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

        61.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vinyl acetate)와 poly(vinyl acetate-co-2-ethylhexyl acrylate)를 여러 조건에서 semicontinuous emulsion 중합으로 합성하였다. Overall conversion, emulsion 입자크기, pH, 점도 등을 합성한 두 emulsion polymer에 대해 측정하였다. Vinyl acetate monomer에 2-ethylhexyl acrylate를 도입함으로서 emulsion 입도, 점도, 중합 속도, 유리 전이 속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62.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 소재로 역삼투막을 제조하여 각종 제막조건에 의한 막성능에 미치는 영향인자를 조사하였다. 제막 용액조성으로 CA, formamide, acetone과 2-methoxyethanol을 사용하여 평판형 막을 만들고, 투과유속 및 배제율을 측정하였다. 특성 측정 인자로서 고분자 농도, 증발시간, 열처리 온도 및 처리 시간, 조작압력, 공급액의 농도 등을 변화시켜 막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제조된 막을 사용하여 역삼투 모델식에 적용하여 각각의 파라메타를 계산하였다.
        4,000원
        63.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utamate로부터 glutamine으로 전환하는 효소인 glutamine synthetase는 cofactor로서 ATP를 요구하는 endergonic reaction이므로, glutamine 전환반응에 요되는 ATP의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서 acetate kinase에 의한 ATP 생성계를 도입하였다. Glutamine synthetase의 효소윈으로 사용된 미생물은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이 강화된 E. coli K-12로 부터 사용하였으며, acetate kinase는 E. coli K-12로 부터 부분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Acetate kinase에 의한 ATP 생성계를 도입한 glutamine 전환반응의 최적조건은 100mM glutamate, 100mM NH_4Cl, 50mM acetyl phosphate, 5mM ADP, 40mM MgCl_2, 30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7.5) 5mM MnCl_2, 70units/㎖ glutamine synthetase, 99units/㎖ acetate inase이었으며, 상기의 최족조건하에서 6시간째 98%의 최대전환율을 나타내었고 이때 생산량은 14.3g/ℓ 이었다.
        4,000원
        64.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너지 요구 반응인 NADP 전환 반응계에 acetate kinase에 의한 ATP 생성계를 도입하여 NAD의 NADP로의 효율적인 전환을 시도하였다. 전환 균체는 세포막 투과성 향상을 위하여 toluene 처리 후 동결 건조한 B. ammoniagenes Cells를 사용하였으며, 전환 균체의 고정 화 담체로는 3% k-carrageenan을 사용하였다. 한편 ATP 생성계 효소인 acetate kinase는 E. coli로부터 추출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전환 반응의 최적 온도 및 pH는 각각 37℃, pH 7.5였다. 또한 10mM acetyl phosphate, 5mM ADF, 200mM inorganic phosphate, 10mM MgCl_2, 고정화 균체 250㎎/㎖ , acetate kinase 49.5mUnit/㎖에서 가장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상기 최적 조건하에서 12시간 전환 반응시 5mM (340㎎/㎖)NAD가 3.6mM NADP로 전환되어 약 72%의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4,200원
        65.
        196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 있어서는 phenylmercuric acetate에 못지 않은 살균력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phenylemercuric 8-oxyquinolinate를 phenylmercuric acetate 와 대비시켜 벼 고마엽고병균 에 대하여 먼저 균체의 건물량에 의한 균사발육 효과를 확인하고 포자 및 균사의 호흡 저해효과를 검토한 바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균사발육 억제효과를 보면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는 phenylmercuric acetate보다 약간 떨어지나 현저한 차이는 없으며, 양자 모두 0.01ppm부터 1.0ppm까지의 사이에서 급격히 발육 억제효과가 증가한다. (2) 포자효흡 저해작용은 0.1ppm을 제외하고는 phenylmercuric acetate가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보다 약간 강하나 뚜렷한 차이는 인정할 수 없으며 0.01ppm에서는 거의 저해효과가 없는 듯하다. (3) 균사호흡 저해작용은 포자호흡과는 반대로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 가 phenylmercuric acctate 보다 강하며, 또한 그 차도 커서 약 쯤 된다. (4)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의 포자발아 억제효과는 phenylmercuric acetate와 동정도이거나 약간 높으며, 균사발육 억제효과는 phenylmercuric acetate보다 낮음이 명백하다.
        4,000원
        66.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련초는 열대 및 아열대 지방에 서식하는 국화과 한련초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살무사 독에 대한 해독효과, 항산화효과, 발모효과, 상처치유효과 등의 효능들이 확인된 바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한련초의 항산화 및 항노화효과를 확인하여 피부보호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련초를 5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과 이를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지표인 FSC50과 OSC50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OSC50은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L-ascorbic acid 보다 2.7배 이상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시료의 세포 내 활성산소 종 소거능과 H2O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1O2으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 광용혈에 대한 지연효과의 평가에서 64 μ g/mL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적혈구 광용혈의 소요시간을 6배 이상 지연시켜 한련초의 우수한 항산화능을 반영해주었다. 한련초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s68에서 추출한 엘라스타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16 μ g/mL의 두 시료 모두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각각 6.8%와 14.0% 억제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련초가 식품 또는 화장품 등의 소재로 사용됨에 있어 화학적 방부제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항균실험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그람 양성 균주 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mehyl paraben과 동등하거나 더 뛰어난 항균활성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통해 한련초는 피부보호 소재 또는 천연방부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천연소재라 생각되며,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67.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이오가스의 고질화 공정에서는 필수적으로 메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기체분리막을 이용한 바이오가 고질화는 타 공정에 비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메탄 손실율이 높은 편이다. 메탄 손실율이 줄이기 위해서는 고선택도의 분리막 모듈이 요구된다. 분리막을 이용한 바이오가스 고질화 공정에서 메탄손실율이 높은 이유는 CO2에 의한 가소화(Plasticization)으로 CH4의 투과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Cellulose계열의 고분자는 CO2 가소화에 대한 영향이 적기 때문에 CA(Cellulose Acetate)를 사용하여 고선택도의 분리막 개발이 가능하다. 따라서, 투과도가 높은 막을 개발하기 위해 도프용액의 농도와 에어갭(Evaporation time)을 변화시키면서, CA의 두께와 기공을 조절하여, 고선택도의 CA 분리막을 제막하였다. 비용매 유도상 분리법(NIPS,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을 이용하여 제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Eastman사의 CA를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도프용액은 다성계로 중합체(polymer), 용매(solvent), 비용제(nonsolvent)를 혼합하여 분리막을 방사하였다. C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active layer 층이 두꺼워지므로 분리막의 선택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CA함량이 증가할수록 support layer의 다공층이 줄어들게 되고 active layer층이 두꺼워지므로 투과도도 함께 줄어들게 된다. CA 21wt%에서의 메탄의 투과도와 선택도는 1.3 GPU 및 33.0이였으며, CA 25wt%에서의 메탄 투과도와 선택도는 0.1 GPU 및 43.6으로 고선택도 분리막을 제막하였다.
        68.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skin-whitening effect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sprout extract, antioxidant activity,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 were examined. Total phenolic content (246.25 ㎎ G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 (303.94 ㎎ RE/g)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Adenophora triphylla sprout (EFA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than other fractions (n-hexane, chloroform and distilled water). Antioxidant activities of EFAT has been evaluated using AB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AP and inhibitory effect of lipid peroxidation. EFAT showed excell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n MDA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s a major enzyme of melanin synthesis was also measured. In these results, EFAT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 against L-DOPA (51.27%) than L-tyrosine. IC50 value on α-glucosidase was 41.93 ㎍/㎖. In B16/F10 melanoma cells, EFAT inhibited melanin synthesis at 200 ㎍/㎖ concentration (about 42% decrease). Finally, main physiological compounds of EFAT were identified as a rutin and a chlorogenic aci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69.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물인 후박(Magnolia obovata Bark, M. obovata Bark)을 에탄올 추출 및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 분획한 분획물이 피부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미백 화장품 원료 소재로서 가능 성을 확인하였다. 후박의 에탄올 농축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하여 유효물질 honokiol을 HPLC로 정량하였다.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in vitro 미백활성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외 멜라닌 분비를 감소시켜 IC50 = 11.05 μ g/mL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에 독성을 가지지 않는 최대농도인 12.5 μ g/mL 처리 시 최대 약 60%의 멜라닌 분비 억제로 세포 외로 분비되는 멜라닌의 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α-MSH (50 nM) 처리한 그룹과 비교하여 IC50 = 10.85 μ g/mL로 우수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세포에 자극이 되지 않는 최대농도인 12.5 μ g/mL 처리 시 최대 약 59%의 멜라닌 생성 억제를 확인하 여 세포 외 멜라닌 분비 뿐만 아니라 세포 내에 존재하는 멜라닌의 양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α-arbutin의 경우, IC50 = 59.99 μ g/mL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양성대 조군 α-arbutin과 비교하여 우수한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임상연구의 경우,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적용한 화장품 크림은 (주)대한피부과학연구소(KDRI) 윤리위원회의 IRB 승인 (KDRI-IRB-1536) 후 반복 첩포를 통한 인체 누적첩포시험을 진행하여 무감작 물질로 확인하였다. 또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적용한 화장품 크림은 대조군 대비 국소적 미백효과와 신뢰성 있는 피부 안전성을 보 여주었다. 최종적으로 후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 충분 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7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ether produced endogenously as a consequence of normal cell functions or derived from external sources, pose a constant threat to cells living in an aerobic environment as they can result in severe damage to DNA, protein, and lipids. The effects of Valeriana fauriei extract and fraction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neuronal cell damage are studied. Methods and Results : Oxidative str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logical proces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Valeriana fauriei extract (VFE) and EA fractions (VFEA) was investigated total phenolic contents using method. VFE of total phenolic contents had 2.54 ± 0.01 mg/g, also, VFEA had a 18.78 ± 0.03 mg/g. High phenolic content of the VFEA is expected to better the inhibition of oxidative stress. VFE and VFEA were experimented to inhibit ROS induced 200 μM 3-morpholinosydnonimine (SIN-1). VFE of inhibit SIN-1 induced-ROS dose dependently and signficantly. In addition, VFEA inhibition was also dose dependant and significant. Moreover, Treatment of SH-SY5Y and SK-N-SH cells with VFEA significantly reduced hydrogen peroxide-induced generation of intercellular ROS.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VFEA might have useful as a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s for the pathological proces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71.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of ethyl acetate fractions extracted from Cone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were investigated to find utilization of Cone, by-product of Red Pine, thrown out after berry shatter, as a new natural plant resource. Cone from P. densiflora was extracted with methanol (MeOH) and separated to petroleum ether,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 Among them, ethyl acetate fraction was use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conducted by the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2, 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 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Fe 2+ chelating assay and reducing power assay. The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was determined by DNA cleavage assay using φX-174 RF I plasmid. The results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200 ㎍/㎖ of extracts were 86.50% and 95.80% respectively, which were similar figures compared with L-ascorbic acid as control. Fe 2+ chelating activity was 77.96% and reducing power was 0.77 at 200 ㎍/㎖. Total phenolic component was 27.29±0.3 ㎎/g and Vitamin C content was 1.84±0.1 ㎎/g. Also ethyl acetate fraction from Cone has inhibitory effect, using φX-174 RF I plasmid on DNA cleavage assay. In conclusion, Cone, by-product of P. densiflora,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Cone, useless by-product, can be developed as a new natural plant resource with lots of utilization such as an effective antioxidant, natural medicine, food, cosmetics and so on.
        72.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describes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crosorium yendoi Yamada extracts. A. yendoi Yamada was extracted using 80%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sequentially with n-hexane, ethyl acetate and butanol. To screen for anti-inflammatory agents effectively, we first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80% EtOH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A. yendoi Yamada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and cytokines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80% EtOH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A. yendoi Yamada on pro-inflammatory mediators (NO, iNOS, PGE2, and COX-2) in RAW 264.7 cells. In the sequential fractions of n-hexane and EtOAc inhibited the NO and PGE2 production and the protein level of iNOS and COX-2, and protein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and IL-6).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yendoi Yamada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flammatory factors and may be provided as possible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seaweed.
        73.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single n-pentane, n-pentane mixed with methyl ethyl ketone (MEK), and n-pentane mixed with ethyl acetate (EA) by cylindrical UV reactor installed with TiO2-coated perforated plane were studied. The effects of the residence time, the inlet gas concentration,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The removal efficiency of n-pentan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let concentration of n-pentane. Th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rates of single n-pentane, n-pentane mixed with MEK, and n-pentane mixed with EA fitted well on Langmuir-Hinshelwood kinetics equation. The maximum elimination capacities of single n-pentane, n-pentane mixed with MEK, and n-pentane mixed with EA were obtained to be 465 g/m3․day, 217 g/m3․day, and 320 g/m3․day, respectively. The presence of coexisting MEK and EA vapor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n-pentane and the negative effect of MEK was higher than that of EA.
        74.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rganic solvent is used in many industries. Generation of waste organic solvent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 2009 years total domestic production organic solvent is in use 21% total designation waste production with 682 thousand tons. processes of a waste organic solvent and management issue is increasing in advanced countries. To resolve this problem,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a batch distillation column purification to propose alternative.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 refinement recovery characteristic of simple distillation and 10-stage distillation tower. It grasps a characteristic regarding refinement recovery of the waste organic solvent (Propylene Glycol Mnomethyl Ether Acetate)PGMEA which occurred at LCD processes through study of a hundred steps of distillation tower. In this study, the evaluate scale-up separation characteristics difference using 10-stage and 100-stage batch distillation column. The actual process of making a demonstration plant appointed by using waste organic solvents of high purity propose a method for recycling.
        77.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nufacture an efficient activated carbon fiber (ACF) assemblies filter. Cellulose acetate and phenolic resin were dissolved in acetone and coated on a 2 cm-long and 2 cm-wide stainless steel mesh. Various concentrations of cellulose acetate and phenolic resin in acetone solution were examined for the extent of coating on the stainless steel mesh using a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a surface area analyzer (BET) and a microscope. As a result, the best quality of coating on the stainless steel mesh was obtained with 2 wt,% cellulose acetate and 10 wt,% phenolic resin in acetone solution. The ACF filter was also impregnated with ZnCl2, KOH, H3PO4 and Na2CO3, respectively to enhance its adsorption capacity. Iodine number increased by impregnating with the chemical compound in the following order: KOH > ZnCl2> Na2CO3> H3PO4. Iodine numbers for the ACF filters impregnated with ZnCl2 (ACFz) and KOH (ACFK) were found to be 972 ~ 1,117 mg/g and 987 ~ 1,183 mg/g respectively.
        78.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에 작용하는 아크릴 코폴리머의 화학반응을 통해 강한 점착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친환경적인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를 이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복합공법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실험 방법으로 1차로 실리케아트계 침투성 방수제를 도포 한 후, 2차로 PVAc를 혼입한 모르타를 도포한 후에 부착강도 및 흡수량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현장 적용을 위한 Mock-up 부재를 제작하였고, 이 시험 부재에 대하여 복합공법을 적용한 후 실내 시험과 동일한 성능을 검토하였다. 또한, 탄산화 및 염소 이온 침투저항성 평가를 실시하여 내구성이 취약한 환경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 하였다. 그 결과 PVAc를 이용한 복합공밥을 적용한 시험체가 수밀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부착강도 또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이 Mock-up 부재에 대한 성능평가에서 실내 시험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며, 압축강도 시험결과 보강 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탄산화 및 염소 이온 침투저항성 내구 성능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지하구조물 및 해양구조물 등과 같은 취약한 지역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7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work aimed to elucid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Cnidium officinale Makino with a cellular system of LPS-stimulated RAW 264.7 and THP-1 cells. Some key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ediators including NO, iNOS, PGE2, COX-2, TNF-α, NF-kB p50 and NF-kB p65 were studied by sandwich ELISA and western blot analysis. Ethyl acetate fraction could significantly inhibit the production of NO, PGE2, TNF-α, iNOS and COX-2 in LPS-stimulated cell than that of single LPS-stimulated. And ethyl acetate fraction suppresses the activation of NF-kB p50 and NF-kB p65. All the results showed that ethyl acetate fraction had a good anti-inflammatory effect on LPS-stimulated RAW264.7 and THP-1 cells. Taken together, the anti-inflammatory action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Cnidium officinale Makino might be due to the down-regulation of NO, PGE2, TNF-α, iNOS and COX-2 via the suppression of NF-kB activation.
        80.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과 의약품 분야에서 항산화 물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용성 비타민인 vitamin E acetate(VEA, tocopheryl acetate)를 이용한 스킨토너 제형의 나노 입자 크기의 에멀젼을 제조하고, 이 에멀젼을 이용해 ICR outbred albino mice (12주령 약 50 g, 암컷) 피부로의 VEA 침투와 receptor phase 조성에 따른 VEA의 용해도 차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VEA를 0.07 wt% 함유한 nano-emulsion의 입자는 에탄올(ethanol, EtOH) 함량이 많을수록 그 크기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계면활성제 함량이 많은 경우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Receptor phase에서 적절한 EtOH 함량이 VEA의 용해도를 증가시켰다. EtOH 함량이 5.0, 40.0 wt%인 경우보다 10.0, 20.0 wt% 일 때 VEA의 용해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Receptor phase의 계면활성제 종류 역시 VEA 용해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구조와 HLB값이 다른 세 가지 계면활성제를 비교한 결과 sorbitan sesquioleate (Arlacel 83; HLB 3.7) > POE (10) hydrogenated castor oil (HCO-10; HLB 6.5) > sorbitan monostearate (Arlacel 60; HLB 4.7)순으로 VEA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Receptor phase에 첨가된 산화 방지제 종류에 따라서도 VEA의 용해도는 차이를 보였다. Ascorbic acid를 함유한 시료는 EDTA-2Na가 첨가된 시료보다 VEA 용해도가 높았고 이 두 가지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시료와 초기에 비슷한 용해도를 보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상이 달라져 최종 24 h 뒤에는 2배 정도의 높은 용해도를 보였다. 네 가지 다른 함량의 VEA 함유 nano-emulsion을 이용하여 쥐 피부 Franz diffusion cell 실험을 수행한 결과 EtOH 함량이 10.0 wt%인 경우에 128.8 μg/㎠으로 VEA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이것은 초기 VEA 투입량인 220.057 μg/㎠과 비교하여 58.53 %가 투과된 것으로 EtOH 함량이 1.0, 20.0 wt%인 에멀젼과 비교해 볼 때 각각 45 %, 15 %씩 높았다. 동일한 EtOH 농도로 제조한 에멀젼과 비교했을 때, 0.5 wt%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계면활성제 0.007 wt% 에멀젼 입자 크기의 1/20 정도인 26.0 nm로 매우 작았다. 하지만 쥐 피부를 투과하는 VEA의 양은 54.848 μg/㎠ 로 128.8 μg/㎠ 의 투과량을 보인 0.007 wt% 계면활성제 함유 에멀젼보다 적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VEA를 함유한 nano-emulsion의 피부 투과도와 receptor phase 조성에 따른 VEA의 용해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이용하여 VEA를 피부 내로 침투시키는 데 필요한 최적의 조건을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