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

        41.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olden hamsters reproduce in a limited time of a year. Their sexual activities are active in summer but inactive in winter during which day length does not exceed night tim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severe to them. The reproductive activities are determined by the length of light in a day (photoperiod). Melatonin is synthesized and secreted only at night time from the pineal gland. Duration of elevated melatonin is longer in winter than summer, resulting in gonadal regression. The present study aimed at the influences of continuous melatonin treatments impinging on the gonadal function in male golden hamsters. Animals received empty or melatonin-filled capsules for 10 weeks. They were divided into long photoperiod (LP) and short photoperiod (SP). All the animals maintained in LP (either empty or melatonin-filled capsules) showed large testes, implying that melatonin had no effects on testicular functions. Animals housed in SP displayed completely regressed testes. But animals kept in SP and implanted with melatonin capsules exhibited blockage of full regression by SP.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tant release of melatonin prohibits the regressing influence of SP.
        42.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scribes the potential use of deep sea water to stimulate seed germination in both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Treatment of 10% deep sea water at 25℃ would slightly enhance germination of buckwheat seeds compared to non-DSW treatment and other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significant effects of photoperiod and temperature on seedling growth were also found in the HL treatment for the number of leaf, plant height, and plant fresh weight and LL treatment for root length and leaf size. Common buckwheat (Suwon No.1) showed higher rate (93%) of flowering plants in the HS and LL (93% of flowering rates) than those revealed in the HS and LS treatment, while the low percentage(67%) of plant flowering plants was shown in the LS treatment. All plants (100%) of a Korean landrace, Ahndong-jaerae showed flowers in the HS and LS treatment. HL and LL treatment status did not occur in the plant's flowering. Any Tartary buckwheat (KW45) plant did not yet flowered when it was 21 days-old.
        43.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are mouth-brooders so that the females holding eggs in their mouth sacrifice their somatic growth for reproduction. For this reason, artificial control of reproduction for the culture of this species has been of interest. Manipulation of photoperiod is an emerging technique for such purpose, but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to establish appropriate photoperiod regime. To obtain necessary basic information, sexually mature females were individually accommodated to glass aquarium, and the spawning activity of these females were monitored for two years under natural photoperiod regime. Female tilapia spawned most frequently on March, April and May when the day length gradually increased from 11 hours to 14 hours and least frequently on September, October, November and December when the day length gradually decreased from 13 hours to less than 10 hours in the first year. The decrease of spawning frequency as day length decreased was also observed in the second year, although the increase of spawning frequency as day length increased was less clear. Spawning of female tilapia was less active when the night was dark due to the disappearance of moonlight (Dark Phase), compared to the Phase of Getting Lighter, Light Phase and Phase of Getting Darker.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long day length, particularly increasing phase, is favoured for active spawning of Nile tilapia, and that this species, as a tropical fish species, may utilize changing lunar phases as a secondary environmental cue for reproduction.
        4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otoperiod sensitive genetic male sterile (PGMS) rice is sterile mutant controlled by photoperiod. A PGMS mutant 920S was sterile grown under long-day (LD) photoperiod (14 h light/10 h dark) but fertile grown under short-day (SD) photoperiod (10 h light/14 h dark). Proteome analysis revealed that 12 protein spot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the spikelets of 920S plants either treated with LD or SD photoperiod. Among these proteins, three proteins including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 vacuolar ATPase β-subunit,~;α-tubulin and an unknown protein were more than three-fold abundant in the spikelet of the SD-treated plants than those of the LD-treated plants. On the other hand, eight proteins including acetyl transferase, 2, 3- biphosphoglycerate, aminopeptidase N, pyruvate decarboxylase, 60S acidic ribosomal protein and three unknown protein spots were more abundant in the spikelets of the LD-treated plants than those of the SD-treated plan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observed proteins may be involved in sterile or fertile pollen development under LD or SD photoperiod respectively in the PGMS mutant rice.
        46.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facilitate breeding of lines with either the Ppd-D1a or ppd-d1a, we screened 342 F2 progenies from a cross between Laura (photoperiod insensitive, Ppd-D1a) spring wheat and SWP5304 (photoperiod sensitive, ppd-d1a) for their time to heading under 10 hour day length, and with a set of 37 microsatellite primers previously mapped to chromosome 2D. Bulk segregant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ow linked microsatellite loci. The Ppd-D1a locus was flanked by Xgwm484 with 13.7 cM distance and Xgwm455 with 27 cM. These markers may be useful in selection of the desired photoperiod sensitivity in segregating populations grown in Northern latitude.
        47.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otoperiod sensitive genetic male sterile (PGMS) rice 920S was characterized as sterile when it was grown under longday condition but fertile when grown under short day condition. PGMS rice 920S, Fl and F2 plants were examined for their fer-tilities unde
        48.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쓴메밀의 종자의 발아율은 발아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며, 초장은 30℃에서 가장 좋은 생육을 보이고 그 다음으로 25℃ 〉 20℃ 〉 15℃순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초장의 생육이 왕성하였다. 온도처리에 따른 쓴메밀의 초장은 25℃ 〉 20℃ 〉 15℃ 〉 30℃ 순으로 좋았으며, 엽수도 20℃ 및 25℃에서 15℃ 및 30℃보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장처리에서 16시간 처리구를 제외하면 일장이 길어질수록 초장, 엽수 및 건물 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루틴함량과 일장에 대한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쓴메밀은 초장, 엽수, 분지수 및 경직경 등의 지상부 생육이 단메밀의 생육에 비해 왕성하였다. 특히 엽수에서 단메밀이 62.3에 비해 174.1로 약 2.8배 높았으며, 개체당 종실의 수량은 약 5.4배, 종실무게는 2.1배로 큰 폭의 차이 나타냈다. 쓴메밀 종실의 루틴함량이 1469.8로 단메밀의 22.6보다 약 60배 이상 높게 함유되어 있다.
        49.
        200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oot chicory (Cichorium intybus L. var. sativus) is potential alternative medicinal and sugar crop which accumulates a high amount of linear polyfructan, inulin in its roots. A problem in root production is that over-wintered stock plants often flower. Once the plant becomes reproductive, stem elongation and root growth slows and floral buds arise from every node, rendering the plants useless for propagation.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anipulating environmental factors containing photoperiod, temperature and number of leaf state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growth chamber to create two photoperiods (8 h, and 16 h) with three temperature regimes (5℃/3℃, 10℃/8℃ and 15℃/13℃ day/night temperature) for a total of six treatments on three type of true-leaf stage of plant. Data of bolting rate, shoot and root length, shoot and fresh weight was invetigated in each treatment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changes in bolting rate and shoots and roots production during a whole growing season and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cold and photoperiod treatment depending on the true-leaf stage of plant.
        50.
        2001.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wth and yield of licorice were investigated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of photoperiod and shading in order to establish its cultural practice for the domestic production with the aim to substitute the import. The photoperiod was adjusted to 8,10, and 12 h by shielding plants from the light with blackout curtain. Large seedlings(11-20g) appeared to be affected by photoperiod since around 65 days. Most of growth parameters, including plant height, number of leaf, fresh and dry weight of plant and root, were the highest in 12 h photoperiod among all the photoperiod levels, excepting stem diameter which was the highest in 10 h photoperiod(4.5mm). Each photoperiod was similar to each other in root length and diameter. Small seedlings(4-l0g) showed a similar trend to large seedlings. The results from field photoperiod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12 h photoperiod was also the best among three photoperiod treatments in plant height, stem diameter, number of leaf, root length, fresh and dry weight of plant and root. The effect of shading was tested under the three levels of control (0%), half-shading (55%), and full shading (90%). Shading remarkably suppressed the growth and yield, compared to no-shading. Although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were little affected by the shading, stem and root diameters were heavily reduced.
        51.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일식물인 수수의 파이토크롬 B 돌연변이종(phyB-1)과 순계 야생종을 이용하여 phyB-1 변이종의 표현형에 미치는 지베렐린의 역할을 구명하고, 단일조건이 단일식물의 지베렐린 생합성 또는 대사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베렐린의 생합성 양은 하루 동안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를 가지고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식물호르몬 지베렐린은 리듬을 가지고 생합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단일식물인 수수의 야생종은 단일조건에서 보다 많은 양의 GA20 과 GA1 을 함유하고 있어 단일조건은 이들 지베렐린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지베렐린의 함량은 같은 일장조건하에서도 시료채취 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파이토크롬B 변이종과 야생종간의 일관성있는 고유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이들이 보이는 표현형의 차이는 지베렐린의 절대량의 차이보다는 지베렐린에 대한 반응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53.
        198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도와 일장에 반응하여 변동하는 대맥의 생태적특성을 조사하여 그 변이의 정도를 밝히고 환경제어조건하에서 짧은 시간내에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온도 및 일장조건과 임계일장을 검토코자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1. 온도처리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은 하부절간장, 지발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들이었으며 특히 주간보다 얼자들의 유효경화 및 등숙에 대한 영향이 컸었다. 2. 온도반응의 품종간 차이는 간장, 절간장, 출수일수, 수장 및 지발수에 있어서는 오월보리 및 사천 6호에 비해 강보리가 더 둔감하고 주간엽수, 초장, 제3절간직경은 사천 6호가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차이를 보였다. 3. 일장처리에 따라 반응하는 특성 및 특성들의 변이정도는 온도의 영향과 비슷하였으나, 품종간 반응정도의 차이는 모든 조사형질에서 인정되었고 특히 강보리가 크고 사천6호는 적은 경향이었다. 4. 출수가 급격히 촉진되는 임계일장은 10시간 30분 내외로 18시간 이상의 일장처리는 출수촉진효과가 극히 적었으며 그 효과는 강보리에서 크게 나타났다. 5. 환경제어조건하에서 출수성숙이 빠르면서도 수량확보에 알맞은 생육온도는 15℃ , 일장은 12~15시간/일이었으며 품종간에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54.
        198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주요 수도 신품종 및 도입 품종을 공시하여 출수생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장을 10, 12, 14 및 16시간의 4수준으로 하여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일수는 일장이 10, 12, 14 및 16시간으로 길어짐에 따라 지연되었는데 그 정도는 14 및 16시간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2. 일장에 따른 각 품종의 출수일수를 기초로 하여 일장반응형을 분류하면 7개의 group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I-IV group은 대부분 일본형 품종이고, V-Ⅶ group은 모두 통일형 품종이었다. 3. 일본형 품종은 기본영양생장성이 짧고 감광성이 예민하였으며 통일형 품종은 기본영양생장성이 길고 감광성이 순한 경향이었다. 4. 일본형의 육성품종과 도입품종간에는 감광성과 기본영양생장성의 유의차는 없었다. 5. 조ㆍ중ㆍ만생종의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의 정도는 조생종의 경우 기본영양생장성 정도에서 일본형이 짧고 통일형은 뚜렷이 길었으며 감광성 정도는 일본형 및 통일형 품종 공히 순한 경향이었다. 한편 중ㆍ만생종의 경우 기본영양생장성 정도는 조생종과 비슷하였으나 감광성 정도는 일본형이 예민하고 통일형 품종이 순하였다. 6.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의 고저에 따른 각 품종들의 출수생태형은 19개 생태형으로 구분되었다. 7. 생태형중 대부부의 일본형 품종은 I-V, I-Ⅵ, II-IV, II-V 및 II-Ⅵ에, 통일형 품종은 Ⅵ-II, IV-III, V-II, V-III, Ⅵ-I, Ⅵ-II 및 Ⅶ-I에 속하였다.
        55.
        198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간장에서 소맥의 Ephrat, Combine, Rousalka 대맥의 하가네무기, 무사시노무기, 영월륙각 과맥의 장기조생간, Wasehadaka, CI 09942, Liusanchia 01 등이 비교적 단간이고 일장변화에도 둔감한 품종이 있다. 2. 출수일수는 품종간 차이는 있으나 모두 단일에 의하여 출수기가 늦어졌고 소맥의 Sava 만이 12시간 일장에 비해 8시간에서 빨라졌다. 3. 성숙일수는 수맥의 중국8001 대맥의 올보리, 하가네무기, 경003, 수원006 과맥의 Kochihadaka, Wasehadaka, 장기한생과, 예산29호 등이 숙기도 빠르고 일장변화에도 안정된 품종이었다. 4. 일수입수는 품종별로 일정한 경향은 없으나 소맥의 원광, 남광, Blueboy, 수원 169호 대맥의 제천005, 시요기무기, Reno 과맥의 백동, Mochihadaka, CI 09867, CI 0968, Tawungmia 02는 수입수도 많고 일장변화에도 안정된 품종이었다. 5..주당수수는 소맥의 신광, Benhur, 관취기6006, 육성003는 단일에 의하여 수수가 증가하였고그 외에는 12시간 일장일 때에 가장 높고 24시간과 8시간에서 낮았으며 대맥은 제천005, 늘보리의 주당수수가 높았으며 Sava, Moldova는 8시간 일장일 때의 수수가 많았다. 과맥중 재래육각은 단일에 의한 증가폭이 컸으나 그 외의 품종은 단일에 둔감하였다. 6. 주당수량은 품종별로 일정한 경향은 없으나 소맥의 Littotio는 12시간에서 수량이 높았고 대맥의 제천005, 하가네무기, 삼척3006, CI 07296, 시요기무기 등이 안정된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과맥은 재래육각, Tawungmia 02, CI 09867은 수량이 높았다.
        56.
        197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맥에 있어서 온도 및 일장변화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장광 등 8개품종을 공시하여 온도 20℃ , 14℃ , 24시간일장, 12시간일장을 가각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출수일수에 있어서 장광과 Parker는 단일에 의한 출수지연도가 커서 단일에 민감하고 Yecora 70, Bezostaya, 수원 169호는 단일에 의한 출수지연도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적어 둔감하였다. 2. 간장에 있어서 Bezostaya는 단일에 의하여 평균간장보다 훨씬 더 커지고 Yecora 70은 일장에 따른 간장의 변화가 적었다. 육성 003는 저온(14℃ )에서 장간화되며 장광, Yecora 70, Blueboy는 온도에 따른 간장의 차이가 적었다. 3. 단일에 의하여 수장이 길어지는 품종은 Parker, 장광, Sturdy 등이며 저온(14℃ )에 의하여 수장이 길어지는 품종은 Yecora 70, 수원 169호, 육성 003이고 장광은 고온(20℃ )에서 수장이 짧았다. 4. 주당수수가 단일에 의하여 증가되는 품종은 Blueboy, Parker, 수원 169호, 장광 등이며 Parker, Yecora 70, Sturdy, 육성 003 등은 저온(14℃ )에서 수수가 많아지나 장광은 오히려 감소되었다. 5. 단일에 의하여 장광은 1수립수가 크게 증가되었고 저온(14℃)에 의하여 Yecora 70만이 1수립수가 증가되었으나 다른 품종들은 감소되었다. 6. 간립종은 단일에서 전품종이 감소되나, 그중에서도 장광, 수원 169호, Parker가 심하게 감소되었으며 저온(14℃)에서는 고온(20℃ )에 비하여 간립중이 높았는데 Parker와 Sturdy가 훨씬 간립중이 증가되었다. 7. 수량은 Blueboy, 수원 169호, Parker가 단일에 의한 증가율이 높고 저온에서는 Yecora 70, Parker, 육성 003, Sturdy의 수량증가가 많았다. 수량구성요소중 주당수수와 1수립수는 단일에서, 주당수수와 간립중은 저온에서 각각 증가되어 수량이 많았다.
        57.
        196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재배시기이동시의 품종의 적응성 또는 외국품종도입시 그 적부판단의 기준이 되는 일장 및 온도효과의 본질과 한국품종들의 감응도를 분석비교하였다. 시험결과 공시품종들은 전부 일장에 대하여 비교적 둔감하고 어느 처리일장하에서나 출수하여 한계일장이 없었으나 만생품종은 조생종에 비하여 감광성이 예민하고 기본영양생장기간이 짧었고 조생품종은 기본영양생장성이 컸으며 최적일장은 전품종 10시간전후였다. 또한 온도도 일장과 같이 생육기간에 대하여 영향이 큰 것 같고 저온은 일장의 장단, 품종의 조만에 관계없이 출수를 지연시키고 고온은 기본영양생장기간을 단축시키고 일장감응기에는 별로 영향이 없었다.
        58.
        196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양마의 섬유중 단일반응성 엽형 경색 엽병색 삭과색에 관한 제형질에 대하여 개개의 질적형질의 유전 및 그들의 연소를 연구하였다. 량적형질의 유전은 통계유전학적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인자분석을 하였다. 또 이들 양적형질의 질적형질과의 연소 및 양적형질상호간의 연소를 조사하여 얻어진 지견을 응용하여 선발의 효과를 높이려고 하였다. 2. 본실험에는 양마의 품종 Dashkent, G38F-1의 1교잡을 사용하였다. Dshkent는 우리나라 재래품종으로 경색은 녹색이고 열핵엽형 녹색엽병색 개화일수는 10시간 단일처리하에서 106.9222일이고 호외 포장조건에서 105.8234일이었고 개체당 섬유중은 26.4922 gr였다. G38F-1은 Guatemala에서 도입하여 계통선발된 품종로서 적색경 수원엽형 적색엽병색 개화일수는 10시간단일처리하에서 62.3784일이고 호외포장조건에서 148.8921일였고 개체당 섬유중은 37.1591 gr.였다. 본교잡에 사용된 실험재료는 P, P2 , F2 , F2 , BC1 ,(F2 × Dashkent), BC2 (F2 × G38F-1)의 각집단이며 1965년 수원작물시험장 포장에 재식하였다. 3. 엽형 엽병색 경색 삭과색 등 제형질의 유전은 수원엽형 녹색엽병 녹색경 녹색삭과등의 제인자가 단인자로서 그의 대립형질인 열각엽형 적색엽병 적색경 황색삭과에 대하여 각각 열성으로서 3:1의 Mendel성단순분리비를 나타내었다. 또 F1 과 열성형질과의 여교잡은 각각 1:1의 분리비가 인정되었다. 엽병색(G)과 엽형유전자(L)와의 조환가는 11.9565의 상인연소현상을 보였다. 삭과색(Y) 경색(R) 유전자간에는 어느것이나 연소현상이 보이지 않았다. 4. 단일반응성의 변이는 연소적이며 우성은 거의 인정되지 않았고 인자간의 상호작용도 인정되지 않았으며 상가적 유전을 보였다. 광의와 협의의 유전력은 각각 89.50%로서 실용적으로 대단히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단일반응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수는 2대의 인자로 추정하였고 다시 양친의 유전자형을 aabb AABB라고 측정하여 각인자의 작용가는 11.136일로 산출되었고 분해법에 의한 유전분석결과 유전자형의 관찰빈도분포와 이론빈도분포는 서로 잘 적합되었다. 단일반응성에 있어서 유전력이 대단히 높았으므로 비교적 초기세대에서 본 형질의 선발이 가능할 것 같았다. 5. 단일반응성과 엽형 및 엽병색 유전자와의 사이에 F2 , BC1 및 BC2 에서 각각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들 형질간에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더욱 엽형과 엽병색과의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이상단일반응성 유전자와의 사이에 연소군이 인정된다. 6. 섬유중 유전자와 엽병색 및 엽형유전자와의 사이에 F2 BC1 및 BC2 에서 각각 유의적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를 형질간에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더욱 엽형과 엽병색과의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이상 섬유중 유전자와의 사이에 연소군이 인정된다. 7. 경장 경경 개화일수와 주당섬유중의 유전상관과 표현형상관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표현형상관보다도 유전상관의 절대치가 크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식물체의 크기에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경장 개화일수와 섬유중 형질상호간의 상관이 높은 치를 보였다. 8. 이상의 유전분석 결과 엽형 및 엽병색과 단일반응성경장 섬유중 형질간에는 연소 혹은 다면발현(pleiotropic effect)이 관여하는 것으로 이해하드라도 대과없는 것으로 생각되었고 양마에 있어서 고섬유중을 위한 선발은 엽병색 및 경장의 선발과 엽형 및 개화일수로서 선발을 함께 하면 그 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믿어졌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