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cision-making model for safety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deer roadkills.
METHODS : Through field investigation, 113 water deer roadkills with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 geometry, and ecology were collected from May 2018 to April 2019. From the collected databas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deer roadkills were analyzed.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applied to establish a decision-making model to prevent water deer roadkills from appearing.
RESULTS : The likelihood of water deer roadkills increases in summer and winter, road sections in suburban areas with low traffic volume, surrounding farmlands, and areas without illumination. The results show that factors such as safety, ecology, road geometry, policy consistency, and the willingness of the local government are critical factors for establishing the decision-making model.
CONCLUSIONS : Appropriate safety countermeasures for water deer roadkills can be developed if the roadkill frequency, degree of sight distance restriction, speed limit for controlling overspeeding, roadkill severity, degree of forest area, traffic volume, and willingness of competent authorities are considered as essential variabl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odor-causing substances in Yeosu national industrial complex, which is designated as an “Odor management Area,” in 2019 and the surrounding area. The sampling sites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five sites within the industrial complex (Management area), one site within the borders of the complex (Boundary area), and two sites within residential areas (Affected area) affected by odors. The odor compounds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September at dawn, daytime, and night. The analytical items were meteorological data, complex odor, legally-designated 22 odor compounds and other VOCs. Complex odor was exceeded on the limit three occasions at two sites in the management area. Ammonia, two types of sulfides, three types of aldehydes, and five VOCs were detected to be within the emission standards. Ammonia wa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compounds. Aldehydes and sulfur compounds made a relatively high contribution to the level of odors. Therefore, aldehydes and sulfur compounds should be reduced first in order to prevent odors from occurring.
본 연구는 산악형 설악산 국립공원지역에서 발생한 토석류 발생지 263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다양한 산림환경 인자별로 조사하고 토석류발생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석류 평균(침식량, 길이, 폭, 면적)은 각각 1,935㎥, 103.7m, 14.4m, 1,728㎡로 나타났다. 산림환경 인자가 토석류 발생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사도(31∼40°), 사면방위(남사면), 종단사면(오목凹), 횡단사면(오목凹), 표고(801∼1,200m), 사면위치(산록), 하천차수 (1차), 임상(혼효림), 모암(화강암), 토심(15cm 이하)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석류가 발생한 피해지에서의 침식량과 산림환경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종단사면(오목凹, 복합凹凸), 표고(1,201m 이상), 토심(46cm 이상)에서 1% 수준 내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K-means 군집 분석을 통하여 최근 5년간(2014-2018) 한반도 남동 지역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종관 기상 패턴을 분류하였다. 또한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일의 발생과 관련된 지역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NCEP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FNL (Final Operational Global Analysis) 재해석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의 미세먼지 발생 특성과 관련된 종관 규모 기상의 특성에 대한 비교 연구도 수행하였다. 한반도 남동 지역의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일과 관련된 종관 기상 패턴은 총 5개(C1-C5)로 분류된다. 각 군집의 발생빈도는 24.8% (C1), 21.3% (C2), 20.4% (C3), 17.3% (C4), 16.2% (C5)이다. 기상 패턴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남동 지역의 고농도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요인에는 지역 외부에서 장·단거리 수송(C1, C3, C5)에 의한 영향과 지역내 배출(C2, C4)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일에 대해 부산, 울산, 경남 세 지역의 기상장을 분석하였을 때, 500 hPa 지위 고도 및 풍속 등의 기상학적 특성이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고기압 의 작은 위치 변화가 각 지역의 미세먼지 발원과 장거리 이동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A heavy (93 mm hr−1) rainfall event accompanied by lightning occurred over Gangneung in the Yeongdong region of South Korea on August 6, 201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derlying mechanism for the heavy rainfall event by using COMS satellite cloud products, surface- and upper-level weather charts, ECMWF reanalysis data, and radiosonde data. The COMS satellite cloud products showed rainfall exceeding 10 mm hr−1, with the lowest cloud-top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65oC and high cloud optical thickness of approximately 20-25. The radiosonde data showed the existence of strong vertical wind shea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loud layers. Furthermore, a strong inversion in the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was observed at a pressure altitude of 700 hPa. In addition, there was a highly developed cloud layer at a height of 13 km, corresponding with the vertical analysis of the ECMWF data. This demonstrated the increased atmospheric instability induced by the vertical differences in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in the Yeongdong region. Consequently, cold, dry air was trapped within relatively warm, humid air in the upper atmosphere over the East Sea and adjacent Yeongdong region. This caused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s that led to rapidly developing convective clouds and heavy rainfall over Gangneu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dorous components that have been generated from the downtown sewer system based on twenty-three survey items for complex odor and designated offensive odo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ontribution rates for the causative materials of the odor indicated 73.5% of hydrogen sulfide, 26.0% of methyl mercaptan, 0.4% of dimethyl sulfide, and 0.1% of dimethyl disulfide. The occurrence for the odorous materials according to sampling site revealed data of which contribution rates showed 56.9% of hydrogen sulfide and 36.8% of methyl mercaptan from the combined sewer system in the business district; whereas the combined sewer system in the residential area showed 16.4% of dimethyl sulfide and 4.3% of dimethyl disulfide. The seasonal occurrence rate of the odor materials was observed higher in summer and lower in winter And, the combined sewer system in the business district record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4.61 ppm of hydrogen sulfide among the sampling site. An hourly occurrence rate for the odor materials consistently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between 11:00 and 14:00 at each location and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fterward.
충남 금산지역 잎들깨 시설하우스에서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는 5월 하순 최초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순에 1차 최대 발생양상을 보인 후 7월 상순부터 급격히 밀도가 증가하여 7월 중순 가장 밀도가 높은 2차 최대 발생양상을 보였다. 방제방법에 따라 발생양상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밀도에는 차이를 보여 화학약제를 사용하는 하우스에서 가장 높았고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는 하우스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크기가 작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차먼지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화학약제를 사용할 경우, 농약 잔류 문제로 지속적인 사용을 못하므로 밀도가 높아지고,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농약잔류에 대한 걱정 없이 유기농업자재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방제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잎들깨 주간내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차먼지응애는 접종 25일 후 최대 발생밀도를 보였고, 중엽, 성엽, 신초의 순으로 알과 약성 충의 총밀도가 조사되었다. 그러나 엽장과 차먼지응애 밀도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 상관성이 없어 차먼지응애 발생예찰시 어떤 샘플을 채취해도 정확한 예찰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구조와 사육환경이 동일한 3개의 돈방(room A~C)에서 48일 동안 비육돈의 암모니아 농도 및 환기량을 모니터링하여 배출계수를 산정하였다. 실험 결과, 온도 22.5℃, 습도 53.9% 환경에서 평균 암모니아 순발생 농도 5.93 ppm, 환기량 23.7 m3/h·pig로 나타났다. 일별 상관관계 분석결과, 암모니아 농도는 온도와 음의 상관관계(R2: -0.65 ~ -0.53)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기량은 암모니아 농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 농도는 이른 오전을 기점으로 서서히 증가 경향을 보이다가 12~13시경 최댓값에 도달하였고, 상호 상관도가 높은 온도, 습도, 환기량의 경우 14~15시에 최댓값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간별 데이터 상관관계 분석결과, 암모니아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암모니아 농도(R2=0.71)와 환기량(R2=0.61)으로 이 중, 암모니아 농도가 더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암모니아 배출계수는 2.28 g/d·pig로 분석되었다.
젠트리피케이션이란 용어가 처음 사용된 이후 도시지리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이 현상의 개념과 접근법 등이 변화하였으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사회적·학문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인다. 해외의 젠트리피케이션 연구는 주로 Global North라 일컫는 선진국의 쇠퇴한 도시내부의 재생에 초점을 두었다. 즉, 해외 연구의 사례를 우리나라에 일방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 특징과 설명 요인을 계량적으로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 변화 과정과 선행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 특징을 공간분포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셋째, 조작적으로 정의된 종속변수인 젠트리피케이션 지수에 대해 인구, 교통, 경제 측면의 독립변수를 다중회귀시켰다. 분석 결과, 서울시 젠트리피 케이션은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맥락에서 주로 발생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MO의 향후 예상 규제 물질 중 하나인 수트를 선박용 엔진을 대상으로는 최초로 배기 수트와 엔진 수트로 구분 하여 구조적 특성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최근 발표되고 있는 배기 수트 재활용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엔진 수트의 재활용 가 능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2,000℃로 열처리를 시행하였고, 열처리 전·후의 수트를 고분해능 전자현미경과 라만분광법을 통해 분석하 였다. 전자 현미경을 통한 분석 결과, 배기 수트와 엔진 수트는 유사한 형태의 나노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배기 수트는 구형의 1차 입자 가 체인형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엔진 수트는 배기 수트에 비해 무정형한 구조가 확인되었다. 라만분광법 분석 결과, 배기 수트와 엔 진 수트 모두 D peak(1,350 cm-1)와 G peak(1,580 ~ 1,600 cm-1)가 확인되었다. 다만, G/D ratio는 엔진 수트에 비해 배기 수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이는 배기 수트가 더 흑연화 된 구조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열처리 후의 분석 결과, 엔진 수트도 배기 수트와 유사하게 흑연화 가 문제없이 진행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선박용 디젤엔진에서 발생하는 배기 수트와 엔진 수트 모두 흑연재료로 재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grid field olfactory odor method was supplemented to the domestic situation in the surrounding areas of a domestic science industrial complex.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ccurrence of odor frequency in the field was then investigated over the first period of late spring to summer and the second period of autumn in 2017. The frequency of odor occurrence in the area around the science industrial complex was increased as odor discharge facilities in the nearby area were concentrated. The odor occurrence frequency of the total period was 0.09~0.28, that of the first period was 0.08~0.32, and that of the second period was 0.05~0.25. The odor occurrence frequency in summer was higher than in autumn. The frequency by which the measurement of odor occurrence by smell type was most dominant was mainly smell of chemicals, plastics, and livestock houses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smell of chemicals, burning gases, and plastics during the second period. And the frequency of each smell type was judg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season. The odor occurrence frequency was measured as higher than 0.15, which is the standard of Germany's odor frequency in an industrial area, and it was judged that measures for odor management in the region were necessary. Since most of the odor discharge facilities are non-continuous systems and the odor generation frequency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minimum detection concentration, it was judged that the German grid method can reflect the odor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the odor complaints or recepto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ompared to the domestic measurement method. In the future, it was judged that the field olfactory odor method would be able to replace the evaluation method of odor assessment in Korea with the survey method of odor assessment under actual conditions in areas where it is difficult to access the odor discharge source or the receptor where odor complaints occur.
암은 오랫동안 한국인의 주된 사망원인이었으며, 주로 환경적 요인이 암 발생에 영향을 주고 있다. 암으로 인한 높은 사망률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지리적 및 환경적 요인이 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국내 사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관점에서 갑상선암, 대장암, 위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유방암을 포함한 주요 암의 발생률이 지리・환경적 요인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군구 수준에서 계산된 암 발생률을 종속변수로 활용하였고, 암 발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13가지 독립변수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의 공간적 의존성 및 군집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역적, 국지적 Moran ’ s I 통계량을 이용하였고, 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OLS 및 공간회귀모형들을 활용하였다. 전역적 Moran 통계량과 LISA Cluster map을 통하여 암 발생의 공간적 패턴에서 공간적 자기상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OLS 회귀 분석을 통하여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였다. 이때 대부분의 암에서 연령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이를 통제하였다. OLS 모형의 잔차에서 공간적 의존성이 명확하게 나타남을 확인한 후, 공간적 의존성을 모형화하기 위하여 공간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유형 별 암에 대한 발생률을 설명하는데 있어 공간회귀분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할 경우 암별로 영향을 주는 요인이 OLS 분석 결과와 상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공간통계분석을 통하여 암 발생에 영향을 주는 지리 환경적 요인을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암을 예방하기 위하여 지역의 환경을 요인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지역에서 발생한 토석류 특성과 산림환경인자가 토석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토석류 발생 수는 총 79개소였으며, 토석류 평균 발생면적은 3,383.2㎡, 평균 발생토사량은 5,879.7㎥, 평균 길이는 253.1m, 평균 폭 13.1m로 나타났다. 토석류가 비교적 많이 발생한 산림환경 인자는 사면 경사도(21~30° 이상), 북서사면, 해발(401m~500m 이하), 종단사면(오목), 횡단사면(오목), 침엽수, 화성암, 하천차수는(0차), 사면위치(산정), 임종(인공림), 수고(11~15m 이상), 흉고직경은 중경목(17cm 이상)에서 토석류 발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석류 발생길이와 산림환경 인자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고(501m 이상), 모암(화성암)에서 1% 수준 내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모암(퇴적암)에서 1% 수준 내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We analyz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of petroleum-based laundry solvents in closed systems by static headspace analysis and investigat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compounds emitted from organic solvents in the small-scale dry cleaning process. The compounds containing eight to eleven carbon atoms were analyzed to account for 96.92% of the total peak area in a GC-MS chromatogram. It was found that the compounds with ten carbon atoms showed the largest proportion. In the small-scale dry cleaning process (3 kg of laundry and 40 min of drying time), a total of 36 VOCs was quantified, and the odor contribution of these compounds was evaluated. The sum of the odor quotient (SOQ) was analyzed up to 151±163 in the first 12 min of operation. The main odor-causing compounds were acrolein, ethylbenzene, hexane, acetone, and decane, and their odor contributions were 32.28%, 13.47%, 10.52%, 10.20%, and 8.08%, respectively.
최근 대추에 장님노린재에 의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대추재배 농가들이 적절한 방제를 할 수 있도록 시기별 발생 밀도, 우점종 조사, 방제 가능 약제 선발 등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발생 밀도를 2년에 걸쳐 조사한 결과,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 하여 7월 중순까지 발생 하였으며, 성충은 5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하였다. 또한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의 밀도의 경우 45개체 중 40개체가(약 89%)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조사되어 대추나무를 가해하는 장님노린재 중 우점종은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에 활용할 수 있는 살충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9 종 살충제들을 대상으로 한 야외시험에서 pyrifluquinazon, deltamethrin, diazinon, dinotefuran, etofenprox, fenitrothion, bifenthrin 7종 이 80% 이상 살충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조사된 살충제를 이용하여 대추나무 발아 직전부터 방제를 하면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