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

        41.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친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친사회성 부문에서 서울 T 초등학교의 경우에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A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B집단의 각 하위요인 중 ‘나누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왔다. 실험집단의 친사회성 사전-사후점수를 t검증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A의 경우 하위요인 중에서 ‘돕기’(t=-.656, p<.05)와 ‘나누기’(t=.081,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왔다. 그러나 그 외 요인과 친사회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아동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은 ‘봉사학습’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친사회성 증진에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사전준비, 실행과정 중 피드백,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화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이 되도록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
        5,400원
        4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척지에서 밀과 헤어리베치 혼파에 따른 녹비 생산성 향상 구명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새만금간척지에서 동계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와 밀 혼파 재배시 관행구(헤어리베치 30 kg ha-1)와 혼파구는 관행구 대비 헤어리베치 40%감축(헤어리베치 20+ 밀 50 kg ha-1), 40%증량(헤어리베치 40+ 밀 50 kg ha-1), 100%증량(헤어리베치 60+ 밀 50 kg ha-1) 하여 각각 파종하고 토양화학성, 생육 및 생산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토양은 유기물, 유효인산 함량이 적었으며 치환성마그네슘 및 나트륨 함량이 많은 약산성 염류토양 이었다. 생육은 혼파 재배에서 양호하였고, 초장은 관행 (101cm) 대비 30∼44% 길었으며 경직경은 관행 (2.75mm) 대비 19∼26% 두꺼웠다. 식물체 중 무기양분 함량은 혼파 재배시 질소, 인산, 가리 함량이 증가하고 탄소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질소생산성은 단파구 (90kg ha-1)에 비하여 혼파구에서 94∼107 kg ha-1 로 많은 반면에 탄질률은 단파구 (14.6)에 비하여 혼파구에서 12.8∼14.2로 낮았다. 생초수량은 헤어리베치 단파구 (18,790 kg ha-1)에 비하여 헤어리베치와 밀 혼파구에서 18,740∼22,080 kg ha-1로, 건물수량은 헤어리베치 단파구 (3,120 kg ha-1)에 비하여 헤어리베치와 밀 혼파구에서 3,110∼3,650 kg ha-1로 나타났다. 따라서 새만금 간척지에서 두과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와 밀의 혼파로 높은 질소 생산성 및 낮은 탄질률로 녹비효과 증진과 혼파재배로 농업생태계 다양화 및 유휴 농경지 녹색경관 조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4,000원
        43.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aste properties of enzyme hydrolysates of rice protein residue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ir taste enhancingeffects were evaluated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otal taste pattern after their addition to a yeast extract. Whileenzyme hydrolysates of rice protein residue showed different tast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enzyme that was usedfor hydrolysis, the Flavourzyme treated sample expressed the strongest umami and bitter taste among the enzymetreated samples. On the other hand, the Protamax treated sample showed considerable umami with a slight bittertaste so that it is expected to be suitable as a taste enhancing ingredient. Furthermore, by LC-MS/MS analysis, theeffective fraction isolated from the Protamax treated sample was found to contain peptide fractions such as Ile-Gly-Tyr-Pro-Thr-Tyr-Pro-Leu-Pro-Arg (Mw: 1175);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eptide fractions contained in Prot-amax hydrolysates of rice protein residue could be applied for preparing a natural taste enhancing ingredient.
        4,000원
        44.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안경지원제도의 필요성과 그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안 보건 지원정책 수립에 대한 주요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 6세에서 18세인 1,495명에 대하여 부모의 경제적 요인과 안(눈)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서울 및 경기 소재 지역 아동센터의 청소년(13.43±2.324세)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안경지원 후 시생활의 변화와 안경지원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근시 유병률은 저소득층에서 60.27%로 고소득층 55.30%보다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원시 유병률은 저소득층 5.48%, 고소득층 5.06%였고, 난시 유병률은 저소득층이 46.57%, 고소득층 37.88%로 저소득층이 약 9% 정도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은 1년 이내에 시력검안을 정기적으로 받은 적이 있다고 답한 사람이 전체에 61.5%인 반면 저소득층에서는 53.23%가 정기적으로 시력검안을 받는다고 하였다. 전체 대상자(11.56±3.550세)의 굴절이상도(-1.86±2.232D)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대상(13.43± 2.324세)과 비교하였을 때 지역아동센터 이용 그룹의 굴절이상도(-2.95±2.423)가 더 높았다. 결 론: 사회취약계층에 해당하는 저소득층의 자녀의 유병률이 고소득층 그룹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에게서 정기적인 시력검진의 기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취약계층 자녀의 안건강 실태를 파악하여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고 안경지원 정책을 정립화해야 할 것이다.
        4,200원
        4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an anti-tumor activity on crude extracts of Oplopanax elatus. Water extractions of Oplopanax elatus were performed at 100℃(OeE-100). OeE-100 doses up to 62.5 ㎍/㎖ had no cytotoxicity on the tumor cell lines in vitro. In experimental lung metastasis of colon26-M3.1 carcinoma or B16-BL6 melanoma, the prophylactic intravenous (4~100 ㎍/mouse) or oral (2 ㎎/mouse) administration of OeE-100 significantly inhibited tumor metastasis as compared with tumor controls.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OeE-100 produced various cytokines such as TNF-α, IL-6 and IL-12. In an analysis of NK-cell activities, i.v. administration of OeE-100 (10~100 ㎍/mouse) significantly augmented the cytotoxicity to YAC-1 tumor cells. Vaccination of mice with boiling-treated tumor cells (BT-vaccine) in combination with OeE-100 (100 ㎍/mouse) showed higher inhibitions in tumor metastasis when compared with the mice of BT-vaccine treatment. In addition, the splenocytes from OeE-100 admixed BT-vaccine immunized mice secreted a higher concentration of Th1 type cytokine such as IFN-γ.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eE-100 stimulated immune system and was a good candidate adjuvant of anti-tumor immune responses.
        4,000원
        4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산 복숭아의 저장성 증진을 위하여 저선량(0~3.0 kJ/㎡)의 UV-C를 조사하고, 저장기간 동안 부패율, 이화학적 변화 및 기호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부패율의 경우, 대조군은 4일 이후부터는 부패된 복숭아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저장 8일에는 50.00%의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저선량의 UV-C 처리군은 대조군보다 낮은 부패율을 보였으며, 특히 1.0 및 2.0 kJ/㎡의 UV-C 처리군이 가장 낮은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무게 변화의 경우, 대체적으로 대조군 및 UV-C 처리군 모두 저장기간 동안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H 변화에서는 UV-C 처리에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중 pH가 증가하였으나 모든 실험군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 UV-C 처리 직후에는 모든 실험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 중 대조군의 변화가 가장 많았으며, UV-C 처리군의 경도 변화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변화(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에서는 UV-C 처리 및 저장 중 모든 실험군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맛, 향, 색에 대한 기호도의 변화에서는 UV-C 처리에 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 중 기호도는 감소하였으나 모든 실험군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감 및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UV-C 처리에 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장 중 대조군의 기호도값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고, UV-C 처리군의 변화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대조군보다는 저선량의 UV-C 처리군이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7.
        2013.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 rhamnosus GG 유산균은 1983년 건강한 성인의 장관에서 분리된 이래 인체의 수많은 건강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전세계의 연구자들이 이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인체에 대한 다양한 임상시험과 흥미로운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지난 20여 년간 프로바 이오틱 시장이 급격히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L. rhamnosus GG는 아직도 세계에서 가장 연구가 많이 진행된 유산균이다. 비록 in vitro와 실험적 연구들을 인체와 직접적으로 관련시킬 수는 없지만, 위의 연구들을 통해 L. rhamnosus GG가 장관에서 병원성 미생물을 억제하고, 이들이 혈관이나 세포조직으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며, 시스템적인 또는 국소적인 면역반응을 증강시키고, 감염 억제와 감염으로부터의 회복을 빠르게 하는 등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4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 The entomo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sp., was isolated from an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monticolum. When these bacteria were injected into the hemocoel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they caused significant mortality. However, the bacterium was not pathogenic when it was administered orally. This study showed that Xenorhabdus sp. significantly enhanced oral pathogenicity of Bacillus thuringiensis (Bt) against the last instar larvae of P. xylostella. Different ratios of culture broth of Xenorhabdus sp. and B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athogenicities against P. xylostella. In field tests, the optimal bacterial mixture significantly enhanced control efficacy against P.xylostella compared to Bt treatment alon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Xenorhabdus sp. culture broth can be developed as a potent biopesticide by enhancing the insecticidal efficacy of Bt.
        4,000원
        4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해 NLP코칭 동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하여 표준보육과정의 사회관계영역의 내용을 기본 방향으로 정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유아들이 이전에 접하지 않은 영리더십센타에서 감수한 동화를 선정하여 NLP코칭스킬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본 프로그램은 17차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매차시마다 동화를 적용하고 신체, 음악, 미술, 문학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Y구 D어린이집 만 4세반 1개 학급 2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여 총 22명의 유아들 중 11명은 NLP코칭 동화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실험집단으로,나머지 유아 11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빈도, 백분율, 표준편차 SPSS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고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600원
        5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병변 환자에게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개별 작업치료만 받는 환자와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받는 환자들의 상지기능, 인지∙지각기능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규명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08년 5월부터 10월까지 전통적 치료방법인 개별작업치료만 받는 뇌병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주 5회 60분씩 총 40회의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치료적 활동프로그램이 포함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8주동안 주4회 개별치료와 주1회 60분씩 집단치료를 실시하였다. 결과 : 개별작업치료만 받는 환자군에 비하여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받은 환자군이 상지기능, 인지∙지각기능과 일상생활 수행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결론 : 전통적 치료방법인 개별작업치료만 받는 환자군에 비하여 치료적 활동프로그램이 포함된 집단작업치료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받은 환자들의 치료 효과가 더 높았음을 나타내고 있다. 앞으로 보다 많은 대상으로 집단 작업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치료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4,200원
        51.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흑미의 가공부산물인 흑미강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 및 flavonoid가 새로운 추출방법인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되었고, 열수(80oC), 에탄올, 설탕용액을 이용한 기존 추출법과의 추출효율이 비교 분석되었다. 건조된 흑미강 시료로부터 polyphenols(35.06±1.28 mg QE/g dried material) 및 flavonoids(7.08±0.31 mg QE/g dried material)에 대한 최대 수율이 아임계 추출법(190oC, 1300 psi, 10 min)을 통해 획득되었으며, 이것은 기존 추출법 가운데 가장 높은 수율을 보인 에탄올 추출법을 통한 polyphenols(2.98±0.74mg QE/g dried material) 및 flavonoids(0.58±0.21mg QE/g dried material) 수율 대비 11.77배와 12.21배 이상 더 높은 것이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흑미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흑미강 시료 1 g 당 획득된 추출물의 건조중량 차이 비교를 통해서 얻어진 건조 흑미강 1 g 당 함유된 항산화 성분의 상대수율(relative yield, %)은 최적조건(190oC, 1,300 psi, 10 min)의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획득된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것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상대수율에 비해 대략 11.53배 이상 더 높은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아임계 추출법이 흑미강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s 및 flavonoids를 추출하는데 매우 적합한 방법임을 설명하고 있으며, 유기용매 추출법을 포함한 기존의 전통적 추출법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대안임을 제시하고 있다.
        4,000원
        5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랭지 착색단고추 여름재배시 착과 증대 및 품질향상을 위하여 호박벌을 이용한 수정증대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호박벌에 의하여 처리기간 동안 착과수의 증가는 있었으나 재배기간의 총 수량에서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과실의 종자수는 무처리에 비해 호박벌 처리에서 7.3%가 증가되었으나 배꼽썩음과 발생은 높았다. 과중의 분포 비율이 호박벌 처리에 의하여 SS 사이즈는 감소하고 L 사이즈가 증가하여 수출 규격품율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고랭지 여름재배시 착과증진을 위한 호박벌 처리는 착과율을 높이고 과실의 종자수를 증가시켜 수출 규격품율을 높이는 등 고품질 생산에 효과적이었으며 배꼽썩음과 방지에 대한 검토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5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egwondo uniforms need powerful durability in fabrics against friction and shock because of higher exercising power.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more comfortable Taegwondo uniform for functional fabrics (deodorization rate, antibacterial activity and static charge). Chitosan is a deacetylated product of chitin, has widely been used in the biomedical sector, food industry, and textile indust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used the chitosan, which was congenial to the human body. Then, we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itosan treated fabrics and non treated fabrics of Taegwondo uniform(100% polyester, 65% polyester/35% cotton). Chitosan was dissolved in 1% acetic acid. Also, the fabrics were washed using distilled water. Afterward, its treatment with chitosan was completed by padding the sample to its wet pick-up at 80±5% and by heating 150℃ for 3 minutes. The chitosan treated Taegwondo uniform was improved on deodorization rate than non treated uniform. And the chitosan treated Taegwondo uniform was improved remarkably the antibacterial activity in all samples. In the further researches, the static charge was reduced in chitosan treatment uniform.
        4,000원
        55.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두과작물은 대부분의 노린재류가 선호하는 작물이지만, 그 선호성은 두과작물의 종류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현저하다.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선호성은 VTS(Video tracking system)를 이용하여 두류종실별 방문횟수와 체류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콩 포장에서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유인력은 통발트랩에 두류종실을 넣어 노린재류의 유인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통발트랩을 이용하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과 두류 종실 조합에 의한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를 검토하였다.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방문횟수는 청자콩>일품검정콩>진품콩>선녹콩의 순서로 많았으며, 체류시간(초)은 청자콩>일품검정콩>선녹콩>진품콩의 순서로 길었다. 콩 포장에서 두류종실에 의한 노린재의 유인수는 청자콩>일품검정콩>태광콩>땅콩>강낭콩>팥의 순서로 많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EZ:EE:MI = 1:5:1, 75㎎/PE형 방출기)과 콩 종실 조합에 따른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는 집합페로몬+청자콩 조합에서 약 86%, 집합페로몬+일품검정콩 조합에서 약 59%, 집합페로몬+태광콩 조합에서 약 31% 증가하였다. 따라서 두류종실의 종류에 따른 노린재의 선호성과 유인효과가 인정되었으며, 농작물 재배포장에서 노린재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려면 페로몬과 청자콩 종실을 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56.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sequence of resistance strengthening exercise on the hip flexor and extensor performed to improve functional mobility in stroke patients more than six months post stroke. Seventeen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Both groups receiv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for six week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eccentric resistance strengthening exercise in the hip flexor and extensor using an isokinetic dynamometer. The hip flexor and extensor strength, stair up and down mobility, timed get up and go (TUG), 10 m gait velocity, and functional reach were repeatedly measured at baseline, three weeks, and six weeks after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ore remarkably in the hip flexor and extensor strength, stair up and down mobility, and the 10 m gait velocity after three weeks and six weeks of treatment (p<.05), 2. The contro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hip flexor and extensor strength, and 10 m gait velocity after three weeks of treatment (p<.05), 3. At each three and six week point, the experimental group made greater gains in hip flexor and extensor strength, stair up and down mobility, and 10 m gait velocity than the control group (p<.05). In conclusion, it is desirable to perform resistance strengthening exercises combined with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to improve functional mo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4,000원
        57.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creasing ankle range motion program on ambulation and balance for the elderly with balance disorder. Eighteen elderly subjects were administered with a timed test twice; approximately 4 weeks apart. The exercise group participated in a fall prevention exercise class at the Y.S. Senior Welfare Center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session consisted of a stationary cycle, static stretching ankle joints, balance boards, and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s using the Thera-b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increasing ankle range of mo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exercise group. Gait-speed was improved (p<.005). Secondly, balan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0). Thirdly, increasing ankle range of mo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ankle dorsiflexion which was the major risk factor for falls among the elderly. Differences in gait and balance between the groups were examined using a paired t-test (p<.05). The exercise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of gait-speed, ankle range of motion, and balance when compared with the non-exercis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creasing ankle range of motion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balance disorder.
        4,000원
        58.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for stroke patients and to test the difference in functional improvements between patients undergoing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those participating in a task-related circuits exercise program. The subjects were 10 stroke in-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We measured the following variables: Motor Assessment Scale (MAS), Berg Balance Scale (BBS), Tone Assessment Scale (TAS), speed of gait, rate of step, physiological costs index, age, weight, height, site of lesion, onset day and whether the subject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10.0/PC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Wilcoxon rank sum test and Spearma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In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function, there w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 partaking in a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and the group of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p>.05). (2) In the MAS, BBS and speed of gait test, the group undergoing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3) In the MAS, BBS, speed of gait, PCI, TAS (passive, associated reaction, TAS total score), the group of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As a result, the group participating in a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had a more functional improvement than the group participating in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Therefore, an intervention recommended for a stroke patient would be a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consisting of a longer session of each task for a more improved functional recovery.
        4,300원
        59.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SINPV)의 살충력 증가를 위하여 유기산 및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다각체병바이러스(NPV) 1 PIBs/에 ascorbic acid, succinic acid, sulfanilic acid 2,000ppm을 바이러스 1 PIBs/에 첨가하였을 때 각각 7.0일, 7.일, 10.7일로 바이러스 단독으로 처리한 6.0일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나 boric acid 2,000ppm을 첨가한 경우 L 은 4.5일로서 단독처리보다 1.5일 짧았다. 유충 체중변화에서도 boric acid는 2,000ppm에서 7일째 이후 생존하는 개체가 없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0ppm과 500ppm에서도 체중이 증가하지 않아 바이러스 활성 증진을 지속시키는 물질로 판단되었다. 기능성 물질과 혼합 처리에서는 바이러스 1 PIBs/ 단독 처리는 L 이 7.4일이 걸리는 반면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와 전해산화수, 키토산, 목초액 혼합처리는 모두 살충기간이 길어져 혼합효과가 없었다.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 농도 1.010, PIBs/와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였을 때도 같은 경향으로 오히려 바이러스 병원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나타났다.
        4,000원
        60.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이종자의 발아율 향상과 발아촉진을 위해 간편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hydropriming의 적정 환경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이종자의 발아촉진에 최적 priming 처리제는 50 mL NaNO3였다. 유근장 및 유근 건물중은 priming 처리제 종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priming 및 hydropriming 종자는 무처리보다는 높았다. 그러나 50 mL NaNO3와 hydropriming 처리간 발아력 증진 효과가 동일하여 오이종자에서는 물을 이용한 hydro-priming 처리가 처리비용을 절가할 수 있어 합리적인 종자처리였다. 오이종자의 hydropriming 적정 처리온도는 20℃, 처리시간은 24시간이였다. Hydropriming시 종자 2g에 대한 용액량 10 mL 공급처리에서 발아율이 향상되었고 발아촉진에 좋아 적정 용액량이라고 판단되었다. 인위노화 종자는 발아율이 감소하였고 T50 및 MDG는 지연되었으며, 비정상적인 발아는 증가하였다. 활력이 저하된 조화종자를 ,hydropriming한 처리는 발아율이 향상되었고, 조기 발아하였다. 또한 비정상인 발아는 감소되었으며, 유근생장이 촉진되어 발아력이 부분적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노화일수가 경과된 종자일수록, 부적당한 발아조건인 15℃에서 현저하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