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2

        6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난지형 목초의 도입을 위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사초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조사료 시험포장 (해발 200 m)에서 2007년 4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난지형 영년생 화본과 목초인버뮤다그라스 “Common”, “제주 자생형 (Ecotype)”품종과 바히아그라스 “Argentine”, “Tifton 9”품종을 2007년 4월 22일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출현일은 5월 8일로 파종 후 16일정도 소요되었으며 바히아그라스는 파종 후 24~2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수기는 버뮤다그라스 Common은 5월 28일, 바이하그라스 Tifton 9은 7월 4일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3년간 평균 건물수량은Common이 16,749 kg/ha으로 Ecotype 보다 다소높게 나타났으며 바히아그라스에 있어서는Tifton 9이 23,695 kg/ha으로 Argentine 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의Ecotype이 13.8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ADF 함량은 버뮤다그라스 common이 27.9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 (TDN)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65.48%로 바히아그라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nvitro 건물소화율은 각각 70.90%, 70.44%로 두초종이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는 월동이 가능하여 여름철조사료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또한 지하경과 포복경을 가지고 있어 말의 제상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 방목용 초종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산란지 보호하기 위하여 제주도 전 지역에 분포하는 습지를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5월에서 8월 사이에 조사하였다. 비가 오는 날 밤부터 다음날 낮 동안 울음소리를 통해 습지의 위치를 파악하였으며, 알과 유생의 유무로 산란지를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맹꽁이들이 산란지로 이용하는 습지는 83개의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영구습지를 산란지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도별로는 150m이하가 전체의 81.9%였고, 산란지의 수심은 일반적으로 50cm를 넘지 않는 얕은 장소에 산란하고 있었다. 지역별 산란장소는 제주시 지역이 54개소로 서귀포시지역 29개소보다 많았는데 이는 서귀포시 지역이 과수원이 많아 습지가 더 많이 훼손된 결과로 판단된다. 성산읍인 경우는 갈대습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어 다른 지역보다 산란지가 많이 보존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개발에 앞서 산란지를 보호하고 서식장소를 제공하여 맹꽁이의 개체군을 보존하고, 이미 심각하게 손상되었거나 파괴된 산란지를 복원하게 하여 급격히 감소되어가는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4,000원
        6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시험림 한남지역에서 2006년 1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매월 3일 연속으로 11개월 동안 선조사법에 의한 2개 지역과 정점조사법에 의한 5개 지역을 정하여 이동성, 둥지 길드, 출현비율의 군집 분석을 통하여 조류 군집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58종의 조류를 확인하였으며, 조류를 이동성(migration habit)에 따라 나누면, 텃새 24종, 여름철새 8종, 겨울철새 10종, 나그네새 16종이었다. 대개 육지에서는 여름철새의 종 수가 높지만, 조사지역에서 나그네새 종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 출현종의 관찰비율을 군집 분석한 결과, 11월부터 2월의 모둠, 3월~7월의 모둠으로 나누어져 계절성을 보였으나, 월별 종 수 변화는 육지에서 나타나는 계절 변동이 없었다. 번식기와 비번식기에 종 구성은 변화하지만, 전체 종수는 계절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나그네새 등 이동성 조류가 제주시 험림을 다수 방문하는 것을 나타낸다. 산림성 조류에게 둥지를 제공하는 딱따구리류는 본 조사지에서는 큰오색딱다구리 1종으로 육지의 5종과 차이를 나타낸다. 둥지 길드는 덤불 및 지면에서 둥지를 튼 새는 9종, 숲지붕층 8종, 나무구멍 7종, 인가에서 번식하는 1종이 기록되었다. 조사지에서 큰오색딱다구리는 박새류, 흰눈썹황금새, 호반새의 둥지를 제공하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서 이 종을 보호하기 위한 산림시업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5.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수치자료를 이용하여 제주도 지역의 극한풍속지도를 구축하였다. 대상지점은 362개 지점이며, 높이 72m의 수치자료로부터 일최대풍속과 월최대풍속을 추출하여 평가시간을 변환하였다. 극치해석의 확률분포모델은 Gumbel분포를 사용하였고 이로부터 극한풍속을 추정하였다. 수치자료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해 높이 10m, 72m의 기상자료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월최대풍속, 일최대풍속의 평가시간 3초와 600초에 대한 제주도 지역의 50년 극한풍속지도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건설되어질 풍력발전단지 계획 시 풍력등급과 구조물의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4,000원
        6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seroprevalence of PRRSV in breeding farms in Jeju 2008 using a commercial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The tested sera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a total of 1,947 sera from 9 breeding farms unvaccinated in Jeju. As a result, all breeding farms were seropositive for PRRSV. Seven hundred-eighty six of 1,947 sera (40.4%) were positive for PRRSV. Seropositve rate of PRRSV infection in 9 farms showed various levels: 1%, 8.9%, 9.1%, 43%, 46.9%, 48.2%, 51.6%, 60.9%, 85.5%, respectively. The results confirmed that PRRSV infection has been prevailing in breeding farms in Jeju. Also, these results must be taken into a consideration in strategy establishment for the control and eradication of PRRS.
        4,000원
        6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무가온 하우스에서 오크라를 생산하기 위한 재배법을 개발하기 위해 11개의 품종에 대한 특성조사를 하였다, 또한 무가온 재배 시 적정 재식 밀도를 구명하기 위해 "Greensode" 품종의 발아조건과 재식간격을 구명하였다. 먼저 11개 품종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No. 1', 'No. 4', 'No. 5'는 'No. 2', 'No. 3'에 비해 발아력이 다소 우수하였다. 생육은 No. 4의 초장이 109.2cm로 타 집단보다 길었다. 착과부위를 나타내는 마디수는 대부분 4.2~6.5개의 분포를 보였는데 'Greenrocket' 품종의 마디수가 가장 많았다. 수량은 'Greensode', 'No. 2', 'No. 5'가 많았다. 또한 오크라 'Greensode' 육묘 재배 시 발아율 향상을 위하여 종자 침지 시간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 18시간 종자 침지 처리구가 9시간 침지와 무침지 처리구에 비하여 발아속도가 우수하였다. 18시간 종자 침지 처리구의 100% 발아 시점이 파종 후 8일 째로 9시간 침지와 무처리구 보다 7일 가량 빨리 발아되었다. 오크라 'Greensode' 무가온 재배를 위한 적정 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해 재식간격, 구딩주수 처리를 달리하여 직파 재배하였다. 처리구 간 초장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재식간격이 좁아질수록 경경이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45×75cm 간격으로 파종하되 3~4주를 모아 심을 처리에서 수량이 가장 많아 무가온 재배에 적합했다.
        4,000원
        6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PRRS) virus causes not only breeding disorder such as abortion, stillbirth and premature birth to pregnant sows but economic damage like high estrous return and low delivery rate. The presented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seroprevalence of PRRS in Jeju herds. PRRS positive rate was examined with pig serum from hog farms located in Jeju. Serum samples were extracted from the 11 of sow farms and 10 of hog farms,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20, 40, 60, 80, 100 and older than 120 days of age and pregnant sows in hog farms. Anti-PRRSV antibody titers in sera were analyzed by ELISA. All the breeding farms and hog farms (10/10) showed PRRS positive except one breeding farm (1/11). Serological patterns determined by ELIS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regardless of whether pigs were vaccinated or not. Nevertheless, the farms unvaccinated pigs displayed low productivity in terms of piglet loss rate and prolonged period of shipment. Therefore, vaccination against PRRSV appears to be a crucial factor in sanitary management of hog farms. Taken together, since PRRSV was spread widely in Jeju already, stabilization of sows by PRRS vaccination after adapting PRRSV free sow by all-in-all-out method in farms is recommended for the control strategy for PRRS.
        4,000원
        6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월정 앞바다에서 건설 중인 4MW 해상풍력단지의 설계자료를 준비하기 위하여 측정-상관-예측(MCP)방법을 이용하여 단기간 풍황탑 자료로부터 장기간 풍황자료를 재생산하였다. 두 참조지점으로서 제주, 구좌 기상관측소와 선형회귀 MCP, 행렬 MCP 조합에 대한 정량적 오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좌와 행렬 MCP에 의한 장기간 보정이 가장 최선의 조합임을 도출하였다. 재생산된 풍황자료를 이용하여 월정해상 풍력발전기의 형식등급을 결정하기위한 표준난류모델 및 극한풍속모델 해석을 수행하였다. 50년 회귀주기의 10분-단위 극한풍속을 예측하기 위해 재생산된 8.5년의 월정 풍황을 검벨 분포로 해석하였다. 이에 의하여 결정된 풍력발전기 형식등급은 II A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도 서귀포시 도순동에 위치한 도순다원에서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차나 무 주요 해충으로 알려진 차응애, 오누키애매미충, 볼록총채벌레, 차잎말이나방, 동백가는나방의 발생 상황을 조사하였다. 이 다원 1982년 조성되어 2007년까지 관행재배 되었고, 2008년부터 유기재배를 실시하고 있다. 조사는 5개 블록에서 실시하여 각 블록당 5개소를 조사 하여, 5개소 합을 기록하 였으며, 조사 주기는 주 1회 실시 하였다. 차응애는 차나무 잎 뒷면의 기생 유무에 관찰하여 기생엽율 조사를 실시하였고, 오누키애매미충과 볼록총채벌레는 타락 법, 차잎말이나방과 동백가는나방은 페로몬을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차응애는 3월 초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4월 중순 ~ 5월말까지 밀도가 가장 높 게 나타났다. 7, 8월 장마기에 낮은 밀도를 보이다 9월부터 밀도가 증가하는 경향 을 나타내었다. 오누키애매미충과 볼록총채벌레는 4월 말부터 관찰이 되어 7월에 발생 피크를 나타내었으며, 11월까지 오누키애매미충과 볼록총채벌레가 관찰 되 었다. 차잎말이나방은 4월, 7월, 8월, 10월로 연 4회, 동백가는나방은 4월, 6월, 7 월, 8월, 9월로 연 5회의 발생 피크를 보였다. 최근 오누키애매미충과 차잎말이나 방의 발생이 다소 빨리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7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2007년부터 2008년까지 톱밥발효우분퇴비 시용수준에 따른 오차드그라스의 생산성과 질산염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난지축산시험장 조사료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시험처리는 화학비료 (CF) 200 kg/ha를 대조구로하여 톱밥발효우분퇴비 (CM)를 질소기준 50, 100, 200%를 두어 처리하였다. 건물수량에서는 2년 평균 CM 200%구가 20,177 kg/ha로 CF구 19,165 kg/ha와 비슷한 수량을 보였다. 처리별 평균 조
        4,000원
        7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수용과 전개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제주지역의 송국리문화는 금강유역에서 호남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주도에 송국리문화가 수용되고 전개되는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수용)는 A형의 송국리형주거지가 주로 축조된다. 토기는 재지계의 직립구연토기와 삼양동식 토기가 확인되며 외래계의 점토대토기와 흑색마연장경호 등이 동반 출토된다. 반면 석기는 편인석부, 일단병식석검, 편평삼각형석촉 등이 출토되고 있다. 1단계는 B.C.4~2세기경에 해당한다. 2단계(확산)는 주거지의 규모가 다소 축소되며 A형이 지속적으로 축조되지만 B형과 C형 등 다양한 형태가 출현하게 된다. 토기는 직립구연토기가 소멸하고 삼양동식토기가 일부 잔존하고 있으나 대부분 외도동식토기로 전환되는 단계이다. 이외에도 高杯型土器, 盤型土器, 토기뚜껑 등 새로운 기종이 출현한다. 석기는 식량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철기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단계는 B.C.1~A.D.2세기경에 해당한다. 3단계(전환)는 송국리형주거지가 일부 잔존하고 있으나 외도동식주거지로 전환되면서 소멸되는 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기는 이전 단계의 기종이 대부분 소멸하고 외도동식토기로 단일화되고 있으며 일부 마한계 토기가 동반 출토되고 있다. 석기는 2단계와 마찬가지로 식량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철제품이 급증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3단계는 A.D.3~4세기경에 해당한다.
        8,700원
        7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에서 무가온 하우스 재배시 아티초크의 정식시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Imperial Star'와 'Green Globe' 2품종을 사용하여 정식 시기는 전반기 5회(2월 25일~4월 30일), 후반기 6회(7월 30일~12월 15일)로 하였다. 전반기 정식에 있어서 화뢰 출현은 5~6월에 이루어졌는데 'Imperial Star' 품종이 'Green Globe' 품종에 비해 빨랐다. 첫 수확은 2월 25일 정식한 'Imperial Star' 품종에서 6월 16일로 가장 빨랐다. 수량은 전반기 정식의 경우 2월 25일 정식한 'Imperial Star' 품종에서 856kg/10a로 가장 많았다. 4월 15일 이후 정식에서는 두 품종이 모두 화뢰 출현이 이루어지지 않아 연내 수확이 불가능 하였다. 후반기 정식의 경우 화뢰 출현은 모든 처리구에서 이듬해 2월 하순~4월 중순경에 이루어졌으며 7월 30일 정식한 'Imperial Star' 품종에서 2월 26일로 'Green Globe' 품종에 비해 18일 빨랐다. 첫 수확은 4월 초순부터 가능하였으며 수량은 7월 30일 정식한 'Green Globe' 품종에서 2,127kg/ 10a로 가장 많았으며, 이후 정식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정식시기를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정식일에 따른 생육과 수량을 비교한 결과, 제주지역 무가온 하우스에서 아티초크의 연내 수확을 위해서는 2월 25일 정식이, 이듬해 수확을 위해서는 7월 30일~10월 15일 사이에 정식하는 것이 생육 및 수량성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정식시기가 전반기일 경우는 'Imperial Star' 품종을 후반기일 경우는 'Green Globe'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 되었다.
        4,000원
        7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symbols and visual expressions employed in the food culture content of official website designed to promote three cities in Korea, Seoul, Jeonju and Jeju, were subjected to semiotic analysis.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these websites reflected the varying perspectives of the people behind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se routes of Internet communication, and the semiotic choices made in order to exemplify each city’s food cultural imag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food cultural branding in the terms of the online content regarding Seoul, Jeonju, and Jeju with a focus on the comparative points in these cities’ official websites. This study included conducting semiotic content analyses of the aforementioned cities’ official web pages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food branding strategies used to differentiation and produce more favorable perceptions of these three cities. Building upon the findings drawn from this comparative study, the present work can be used to determine more effective ways of strategically differentiating the images of local food culture associated with these cities from the view of brand communications.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viable directions for designing web content for a city where the food cultural messages can be delivered in a thoughtful and effective manner.
        4,800원
        7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writing is to understand some trends and its meaning of Regionalism Architecture in Jeju Island since 1950's.This thesis began with an interestin the identity crisis implicitin the simultaneous striving formodernism and the so-called regionalvalues in Jeju Island.Regionalism is a response in architecturalterms to re-establish continuity in a given place between pastand presentforms,and also a uniqueresultrelated to particularplaces,culturesand climatesin region.Thisisone wayoflookingattheissuesofregionalidentity. Thestudy began by observing thegeneralcharacteristicsofcontemporary ideason Regionalism inJejuarchitecture.Thismeansthattracingthehistoryofdevelopmentof Regionalism architecture in research area is notthe focus ofthis thesis.The thesis demonstratesthatRegionalism architecturesin Jeju showssometrendsrelated to the local cultural elements (or ideas) such like traditionalarchitectural forms,natural environment,local construction-materials,etc.In summation,in the perspective of Regionalism architecture,mostofbuildingsin Jeju bring outthem only asvernacular architectureasitwasonceproduced,by thesimplecombination andimitation without anycreativeinteractionoftheregionalculture. Istressthe pointin thispaperthat,in overthelastfifty years,therehavebeen very narrowed attemptstodesign theregionalvaluesin themain,and alsopointout thatthereareproblemsinthemannerinwhichlocalarchitectshavegoneabouttrying to define the regional themes.So,a grate dept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phenomenonthatJejuareaiswithitsvariousnuancesoftraditions,art,culture,climate and lightand then to reinterpretitinto the modern building type with allthe high sense.In addition to that,someconclusionsarereached on futuredirectionsand the significanceofthestudy.
        4,900원
        7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년 6월 23일부터 6월 29일까지 제주도에 위치한 말 목장의 방목지에서 말의 연령에 따른 군별 행동양식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마는 육성마군 3세 11두, 육성마군 1세 12두를 대상으로 행동을 조사하였다. 연령에 따른 행동의 차이가 약간 나타나 육성마(1세) 군에서는 채식이 56%, 기립 23%, 횡와 10%, 보행 5%, 러닝 2.5%, 음수가 3%였다. 육성마 1세의 3두의 개체별 행동발현은 개체차이가 나타났으며 비율의 평
        4,000원
        7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주마 생산 육성에 중요한 종빈마의 패독과 방목지에 있어 군별 및 개체별 행동양식을 조사하여 경주마 사양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목 중인 포유 종빈마군에서는 채식이 62%, 기립 휴식이 31%, 음수가 3%, 횡와 휴식이 1%, 보행이 1%, 수유 행동은 2%가 발현되었는데 러닝은 발현되지 않았다. 포유 종빈마 개체별(3필) 행동발현비율의 평균은 채식이 295분으로 55%, 기립 휴식이 193분으로 36%, 보행과 음수가
        4,000원
        7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의 주아재배를 통한 우량종구 생산을 위하여 주아크기, 파종시기, 재식거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남도마늘 주아는 클수록 출현이 빠르며 엽수, 엽폭, 초장의 신장이 좋은 편이며 단구크기도 커졌으나 단구형성율은 떨어졌다. 특히 단구형성율은 남도마늘 주아 0.1g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주아 크기가 클수록 낮아졌다. 대서마늘 주아는 남도마늘 주아에 비해 발아와 생육이 빠른 편이나 단구형성율이 낮고 단구크기가 작았다. 대주아 파종간격에 따른 생육은 파종간격이 넓을수록 엽수가 많고 엽폭도 넓었으며 구크기와 인편크기도 커졌으나 처리에 관계없이 단구형성율은 현저히 떨어졌으며 분구된 인편중 10×15cm처리구에서 3g이상 인편이 많고 경제성도 있어서 대주아를 이용한 인편 생산가능성이 있었다. 남도마늘 주아의 경우 9월 11일 파종구에서 수확주율, 단구형성율, 수량이 가장 많았다. 대서마늘의 경우 주아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수확주율이 많았지만 단구크기는 작아졌으며 단구형성율은 처리에 관계없이 낮아서 제주지역에서 재배는 적합하지 않았다.
        4,000원
        8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analyzed the body shape perception, weight control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of 529 high school students in Jeju surveyed from January 14-18, 2008 according to students' body shape satisfaction,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nutritional education data to aid in appropriate weight control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he body mass index (BMI) of subjects was in the normal range. With regard to weight distribution, 59.4% of subjects showed normal weight and girls were significantly more underweight than boys. More girl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fatter than boys and tended to be increasingly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Both boys and girls were more interested in weight control for obesity and were significantly less satisfied with their body shape. Efforts at weight control and reduction had occurred significantly more often for girls than for boys. Dietary attitud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than boys. BMI positively correlated to weight control concern and nutrition knowledge positively correlated to dietary attitude. BMI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body shape satisfaction, which in turn negatively correlated to food ingestion disord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nduce changes in dietary behavior and increase accurat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body shape.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