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

        63.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nitary management status of chlorine sterilization methods used for raw fruits in a school foodservice, and to suggest basic data for sanitary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raw fruits. A questionnaire form predicated on HACCP standards was developed and utilized for self-reported evaluations of dietitians regarding their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57 dietitians that were employed in school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foodservi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packag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eemed necessary that optimized sterilization and washing methods for good microbiological safety and quality of strawberries and bananas in school foodservice should be determined. Some strategies for future improvement were also suggested. They included the following: (1) Improvement of policy for assuring the quality of raw fruits by designing some sanit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raw fruits; (2) Strengthening the research and accumulation of background data regarding methods for the sanitation of raw fruits; (3) Enforced improvement of personal hygiene for dietitians and employees; (4) Use of a variety of methods in sanitary education and employee training.
        4,300원
        66.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ational Wealth Survey Method has been used to estimate capital stocks in Korea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every 10 years.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huge amount of time and money. Since the Benchmark Year Method also has similar
        4,300원
        67.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cological methods were reviewed through report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damage effect of fishery in the Korean watershed. Survey items in marine ecological field were included: phytoplankton, zooplankton, benthic animal, algae, adult
        4,200원
        68.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000원
        74.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paration method for traditional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at home were surveyed by 1,436 housewives through the country by premade questionnaires. The kochujang meju (Korean style soybean Koji for kochujang) were made by solely soybean (45.3% of respondents) or soybean with rice (26.3%) from September to November (52.2%) or December to February (32.7%). The shape of meju was either doughnut (28.4%) or brick (25.6%) type. Kochujang making seasons were either from March to May (56.6%) or December to February (25.0%) and it was prepared in proportion of mostly 6~10% meju powder (32%) with over 20% of red pepper powder (57.2%) prepared by seed removed dry red pepper. Subsidiary ingredients for kochujang making were boiled waxy rice (73.5%), malt (33.3%), corn syrup (18.9%) or corn syrup with malt (21.9%). After mixing all ingredients, kochujang in clay pot were occasionally exposed to the sun for fermentation for 3~4 months (35.0%) or 1~2 months (34.7%).
        4,000원
        75.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 충청도 및 강원도 지역의 김장김치 담금방법을 알고자 203개 가정에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 3지역에서 김장김치류중 배추김치는 95%이상 남았는데 배추선택시 결구도를 가장 중요시 하였다. 배추는 천일염을 주로 사용하여(66∼78%)소금물에 적신 후 다시 소금을 뿌려 약 7∼10시간 동안 절였다. 김치숙성시 서울과 충청도는 배추상태가, 강원도는 양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김치보관은 70%이상이 김치 항아리를 이용하였는데 김치보관용기와 주거형태(단독 및 아파트)간에는 x^2=49.87(P<0.000)로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000원
        76.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jor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rvey vegetables, meats, seafoods, processed foods and imported foods for the presence. of Listeria spp. and to prevent listeriosis caused by the contamin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Listeria spp. was isolated from 6.0% of meats, 3.4% of seafoods, and 11.4% of imported foods but was not found in vegetables and processed foods. The optimum growth condition of isolates indentified as Listeria monocytogenes was pH 7.0 and 37℃. The antimicrobial effect of grapefruit seed e×tract (GFSE) was observed in the level of more than 100ppm by disk method. When lml(2.5× 10^6 CFU/ml) of Listeria monocytogenes was inoculated and incubated for 3 days at 30, the total cell number of the organism was 4.5 × 10^9 in the control, 7.2 × 10³ in 100 μg/ml of GFSE medium, and 3.5 μg/ml of GFSE medium. Direct visualization of microbial cells by using bo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howed microbial cell membrane the function of which was destroyed by treating with the dilute solutions of GFSE. It could be confirmed that GFSE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the test strain of Listeria monocytogenes.
        4,000원
        78.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남북, 경남북, 충남북, 강원도 지역에서 유과를 가정에서 만들어 먹는 사람을 대상으로 미리 만들어진 설문에 의하여 유과 제조방법을 조사한 결과 설문지 151건을 회수,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유과용 원료는 절대 다수가 찹쌀(96.3%)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제조의 첫 단계로 수침시간은 조사자의 47.5%가 2~5일로서 근래 밝혀진 수침시간보다는 길었고,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분쇄방법은 주로 떡방아간에서 가루내었고 가루를 반죽하는 데는 쌀가루와 물의 비율이 2~4.5 : 1로 상당히 되게 반죽하였다. 첨가물로는 설문 응답자의 1/3 이상이 술, 콩, 베이킹파우다를 넣고 있으며, 콩과 술을 넣는 빈도가 가장 높았고 전북지역에서 첨가물 종류가 많았다. 반죽의 찌는 시간은 김이 나오기 시작하여 15~35분이 32.3%이었고 충분히라는 경험적 방법(45.1%)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꽈라치기는 반수 이상이 절구통을 이용하였고 나머지는 집에서 쉽게 구하는 용구를 사용하였다. 반데기의 두께는 2~3mm에 크기는 10×10~15cm가 많았고 같은 두께에 크기만이 다른 경우가 다음이었고 호남쪽이 영남쪽보다 큰 경향이었다. 건조방법은 응답자의 82%가 아랫목에서 건조하고 건조 정도는 끊어서 바삭 부서질 정도(44%)로 경험에 의해서 건조 정도를 정하였다. 튀김기름은 77.5%가 대두유를 사용하였고 튀김 용기는 후라이팬(40.8%), 솥(24.5%)를 주로 사용하였다. 튀김매체는 식용 기름 외에 가열 모래(28건), 직화(5건), 가열 자갈(3건) 등이 이용되었고 전북과 경남지역에서 이런 사례가 많이 수집되었다. 집청은 주로 물엿(55.0%)과 조청(20.8%)을 사용하였고 매화(찰벼튀김), 밥풀튀김, 깨를 바르거나 잣, 참깨, 대추 및 밤과 같은 견과류, 곶감, 석이버섯 등으로 모양을 내고 있었다.
        4,000원
        79.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oundwater quality through livestock excreta survey based on “Act of the management and use of livestock excreta” was investigated by selecting sampling sites within 1 km of the farmland without considering hydrogeological units. However, these sites can be affected by various pollution sources such as chemical fertilizers and livestock excretion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pollution sources on groundwater quality in the sites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naturally occurring backgrounds. In this study, a method was developed to select the sampling sites for groundwater quality through livestock excreta survey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ollution sources especially livestock excreta. First, the concentrations of nitrate within the radius of 200 m, 300 m, 500 m and 750 m, respectively, from the farms regarded as pollution sources in hydrogeological units were compared in 2016-2017. All the nitrate concentrations at 200 - 500 m from the farms exceeded a background concentration, 13.3 mg/L. Those at 750 m and the background concentrations measur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comparable. Therefore, the appropriate radius was suggested as 500 m for livestock excretions survey. In this study, the areas within 500 m from the farms could be considered under the influence of livestock excretions, while those beyond 500 from the pollution sources as background in hydrogeological units. The developed method was validated by applying it to the sites selected based on both administrative divisions and watersheds for livestock excretion survey. The average densities for the developed method were 0.82 and 0.39 points/km2, respectively, which were considered as appropriate levels according to those of the European Environmental Agency.
        80.
        2017.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폐기물 통계조사’는 폐기물 관리법 제 11조에 의거 매 5년 단위로 수행되고 있으며, 폐기물의 종류별 발생 및 처리현황과 폐기물 발생원에 따른 발생 원단위 등의 조사가 이루어진다. 본 통계조사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등 폐기물관련 계획수립에 필요한 자료와 관리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통계조사는 크게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로 구분되며, 사업장 폐기물은 배출시설계 폐기물, 지정폐기물, 의료폐기물, 건설폐기물로 나누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폐기물에 대한 분석연구를 실시하였다. 통계조사는 현재 4차 조사까지 완료되었고, 5차 조사가 진행 중에 있으며, 1차, 2차, 4차(3차는 발생원단위를 산정하지 않아 제외)조사를 비교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였고 5차 조사에 반영하였다. 조사방법을 보면, 1차와 2차는 우편을 통한 표본조사 방식이고, 4차와 5차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운영하는 “올바로시스템”을 통해 실적보고 자료를 전수조사하고 경제데이터는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임의수집 하는 방식이다. 경제데이터가 의무가 아닌 임의적으로 확보가 되었기 때문에 확보된 사업체 데이터를 표본으로 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추가적인 통계적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무응답 조정 가중치 등 통계적 객관성을 높이는 작업을 하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변동계수(CV)와 관측치를 산출표에 별도로 표기하여 사용자들이 데이터의 신뢰도를 판단,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산업단지 관련, 환경영향평가서를 작성하는 실제 이용자들로부터 4차 조사의 배출시설계폐기물 발생원단위가 과대평가되었다는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배출시설계 폐기물의 경우 산업단지와 일반 사업체를 구분하여 원단위를 산정하여야 하고 규모별 원단위를 구해 환경영향평가 등에 활용됨에 있어 오류를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건설폐기물의 경우 다년도 공사와 단 년도 공사를 구분하고, 현재 건설폐기물 원단위 이용 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건설표준품셈의 폐기물 분류기준을 적용한다면 보다 좀 더 활용도 높은 원단위 산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실적보고를 통해 배출량은 의무적으로 전체 사업체가 제출하고 있지만 종사자 수, 면적 등의 경제데이터는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원단위 값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추가확보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실적보고 제출 시 종사자 수, 면적 등을 의무적으로 기입하도록 법이 개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