침, 후두거상, 삼킴 전/동안/후 기침, 목소리 변화, 목 가다듬기 항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하기능 검사는 임상 연하척도인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 및 침습-흡인 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연하기능 검사는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를 선별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연하재활에서 연하기능 검사의 적용을 통해 흡인의 예측과 임상적 중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4,200원
        40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연하장애를 동반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 실시된 혀의 저항 운동 프로토콜이 혀의 근력과 전반적인 연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13년 8월부터 2014년 2월까지 75명의 연하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두 군 모두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를 시행 받았으며 실험군은 아이오아 구강 수행도구를 이용하여 혀의 저항 운동을 추가적으로 시행 받았다. 혀의 근력 변화는 아이오아 구강 수행척도(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를 사용하였으며 전반적인 연하기능과 식이단계의 변화는 비디오 투시 조영검사(Video Flu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를 기반으로 비디오 투시 연하장애척도(Videofluoroscopic Dysphagia Scale; VDS)와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 Measurement System; ASHA NOMS)를 사용하였다.결과:본 연구 결과 혀의 저항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혀의 근력, 연하의 기능과 식이단계에 있어 효과에 대한 명확한 차이를 확인 할 수 없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혀의 전방과 후방의 근력 변화는 실험군,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연하기능의 변화와 식이단계 변화 역시 두 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두 그룹 모두 중재 전과 후의 변화량 역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본 연구는 연하장애를 동반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혀의 저항운동이 혀의 근력 향상, 연하기능과 식이단계의 변화에 있어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그 효과에 대한 차이가 없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중재 기간과 횟수가 수정된 프로토콜을 이용한 효과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4,600원
        410.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decreased cognitive ability has been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significant declines in performance of one or both tasks under a dual-task walking con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cognitive abilities and the dual-task costs (DTCs)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in stroke patients.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among 30 stroke patients while walking with and without a cognitive task (Stroop Word-Color Task) at the study participant's preferred walking speed. Cognitiv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 were calculated to quantify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neuropsychological measures and the DTCs in the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Moderate to strong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CPT) and the DTCs of the Single Support Time of Non-paretic (r=.37), the Trail Making A (TMA) test and the DTCs of Velocity (r=.71), TMA test and the DTCs of the Step Length of Paretic (r=.37), TMA test and the DTCs of the Step Length Non-paretic (r=.36), the Trail Making B (TMB) test and the DTCs of Velocity (r=.70), the Stroop Word-Color test and the DTCs of Velocity (r=-.40), Visual-span Backward (V-span B) test and the DTCs of Velocity (r=-.41), V-span B test and the DTCs of the Double Support Time of Non-paretic (r=.38), Digit-span Forward test and the DTCs of the Step Time of Non-paretic (r=-.39), and Digit-span Backward test and the DTCs of the Single Support Time of Paretic (r=.36). Especially TMA test and TMB test were found to be more strongly correlated to the DTCs of gait velocity than the other correlations. Understanding these cognitive features will provide guidance for identifying dual- task walking ability.
        4,000원
        41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Twelve-week PNF (facial, tongue, and breathing exercise) was appl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12 subjects, and a general swallowing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12 subjects. In addition, the signs of improvement in the stroke patients (N=24) swallowing function were examined by conducting a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1.0 program, which was also utilized to gain statistical information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rrived at. The 12-week PNF significantly improved the functional dysphagia scale,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haryngeal transit time, swallowing response time, residue in valleculae, and residue in pyriform sinuses enhanced swallowing functions of the stroke patients (p<.05). In conclusion, the PNF intervention in the swallowing function of the stroke patients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exercise program.
        4,000원
        41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func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wo hundred and eleven children with CP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Korean-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K-GMFCS), Korean-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K-MACS), Korean-Communicatio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K-CFCS), and self-care, mobility, and social function domains of the Korean-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K-PEDI) functional skills were measured by physical therapists or occupational therapists. All of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DI functional skills (rs=-.549 to -.826) (p<.05). Especially, K-GMFCS, K-MACS, and K-CFC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obility, self-care, and social function, respectivel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established that K-GMFCS, K-MACS, and K-CFCS were predictors of self-care skills (74.3%) and mobility skills (79.5%) of the K-PEDI (p<.05). In addition, K-CFCS and K-MACS were predictors of social function (65.9%) of the K-PEDI (p<.05). The information gathered in this study using the levels measured in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may be useful to clinicians for estimating the PEDI func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CP.
        4,000원
        41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s are to analyze the pedestrian accident severity and to develop the accident models by arterial road function. METHODS: To analyze the accident, count data and ordered logit models are utilized in this study.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uses pedestrian accident data from 2007 to 2011 in Cheongju.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aytime, Tue.Wed.Thu., over-speeding, male pedestrian over 65 old are select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increase pedestrian accident severity. Second, as the accident models of main and minor arterial roads, the negative binomial models are developed, which are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such the main variables related to pedestrian accidents as traffic and pedestrian volume, road width, number of exit/entry are adopted in the models. Finally, Such the policy guidelines as the installation of pedestrian fence, speed hump and crosswalks with pedestrian refuge area, designated pedestrian zone, and others are suggested for accident reduction.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pedestrian accident severity, and developed the negative binomial accident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ected to give some implications to the pedestrian safety improvement in Cheongju.
        4,000원
        41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dothelin 2 (EDN2) induces follicular rupture by constricting periovulatory follicles.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mechanisms of EDN2 action on follicular rupture with respect of receptor using the conditionally granulosa cell specific EDN2 receptor type A (ETa) KO mice (gcETaKO; ETaflox/-․Amhr2Cre). It was generated the gcETaKO mice by breeding with ETaflox/- mice after mono-alleic ETa knockout by ZP3Cre and Amhr2Cre mice. Fertility, ovulation and maturation rates of ovulated oocytes after super ovul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gcETaKO mice compared with wild-type mice (ETaflox/flox and ETaflox/-) as a control group. In the gcETaKO mice, normal fertility after breeding with male mice was shown compared with wild-type mic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ulation rates after super ovulation, however its maturation rates was lower than that of wild type mice. These findings show that EDN2 in follicular rupture for ovulation is related with an other ETa not in granulosa cell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how EDN2 is acted in ovarian follicular rupture for ovulation.
        4,000원
        415.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icroRNAs (miRNAs) are approximately 22 nucleotides of small noncoding RNAs that control gene expression at the posttranscriptional level through translational inhibition and destabilization of their target mRNAs. The miRNAs are phylogenetically conserved and have been shown to be instrumental in a wide variety of key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cell cycle regulation, apoptosis, metabolism, imprinting, and differentiation. Recently, a paper has shown that expression of the miRNA-302/367 cluster expressed abundantly in mouse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s (ESCs) can directly reprogram mouse and human somatic cells to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efficiently in the absence of any of the four factors, Oct4, Sox2, c-Myc, and Klf4. To apply this efficient method to porcine, we analyzed porcine genomic sequence containing predicted porcine miRNA-302/367 cluster through ENSEMBL database, generated a non-replicative episomal vector system including miRNA-302/367 cluster originated from porcine embryonic fibro-blasts (PEF), and tried to make porcine iPSCs by transfection of the miRNA-302/367 cluster. Colonies expressing EGFP and forming compact shape were found, but they were not established as iPSC lines. Our data in this study show that pig miRNA-302/367 cluster could not satisfy requirement of PEF reprogramming conditions for pluripotency. To make pig iPSC lines by miRNA, further studies on the role of miRNAs in pluripotency and new trials of transfection with conventional reprogramming factors are needed.
        4,000원
        41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학령기 아동의 우울과 인지왜곡이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장애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우울, 인지왜곡,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초등학교 2학년에서 6학년까지, 경기지역에서 아동발달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아동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일반아동 10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아동용 부정적 인지 오류 질문지(Children’s Negative Cognitive Error Questionnaire; CNCEQ),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 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를 측정하였다. 그 중 90부를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 검정,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우울 정도가 높고, 부정적 인지왜곡이 심하며,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부정적 인지오류의 하위영역인 학업성취 영역이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25.2% 이었다. 결론 : 학령기 아동을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는 아동기 우울과 인지적 왜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아동의 부정적 반응에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심리학적 지식과 기술을 치료에 응용할 필요가 있다.
        4,200원
        41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발병 6개월 이내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와 상상 훈련 결합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를 하루 20분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울프운동기능평가(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Fugl-Meyer Assessment (FMA)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였다. 결과 : 1) 4주간의 중재 후, 상상 훈련 결합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집단에서 FMA와 WMFT의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MBI 평가 역시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개인활동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2)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집단의 경우 FMA의 손목 움직임 항목과 WMFT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또한 MBI 전체 점수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은 없었지만 개인활동 항목에서만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두 유형의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회복과 일상생활활동에 효과적인 치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100원
        418.
        2014.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bjective optical quality after overnight orthokeratology (ortho-k). Methods: Twenty two patients (43 eyes) satisfying the inclusion criteria (myopia < -4.50 D, astigmatism < -1.50 D, K-reading: 40.00 ~ 46.75 D) for overnight ortho-k. Visual acuity (VA) was measured by using System Chart (SC-2000, Nidek). Objective optical quality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Optical Quality Analysis System (OQAS Visionmetrics SL, Spain) for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strehl ratio, and objective scattering index (OSI).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18.0 (SPSS Inc, Chicago, Illinois) and p value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MTF values were 42.61 ± 8.39 pre-operatively, and 37.88 ± 11.77 post-operatively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075). The strehl ratios were 0.24 ± 0.08, and 0.20 ± 0.05, respectively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ortho-K (p = 0.001). OSI value were 0.37±0.17 and 0.71 ± 0.37, respectively,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0). According to OSI values, the mean value of VA was 0.05 ± 0.06 logMAR in the over 0.40 OSI group and 0.01 ± 0.05 logMAR in the less 0.40 OSI group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085).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bjective visual quality such as MTF between pre- and post-ortho-K. The postoperative Strehl ratio was decreased and OSI valu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pre-operation, however, increase in the OSI would not influence on the UCVA.
        420.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ta-catenin (CTNNB1, catenin (cadherin-associated protein), beta 1) is involved in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embryogenesis, tumorigenesis, angiogenesis and progression of metastasis. CTNNB1, as a multifunctional and oncogenic protein, has important roles in adhesion between Sertoli cells through an N-cadherin-dependent manner and in various cancer types through its over-activation. In addition, CTNNB1 can interact with estrogen/estrogen receptor alpha complex, which regulates the transcription of WNT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CT-NNB1 target genes. Recently, we investigated the functional roles and expression pattern of CTNNB1 during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embryonic gonads of chickens and the estrogen-dependent regulation of CTNNB1 in oviduct development and potential functions as a biomarker of CTNNB1 in human epithelial ovarian cancer using the chicken as a biological research model. Therefore, in this review, we provide a new insight of potential role of CTNNB1 in the development of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during early embryogenesis and ovarian carcinogenesis of laying hen model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