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41.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light-emitting diode (LED) on the stress response of workers before and after a flower arrangement (FA) activity. Participants were 16 office workers who performed FA under 7 out of 8 LED lighting conditions: darkness, white (at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4,500 K), red, blue, green, magenta, cyan, and yellow; no FA is performed in the darkness condition.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the heart rate (HR), blood pressure (BP), heart rate variability (HRV) consisting of standard deviation of the normal-normal intervals (SDNN), total power (TP), ratio of the low and high frequency (LF/HF),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FA. The salivary cortisol level was analyzed immediately after FA. The correlations among HR, HRV, and cortisol showed that the blue and green lights positively affected stress-responses and caused considerable reduction of stress. However, there was only a minor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ther lighting colors, although individual lights may impact one or more parameters. These findings reflect that the methodologie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to achieve a highly active horticultural therapy with the constructive assistance of LED lighting colors.
        4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d the psychological effect of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cut-flowers decoration in the conference place by the presenting eight colors of decorations (white, pink, blue, orange, red, green, purple, and yellow) to the participants, 103 numbers of genders.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condition was carried out and compared with an attention recovery scal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nd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In addition, paired t-test, One way ANA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for the general awareness of cut-flower decoration, the most priority is its color tone and 57.3% of participants which is the highest portion answered that the amount of annual investment for cut-flower decoration is 20,000~99,000 W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son for three psychological indexes, the attention recovery sca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rea with cut-flower decoration than the area without it. In POMS, it showed the negative emotions, such as, tension-anxiety, depression, confusion was low while the positive emotion like vig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rea with cut-flower decoration than the area without it.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could feel the pleasant, natural and clam significantly more in the conference place with cut-flower decoration than the area without it. The order of color preference of cut-flower was Green > White > Pink > Blue > Yellow > Purple > Orange > R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 Also, a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for the color sensibility of its tone of the cut-flower decoration in conference place with SD method, the participants could feel ‘comfortable’ and ‘calm’ the most with green, white and blue decoration while ‘strong’, ‘vibrant’, ‘uneasy’ of feeling was shown the most in red and orange decoration and ‘warm’, ‘fancy’ in yellow.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workers can have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s by having cut-flower decoration or using appropriate colors with cut-flower decoration in the uncomfortable area, such as, conference place.
        45.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훼 산업 정체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되고 있는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브랜딩 작업의 일환으로 연구된 색채 감성 패키지에 대해 디자인 목적과 표현의 적합성을 검증해 보았다. 전문가 설문을 통해 디자인 컨셉 설정 측면에서 적합함을 도출하였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Elegant 언어에 대한 패키지가 의미를 가질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표현에 있어서는 3개안에 대해서는 표현과 의도가 일치함을 도출하였고, 1개안의 경우는 패키지 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도적으로 표현 수위를 조절했다는 측면에서 볼 때, 표현의 적합도를 올리기 위한 점과 함께 설문 방법적인 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도 얻을 수 있었다.
        4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정원 디자인 시 국내에서 이용 가능한 다년초 선정을 위한 목록을 만들고자 국내 화훼종묘회사와 생산농원 그리고 상업적 정원, 식물원, 수목원 홈페이지 160여 개를 검색하여, 보유 또는 생산하는 다년초의 사진, 학명, 일반명, 화색, 초장, 개화기의 6개 항목을 게시한 ㈜대한종묘조경, 우리꽃, 한택식물원을 대상으로 게시된 다년초를 정리하였다. 전체 다년초에서 생육 특성이 다른 구근류, 암석원식물, 그래스류, 고사리류, 수생식물을 분리하여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를 다년초라 하여 전체 다년초를 6개 식물군으로 나누었다. 6개 생육 특성별 식물을 각각 파랑(blue), 녹색(green), 주황(orange), 분홍(pink), 보라(purple), 빨강(red), 은색(silver), 흰색(white), 노랑(yellow)의 9가지 화색으로 나누고 같은 화색 내에서 초장을 고(120cm 이상), 중(60-120cm), 저(60cm 이하)의 세 단계로 나누어 해당하는 식물을 학명의 알파벳순으로 배치하여 1월부터 12월까지 개화 월을 표시하는 정원용 다년초의 목록을 만들었다. 조사한 자료에서 중부지방에서 정원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체 다년초는 1,091종류이며 다년초 839종류, 구근류 58종류, 암석원식물 46종류, 그래스류 70종류, 고사리류 46종류, 수생식물 32종류로 나눌 수 있었다. 전체 다년초는 화색별로 파랑 7.2%, 녹색 7.5%, 주황 2.8%, 분홍 17.0%, 보라 15.9%, 빨강 4.2%, 은색 0.5%, 흰색 24.7%, 노랑 20.0%로 나눌 수 있었는데 흰색과 노랑, 분홍, 보라의 화색을 가진 종류가 가장 많고 엽색이 포함된 은색과 초록을 제외하면 정원의 화려함을 더해주는 주황과 빨강, 파랑의 화색이 부족하였다. 전체 다년초의 6.0%만이 120cm 이상의 높은 초장이었고, 60-120cm 사이의 중간 초장은 24.9%, 60cm 이하의 초장은 69.1%였다.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로 전체 다년초의 0.0, 0.2, 1.1, 5.9, 11,5, 22.8, 22.3, 20.7, 10.1, 5.1, 0.3, 0.1%가 개화했는데 5, 6, 7, 8월에 77.3%가 개화하였다.
        47.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화 6 품종을 대상으로 감마선(35 Gy) 조사에 의해 유기 된 화색변이체를 선발하고, 식물체 재생을 위한 배지내 식물생 장조절제 적정농도를 구명하여 신품종 육성 가능성을 검토하고 자 수행하였다. 고유품종과 다른 꽃잎의 화색변이율은 ‘SP-410’ 이 15.7%로 가장 높았으며, ‘예스스타’가 10.6%, ‘무지개’가 10.3%순 이었다. ‘무지개’는 이중색(황색/적색, Y7D/R40A) 에서 적색(R42B)으로, ‘예스라인’은 자주색(RP74C)에서 진자 주색(RP63B)으로, ‘예스스타’는 황색/적색(Y4A/RP59A) 이 중색에서 적자주색(RP64A)으로, ‘SP-410’은 백색(W155C)에서 황색(Y2C)으로, ‘예스투게더’의 화심색은 백색(W155C)에서 연보라색(P76B)로, ‘예스우리’의 화심색은 연녹색(YG149A)에 서 짙은 녹색(GY1C)으로 화색이 변한 변이체를 선발하였다. 화색변이체 꽃잎의 신초형성을 위한 배지내 식물생장조정제 의 최적조합은 BA 1.0 mg/L와 NAA 0.5 mg/L, BA 2.0 mg/L 와 NAA 0.5 mg/L의 2조합이였으며, 신초형성율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예스라인’이 91.6%로 가장 높았다. 감마선 조 사에 의한 화색 변이체의 꽃잎배양 유래 재생식물체는 영양 번식으로 유지되었으며, 3년동안 재배한 결과 화색과 꽃잎의 형태적 특성 차이가 없었다.
        49.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헤어리베치의 꽃색 중 보라색, 분홍색, 백색의 유전 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보라색 꽃 품종(청풍보라), 분홍색 꽃 품종(Mamecho) 그리고 백색 꽃 품종(HV-Kw1) 상호 간에 교잡하여 잡종 2세대(F2)에서 꽃색 분리 비율을 조사하고, 또한 분홍색과 연분홍색 사이의 유전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연분홍색 꽃 품종(HV-Mp1)과 분홍색 꽃 품종(Mamecho)을 교잡하여 F2에서 꽃색 분리 비율을 조사한 결과 백색/보라색 조합과, 보라색/분홍색 조합에서 보라색은 백색과 분홍색에 대해 3 : 1의 비율로 분리하였고, 연분홍색/분홍색 조합에서 분홍색 3, 연분홍색 1의 비율로 분리하였으나, 백색/분홍색 조합의 F2 집단에서는 보라색 9, 분홍색 3, 백색 4의 비율로 분리하였다. 이러한 헤어리베치 꽃색 유전분리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사용된 품종들의 보라색, 분홍색, 그리고 백색 꽃은 서로 다른 두 쌍의 유전자 열성상위 작용에 의해 발현되며, 연분홍색은 분홍색에 대하여 단일 열성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헤어리베치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0.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유용미생물로 알려진 광합성세균(Photosynthetic bacterium),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을 분화용 시클라멘(Cyclamen persicum Mill. ‘Rose with Eye’)에 2주 간격으로 7회 관주 처리하여 생육 및 화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생육에서는 유용미생물 처리구는 고온피해를 적게 받거나 빠르게 회복하였으며 꽃수 또한 유용미생물 처리구에서 높았다. 시클라멘의 화색도 무처리구에 비해 유용미생물 처리구의 화색이 더욱 선명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배양토 화학적 특성 분석 시 미생물 처리구가 무처리구와 다른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P2O5, K, Ca, Mg, Na, NO3-N 등이 시클라멘 흡수 시 미생물제 관주처리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미생물의 종류별로 다소 다른 차이를 보였으며 농도 처리구에 따라 식물체 부위별 효과가 달라 적합한 미생물 종류와 농도를 찾는 실험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여러 방법으로 다양한 화훼류에도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1.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 요양노인, 독거노인, 가족 동거노인 등 다양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절화 및 화색 선호도를 조사하여 노인에 대한 기본적인 심리의 특성을 이해하고, 원예치료 프로그램 구성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노인에게 절화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매우 좋아한다”와 “좋아한다”가 81.5%로 나타났고, 특히 치매노인들은 97.7%로 절화를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화류 중에서 모든 대상자가 장미를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나리, 카네이션, 해바라기, 안개초, 스프레이 국화, 글라디올러스, 거베라 순이었다. 절화의 화색은 빨강색을 가장 선호하였고, 분홍색과 노랑색 순이었으며, 치매노인은 빨강색, 노랑색, 분홍색 순으로 선호하였다. 장미의 화색은 모든 노인들이 빨강색을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치매노인은 노랑색과 주황색을, 요양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은 분홍색과 주황색을, 독거노인은 주황색과 분홍색을 좋아하였다. 카네이션은 모든 노인 대상자들이 빨강색을 가장 선호하였다. 거베라는 치매노인은 빨강색과 노랑색을, 입소시설요양노인, 가족동거노인, 독거노인은 빨강색과 주황색 순으로 선호하였다. 나리는 치매노인과 입소시설요양노인은 흰색 나팔나리과 노랑색 아시아틱나리를,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은 흰색 나팔나리와 분홍색 오리엔탈나리 순으로 선호하였다. 스프레이 국화는 모든 노인 대상자들이 흰색과 노랑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화훼의 색채 이미지를 이용한 화단적용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화단용 유통화훼 285종의 색채 및 색채이미지스케일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Red 54종, Yellowred 13종, Yellow 40종, Blue 8종, LightPurple 9종, Pink 31종, Purple 15종, Redpurple 40종, White 65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285종의 화훼 색채를 색채이미지스케일에 대입한 결과 경쾌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갖는 것은 130종, 은은한, 온화한, 맑은, 자연적인 이미지에 해당되는 것은 122종, 모던한, 혁신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은 15종, 고상하고 점잖은 이미지를 갖는 것은 18종이었다. 전체 285종의 화훼는 딱딱한 이미지 보다는 부드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정적이면서도 동적인 양쪽의 이미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화훼 종류별에 따라 구명된 색채 이미지는 화단 조성시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맞게 적용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54.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국내・외 플라워샵의 CI(Corporate Identity) 로고 색채의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플라워 샵의 브랜드화에 필요성을 제안하고 나아가 소비자들에게 좀 더 체계적으로 인식되는 로고 색채를 개발하여 이미지 마케팅을 부각시켜 소자본으로 플라워샵의 매출을 증대시키는데 필요한 기본 데이터를 제안하고자 플라워샵 CI(Corp-orate Identity)로고의 색채를 조사・분석 하였다. 플라워샵의 선정 기준은 현재, 온라인상에서 판매하고 있는 곳을 중심으로 하였고 색채분석 시 광환경은 표준광원(Philips TL-D 90 Graphica Pro. 36W/950)으로 색측기는 X-rite Eye-One Xtreme iO bundle을 사용하였다. 국내는 주도적으로 Red계열의 색상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원색의 가까운 채도가 높은 색채의 보색배색을 많이 사용하였다. 반면 국외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상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채도가 낮은 light, deep톤의 유사배색의 사용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시각적인 브랜드 포지셔닝을 색채요소로 분석한 결과 고채도의 색을 단색이나 유사배색으로 사용한 형태와 저채도의 색을 단색이나 유사배색으로 사용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강점과 약점분석과 국내외 CI로고 색채분석 결과 첫째, 채도가 높은 원색을 사용할 경우 유사배색으로 활용하며 둘째, 채도가 낮을 경우 보색배색으로 활동감을 주며 셋째, 채도가 낮고 유사색 배색은 편안한 이미지로 활용하여 우리나라 환경과 수준에 맞추어 적용한다면 플라워샵을 시각적으로 잘 인지하고 구매촉진을 위한 CI 로고 배색으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5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홍색 스프레이 카네이션 품종 ‘Lyra’는 노랑색 스프레이 품종 ‘Ballantyne’와 적색 스프레이 품종 ‘Chateau’을 인공 교배하여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Lyra’는 1999년에 교배하여 2001-2003년까지 품종 특성을 조사하였고, 2003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Lyra’는 밝은 분홍색 절화 스프레이 품종으로 다 분지성이고 절화장이 길며 향기가 있는 조기 개화성 품종이다. 절화 수명은 7일이고 시들음병에는 중간정도의 저항
        56.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장미의 화색에 따른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감성이미지를 알아보고 화색의 이해를 통한 장미의 활용 방안을 넓히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장미는 12가지의 화색으로 나누어 최근 2년 간 경매량이 많았던 품종 중에서 선정하여 2008년에 수도권 거주자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장미 화색에 따른 감성이미지는 의미분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인의 절화장미 색채에 따른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red 21.4%, redpurple 17.1%, purple 15.7%, white 12.4%, yellow와 gradation(1)장미가 6.2%,deep red 5.7%였고, 조사 된 색채감성이미지는 총 5개의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제1요인은 고급스러움, 우아함, 아름다움 등의 장미꽃의 미적요소로 gradation(1)이 3.90으로 가장 높았고, pattern이 2.82로 가장 낮았다. 제2요인은 싱싱함, 매끈함 등의 장미 화색에서 느껴지는 질감요소로 yellow가 3.90으로 가장 높았고, deepred가 2.53으로 가장 낮았다. 제3요인은 장미 화색 자체의 느낌을 나타내는 가벼움, 밝음, 강렬함 등의 색감요소로 red가 3.80으로 가장 높았고,blue가 2.42로 가장 낮았다. 제4요인은 흥분감, 행복감 등의 감정요소로 red가 4.03으로 가장 높았고,purple이 2.56으로 가장 낮았다. 제5요인은 친숙함,자연스러움 등의 개인적 선호도요소로 white가 3.70으로 가장 높았고, blue가 2.65로 가장 낮았다.장미의 12가지 화색에 대한 색채이미지를 각 요인별 factorscore분석을 통해 종합해 본 결과, 장미의 화색별 선호도와 5가지 요인에 대한 factor score는 대체적으로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색에 대한 이미지는 단순히 색상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꽃의 형태,향기,크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Hong,2005), 이는 화색에 대한 이미지가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나타난 절화장미 화색별 선호도와 감성이미지는 장미의 소비촉진과 이용측면에서 중요하게활용될 것으로 생각한다.
        57.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ymbidium variety "Yellow Evening"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Oji" and "Valley Flower Cherry Life" followed by seedling and line selections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NIHH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2004. After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for 9 years (1996-2004), it has been selected specifically pot orchid flower. "Yellow Evening" has medium plant height and semi-erect peduncle. It has medium flowering habit and brownish yellow flowers (RHS, Y11B: petal and sepal) with grayed purple GP183A) spot on lip, when fully opened. Each peduncle has 15.3 flowers with diameter of about 7.4 cm. It has adequate peduncle height, with some curved and spreading petal and sepals. Under optical culture conditions, it started to bloom early-winter (November).
        58.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의 관상기간 중 꽃잎의 탈색 완화에 적합한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리시안서스, 용담, 국화, 공작초를 대상으로 광도(500, 5,000, 10,000lux)와 자당 처리를 실시하였다. 광도의 차이와 자당의 유무의 차이를 비교해 볼 때 리시안서스와 용담은 각각 자당이 처리된 5,000lux에서 10.9일 10,000lux 역시 10.9일로 관상기관이 길게 나왔다. 반면 국화는 500lux에서 10.5일로 관상기관이 길게 나왔다. 공작초는 광도와 상관없이 대조구에서 10.2일로 관상기간이 길었다. 꽃잎의 탈색완화 효과는 가장 높은 광도 하의 꽃잎 색이 진하게 나왔고, 대조구 보다는 자당이 첨가된 처리구에서 진하게 나오는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고광도의 조건과 자당의 첨가는 안토시아닌의 합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꽃잎탈색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5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적색장미의 변색방지 기술을 개발하고자 Al, AlK, Mg 및 CuSO4를 증류수에 0, 5, 10, 20 및 30%로 희석한 열탕(85∼90℃)에 장미 ‘카디날’ 꽃잎을 30초 동안 침지하여 건조한 후 자외선 조사에 따른 변색정도를 조사하였다. Al 용액 처리구는 a*값의 경우 5, 10% 처리구에서, b값은 20%처리구에서, △E*값은 30% 처리구에서 신선한 꽃과의 색차가 적었다. AlK 처리구는 5%와 30% 액에 처리시 신선한 꽃과의 헌트 a*, b* 및 △E*값의 차이가 적었다. Mg 처리구는 20% 및 30% 처리구에서 신선한 꽃과의 Hunter a*, b* 및 △E*값의 차이가 적었다. CuSO4 처리구는 5% 액에 처리시 신선한 꽃과의 Hunter a*, b*, △E*값 및 Munsell 표색계 H값의 차이가 적었다.
        60.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rose cultivar “aedoji”developed 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tion Services (JARES) is a standard type with deep Red flower. From 2000, two cultivars ‘ital’and 'Cardinal' were examined for hor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were included in cross-combination in 2003. Cultivar ‘ital’ a vigorous standard type, first preference with red flower, was used as a mother plant and cultivar ‘ardinal’ a red flower standard type with light color, was used as a pollen-donor plant. seventeen six breeding lines were selected in 2004 based on flower shape, flower color and abundance of petal numbers on the first selection. two breeding lines were selected in 2004 based on powderly mildew and vigor on the second selection. For three years, from 2005 till 2007, one breeding lines were selected and examined for their productivity, and then cultivar “aedoji”was developed because of distinctive characters such as light red color flower, upright stem, long vase-life and Resistance to the Powderly Mildew. A standard type with intermediate sized flower, cultivar “aedoji”shows in average 9.2 cm flower diameter, 62.0 cm flower stem length, and 9.5 days vase-life. The average productivity for three years was 167.3 stems ㆍm-2 per year and increased 2% compare to cultivar ‘iamo’with 163.9 stemsㆍm-2 per year.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