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악취민원이 빈발한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반월공단의 주거지역과 공단지역 등을 중심으로 주요 관리대상으로 설정된 악취성분들에 대한 환경대기 중 농도분포 특성을 2년여 기간동안 6차례에 걸쳐 조사하였다. 이들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 시간적(오전과 오후) 및 공간적(공단 내외부의 위치) 기준으로 분포특성에 대한 비교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오전시간대에 비해 오후시간대에 고농도 분포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공간적인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도 공단 내부에서 관측한 결과에서 대부분의 성분들이 고농도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안산시 주변 및 공단지역의 환경대기 중에 존재하는 악취성분들이 시간적 및 공간적 기준으로 다양한 분포특성을 취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effects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er) leaf dry powder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were evaluated in rats. Forty-eigh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fed high fat diets for sis weeks. Experimental groups were following diets; Control group (CON), 40 % animal and plant high fat group (AHF and PHF) control with 2% Lotus leaf dry powder group (CLDP), animal and plant high fat diets with 2% Lotus leaf powder group (AHFLDP, PHFLDP). Tissue weights of liver, heart, kidney, spleen and lung of AHF group exposed rats were decreased by PHFLDP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riglyceride in rats fed the CLDP and PHFLDP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in CLDP and PHFLDP group the were lower than those in AHF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HDL-cholesterol in serum of the CLDP and PHFLDP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levels of LDL-cholesterol in serum of the CLDP and PHFLDP groups were tended to be low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GPT and GOT were decreased in CLDP and PHFLDP groups and than in the AHF group. LDHase was lower in CLDP and PHFLDP groups than in the AHF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2% Lotus leaf dry powder groups may reduce elevated levels of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본 연구의 목적은 21%농도의 산소와 비교하여 30%의 고농도 산소 흡입이 사이클 등속 운동 중에 심박동률(heart rate)과 혈중 산소 포화도(SPO2)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21%와 30% 농도의 산소를 각각 8liter/min의 양으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산소 공급 장치를 이용하였다. 신체 건강한 10명의 남자 대학생(25.2±2.2세)이 21%와 30%의 두 종류의 산소 농도를 대상으로 각각 두 번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은 안정(2분), 20±1km/h의 사이클 등속 운동(10분), 회복(6분)의 세 구간(총 18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21%또는 30%의 산소는 등속 운동과 회복 구간에만 공급되었다. 21%에 비해 30%산소를 흡입했을 때 사이클 등속 운동과 회복 기간 중에 심박동률은 감소하였고, 혈중 산소 포화도는 .차이가 없었다. 21%와 30% 두 그룹 사이에 동일한 운동부하가 주어졌기 때문에 혈중 산소 포화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30%의 고농도 산소 흡입으로 동일운동 부하에 필요한 산소 요구량이 원활히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심박동률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urnal alternation of nutrient solution salinity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tomatoes (Lycoperisicon esculentum cv. 'House momotaro') hydroponically grown in root intercept bag-NFT (RIB-NFT) system. Plant height was the lowest in the high concentration during daytime (6/1 dS m-1, day/night). Yield was very high in the concentration of 1/1 dS m-1,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Yield was higher at low concentration (4/1 dS m-1) at nighttime compared to the same concentration (4/4 dS m-1) at daytime and nighttime, and the reverse (1/4 dS m-1) was similar to the control (perlite culture). Yield was greatly reduced by higher concentration at daytime than nighttime, and the decrease was alleviated by lower concentration at nighttime.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during daytime, sugar content of tomato fruit was increased, but yield was decreased. In the other experiment, tomato plants were hydropoically cultured in NFT system diurnally alternated between Aichi's solution and Ca(NO3)2 solution. Ca(NO3)2 solution was supplied for 4 hours from 10:00 to 14:00 at daytime and from 22:00 to 2:00 at nighttime, respectively, and Aichi's solution was supplied for the time except the 4 hours. Ca content of leaves and sugar content of fruit were increased by supplying Ca(NO3)2 solution at daytime compared to nighttime, but plant growth was greatly suppressed by supplying Ca(NO3)2 solution with the concentration of 4 dS m-1(4/4Ca dS m-1) at nighttime.
We surveyed the concentrations of PM10, O3, and bioaerosol in public facilities including restaurants, offices, and private academies in Chung-Nam province area. During 3 months (from August 30, 2005), the bioaerosol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a single stage air cascade sampler using the inertia collision catching method for the flux of 28.29 ℓ/min. The mean values were measured as 101.1㎍/㎥ for PM10 and 12.4 ppb for O3. The concentrations of colony for bacteria and fungi were 464 and 287 CFU/㎥ in restaurants, 223 and 271 CFU/㎥ in offices, and 259 and 107 CFU/㎥ in private academics. It is thus suggested that the regulation of indoor air conditions should be amended to control the quantity of bioaerosol in public faciliti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CO2 and the associated parameters in the subway from lines 1 to 8 in Seoul metropolitan area, during 1 to 30 Sept. 2005. CO2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the entrance and center in subway passenger cabin by non-dispersive infrared analyser. The associated parameters for CO2 were estimated based on the number of passenger, open and closed doors etc. The mean CO2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o be 1,646±712 ppm in subway passenger cabins. The CO2 concentrations showed the highest values between 7 and 9 AM in rush hour(p〈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O2 and the number of passenger was highly significant(r=0.824). The general linear model indicated that subway line, subway location (ground and underground tract), and measurement point (enterance and center of cabins) and running time (morning and afterno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oncentrations of CO2. An extended study is needed to examine the sources of CO2 in subway cabins and to compare pollutants concentration among subway lines.
축산연구소에서 사육중인 비거세우와 거세우를 대상으로 혈청내에 있는 호르몬 및 대사물질 농도가 채혈시기, 사육지역, 거세 여부 등에 따라 어떻게 변하며 경제형질과 어느 정도 상관이 있는지 그리고 이들에 대한 유전변이의 크기는 어느 정도이며 이들의 유전상관계수는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호르몬 및 대사물질의 분산분석 결과 testosterone과 globulin을 제외한 나머지 혈청성분은 사육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실파용으로 적정 양액농도를 구명하고자 수경재배용으로 선발한 '금장외대파'와 '토쿄구로파' 품종을 공시하여 담액식으로 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양액종류 시험을 통해 선발된 야마자키 처방의 싹파 전용 양액(NO3--N 9.0, NH4+-N 3.0, PO43--P 6.0, K+7.0, Ca2+ 2.0, Mg2+ 2.0, and SO42--S 4.4me·L-1)을 이용하여 EC 0.6, 1.2, 1.8, 2.4dS·m-1의 4수준으로 처리한 결과 초장, 구당 생체중과 건물중에 있어서 두 품종 모두 EC 1.2, 1.8, 2.4, 0.6dS·m-1 순으로 양호하였다. 최대 생체중을 위한 남장외대파와 '토쿄구로파'의 2차 회귀곡선식은 y=-42.0912+171.79x+11.047 (R2=0.8946, R=0.9458*)와 y=-50.069x2+157.58x+15.414(R2=0.9343, R=0.9692**) 이었고, 이에 따른 적정 양액농도는 각각 1.68dS·m-1과 1.57dS·m-1수준이었다. 따라서 실파 수경재배시 생육 초기에는 양액을 1.2dS·m-1수준의 저농도로 유지하고 정식 후 30일경인 생육 중기 이후에는 1.6~1.7dS·m-1수준의 농도로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여겨진다.
계절별로 EC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EC농도는 급액보다 배액이 높았고 EC를 높게 급액하면 급배액간의 농도차가 많았으며 pH는 급액 EC가 높을수록 배액의 pH가 낮았다. 장미품질은 절화장, 경경, 엽수, 화고, 화폭과 같은 장미의 품질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4월과 5월에 EC 1.3으로 공급한 처리에서 6% 정도 많았고, 6, 7, 8월에는 EC 1.0으로 공급한 처리에서 10%정도 많았다. 또한 9월과 10월에는 EC 1.0과 1.3으로 공급한 처리에서 수량이 10%정도 많았다. 전체적으로는 EC를 봄에는 1.3,여름에는 1.0, 가을에 1.3, 그리고 겨울에 1.64로 조절한 (B)처리가 수량이 가장 많았다.
자주초롱꽃(Campanula punctata 'Rubriflora')의 자가영양배양시 CO2 농도,환기횟수 및 광도가 소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500μmol·m-1고농도CO2에서는 광도를 높일수록 초장, 엽수가 증가되었으나, 최대근장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엽록소의 함량은 광도가 높을 때보다는 낮은 경우인 70μmol·m-2s-1에서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엽면적은 광도가 높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CO2 1,500μmol·mol-1 환기횟수 2.8h-l, PPF 220μmol·m-2·s-1에서 가장 큰 차이로 작게 나타났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CO2 농도, 환기횟수, PPF가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특히 CO2 1,500μmol·mol-1, 환기횟수 2.8h-1, PPF 220μmol·m-2·s-1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었다. 환기횟수의 영향은 전반적으로 적었다. 종합적으로 자주초롱꽃 소식물체의 기내 자가영양배양 차량번식을 위해서는 CO2 1,500μmol·mol-1, PPF 220μmol·m-2·s-1의 조건이 적합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imary source of radon in Seoul subway stations, and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geology and radon. Especially, we expected that the granite areas would have substantially high levels of radon in subway stations.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subway stations were lognormally distributed. The geometric mean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were 48.11 Bq/㎥ and 2.15, respectively. Indoor radon concentrations of eight measuring sites exceeded U.S. EPA criteria (148 Bq/㎥).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subway station regions under this study is characterized by biotite granite, alluvium, banded biotite gneiss and diluvium. Results indicate that bedrock geology can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indoor radon in subway stations. Indoor radon concentrations of one subway st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stations. The bed rock in this particular subway station was that of alluvium. We assumed that the unusual increase in measured radon concentration should be related mainly to the existence of the near inferred fault zone (p<0.0001). We selected ten subway stations with homogeneous bedrock type in order to compare radon concentrations of each basement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adon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basement levels in subway stations (p<0.0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gnetized water treated with HI-Scalper153R on body performance and ammonia concentration in feces of broiler chicks,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80 broiler chicks. Each treatment had 18 chicks with 5 replications. Chicks during experimental periods, broiler chicks were fed magnetized water and subterranean water,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summarized as follows: Body weight gain slightly increased for broiler chicks fed magnetized water compared with control. But, there is no significantly (p=0.36) different among treatments. Feed intake significantly (p=0.046) decreased for broiler chicks fed magnetized water compared with control. Feed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p=0.020) improved for broiler chicks fed magnetized water of each periods when compare to the control. Especially, in starter periods, the feed efficiency of magnetized water treatment increased by 10% more than control (1.80 vs 1.69). In feces, average ammonia concentration (ppm) significantly (p=0.004) decreased in the magnetized water treatment compare to control. Especially, the magnetized water treatment decreased by 2.2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in ammonia concentration of feces (83 vs 37ppm).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산재한 총 152개 지점의 측정망으로부터, 6년 동안 월 단위로 요약 정리한 PM10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대한민국 주요 행정구역(7개시와 9개 도)에 대한 PM10 성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진단하였다. 16개 행정구역에 대한 PM10의 농도분포를 조사한 결과, PM10의 농도는 황사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봄철에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강수의 양이 많은 여름철에 농도가 줄어드는 결과를 보이는데, 이는 배출원의 강도와 습식침적이 왕성하게 나타나는 기상환경 등의 영향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 PM10의 농도를 비교하면, 서울에서 68.2μg/m3로 최고 농도를 보인데 반면, 제주도가 39.2μg/m3로 최저 농도를 나타내었다. 전체 지역별로 보면, PM10의 농도는 대도시 지역으로 갈수록,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분석을 통하여 지역간 PM10 농도 분포의 공간적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이를 통해 PM10 농도는 근접한 거리에서는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PM10 농도는 기상조건과 인위적인 배출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고 할 수가 있다.
본 연구는 상토의 보수성 증가를 위하여 혼합되는 acrylamide 계통 고흡수성 수지인 Stocksorb C(STSB)의 수분 흡수 특성, 수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 STSB가 침지된 외부용액속의 무기염 농도 변화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STSB의 수분 흡수량은 증류수에 침지한 경우 약 180 mL·g-1였다. 1가의 양이온을 포함한 염인 KH2PO4, KNO3 또는 (NH4)2SO4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흡수량이 저하되었으나 세 종류 양이온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Ca(NO3)2·4H2O 다양한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속에 STSB를 침지시킨 경우 수분흡수능 저하가 심하여 20 meq·L-1Ca(NO3)2·4H2O 용액에서 약 25 mL·g-1 수분을 흡수하였다. Mg(NO3)2·6H2O나 MgSO4·7H2O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분 흡수량이 심하게 저하하였고, 1가의 양이온이 포함된 염을 용해시킨 용액에서보다 그 정도가 심하였다. 그러나 요소의 농도를 증가시킨 용액에서의 수분 흡수량은 저하되지 않았다. 침지전 Hoagland용액의 농도가 높거나,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STSB를 침지시킨 용액에서의 K+및 NH4+-N의 농도가 점차 높아졌다. Hoagland 용액의 희석배수와 무관하게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외부용액의 NO3--N, H2PO4- 및 SO4-2 농도가 약간 상승하였고, 24시간 경과 후 각각 5,300, 250 및 1,500 mg·L-1 농도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