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8

        61.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prom ising japonica rice variety resistant to brown planthopper(Bph) through marker-assisted selection(MAS) and backcross breeding methods. 'Milyang 64' which is known as resistant japonica variety to Bph used as a
        62.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to brown planthopper (Bph) and some agronomic characters of rice using two japonica RILs (F4) of Milyang 95/Milyang 64 and Milyang 165/Milyang 64. Culm len
        65.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ponses of some agronomic traits to the different cultural environments and relations among the agronomic traits for selecting sesame varieties with higher cultural stabilities. The indexes for stability parameters measured were coefficient of variability, heritabilities, genetic correlations and path coefficients of agronomic traits according to locations and years in Korea. The heritabilities of agronomic traits showed different by locations and years. Number of seeds per capsule and 1000 seeds weight showed higher heritabilities, but stem length and seed weight per plant showed relatively lower heritabilities. Average heritabilities of some agronomic traits in 1998 were comparatively higher than those of 1999. Of six areas, Jinju area showed biggest coefficient of yield variability in 1998-1999. Iksan and Taegu areas showed higher heritabilities in 1998, but Iksan and Jinju areas showed lower heritabilities in 1999. Genetic correlations were slightly higher than corresponding phenotypic correlations. Stem length showed posi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seed weight per plant and the number of capsule per plant showed positive genetic correlation with seed weight per plant. On the analysis of path coefficients, stem length and number of capsules effected highly on grain yield. Great regional variations were observed on the effects of agronomic traits on grain yield. Higher direct effects of stem length on grain yield were observed at Suwon, Chungwon, Taegu, Jinju and Naju areas, but in Iksan area was observed higher direct effect of the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on grain yield in 1998. In 1999, higher direct effect of stem length on grain yield was observed at Chungwon and Suwon areas. Iksan and Taegu areas were also observed higher direct effect of the number of capsule per plant on grain yield.
        66.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호위축병(BaYMV) 상습 발병지에서 쌀보리인 백동을 공시하여 건전주와 이병주의 농업형질 등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호위축병에 이병된 주는 건전주에 비하여 SPAD 값이 13.7정도 낮은 값을 보였으며, 출수는 10-11일정도 지연이 되었고, 건물중이 75%, 간장은 68%, 수수가 49% 감소하였다. 2. 이병주의 절간장 감소는 이삭을 제외한 상부로부터 제1-6절간에서 나타났으며, 그 중 제3-5절간장에서 감소율이 75-80%로서 가장 켰다. 3. 보리호위축병에 의하여 망장이 17-19%, 입수가 47%, 천립중이 60%, 주당 입중이 78% 감소하였으며, 종실에서는 폭과 두께에서 감소되었고, 종피색의 색도에서는 명도는 낮았으나 적색도는 높게 나타났다.
        67.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ee different male-sterile cytoplasmic lines and their common maintainer 'Zhenshan 97B' and two elite restorer lines were used to study cytoplasmic effects on agronomic trait manifestation per se under different nitrogen supply levels. The result showed that cytoplasmic effects could be modified by nitrogen environments. The cytoplasmic effect on grain yield under 150 kg N/ha varied depending on crosses, while it was significantly negative in most crosses under both 60 and 330 kg N/ha. The correlation and path-coefficient analyses suggested that it was expected to improve cytoplasmic effects through reducing maximum tillers and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productive tillers, leading to increased productive tillers and higher yield in hybrid rice by the aid of cultural practice and genetic transforma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same cytoplasm in different combinations had differential effect under the same nitrogen environment, indicating that cytoplasmic effect was produced by interaction of nuclear genes with cytoplasm rather than cytoplasm per se. These results indicated the usefulness of evaluating diverse cytoplasmic sources in various nuclear genotypes bred for hybrid rice breeding program. The finding also suggested that negative cytoplasmic effect could be effectively overcome by elite restorer lines through the interaction of nuclear genes with female cytoplasm.
        68.
        199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엽장, 엽폭, 엽의 크기와 엽형지수 등 소엽(leaflet) 형질의 변이와 8개 농업형질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도 대만에서 가을에 재배된 콩 유전자원 884 품종의 특성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던 바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 유전자원들의 소엽 형질들의 변이를 보면 엽장은 4.3~14.7cm, 엽폭은 2.8~9.7cm에 분포하였으며, 엽의 크기(엽장 엽폭)는 12.1~124.6cm2 였다. 2. 엽장, 엽폭과 엽의 크기의 절대적 변이는 단일에 따른 영양생장량의 제한 때문에 크지 않았다. 또한 국제식물유전자원위원회(IBPGR)의 기준에 따른 분류시 엽의 크기가 대에 속하는 것은 없었다. 3. 엽형지수는 1.21~3.06의 변이를 보였으며 3품종은 피침형에 속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난형 또는 중간형에 속하였다. 4. 엽장, 엽폭, 엽의 크기, 엽형지수의 범위와 평균은 온대품종군과 열대품종군간과 품종군내에서 차이가 있었다. 5. 엽장, 엽폭, 엽의 크기와 엽형지수는 100립중을 제외한 7개 형질과 고도로 유의한 정상관을 보였고 100립중과는 엽장, 엽의 크기 및 엽형지수와 고도로 유의한 부상관을 보였다. 6. 소엽 형질들의 농업형질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소엽 형질간에 변이가 컸으며 엽장, 엽폭과 엽의 크기는 개화일수, R1 기 와 R8 기의 경장, 개체당협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엽형지수는 다른 형질보다 100립중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71.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황금(黃芩)의 맥후작(麥後作)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적정파종기(適定播種期)를 구명(究明)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을 개선(改善), 보완(補完)하고 수량(收量)을 증대(增大)시켜 안정생산(安定生産)에 기여(寄輿)하고자 여천재래종(麗川在宋種)을 공시(供試)하여 실시(賣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出芽) 소요기간(所要期間)에 있어서 6월(月)1일(日) 파종(播種)은 6월(月)12일(日)로 11일(日)이 소요(所要)되었고 6월(月)10 일 파종(播種)은 6월(月)16일(日)로서 6일(日)이 소요(所要)되었으며 6월(月)20일(日) 파종(播種)은 6월(月)23일(日)로서 3일(日)이 소요되었다. 2. 개화(開花) 소요기간(所要期間)에 있어서 6월(月) 1일(日) 파종(播種)은 54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4일(日)에 개화(開花)되었고 6월(月)10일(日) 파종(播種)은 45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5일(日)에 개화(開花)되었으며 6월(月)20일(日) 파종(播種)은 37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7일(日)에 개화(開花)되었다. 3. 지상부(地上部)의 생산물(生産物)인 주경장(主莖長), 주경경(主莖徑), 주경절수(主莖節數), 분기수(分技數) 및 건경엽중(乾莖葉重) 모두 6월(月)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4. 지하부(地下部)의 생산물(生産物)인 주근장(主根長), 주근경(主根徑), 주당상근수(株當上根數) 및 건근중(乾根重) 모두 6월(月)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72.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호(柴胡) 성력화(省力化) 재배기술(栽培技術) 개발(開發)의 일환(一環)으로 기계파종시(機械播種時) 재식밀도(栽植密度) 차이(差異)가 생육과6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코자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인력파종기(人力播種機)를 이용(利用)한 파종(播種) 소요시간(所票時間)은 손파종(播種)에 비하여 조간(條間) 20 및 30cm 처리(處理) 모두 96%의 파종노력을 절감(節減)할 수 있었다. 2. 재식밀도(栽植密度)에 따른 입모수(立毛數)는 조간(條間) 및 주간(株間)이 좁아질수록 많아졌으며, 경장(莖長) 및 마디 수는 차이가 없었다. 3. 주간거리(株間距離)가 좁아질수록 경태(莖太), 분기수(分枝數), 지상부종(地上部重), 규근경(圭根莖), 생체중(生體重) 및 건근중(乾根重)등이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4. 근수량(根收量)은 조간(條間) 20cm 처리(處理)가 30cm보다 증가(增加)되었으며, 주간거리(株間距離)에 따라서는 조간(條間) 20 및 30cm 처리(處理) 모두 밀식(密植)일수록 증가(增加)되어 적정(適定) 재식밀도(栽植密度)는 조간(條間) 20cm에 조파(條播) 또는 주간(株間) 5cm로 나타났다. 5. 재식밀도(栽植密度)를 다르게 할 경우 입모수(立毛數)와 근수량(根收量)과는 정상관(正相關)을 보여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 되었다.
        73.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 분얼성 isogenic line 4계통(Kindred, Morex)을 이용하여 파종양 및 결주율에 따른 주요 형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t. 다얼성 계통은 단간성 계통에 비하여 곡립의 수양은 46%, 엽면적지수 56%가 높았으나, 단간성 계통은 정립률이 69% 천립중은 27%가 높았다. 2. 단단성 계통은 출수기가 4∼8일, 성숙기는 2∼3일 빨랐다. 3. 곡립수양은 수수에 따른 직선회귀에 잘 적용되어 수수의 기여도가 매우 컷다. 4. 결주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1수입수 및 천립중이 다소 증가하나 수수의 감소로 곡립의 수양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5. 반면에 결주율이 증가될 때 정립률, 엽의 광합성능 및 분얼수가 증가하였다. 6. 분얼성 isogenic line이 재해에 의해서 결주가 발생시 수수가 곡립의 수양을 좌우하였다. 7. 단간성 인자의 도입, 육종 및 보급을 위해선 이들 동질유전자 계통을 포장에 다년간 반복 실험하여 보다 정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74.
        199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의 식물체를 등열중기에 가축의 조사료로 급여하기에 적당한 총체형 보리 (barlet for whole crop forage)로 까락이 없고 생체중이 큰 초형이 필요한데, 망장, 동질유전자계(망장, 무망)를 선발하여 두 계통의 수량성 및 그 구성요소의 차이를 비료하고, 지엽 및 까락의 절제가 광합성능과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v장 추파한 무망종의 간장, 수장, 1수입수, 엽면적, 광합성능 및 생체중이 장망종에 비해서 컸으나 수량성은 6%정도 적었다. 2. 지엽 또는 까락을 절제시, 천입중과 곡입중의 감소를 초래하였는데, 천입중과 곡입중은 지엽절제시 3~4%와 5~6%가 각각 감소되었고, 장망의 까락 절제시 천입중과 곡입중은 7%와 15%가 가각 감소되었다. 지엽 및 까락을 동시에 절제시는 14%와 21%가 감소되었다. 3. 지엽의 광합성능은 차엽신 및 제3엽신 보다 7~8%와 37~41%가 각각 높았다. 무망종의 엽위별 엽신의 평균 광합성능은 6.1~9.7 co2 2 umole m2 s1, 로 장망종 보다 매우 높았다. 4. 본 관험에서 공시된 무망종은 장망종에 비하여 엽신의 광합성능이 크고, 줄기 및 엽초의 생체중이 커서 총생체중이 무거워 총체형 사료(whole crop forage)이 초형으로 적당한 계통이라고 생각된다.
        75.
        199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보리의 월동전 초형에 따른 농업형질의 차이를 비교하고저 같은 교배조합에서 선발, 고정시킨 계통 및 교배친 10개를 공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포복형에 비해서 직립형 계통은 출수기 및 성숙기가 빠르고, 간장은 컸으나 m2 당 수수, 수량성은 적었다. 또한 천입중, 정입률, 광투과율은 컸다. 2. 출수기는 성숙기, 수량과 정상관, 간장, 천입중, 정입률, 광투과율과 부상관이 있었다. 수량은 광투과율과 부상관이 인정되었다. 3. 월동전에 초형이 포복형이면서, 월동후 생육재생기가 빠르고 식간신장이 빠른 계통을 육성, 선발하는 것이 특히 내한성이 요구되는 지역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76.
        199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에서는 중부이남 전역에서 수집한 재래재배종 대두 2,748 계통을 재배하여 백립중군을 분류하고 백립중군별로 특성을 조사하였다. 1. 백립중은 최소 7.3g부터 최대 48.4g까지 변이폭이 매우 컸으며, 군별 분류결과 1군(10.0g 이하)에 2.2%(60 계통), 2군(10.1-15.0g)에 14.7%(404 계통), 3군(15.1-20.0g)에 11.7%(323 계통), 4군(20.1-25.0g)에 26.2%(720 계통), 5군(25.1-30.0g)에 30.2%(829 계통), 6군(30.1-35.0g)에 10.6% (292 계통), 7군(35.1-40.0g)에 3.3%(91 계통), 8군 (40.0g 이상)에 1.1%(29 계통)가 분포되었다. 2. 백두중과 저형질과의 상관관계는 백립중과 성숙기, 결실일수와는 높은 정의 상관이었으나, 백립중과 개화기, 경장, 분지수, 절수, 협수, 도복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3. 백립중군별 평균협수는 백립중이 가벼운 1군이 66개로 가장 많았으며, 백립중이 가장 무거운 8군이 30개로 협수가 가장 적었다.
        77.
        198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자의 육종적 개량 가능성과 재배적 개선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집된 5개품종들을 파종기를 달리하여 1980~82년 까지 3 개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간에 추태기는 제주종, 서울종, 일본종이 빠르고 영산포종과 수원종은 늦은 편이었으며 성숙기는 수원종이 가장 늦었다. 2 . 초장은 수원종이 가장 짧았으나 협당종실수는 가장 많았으며 분지수는 서울종, 영산포종이 많은 반면 입중, 협장 및 중에 있어서는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종실수량은 서울종이 248kg/10a로 높았다. 3. 유분함량은 품종간 28.8 ~32.1%의 변이를 보였으며 황갈색종피인 서울종. 영산포종. 제주종이 높은 경향이었고 탈지박중의 Glucosinolate 함량은 전체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4.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추태, 개화가 지연되며 초장, 총 분지수, 수당협수가 감소하는 경향인데 추태는 수원종, 제주종, 일본종이 개화기는 제주종이 초장은 서울종, 제주종이 수당협수에서는 서울종, 수원종. 일본종이 그리고 협당입수에서는 제주종이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5. 파종기 지연에 따른 입중, 중. 협장 및 유분함량이나 지방산조성 변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6 경노계수 분석 결과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가 큰 형질은 총 분지수, 개화기, 수장이었고 간접효과가 큰 형질은 수장을 통한 초장이었던 반면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초장이나 수장 보다 개화기나 결실비율의 직접효과가 뚜렷해지는 경향이었다.
        78.
        198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주맥의 세조파와 휴입광산파에서 파종량의 차이에 따른 주요형질간 상관과 m2 당수수, 수당입수, 1000입중의 수량에 대한 경로계수를 분석하였다. 세조파와 휴입광산파 공히 전파종량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인 것은 출수일수와 성숙일수간이 정의, 성숙일수와 간장, 수당입수, 수량간에 각각 부의 간장과 수당입수간에 부의, 1,000입중과 1 중간에 부의 상관을 각각 보였다. 출수일수와 수량은 휴입광산파에서는 전파종량에서, 세조파에서는 소파에서만 부의 상관을 보였다. 이 외에 세조파에서는 출수일수와 1 중이 부의, 간장과 수량이 정의, 수량과 수당입수가 정의 상관이 있었고 휴입광산파에서는 수량과 m2 당수수간이 정의, 수량과 수당입수간에 정의, 수량과 1000입중간에 밀파에서 부의 상관이 있었다. m2 당수수, 수당입수, 1000입중의 수량에 미친 직접효과는 파종량에 관계없이 세조파의 경우 수당입수가 가장 컸고 다음은 m2 당수수였으나 휴입광산파에서는 m2 당수수.수당입수의 순으로 컸으며, 1,000 입중은 세조파.휴입광산파 공히 직접효과가 없었다. 간접효과는 어느 경우에서나 아주 낮은 수치를 보여 인정할 수 없는 정도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