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2

        8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조림지에서 포트묘를 식재하는데 동력식혈기나 식재도구가 주로 이용된다. 동력 식혈기의 경우 에는 엔진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식재도구는 삽이나 포트묘용 식재기, 굴취봉 또는 호미들을 주 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경사지고 험준한 산림지형에서 이용하기에는 인건비와 생산성 등 에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동력의 장점과 도구의 편리성을 감안하여 배터리 와 DC motor 및 스크류를 이용한 새로운 경량 식혈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경량 식혈기 는 무게를 5kgf 내외로 가볍게 하기 위해서는 굴취력이 뛰어난 스크류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스크류의 굴취력은 DC motor와 배터리의 용량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량화 된 식혈기를 개발하기 위해 포트묘 식재에 적용할 수 있는 소형과 중형 스크류 5종(길이 170㎜, 피치 3.0∼4.0개, 그리고 나선각 15°~20°)에 대해 이론 회전력을 산출하여 모터와 감속기의 용량을 설정하 고, 실제 토양에 적용하여 최대 회전력을 구명하였다.
        4,200원
        82.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난시가 존재하는 피검자들에게 원데이 프리즘 밸러스트 및 이중 슬랩오프 디자인 안정화 방법을 이용한 제품을 각각 착용하여 난시 정도에 따라 렌즈 회전량과 자각적 만족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난시가 존재하는 피검자(20~25세 사이) 63안을 모집하여 피검자의 실린더 값을 자/ 타각적 방식으로 측정하여 두 그룹(Low : C-0.75~C-2.00, High C-2.25~C-4.00)으로 분류하여 각각 A사의 ‘프리즘 밸러스트’ 방법으로 제작된 렌즈와 B사의 ‘이중 슬랩오프' 방법 으로 제작된 토릭 소프트렌즈를 번갈아 착용하였다. 사용된 렌즈의 B.C는 모두 8.5mm이 고, 함수율은 각각 56%, 59%였다. 그리고 사용된 소재는 'Silicone Hydrogel'이었다. 두 렌즈를 착용하고 30분 안정화 후에 정상 범위의 피팅에 포함되는 대상자를 기준으로 세극등을 사용하여 렌즈 회전량을 측정하고 피검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착용감, 만족도 등의 설문을 진행하였다. 결과: 두 그룹중 상대적으로 낮은 난시값을 가지고 있는 피검자군은 'Double Thin'으로 제작된 렌즈에서 평균 렌즈 회전량은 4.38±2.34°이었고, 평균 만족도 점수로는 10점 만점에 서 8.11±1.13점을 획득하였다. 'Prism Ballast'로 제작된 렌즈에서 평균 렌즈 회전량은 2.81±2.78°이었고, 평균 만족도는 8.67±0.87점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높은 난시 값을 가진 피검자군은 ‘Double thin'으로 제작된 렌즈에서 평균 렌즈 회전량은 3.44±3.26°이었고, 평균 만족도는 8.33±1.03점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Prism Ballast'으로 제작된 렌즈에서 평균 렌즈 회전량은 6.56±4.13°이었고, 평균 만족도는 7.78±1.28점을 획득하였다. 결론: 상대적으로 낮은 난시 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 'Prism Ballast'로 제작된 토릭 소프트 렌즈를 착용한 경우 'Double Thin' 렌즈를 착용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렌즈 회전 량이 측정되었고, 반대로 상대적으로 높은 난시 값을 가지고 있는 피검자들은 ‘Double Thin’ 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Prism Ballast’렌즈를 착용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적은 렌즈 회전량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난시 값의 정도에 따라 두 안정화 디자인에서 회전량은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83.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20대 젊은 성인 34안을 선별하여 내안각을 측정하고 원데이 프리즘 밸러스트 방식으로 제조된 토릭 소프트렌즈를 착용 후 렌즈의 회전량을 측정하고, 내안각이 프리즘밸러스트 디자인으로 제조된 토릭 렌즈의 회전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 대상자는 20~25세 사이의 젊은 성인 34안을 선별하여 난시값에 따라 –2.00D 이하와 –2.00D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안검 장력은 면봉을 이용해 눈꺼풀 반전을 통해 눈꺼풀 장력이 느슨한 경우는 배재하였다. 대상자등의 내안각을 슬릿 램프를 사용하여 T.A,B.O 각으로 분류하였다(OD:0°~15°, OS:165°~180°). OD:7°, OS:172°를 기준으로 내안각이 큰 경우와 작은 경우로 분류하였다. 렌즈 착용 후 30분 이상의 안정화 시간을 가진 후 push-up test, 상하좌우 시선 이동시 렌즈의 래그량을 평가하여 정상적인 피팅 범위 내에 측정된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회전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C-2.00 이상의 난시 값 에서는 내안각이 OD:0°~7°, OS:172°~180°에서 회전량은 2.00±1.22°이었고, 내안각이 OD:7°~15°, OS:165°~172°에서 회전량은 4.75±2.75°이었다. C-2.00 미만에서는 내안각이 OD:0°~7°, OS:172°~180°에서 회전량 4.83±4.86°이었다. 내안각이 OD:7°~15°, OS: 165°~172°일 때 회전량은 5.08±3.95°로 측정되었다. 결론: 프리즘 밸러스트 디자인 토릭 소프트 렌즈에서 내안각과 관련하여 회전량을 평가하였을 때 내안각이 크고 난시량이 작을수록 상대적으로 회전량이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84.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토릭 소프트렌즈 피팅 시 주시방향에 따른 렌즈 회전방향 및 회전량과 각막 주변부 곡률반경 차이 값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대 젊은 성인이며 전체난시 –0.75D 이상의 직난시안(37안)을 대상으로 토릭 소프트렌즈를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피팅 하였다. 세극등을 사용하여 정상 범위의 피팅에 해당하는 대상자로 제한하였다. 그리고 정면주시 및 응시방향을 달리하였을 때 각막 주변부 곡률반경 차이와 렌즈 회전방향 및 회전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각막주변부 곡률반경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주시방향에 따른 회전량도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정면주시 시 평균 회전량은 2.77±2.50°, 상/하측주시 시에는 좌측 주변부 곡률반경이 우측 주변부 곡률반경보다 작은 경우 반 시계방향(상측:3.68±5.37°, 하 측:2.50±3.84°)으로 회전하였고, 큰 경우 시계방향(상측:2.37±4.18°, 하측: 0.38±1.39°)으로 회전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토릭 소프트렌즈 피팅 시 각막주변부 곡률반경 차이에 따라 렌즈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토릭 소프트렌즈 피팅에 있어서 각막주변부 곡률반경 차이는 피팅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요소로 사료 될 수 있다.
        85.
        2017.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 studies have revealed that plates stiffened by closed-section ribs can be designed to have greater strength. Thus, this study is about the increasing effect on local plate buckling strength of isotropic plates when longitudinally stiffened with closed-section ribs, which is mainly due to the rotational restraint of the closed-section ribs. The effects on buckling strengths of the stiffened plates are examined by numerical analyse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obtained using a general structural analysis program ABAQUS and a series of eigenvalue analyse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study, the increasing effect on the local buckling strength due to the rotational stiffness is numerically verified. From the parametric studies, there is an obvious tendency that the local buckling strength of the stiffened plate would converge to the buckling strength of plate with fixed boundary con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in improving the optimum design of longitudinally stiffened isotropic plates.
        3,000원
        87.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special roundabouts using simulated programs. METHODS: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comparing the delays and traffic flow disturbances occurring at special roundabouts. In this study,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450 scenarios (5 roundabout types × traffic volumes × directional ratios × measur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elays and traffic flow disturbances using VISSIM and SSAM.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amburger roundabouts are determined to yield the least common-type delays, 2) the amount of delays at Turbo and Flower roundabouts with respect to relatively increased right-turn-type delays, in addition to the amount of delays at the Left-turn slip-lane roundabout with respect to relatively increased left-turn-type delays, are found to be reduced as compared to the common-type delays. Lastly, common- and increased right-turn-type traffic flow disturbances at the Turbo roundabout and increased left-turntype traffic flow disturbances at the Left-turn slip-lane roundabout are determined to be the most infrequent. CONCLUSION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five roundabout types: standard, Flower, Turbo, Hamburger, and Left-turn slip-lane. The effectiveness of roundabouts can increase according to given traffic volume, directional ratio, and measure of effectiveness.
        4,000원
        8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ffic accident model of a roundabout based on the type of land use. METHODS : The traffic accident data from 2010 to 2014 were collected from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AS)”data set of the Road Traffic Authority.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tiliz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accidents based on the type of land use. Variables such as geometry and traffic volume were used to develop the accident models based on the type of land use. RESULTS :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type of land use does not affect the number of accidents is rejected. Second, four accident models based on the type of land use have been developed,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R2 values). Finally, the total entering and circulating volumes, area of the central island, number of speed breakers, mean number of entry lanes, diameter of the inscribed circle, mean width of the entry lane, area of the roundabout, bus stops, and number of circulatory roadways are analyzed to see how they affect the accident for each type of land use.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the accident models based on the type of land use has revealed that the accident factors at a roundabout are different for each case. Thus, more speed breakers in commercial areas and an inscribed circle of proper diameter in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are determined to be important for reducing the number of accidents. Additionally, expanding the width of the entry lanes, decreasing the area of the roundabouts in residential areas, and reducing the conflict factors such as bus stops in green spaces are determined to be important.
        4,000원
        90.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the stone cutter design that can rotate and change the cutting side of the stone automatically by the combination structures of the rotatable and foldable plates. Foldable plates are consisted with the iron plate and the hydraulic cylinders system(1500W pump power) which can generate high pressure to raise the plates and the stone. Additionally, rotatable plates are designed by gear system which has high gear ratio(1:8) for rotating heavy stone(5ton) easily. We analyzed the movement of the stone and investigated the total system of the stone cutter including a rotator and a tilter. Moreover, we constructed a control board to control the system accurately. This system can induce high quality cutting process controlled within errors of 5% and also reduce the process time from about 20 min to 90 sec by the automatic system.
        4,000원
        9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car industry trend is downsizing, a lean-burn engine, green car and cost cutting. A turbocharger is the key components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power.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the flow analysis in the performance analysis for change rotating speed of turbocharger turbine with three different rotating speed in the turbine. After measuring real design features, modeling, velocity distribution, pressure distribution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are conducted numerically. Torque and power are compared with three different cases in order to analyze the performance for turbine. Finally, optimum power is determined with the sequence of case 1, case 2, and case 3.
        4,000원
        92.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Permitted left turn is a turning maneuver in which a vehicle turns left using a gap between oncoming vehicles, called gap acceptance, and it enables for more efficient traffic operation at intersections. In Korea, the permitted left turn has not been a common maneuver at signalized or un-signalized intersections. However, many experts and the Police Agency tried to apply this effective turning maneuver at intersections in Korea since 2010. Though the investigation of gap acceptance is significantly important in understanding a driver’s behavior at intersections,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about this topic, specifically a study to develop probability models of gap acceptance behavior. METHODS: In this study, the probability model of gap acceptance behavior for a permitted left turn was developed based on observational field studies. To develop the model, seven variables were analyzed including gap, waiting time, traffic volume, conflict-flow vehicle type, leftturning vehicle type, the number of lane, and time. RESULTS: In the final model, gap and left-turning vehicle typ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CONCLUSIONS: Through this model development, it was concluded that as the gap siz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gap acceptance was higher. Moreover, when a left-turning vehicle was a passenger car, the probability of gap acceptance was higher than compared to large size buses or freight cars.
        4,000원
        9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압출성형조건에 따른 분리대두단백(Isolated soy protein) 압출성형물의 조직화와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팽화율, 수분흡수력, 탄성력, 응집력, 절단강도, 조직잔사지수, 색도 등의 실험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재료는 분 리대두단백을 100% 사용하여 압출성형하였다. 분리대두단백 압출성형물 제조에 사용한 압출성형기는 실험용 쌍축압 출성형기이며, 공정변수는 용융물의 온도와 원료투입량은 140°C와 100 g/min으로 고정시키고 스크루 회전속도는 150, 250, 330 rpm, 수분함량은 40, 50, 55, 60% 로 하였다. 직경팽화율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수분함량이 가장 낮은 40% 일 때 가장 높은 값(2.67±0.18)을 나타내었다. 비길이는 수분함량이 증가하거나 스크루 회전속도가 증가할수 록 값이 증가하는 값을 나타내었다. 체적밀도도 직경팽화율과 같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스크루 회전속도가 낮을수록 체적밀도 값이 증가하는 값을 나타내었다. 분리대두단백의 압출성형물의 수분흡수력은 스크루 회전속도 250 rpm, 수분함량 40%에서 가장 높은 값(482.24±34.5)을 나타냈고,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수력은 감소하였다. 또 한 수분함량을 55%, 스크루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흡수력은 증가하였다. 탄성력과 응집력은 서로 비례한 값을 나타냈는데, 스크루 회전속도가 감소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스크루 회전속도가 감소할수록 절단강도의 값 도 증가하는 값을 나타냈다. 조직잔사지수는 공정변수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55% 수분함량에서 150 rpm 일 때 가장 큰 값인 30.92±14.90, 40% 수분함량에서 250 rpm 일 때 가장 작은 값인 0.52±0.24를 나타내었다.
        94.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re are many recently constructed roundabouts in Jeollabuk-do province. This study analyzed how roundabouts reduce the risk of accidents and improve safety in the provinc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safety improvement at roundabouts by using an accident prediction model that uses an Empirical Bayes method based on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RESULTS : The results of our analysis model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accidents decreased from 130 to 51. Roundabouts also decreased casualties; the number of casualties decreased from 7 to 0 and the seriously wounded from 87 to 16. The effectiveness of accident reduction as analyzed by the accident prediction model with the Empirical Bayes method was 60%. CONCLUSIONS : The construction of roundabouts can bring about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accidents and casualties, and make intersections safer.
        4,000원
        9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compared two measures of traffic flow effectiveness on roads with roundabouts and signalized intersections and determined the more appropriate measure. METHODS: In addition to average delay time, the conventionally used measure, average travel time was introduced to measure traffic flow effectiveness because it is able to be obtained through field survey and reflect different travel distances and speed limits of roundabouts and 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the two measures, roundabouts and signalized intersections were compared through simulations in terms of traffic flow effectiveness. RESULTS : For one-way single-lane roads, the two measures indicated consistent results that roundabouts were more effective than were signalized intersections when the traffic volume was less than 300 vphpl but vice versa when it exceeded 450 vphpl; however, the measures yielded inconsistent results when the volume was 350~400 vphpl. For one-way double-lane roads, the two measures indicated consistent results that roundabouts were more effective than were signalized intersections when the volume was less than 200 vphpl but vice versa when it exceeded 400 vphpl; however, the measures yielded inconsistent results when the volume was 250~350 vphpl.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two measures differed substantially for double-lane roads because behaviors such as weaving and lane changing at roundabouts are more common in double-lane roads than in single-lane roads. CONCLUSIONS : The average delay time would be lower on roads with roundabouts, but average travel time would be lower on roads with signalized intersections. Thus, evaluat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roads with roundabouts and signalized intersections by using average delay time alone would be inappropriate, whereas using average travel time as the evaluation index would yield fairer results.
        4,500원
        96.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 우리나라는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교통지체 및 교통사고 잦은 지점을 중심으로 일반 평면 교차로에서 회전교차로(Roundabout)을 도입하였으며, 현재 전국적으로 약 400개소가 운영 중 이다. 국내・외의 급격한 회전교차로 증가는 회전교차로의 독특한 기하구조와 운영방식에 의해 교통소통 및 안전 개선에 획기적으로 기여하는 했다는 점이다. 국내에서는 회전교차로 설치 전 대비 교통사고 발생 건수 평균 약 40% 감소, 통행시간 평균 약 3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외의 경우에서도 회전교 차로 도입에 따른 교통사고가 설치전보다 30~80%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다양한 도로・교통 환경 에서 자동차 통행이 가능하기 위해 2014년에 회전교차로의 설계기준을 개정되었지만, 국외에 비해 더 제 약적인 국내 도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하기 위해 더 유여한 설계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회전교차로 의 설계 요소들(내접원, 중앙교통섬, 회전차로 폭, 진출입 차로 폭 및 회전반경)은 설계자동차와 연관성이 상당히 높으며, 건설비용, 안전 혹은 운영측면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적절한 설계기준 제시는 인프라 성능・안전 적정 유지와 공사비용에 중요하다. 그러나 너무 보수적인 설계기준을 적용한다면 지나 친 건설비용 혹은 높은 속도에 따른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로 중심선 방향이 회 전교차로의 중심을 향하도록 하는 방식 대비 회전교차로 중심의 왼편으로 편형에 따른 진출입 차로 폭과 회전반경 영향 정도를 정립하여 유연한 기준 값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차량의 주행 궤적 분석 시뮬 레이션 프로그램(AutoTURN)을 이용하여 1차로형 회전교차로(설계기준자동차:세미트레일러)와 2차로형 회전교차로(설계기준자동차:대형자동차+세미트레일러)의 각각 한 가지 설계조건(내접원 지름)을 대상으 로 편형에 따른 관련 설계요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접근로 중심선 방향이 회전교차로 중심을 향하도록 하는 방식 대비 그 중심의 왼편으 로 편형에 따른 방식이 같은 회전반경에서 진입차로 폭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편형 이 클수록 그리고 2차로형 회전교차로에서 관련 영향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편형 방식을 통해 공사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좁은 차로 폭으로 인한 접근 차량 속도 감소를 유도하여 안전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97.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는 일반적인 평면교차로보다 상충횟수가 적고 진입속도가 느려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피해정도 가 작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회전교차로 관련 각종 사고 자료나 연구들로 증명되고 있다. 이에 정 부에서는 회전교차로의 도입활성화 방안 추진에 따라 회전교차로의 설치를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회전교차로에서도 기하구조, 운전자의 부주의 등으로 교통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측면충돌, 후미추돌, 기타 등 다양한 충돌유형이 존재한다. 또한 오늘날 우리나라는 영업용 택배차량의 증가에 따라 화물차 등록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화물차의 경우 무거운 화물을 싣고 있고, 차량자체도 크기 때문에 사고가 일어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기존 회전교차 로 사고와 관련된 연구들 대부분이 전체차량에 대한 연구이며, 화물차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 회전교차로에서의 화물차 충돌유형을 측면충돌, 후미추돌, 기타로 나누어 모형을 개발하고 충돌유형별로 어떠한 요인이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모형의 종속변수는 국내 회전교차로 76개소에서 발생한 2007~2014년까지 8개년도 화물차 교통사고건 수이며, 독립변수로는 교통류특성을 나타내는 교통량과 기하구조요인 등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프 로그램 LIMDEP 8.0과, SPSS20.0을 이용하였으며, 모형은 가산자료 모형인 포아송과 음이항 회귀모형 중 추정에 의해 더 적합한 모형을 선정하였다. 모형추정결과 충돌유형별 사고모형의 공통변수는 화물차 턱 폭이 채택되었으며, 특정변수로 측면충돌사고는 차로분리섬 유무, 화물차 턱 유무, 후미추돌사고는 유 입차로 폭, 제한속도표지판 유무, 기타사고는 내접원 직경, 교통량이 채택되었다. 또한 우도비 검정을 수 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설명력이 높은 모형이 개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98.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회전교차로의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며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교통사고에 영 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크게 인적・환경적・물리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들 중 특히 토지이용에 중점을 두어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한다. 토지이용과 교통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하여 토지이용과 교통사고의 관계를 분 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토지이용은 교통수요를 유발하므로 교통사고 분석에 있어 서 토지이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회전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교통량이나 대형차 비율 등 통행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다를 것이 다. 따라서 이 연구는 ʻ회전교차로 주변의 토지이용이 회전교차로 내 교통사고 발생에 차이를 보인다.ʼ는 가설을 전제로, 토지이용별 회전교차로 사고모형을 구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으로는 국내 회전교차로 100개소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TAAS에서 수집한 2007~2014년 에 발생한 교통사고 건수이며, 독립변수로는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교통량, 기하구조, 환경 및 운전자 요인 등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분석에 앞서 먼저 회전교차로 주변의 용도지역(주거지역, 상업지역, 자연녹지지역)을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토지이용의 분석 범위는 회전교차로 중심으로부 터 250m내에서 가로망을 따라 형성된 토지용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유형 Ⅰ은 상업용도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 해당되며, 유형 Ⅱ는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이 혼재된 지역, 유형 Ⅲ은 주거지역의 비율이 높은 지 역, 그리고 유형 Ⅳ는 자연녹지지역으로 이루어진 지역이 해당된다. 따라서 분류된 토지이용 유형별로 SPSS 20.0을 활용하여 다중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사고모형을 구축하고자한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토지이용 유형별 교통사고 발생 요인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회전교차 로에서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대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99.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일반적으로 회전교차로의 유형은 기본유형과 특수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는 설치형태에 따라 초소형 회전교차로, 평면형 회전교차로, 입체형 회전교차로로 구분한다.(ʻ회전교차로 설 계지침ʼ(국토교통부,2014), ʻ도로용량편람ʼ(국토해양부,2013)) 또한 행정안전부에서는 생활도로형 회전교 차로를 1차로형 회전교차로와 2차로형 회전교차로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생활도로형 회전교차 로란 현재까지 회전교차로로 관련된 연구를 검토해보면 주로 기본유형에 관련된 분석이 많았다. 일부 소 형 회전교차로, 생활형 회전교차로 관련 연구들도 있지만 기본유형에 해당하는 회전교차로에 대한 분석에 비해 적은 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최근 교통 정온화 사업이 확산됨에 따라 기존 대 형차량의 통행이 적은 주거지역의 진입로를 회전교차로로 전환시켜 지역주민들의 안전성 확보 및 미관 향 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VISSIM을 이용하여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에서의 교 통량별 평균지체를 분석하였다. 교차로의 유형은 행정안전부에서 제시한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의 설계 기준에 따라 1차로형과 2차로형으로 나누어 지체를 분석하였고 회전교차로가 아닌 비신호의 3지와 4지 교차로와 지체도를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진입 교통량은 4지교차로에서는 시간당 100대~1000대 까지 100대씩 증가시켜 분석하였고, 3지교차로는 120대~900대까지 90대씩 증가시켜 총 60개의 시나리 오가 분석하였다.(10×6) 분석결과는 기존 운영되던 비신호 교차로보다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에서 평균 지체의 감소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는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 중에서 특수유형 회전교차로 중에서도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의 지 체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이는 대형차량의 통행이 적은 이면도로나 주거지역의 진입로에 회전교차로 설 치하는데 적합한 기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아가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 설치 증대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100.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 the stroke patien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emiplegic gait, turning direction of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influences turning ti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walking response to turning directions in stroke patients. Objects: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walking time while turning direction in hemiplegic patients depending on balance ability measured by Berg Balance Scale. Methods: A group of forty-five subjects with stroke (Berg Balance Scale score≥46 were twenty-eight, Berg Balance Scale score≤45 were seventee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the Timed Up and Go test. Testing indications included two directions for turning in each subject. These indications were for turning toward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in stroke patients. The duration of total analysis duration, sit to stand phase, stand to sit phase, mid-turning phase, and end turning phase were recorde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in the group that are below and above 45 points of Berg Balance Scale score.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ɑ=.05.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time in the analysis duration and end turning phase duration while subjects were turned the unaffected side in stroke patients that presented a Berg Balance Scale score≤45 (p<.05). However, the comparison between the affected side and the unaffected side in the stroke patients with Berg Balance Scale score≥46,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easured parameters. Conclusion: This finding should be suggested in the specific definition of turning direction for evaluation with Timed Up and Go test in the Berg Balance Scale score≤45, and other intervention for hemiplegic patients need to be suggested the direction of turning during walking training program.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