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2

        8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Water content causes a big problem in terms of the quality and economy of the asphalt plant. However, the current guidelines do not suggest specific rules other than roof install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water content management index, QM, and management flow chart by analyzing the water content variability of the stockpile and cold bin aggregates and suggests a guideline rule for improving water content management, including stockpile floor inclination via analysis of slope stability. METHODS : To analyze the variability of water content in the asphalt plant, stockpile and cold bin aggregat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asphalt plant over two years and a water content lab test was conducted via sieve analysis. In addition, domestic and foreign water content management guidelines were compared and the economic effect was analyzed according to water content DB analysis for the importance of water content management. The influence factors of water content variability were also analyzed. To apply the 3σ quality management technique for the development of the water content management index, QM, a water content management limit and procedure was proposed through the asphalt mix design.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ater content vari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water content of the stockpile fine aggregates should be intensively managed immediately after the rainy season and the QM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be 1 or more.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tabil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ockpile floor inclination,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factor was lowered according to the slope angle and floor inclination. CONCLUSIONS : In the past, a passive method of preventing rainwater with a roof was used for water content management and ambiguous qualitative rules were suggested in the guidelines. In this study, a procedure for managing the water content of asphalt plant aggregates using the QM index, a quantitative stock floor inclination chart, and rules for improving water content management were presented for the quality control of asphalt plant aggregates.
        4,000원
        8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나무재선충병은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수목병해이다.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병 항공예찰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예찰 조사와 드론을 이용하여 항공사진 조사를 비교하였다.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과 건전목 구분을 위해 포항과 밀양의 소나무재선충 병 발생지역에서 저고도 항공사진을 촬영 후, RGB값, 분광식생지수(Spectral Vegetation Indices), M-통계값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공사진의 적색광 (R)값이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전목에서는 녹색광(G)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염목과 건전목의 RGB값의 차이는 적색광(R) 값이 가장 크게 변동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RGB값을 이용한 분광식생지수 Excess red (ExR), R-G, Color index of vegetation (CIVE), Woebbecke index (WI)는 소나무재선충 감염목과 건전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분광식생지수의 M-통계값은 포항(2.3-3.1)과 밀양 (2.6-3.3) 모두 ExR, R-G, CIVE, WI에서 기준값인 1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드론으로 촬영한 저고도 항공사진의 RBG값과 분광식생지수 분석을 통해 소나무재선충의 감염목과 건전목의 구분이 가능하며, 소나무재선충병의 항공예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85.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verall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294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wangju using the NUTRILITE nutrition quotient (NQ). The NQ score of the subjects was 59.5 out of 100, which corresponds to the level requiring “monitoring”. Compared to the 64.4 score of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six metropolitan cities, the scores of the present subjects were lower. The NQ components were 57.4 for balance factors, 52.4 for moderation factors, 55.0 for diversification factors, 57.6 for practice factors, and 80.1 for environmental factor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NQ level, the score (61.5 in 7 times/wk vs. 55.3 in 1-2 or none times/wk) tended to be higher in subjects who frequently eat with their families (p<0.001). In conclusion,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meals with their families, to develop a habit of exercising regularly, and reduce the consumption of ramen, cookies, and processed drinks that are frequently consume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students in Gwangju.
        4,200원
        8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대생의 체질량지수와 다이어트 인식 및 다이어트 행동에 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 지역 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65명으로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을 하였다. 전체 다이어트 인식은 3.44점이었고 요인별로는 ‘실행’이 4.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정보 및 교육’이 3.58점, ‘필요성’은 3.32점, ‘자가인식’은 2.8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이어트 횟수는 ‘3회 미만’이 65명(43.0%)으로 가장 많았으며 방법은 ‘음식조절’이 65명(43.0%), ‘운동’이 62명(41.1%) 순이었다. 일주일간 운동시간은 3시간 미만이 99명(65.6%)으로 가장 많았고 ‘전혀 하지 않는다’가 32명(21.2%)으로 그 다음 순이었다. 다이어트로 인한 피해경험은 22명(14.6%)이 있다고 응답했고, 종류로는 위장병, 생리불순, 탈모 등이었다. BMI에 따른 다이어트 인식 전체 점수는 저체중군이 정상체중 및 과체중군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p<.001). 하부 요인별로 보면 다이어트 ‘실행’은 저체중군이 정상체중 및 과체중군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고(p<.05), 다이어트 ‘정보 및 교육’은 과체중군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정상체중군, 저체중군 순이었다(p<.001). 다이어트 ‘필요성’과 ‘자가인식’은 저체중군이 정상체중 및 과체중군보다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p<.001). 다이어트 인식에 따른 다이어트 행동은 다이어트 횟수와 방법에서 차이가 있었다(p<.001).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대생의 올바른 다이어트 인식 형성과 건강한 생활유지를 위한 관심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88.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에 대한 집계구 단위의 인명 취약성 지수 평가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인명 취약성 지수는 자연재해에 대한 인명의 리스크 지수(Risk Index) 평가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써 인명의 노출도(Exposure)와 민감도(Sensitivity)가 고려된 취약성 대리변수의 결합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시를 평가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여 자연재해에 대한 인명 취약성 지 수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자연재해 인명 리스크와 관련된 문헌조사를 통하여 6개의 취약성 대리변수(인구밀도, 직업, 취약계층, 성별, 교육수준, 외국인)가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취약성 대리변수는 기 설정된 점수화 기준에 따라 평가치가 산정된 후 정규화 방법에 따라 무차원화 되었다. 각각의 취약성 대리변수를 결합하기 위한 가중치는 인명 취약성 지수 관련 문헌에서 적용된 가중치를 메타분석(Meta- Analysis)하여 파악되었다. 인명 취약성 지수를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인구 통계자료 데이터베이스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집계구별 인구 통계자료를 기초로 구축되었다. 경주시에 대한 인명 취약성 지수 평가의 경우, 인명에 대한 노출도 및 민감도가 높은 공동주택 단 지에서 가장 취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취약성 지수 평가 방법론은 집계구 단위 지역에서의 자연재해 리스크 를 신속하게 평가할 시 활용가능하다.
        4,000원
        89.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참나무류 6수종의 임분 시업체계 확립을 위해 수종별 지위지수 곡선을 추정하였다. 대상수종은 갈참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 무, 신갈나무, 졸참나무이며, 지위지수 추정은 Chapman-Richards model을 이용하였다. 추정 결과, 수종별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약 35~45%의 범위로 나타났고, 평균오차제곱은 전체 수종이 1.755~2.792의 범위로 분석되었다. 연년생장량의 최고값은 8~15년으로 나타났고, 총평균생장량 최고값은 14~24년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종별 지위지수 분포 범위는 떡갈나무가 지위지수 8~14, 신갈나무 6~16, 상수리나무는 10~18까 지 분포하였고, 갈참나무와 굴참나무, 졸참나무는 지위지수 8~16의 범위로 나타났다. 추정된 지위지수 분류곡선은 참나무류의 임분 조성 및 육성 기술 체계화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 follow up to the previous study which reveals that smartphone users are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usage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these groups are called as ‘general’, ‘entertainment’, and ‘work-assistant’, taking into account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The ‘general’ is a group whose smartphone usage characteristics are not focused on a specific purpose, the ‘entertainment’ is focused on music, internet, SNS, picture, and e-banking, and the ‘work-assistant’ is on work, GPS, diary. Inter-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the purchase determinants to the groups is investigated. In addition, Kano analysis of quality attributes is also performed, which includes quality type, satisfaction/dissatisfaction index, and PCSI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The analysis result are as follows. Firstly, inter-relation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differs by user group. ‘Internet’, ‘Ease of use’, and ‘Performance’ purchase determinants are evaluated as competitive determinants in ‘work-assistant’ user group. Secondly Kano quality typ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lso differs by user group. ‘Application’ was classified as an attractive (A) types to ‘entertainment’ group and so on. ‘Internet’ ‘Failure/Bug’, ‘Touch response rate’ and ‘Charging’ are located in ‘Nice’ Region of S-PCSI Diagram and have to be considered as strategic qualit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some helps in establishing a customer tailored quality strategy.
        4,000원
        94.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비나무 등 국내 아고산대 서식지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에 자생하고 있는 분비나무개체군을 대상으로 식피율 차이에 따른 15가지 경관지수 분석을 통해 서식지 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평가하고자 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내 자생하고 있는 모든 분비나무 서식지를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설악산 국립공원 내 분비나무군락의 식피율 증・감에 따른 경관생태학적 경향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다만, 식피율 50% 미만의 분비나무 서식지가 전체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설악산국립공원의 분비나무 서식지는 전반적으로 낮은 피도와 개체밀도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피율 10~50% 구간의 분비나무 서식지는 총 286개의 패치로 파편화되어 있어 서식지 연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형태에 따른 주연부 효과를 판단할 수 있는 총 가장자리 길이와 가장자리 밀도는 식피율 26~50% 서식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식피율의 서식지에 비해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크기의 패치일지라도 식피율 10~50%의 분비나무 서식지가 더욱 복잡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이 서식지 파편화 및 외적 교란에 더욱 취약하게 만들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 를 활용하여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 서식지의 확대 혹은 축소에 대한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며, 각 서식지를 구성하는 패치의 형태변화와 연결성, 파편화 등에 관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95.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젠트리피케이션이란 용어가 처음 사용된 이후 도시지리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이 현상의 개념과 접근법 등이 변화하였으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사회적·학문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인다. 해외의 젠트리피케이션 연구는 주로 Global North라 일컫는 선진국의 쇠퇴한 도시내부의 재생에 초점을 두었다. 즉, 해외 연구의 사례를 우리나라에 일방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 특징과 설명 요인을 계량적으로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 변화 과정과 선행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 특징을 공간분포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셋째, 조작적으로 정의된 종속변수인 젠트리피케이션 지수에 대해 인구, 교통, 경제 측면의 독립변수를 다중회귀시켰다. 분석 결과, 서울시 젠트리피 케이션은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맥락에서 주로 발생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4,500원
        96.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lastic waste problem is deepening all over the world. Plastic wastes have serious impacts on our lives as well as environmental pollution. The production and use of plastics increases every year, but once they are produced, they usually roam the earth for hundreds or thousands of years to pollute the environment. Although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plastic issues around the world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being tightened, but no clear solution has yet been found. This study suggests Environmental degradation index (EDI). EDI can help raise consumers’ attention to plastic wastes. In addition, EDI will contribute to reduce them in the future. As far as we know, this is the first study. We developed EDI for the confectionery packaging. This study defines four factors that may affect the environment of confectionery packaging: greenhouse gas emissions, energy consumption, methane emissions, and packaging space ratio. Then we quantify the value of each element and compute EDI as the sum of the four component values. In order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EDI proposed in this study, confectionery-packaging materials distributed in Kore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rst, the types of confectionery are classified into pies, biscuits, and snacks and basic data was collected. Then the values of the four components were calculated using existing research data on the environment. We can use the proposed EDI to determine how much a product packing affects the environment.
        4,000원
        97.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egetation segmentation in a field color image is a process of distinguishing vegetation objects of interests like crops and weeds from a background of soil and/or other residues.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 is crucial in automatic precision agriculture which includes weed control and crop status monitoring. To facilitate the segmentation, color indices have predominantly been used to transform the color image into its gray-scale image. A thresholding technique like the Otsu method is then applied to distinguish vegetation parts from the background. An obvious demerit of the thresholding based segmentation will be that classification of each pixel into vegetation or background is carried out solely by using the color feature of the pixel itself without taking into account color features of its neighboring pixels. This paper presents a new pixel-based segmentation method which employs a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 to classify the gray-scale image into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pixels. The input data of the neural network for each pixel are 2-dimensional gray-level values surrounding the pixel. To generate a gray-scale image from a raw RGB color image, a well-known color index called Excess Green minus Excess Red Index was used. Experimental results using 80 field images of 4 vegetation species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neural network to existing threshold-based segmentation methods in terms of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harmonic mean.
        4,000원
        98.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ange of fishing power index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the vessel and gear technology that may improve the fishing efficiency of the offshore conger eel pot fishery from 1980s to 2015. Gross tonnage per fishing vessel was rapidly increased annually. The standard of pot was maintained, but the number of pot used rapidly increased by using conger eel pot hauling devices, carrying and loading devices, main line hauler, casting devices and slide type pot. Fish finder system to identify fishing ground information and the conger eel pot hauling devices were modernized, and supply rate was also increased. Therefore, the relative fishing power index in the offshore conger eel pot fishery increased from 1.0 in 1980 to 1.3 in 1990, to 1.8 in 2000 and to 2.0 in 2015.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asonable fisheries stock management of the offshore conger eel pot fishery.
        4,000원
        99.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ousands of pelagic and demersal fishes inhabit the waters around Korea and many of them are overexploited. One of the reasons is technological development, which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vessels continuous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nge of fishing power index to develop the vessel and gear technology that may have improved the fishing efficiency of the otter trawl fishery from 1960s to 2010s. Gross tonnage was decreased stably, but horse power was increased annually. The perimeter of net mouth was somewhat longer, but little changed. Color fish finder was utilized from the mid-1960s. Hydraulic net drum were introduced in the early 1990s, and supply rate was gradually increased. Surveys on the supply and upgrading of fishing equipment utilized visiting research. Therefore, the relative fishing power index in the trawl fishery increased about two to three times in the 2010s compared to the 1980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reasonable fisheries stock management.
        4,200원
        100.
        202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적외선 열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2년생 ‘유미’ 복숭아나무의 토양수분 수준에 따른 엽온 및 CWSI를 분석하여 수분스트레스 측정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엽온은 대기온도와 유사한 일변화를 보이며 낮 시간대에는 대기온도보다 높은 양상을 보였다. 엽온은 전일(24시간) 기준으로 대기온도(r2 = 0.95), 일사량(r2 = 0.74), 상대습도(r2 = -0.88)와 모두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났다. 또한 토양수분장력은 낮 시간대(11~16시)에 엽온(r2 = -0.57), 엽-대기온도차(r2 = -0.71), CWSI(r2 = -0.72)와 높은 부의상관을 나타냈다. CWSI와 엽온, 엽-대기온도차의 상관계수는 24시간 기준으로 매우 높았고(r2 = 0.90, r2 = 0.92), CWSI와 토양수분장력의 상관분석에서 24시간 기준으로는 상관관계가 낮았으나(r2 = -0.27), 낮 시간대(11~16시)에는 상관관계가 매우 높았다(r2 = -0.72). CWSI (y)와 토양수분장력(x)의 상관관계 결정계수(r2)는 11~12시간대에 가장 높았으며(r2 = 0.68), 이때 회귀식은 y = -0.0087x + 0.14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토양수분스트레스 시점인 -50 kPa에 해당되는 CWSI는 0.575로 계산된다. 따라서 적외선 열 영상 장치를 이용한 엽온 및 CWSI는 토양수분장력에 대해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복숭아나무의 수분스트레스 진단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