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두 차례의 오일쇼크(1973년, 1979년)와 세계곡물위기 (2008년)는 상대적으로 천연자원이 풍부하지 못한 국가들에게 위협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량의 약 70% 이상을 수입 에 의존하고 원유의 100%를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식량 및 석유의 가격변동으로 인한 위험에 노출된 정도가 심하였다. 2. 하지만, 위험정도는 국가 간의 부존자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력 수준, 경제변동률 등에 따라 다르게 분석되었다. 3.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이러한 개별 국가가 처한 위험 정 도를 알아보기 위해, 2개 구간(1971-1990년, 1991-2011년)으로 나누어 국가 유형화를 시도함. 유형화를 위해 요인분석, 군집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 본 논문에서는 (1)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식량 자원보다 에 너지 자원의 활용이 많아져 경제변동률이 높은 유형에는 에너 지 자급률이 높은 국가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2) 국가별 식량 안보수준의 변화는 에너지 안보수준의 변화 에 비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알 수 있으 며, (3) 생산력 수준이 낮은 국가들의 식량자급률은 하락하는 방향으로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식량자급률 하락에 따른 식량 자원 분포의 비대칭성 문제와 아울러식량 자원 생산에 있어서의 불균등도 심화 문제를 야기 시킬수 있다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study proposes multiple TRIZ contradiction solution strategies for addressing PC (Physical Contradiction) and TC (Technical Contradiction) by implementing TRIZ cause-and-effect tree. The problem associated with TC of the ends is solved by PC of means which employ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uses and effects. The TRIZ contradiction solution strategies demonstrated in this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3 types of combined strategy as follows: 1. To-Be PC and AS-Is PC, 2.To-Be PC and As-Is TC, 3.As-Is PC and To-Be TC. The combined strategy of To-Be PC and As-Is PC is similar to a divide-and-conquer technique. This strategy adopts parallel strategies using 4 separation principles in time, in space, between parts and the whole, and upon condition of two reversed-PCs. Moreover, its application elucidates the conflict relationship of two TCs from the study. The integrated 4 separation principles and 40 inventive principles present an effective synergy effect from the combination, and further addresses the problems in the TRIZ contradiction resolution strategies. Combined strategy of To-Be PC and As-Is TC implements the 40 inventive principles that To-Be PC of the means resolves the As-Is TC of the ends. Combined strategy of As-Is PC and To-Be TC also uses inventive principles to the As-Is PC of the means to solve the To-Be TC of the ends. In addition, propositional and logical relationship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between TC and PC is used to support the validity of 3 TRIZ contradiction solution strategies. In addition, 3 other strategies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validate the contraposition relationship of the truth table. This study discusses TRIZ case studies from National Quality Circle Contest from the years between 2011 and 2014 to provide the usage guidelines of TRIZ contradiction solutions for quality purposes. Examining analysis from the case studies and investigating combined strategies allows the users to ob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working memory capacity (WMC) and the types of vocabulary learning, i.e., explicit vs. implicit,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multi-word verb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0 middle school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and experimenta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multi-word verbs in a traditional and explicit manner, whereas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posed to multi-word verbs with short passages. The results manifested that both of the instructional styl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ers’ acquisition of multi-word verbs in the short-term. Although there was not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WMC and the overall scores on the immediate post-test, according to the scores on the gap-fill tasks which tested learners’ productive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low-WMC and high-WMC groups. High-WMC students learned more target multi-word verbs than low-WMC students on averag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WMC and the two different learning types did not affect the students’ acquisition of multi-word verbs in the long-term. Furth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WMC and learning type in the long-term was not significant.
본 연구는 충청북도 괴산, 옥천 및 보은 지역에 분포하는 산림습원의 유형을 분류하고 습원에 형성된 식물군락을 분류하였으며 식생과 환경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산림습원의 유형은 묵논급 완경사 습지, 산지계곡 습지, 묵논 습지, 산지 완경사 습지 및 농지 연못 습지로 구분되었다. 산림습원의 식물군락은 오리나무군락, 버드나무-왕버들군락, 버드나무군락 및 층층나무군락으로 이루어졌다. 중요치는 버드나무 105.84%, 왕버들 13.60%, 산뽕나무 11.30%, 오리나무 10.12%, 신나무 9.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생과 환경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층층나무군락이 해발고가 높은 곳에서 분포하고 있었다. 전체 조사구에서 159종의 식물 이 출현하였다. 오리나무군락, 버드나무-왕버들군락, 버드나무군락 및 층층나무군락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종은 버드나 무, 신나무, 찔레꽃, 청가시덩굴, 주름조개풀, 꼭두서니, 개고사리, 물봉선, 산딸기, 개망초 및 사위질빵 등 이었다.
한국 선교단체는 1960년대에서 1980년대에 크게 활약하여 한국 교회 전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선교한국 88’에 참여한 한국 선교단체들을 중심으로 전도유형과 방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한국 미래의 전도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도유형을 현존유형(간접적 방식),선포유형(직접전도와 대중매체), 설득유형(양육과 제자훈련), 능력전도유형(상담과 치유), 선포공동체형성유형(교회개척과 전도특 공대)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볼 수 있다. 선교단체들을 그 유형에 따른 분석에 의하면, 대학생 선교단체의 전도유형은 선포, 설득, 선포공동체형성유형에 속한다. 선포유형은 복음전도 훈련을 통한 개인전도, 설득유형은 양육과 제자훈련, 선포공 동체형성 유형은 해외에 교회개척을 하는 것이다. 해외파송선교단체의 전도유형은 선포공동체형성유형과 현존유형이다. 예를 들면, 한국 OMF와 한국OM은 선포공동체형성유형에 속한 단체로서 교회개척의 비전을 가지고 있다. 바울선교회와 GP선교회 역시 미전도 지역에 교회를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존전도유형의 예로서 한국 국제기아대책기구(KFHI)는 재난 지역, 오병이어선교회(FNGN)는 영양불량 지역, 한나선교회(HA NNAH)는 비개발지역을 돕고 있다. 선교적 관점으로 한국 선교단체를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 선교단체의 개인전도는 전도의 소명을 학생들에게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했지만 다양한 전도방법을 개발하지 못하고 전도에 대한 좁은 시각을 대중화시켰다. 제자훈련과 양육은 교회성장에 기여했지만 개인 구원과 사회적 책임성을 포괄하는 통전적 선교신학을 반영하지 못하였 다. 해외파송 선교단체는 주로 교회개척에 비중을 두며 간접적 전도방 식의 사역을 하였다. 그러므로 한국선교단체가 미래의 전도전략을 위해 더욱 전문성, 다양성, 통전성이 요구된다. 오늘날의 선교단체들은 과거의 선교단체들보다는 더 조직화되었 다. 그런데 한국선교단체는 주로 선포, 설득, 선포공동체유형에 속한 다. 제자훈련과 양육은 성령이 함께하지 않으면 지적 추구에 머물게 된다. 한국기독교의 전도유형은 능력전도와 현존전도로 보완되어야 한다. 한국 기독교를 성장시키려면 통전적 전도를 기초로 삶으로 보여 주는 변화인 현존전도와 능력과 치유를 포괄하는 능력전도 유형을 활성화해야 한다.
Contemporary fashion companies have been planning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promote brands and products more effectively for satisfying consumers’ increasingly diversified needs. For this reason, retail spaces have continued to evolve and the modern concept of pop-up stores appeared through this process.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domestic pop-up fashion store cases by collecting article data. These data are from Internet fashion-specialty sites and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op-up fashion stores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that will be useful in the pop-up fashion stores of companies when they establish their marketing strategies. This study utilize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derived the results by using SPSS Statistic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ype of “pop-up fashion stores opening in distribution enterprises” comprised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whole store types and the pop-up fashion stores’ management purposes were focused on product introduction, promotion, and market testing. As time passed, not only did pop-up fashion stores' growth rate increased, but also the types of pop-up fashion stores have become more diverse. In other words, contemporary fashion companies are utilizing more pop-up fashion stores as a marketing strategy than before. However, due to the short history of domestic pop-up fashion stores, the variety of research is still insufficient, so more extensive research on pop-up fashion stores is required.
남한지역에 위치한 9곳의 정맥 마루금을 대상으로 식생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정맥별로 출현한 식물군락명을 중심으로 산림식생유형을 분석하였고, 전체 정맥의 식생조사 데이터로 정량적 분석(TWINSPAN, DCA)을 실시하여 식물군락 분류 및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였다. 정맥별 출현군락명의 비율은 호남 및 낙동정맥에서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 우점군락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한, 한남금북, 낙동, 호남, 금남호남, 금남, 금북정맥에서는 타 정맥에 비해 낙엽성 참나무류 및 낙엽활엽수류 출현군락명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이에 비해, 낙남과 한남, 한북정 맥은 인공림 출현군락명의 비율이 높은 산림식생유형을 보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 8개의 군락이 그룹화되었는데 그 군락은 팽나무-예덕나무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 곰솔-리기다소나무림,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굴참나무 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락, 신갈나무-잣나무군락이었다. 정맥을 대표하는 산림식생유형은 신갈나무 우점군락, 소나무 우점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 등이었다.
미사리유형은 판석부위석식노지에 돌대문토기를 공반하는 청동기시대 문화유형으로 2000년대 초반 조 기의 설정과 관련유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짐에 따라 학계에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 미사리 유형 연구는 주거형태, 돌대문토기가 주를 이루었는데 본고에서는 공반하는 석기를 주 연구대상을 삼았다. 먼저 남한지역 전체 미사리유형 유적을 5개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지금까지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석기연구에 유의미한 속성을 기준으로 형식을 구분한 뒤 단계별 주요 형식을 살펴보았다. 1단계는 편평밑 과 만입도가 크지 않은 둥근밑의 형태를 가지는 무경촉, 장방형의 유공양인석도가 다수를 차지한다. 2단 계는 유병식석검, 유경촉, 무공양인석도가 확인되는데, 석도는 전 단계에 장방형이 주를 이루던 것에 비해 다양한 형태가 확인된다. 이 단계부터 특징적으로 편평양인석부가 나타나며 부리형석기도 관찰된다. 3단 계는 만입도가 크고 세장한 무경촉이 확인되며 유경촉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석도는 무공양인석 도가 소멸하며 유공편인석도가 다수를 차지한다. 편평양인석부는 전단계보다 개체수는 감소하지만 형태 적으로 종단면상 신부와 인부가 이루는 각이 뚜렷해진다. 다음으로 미사리유형 유적이 하안 충적대지에서 소규모로 확인되는바 각 지역의 수계를 기준으로 지역 성을 살펴보았다. 한강본류는 편평밑과 만입도가 크지 않은 둥근밑이 다수를 차지하며, 양인석도만이 확 인된다. 북한강과 남한강은 무공양인석도가 한강본류보다 다소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데, 이는 무공양인석 도가 영서지역의 지역적 특색이 강한 유물임을 보여준다. 금강유역은 이단경촉의 비율이 다른 지역에 비 해 높은 편인데, 이는 미사리유형이 일찍부터 가락동유형과 병존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 낙동강유역은 부리형석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부리형석기는 남한강유역에서도 소수 확인되고 있어 이 지역을 통한 전파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미사리유형의 석기는 무경촉과 양인석도가 주를 이루며 이후 편평양인석부가 추가되어 시 ․ 공간적 변화를 통해 전파와 확산과정을 거치면서 각 지역의 재지문화와 병존․흡수된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re have been keen interests in regeneration of old industrial parks. Applying for policies and business, various indices on deterioration of inner industrial parks have been researched. However, to make regeneration projects work in actual, the condition of economic feasibility has to be met. This study focused on the economic condition of regeneration by enlarging existing indices to those of surrounding area and location as well as business environment. By applying the indices to 83 old industrial parks, which are more than 20 years old, 8 types of involvement i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deduced. Among 8 type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cases were type 4 and 5, which are appropriate for regeneration and restructuring respectively.
이 연구에서는 2013년 경남 농촌현장포럼 마을들을 대상으로 색깔마을 유형과 농촌어메니티자원에 따 라 마을유형을 분류하고 농촌현장포럼 효과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을유형별 현장포 럼 효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색깔마을 1유형과 하위 30% 마을은 기초인프라와 주민역량강화형, 색깔마 을 2유형과 중위 40% 마을은 체험관광과 2차 산업화형, 색깔마을 3유형과 상위 30% 마을은 체험관광 과 6차 산업화형으로 재유형화 하였다. 또한, 설정된 유형에 따라 앞으로 농촌현장포럼과 마을발전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도시열섬효과는 대도시일수록 가중되며 녹지 감소, 불투 수포장면 증가, 인공열 증가 등이 공통적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오규식 등, 2005; 김수봉 등, 2007; 명수정, 2009). 그러나 열섬현상에 의한 피해가 크다고 할지라도 현재 유지되고 있 는 도시구성의 기본요소들을 완전히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 며,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없다. 이에 따라 기존 도시구조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열섬저감의 효과가 확실한 대책들이 강 구되어 왔으며, 이러한 대책들 중 도시녹지가 특히 주목되고 있다.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도시녹지에 관한 연구를 살 펴보면 가로수, 공원녹지 등 조성녹지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진행되었다. 이는 조성녹지가 도로, 고층건물 밀집지역과 같 은 고온역을 형성하는 지역에 존재하므로 도시열섬 현상의 1차적 저지요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김지윤, 2015). 그러 나 우리나라는 국토의 65%를 산림이 차지하며, 도시녹지의 대부분도 도시산림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위 성영상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대표적 혹서지역인 대구광역시 를 대상으로 시계열 변화에 따른 도시산림지역의 식생 유형 변화가 도시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영상자 료의 분석은 Landsat TM 영상을 활용하여 1990년에서 2007년 의 약 17년간 산림의 유형 변화에 따른 온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구시 산림식생 유형변화에 따른 지표면 온도변화현황 분석 결과 1990년 8월 2일과 2007년 8월 17일의 전체 평균 지표면 온도 차이는 약 1.8℃이며, 온도가 낮아진 지역은 최대 5.4℃ 하락하였으며, 온도가 높아진 지역은 최대 5.1℃ 상승하 였다. 1990년 산림의 평균온도는 26.5℃로 그 중에서 침엽수 림은 평균 26.4℃, 활엽수림은 평균 26.5℃로 나타났으며, 2007년 산림의 평균온도는 24.3℃로 침엽수림은 24.4℃, 활엽 수림은 24.3℃로 나타났다. 1990년과 2007년 모두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온도차는 미미하였다. 산림식생유형별 지표면 온도변화에 대한 6개의 산림식생 변화유형별 지표면 온도변화량의 차이를 알기 위해 분산분석 을 시행한 결과 99%의 신뢰구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어 산 림의 식생변화유형간 지표면 온도변화량간의 차이가 있었다. 산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될 경우 온도는 높아지며, 활엽 수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된 경우 약 0.56℃, 침엽수림이 시가화지역으로 변화된 경우 약 0.16℃ 온도가 상승하였다. 산림이 유지되거나 활엽수림이 침엽수림으로 변화되는 경우 는 온도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았는데 평균적으로 약 1.8℃ 온도 차이를 보였으며, 침엽수림이 활엽수림으로 변화된 경 우 약 1.7℃차이를 보였다. 즉 산림이 파괴될 경우 산림이 유 지될 경우보다 평균적으로 1.77℃이상 온도가 증가하며 활엽 수림이 파괴되었을 경우 2.33℃, 침엽수림이 파괴되었을 경우 1.93℃ 온도가 증가하며, 침엽수가 파괴되었을 경우보다 활엽 수가 파괴되었을 때 0.4℃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산림유형별 온 도에 관한 연구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상대적으로 적은 차 이를 보였다. 인공위성 영상에 의한 온도 연구는 광역의 토지 이용에 따른 도시열섬현상을 주기적으로 파악하기에는 용이 하나, 우리나라에서와 같이 산림의 식생이 다양하고 고밀도 로 집적된 곳에서 30m 해상도로 세부적인 현상을 파악하기 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다만 거시적 관점에서 시가화지 역과 산림 등의 토지피복유형에 대한 시계열 분석에는 매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습지는 생산성이 높고 다양한 생물자원의 보고로서 인간 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을 위해 필수적인 공간이 다. 인간의 활동과 기후변화로 인해 지난 세기에 약 50%의 습지가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현 상태가 개선되지 않으면 훼손 면적은 증가할 것이라고 하였다(IPCC, 2001). 습지 훼손은 생물다양성 감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최근 들어 습지조성 및 복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조성 된 습지는 농업용수 처리, 질소 저장, 오염수 처리 등 정화 기능 뿐만 아니라 야생생물 서식처 제공을 통해 훼손된 생 물다양성을 복원할 수 있다는 측면의 중요성으로 인해 그 면적과 개소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Rousseau et al., 2008). 우리나라에서는 4대강의 수질개선을 목적으 로 하천 및 호수 경계로부터 0.5~1km이내 지역을 수변구역 으로 지정하여 2004년부터 매수를 실시해오고 있다. 매수 된 토지에 대해서는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을 정화시키고 자 습지 및 식생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수질정화 및 생물다양성 효과에 대한 검증이 없이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 다. 이에 조성 효과에 대한 실태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 되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산청지역에 조성된 인공습지 를 대상으로 수심, 수면 면적 등에 따라 7개소로 분류하고 잠자리 출현 현황을 5월부터 11월까지 2주 간격으로 조사 하였다. 본 연구는 습지별 잠자리 출현 현황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물리적 환경이 생물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 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인공습지 조성시 생물다양성을 증진 을 위한 인공습지 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는 경남 산청군 단성면에 조성된 인공습지를 대상으 로 실시하였는데, 습지는 수심 등 물리적 형태에 따라 분류 하였다. 조성당시 수심에 따라 깊은 습지, 중간 습지, 얕은 습지 3가지로 구분하였고 대조구로서 산림과 접하여 생태 계 다양성이 높은 습지, 꼬마잠자리가 출현하는 습지, 식생 이 없는 물웅덩이, 수면이 드러나지 않는 묵논으로 구분하 여 조사된 잠자리의 종구성을 파악하였다. 수심에 따라 조 성된 습지의 깊이는 깊은 습지의 경우 수심 0.8~1.5m, 중간 습지의 경우 수심 0.4~1.0m, 얕은 습지는 수심 0.4~0.6m이 었다. 잠자리 조사결과 깊은 습지에서는 36종, 중간 습지와 얕은 습지에서는 각각 28종이 관찰되었고 산림과 접한 습지 복원지의 경우 35종, 꼬마잠자리 출현 습지 25종, 물웅덩이 19종, 묵논 15종이 각각 출현하였다. 월별 출현 종수는 깊은 습지, 중간 습지, 얕은 습지의 경우 7~8월에 각각 11~21종, 12~15종, 9~16종으로 많은 종이 관찰되었다가 이전과 이후 에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종다양도지수와 개체수도 유사 하였다. 다만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 등은 6월말까지 변 동이 없다가 장마 후인 7월 중순과 무더위가 지나간 8월말 경에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가 가을이 시작되는 9월 중순 부터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에 있어 서는 수면 면적이 없거나 좁은 습지에서 종수 및 개체수가 적었다. 이상 잠자리 출현 경향을 종합해보면, 종수 및 개체 수는 장마 후인 7월과 무더위가 지나간 8월말 경에 폭발적 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조사시 이들 시기가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서식하는 생물종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산림, 습지, 초지 등 생태계 또는 서식처 다양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깊 이만을 고려했을 때는 얕은 깊이의 습지보다는 식생으로 덮이지 않은 깊은 물과 얕은 물이 공존하는 습지에서 많은 종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에 있어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얕은 습지는 전체가 나도겨풀, 부들 등의 식생 이 전체를 피복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잠자리의 종수도 줄어드는 추세이었다. 따라서 새로운 습지를 조성할 경우 주변 생태계 다양성을 높이고 수면이 유지될 수 있는 물깊이의 공간을 일정 면적 이상 조성하는 것이 높은 생물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녹지 유형에 따른 노린재목 곤충의 분포특성과 군집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홍릉, 광릉, 용두, 자운, 대화의 5개 조사장소에서 숲, 임연부, 관목림, 초지의 4가지 녹지 유형에 속하는 33개 녹지를 조사지로 선정하여 노린재목 곤충을 조사하였다. 노린재목 곤충의 조사는 쓸어잡기법으로 하였으며, 2012년 4월부터 10월까지 월별로 6회 조사하였다. 각 조사지의 식물조사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14과 95종 3094개체의 노린재가 채집되었다. 조사장소 별로는 광릉이 5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홍릉이 50종이었으며, 나머지는 조사장소에서는 30여종(31~37종)의 노린재가 채집되었다. 그러나 조사지별로 채집된 종수를 토대로 비교했을 때 조사장소간 종수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녹지유형별로 종수를 비교했을 때 관목림이 15.57±9.43(SD)이 가장 많았고, 초지(12.2±5.87), 임연부(11.6±7.64) 순이었고, 숲은 6.09±4.39로 가장 낮았고 관목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민침꽃노린재 등 7종은 habitat generalist로서 대부분 개체수가 많지 않음에도 각 녹지유형에 골고루 분포한 데 비해 개체수가 아주 많은 종들은 대부분 특정 녹지 유형에 편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꼬마긴노린재 등 13종은 open habitat specialist로 판단되며, 특히 빨간촉각장님노린재와 홍비단노린재는 grassland specialist로 판단되었다. 숲을 선호하는 forest specialist는 각시장님노린재, 미니날개쐐기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등 3종에 불과하였다.
고속도로를 주행하다보면 빈번하게 터널 및 교량을 통과하게 되는데 특히 운전자는 교량통과 시 교량 접속부에서 승차감이 나빠지는 경험을 자주하곤 한다. 이는 교량 뒷채움부의 다짐불량 등으로 인해 접속 슬래브의 침하에 기인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공용중인 고속도로에서 접속슬래브 부근의 실제 도로 프로파일을 그림 1(좌측)과 같이 Walking Profil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림 1(우측)는 실제 프로파 일을 보여주고 있다. 측정결과 그림 2와 같이 접속슬래브 부근에서는 크게 8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 으며 대부분의 처짐 형태는 d와 e의 형태처럼 접속이나 완충슬래브에서 본선 슬래브까지 처지는 경우가 약 8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접속슬래브와 완충슬래브만 국부적으로 처진 형태는 약 8.5% 정도 분포하 였다. 또한 접속슬래브 부근에서 처짐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g와 h의 형태처럼 융기가 발생되는 구간도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0년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발간 이후 국내 회전교차로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2013년까지 전국 364개의 회전교차로가 설치되었으며, 향후 2022년까지 1,592개소를 설치할 예 정이라고 밝혔다(안전행정부, 2014). 그러나 회전교차로의 경우 특징이 설치조건 및 운영특성이 명확하기 때문에 도입 가능한 교차로가 한정되어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2015년부터는 1일 15,000대 미만인 구간을 대상으로 회전교차로의 확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밝힌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국내와는 달리 회전교차로가 일찍이 도입되어 왔던 미국, 유럽 등 세계 여러나라의 경우 기존에 도입되고 있던 표준적인 회전교차로에서 많은 진전이 이루어져 왔다. 2차로 회전교차로의 단점을 극복한 Turbo형 회전교차로, Flower형 회전교차로, Target형 회전교차로가 개발되었다. 또한 높은 진입교통량 으로 인한 지체증가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신호형 회전교차로가 운영되고 있다. 이 외에도 자전거 이용자 들과 진입차량의 합리적인 이용을 위한 C-Roundabout, 교통량 방향비에 따라 설치되는 햄버거형, 좌회 전 Slip-lane형 등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가 존재한다.
이처럼 많은 유형의 회전교차로가 개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는 표준적인 회전교차로 의 도입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국내 회전교차로 도입이 최근에 이루어졌으며, 아직 정착단계에 이르 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착단계 이후에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향후 국내 정서에 적합한 회전교차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다양한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를 소개하며, 이 중 기존 회전교차로와 기 하구조 및 운영방식이 상이한 Target형 및 Turbine형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내용체계 상의 ‘문화’ 영역의 위상이 변화함에 따라, ‘문화’와 관련한 평가의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화’ 영역에 대한 평가 방법에 따른 문항의 유형과, ‘문화’ 영역의 내용요소와 관련한 문항 사례를 소개하였다.
첫째, 문화 영역에 대한 다양한 지필평가 및 수행평가 문항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지필평가는 크게 선택형과 서답형으로 분류하고, 세부적으로 진위형, 선다형, 결합형, 단답형, 완성형, 논술형 문항 사례를, 수행평가는 서술/논술형, 토론법, 연구보고서법, 포트폴리오법 문항 사례를 제시하였다.
둘째, 문화 영역의 내용요소에 맞추어 학교 현장에서 실제 교사가 제작한 문항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문화 영역의 경우 교육과정에서 내용이 개념적으로 기술되어 있어 이를 구체화하여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평가 문항의 개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문화 영역 학습의 중요성을 고려해볼 때 이와 관련한 후속 문항 개발 연구를 기대해본다.
본고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독해’영역의 내용을 토대로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평가요소에 따른 평가 문항을 검토하여 새로운 ‘독해’영역의 평가문항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새로운 평가문항 개발 방향의 모색을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 2009 개정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체계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요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평가요소에 따라 국가수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평가 문항과 학교수준의 평가문항을 검토하였다. 문항의 검토를 통해 장단점을 확인하고 새로운 평가유형 개발에 반영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평가의 유형이 지필평가 문항에 제한되어 교육과정상에 제시된 다양한 평가요소들이 문항으로 실현되지 못하는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평가문항의 유형과 평가의 내용이 다양하지 못했으며, 다양한 글감을 통해 ‘독해’영역을 평가하지 못하는 문제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내외적인 문제의 해결점은 교육과정 내용 및 평가 요소에 대한 정치한 분석을 통한 이론의 정립과 다양한 한문교육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평가문항의 개발과 같은 실천적인 접근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문과 교육과정 ‘어휘’ 관련 내용과 적용의 실제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2010학년도 본수능부터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까지의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그간 한문과에서 실시된 ‘어휘’ 관련 평가 문항의 내용 요소와 내용 요소별 평가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된 어휘 관련 평가 문항들은 한자 어휘와 관련된 다양한 평가 요소를 고루 반영하고 있으며, 그 유형도 변화를 거듭하여 다양한 유형으로 안착된 상태였다. 하지만 급변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한문과가 위상을 공고히 하면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 상태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끝임 없이 새로운 평가 요소를 개발하고 해당 요소에 적합한 유형의 문항을 출제할 필요가 있다.
With an effort to verify the involvement load hypothes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vocabulary learning tasks - reading, filling in blanks, and sentence writing - on learners' short and long term memory when they are provided with the theoretically identical level of involvement tasks. It is also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of learning effects between input and output vocabulary learning task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86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grouped by three different task types. Pre-/post-tests and delayed tests were administered and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ree vocabulary tasks with theoretically identical levels of involvement do not have the same learning effects: the involvement load hypothesis was not completely proved in the case of Korean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The findings implied that (i) the difference of vocabulary learning tasks should be considered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involvement load; (ii) given that EFL students learn new words in a limited amount of time in class, the reading task using a dictionary is found to be very helpful; and (iii) it is important to study target vocabulary repeatedly during class and to expose the vocabulary with different tasks to enhance students' retention of the newly learned vocabulary.
A travel destination offers a form of novelty to the traveler since it can provide experiences that are not of the everyday variety. Therefore, a search for novelty is important as a motivation factor when planning leisure trips and vacation activities and to identify travel market segmen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vel style, and preferred food-related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ourists’ novelty seeking. This study investigated potential tourists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hich resulted in 300 usable questionnaires.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novelty seeking: Active novelty-seeking group and Passive novelty-seeking group. Thes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vel style, and preference of food-related-activity experie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Active noveltyseeking group tended to have a higher proportion of females and specialized jobs, a higher level of monthly income and education, more frequent travel, and preference for food-related activity experience than other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tourist industry, which needs to develop culinary and food-related experience tour programs and travel market seg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