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2

        8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노랑총채벌레는 꽃을 선호하며 국화의 주요해충이다. olfactometer를 이용하여 국화가 꽃노랑총채벌레를 유인하는 트랩식물로서 효용가치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유리온실에 심겨져 있던 스텐다드국화의 화색별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를 타락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개화시기의 경우에는 핑크색, 흰색, 노랑색의 꽃에서 각각 18.4, 56.6, 52.6 마리였고, 잎에서는 7.8, 16.6, 15.4 마리가 채집되었다. 꽃봉오리 형성시기의 경우에는 꽃봉오리에서 15.2, 45.8, 41.6 마리, 잎에서는2, 8.8, 3.4 마리였다. Y-tube olfactometer 시험에서 선호하는 쪽으로 향하는 꽃노랑 총채벌레의 수는 노랑색에 대하여 빨강색, 보라색, 흰색 꽃의 후각반응을 조사한 결과, 분명한 차이가 없었다. 4-way olfactometer 시험의 경우, 냄새와 동일한 시각자극이 주어졌을 때 꽃노랑총채벌레의 빈도수는 빨강색(1.3), 보라색(3.7)흰색(2.0) 보다 노랑색(10.7)을 선호하였고, 후각적 자극이 교란된 시각적 반응에서도 빨강색 (3.3), 보라색 (1.3), 흰색 (3.0) 보다 노랑색 (10.0)을 선호하였다. 노랑색의 시각적 자극만 제외하고 다른 꽃의 시각적인 자극과 동일한 후각적 자극을 주었을 경우에는 빨강색 (4.7), 보라색 (4.7), 노랑색 (2.0) 보다 흰색(8.3)을 선호하였다. 꽃노랑총 채벌레는 꽃이 개화하기 전에는 꽃의 후각적인 자극에 먼저 반응하여 꽃봉우리로 이동하고 개화되었을 때에는 꽃의 색깔에 더 잘 반응하여 노랑색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아 후각적인 자극보다는 시각적인 자극에 더 잘 반응하였다.
        4,000원
        8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rysanthemum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economically important ornamental plants due to its huge diversity in growing habits, wide range of colors, and different patterns of flower.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the karyotype analysis in four naturally occurring genotypes of Chrysanthemum boreale. Karyotype studies based on th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using 5S and 45S rDNAs. Four chrysanthemum genoteyps showed an aneuploid chromosome number of 2n=18+2 (111016 and 111021) or a diploid of 2n=18 (121001 and 121002). All the genoteyps had the same karyotype formula of 14 metacentrics and 4 submetacentrics. In 111016, the chromosome length during somatic metaphase ranged from 3.11 ± 0.26 μm (shortest) to 3.94 ± 0.20 μm (longest), with a total length of 32.94 μm. The chromosome length at the mitotic metaphase ranged from 3.11 to 6.46 μm, with a total length of 32.94 μm in 111016 and 51.05, 32.81, and 46.00 μm in 111021, 121001, and 121002, respectively. The 5S rDNA and 45S rDNA signals recorded different in all four wildly grown genotypes of C. boreale. This information can be useful in cultivar improvement, as well as in elucidation of the evolution of the chrysanthemum.
        4,000원
        8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 또는 도입된 재배국화 85점을 4 개의 분자마커(SSR marker)를 이용해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품 종판별에 대한 활용성을 검토하고, 유전관계를 분석하여 국화 품종 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위해 본 실험을 수행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85점의 재배국화에 대하여 4개의 SSR 마커로 총 95개의 대립인자가 관찰되었다. 대립인자의 수는 11개 (KNUCRY-35) 에서 34개(KNUCRY-84)로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평균 대립인자 수는 23.8개였다. 유전적 다양성을 나타내는 gene diversity (GD)와 PIC 값의 범위는 0.81-0.89, 0.79-0.89로 관 찰되었다 2. 국화의 이용에 따라 재배국화를 관상국, 스탠다드국, 스 프레이국, 분화국, 화단국으로 그룹을 나눠 집단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각 집단의 평균 expected heterozygosity (H)와 PIC 값을 비교하였을 때 화단국이 0.25와 0.42로 가장 낮 게 나타났고 스프레이국이 0.80과 0.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SSR마커 4개 중 allele수, 특이적 allele 수, gene diversity 및 PIC 값이 높은 마커 KNUCRY-84, KNUCRY-98, KNUCRY- 77, KNUCRY-35를 단계별로 이용하여 단계별 phylogenetic tree를 작성하여 재배국화 85점을 모두 판별하였다.
        4,000원
        8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 occidentalis causes to decrease the yield of chrysanthemum flower economically because it is the major crop pest injuring the flower directly at flowering period in chrysanthemum artificial houses. The control of it with chemicals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resistance of it to chemicals is so high. F. occidentalis began to occur at early-May and increased rapidly mid-May after in standard chrysanthemum artificial houses, Yesan, Chungcheongnam-do. In case of a farm, the density of it increased continuously in spite of chemical control . The times of chemical control to depress the density of it was 6 or 7th for cultivation period of chrysanthemum. We put the flowering yellow pot-mum already (trap plant attracting F. occidentalis) in standard chrysanthemum PVC-houses and set the yellow sticky cards up at an interval of 5m from trap plant(TP). The more yellow sticky trap near to trap plant, the more F. occidentalis was attracted to yellow sticky trap. TP was more attractive to adult F. occidentalis up to distances of 10m. The numbers of it attracted to yellow sticky traps at different distance from TP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when standard chrysanthemum bloomed. We put the TP in standard chrysanthumum PVC-house at an distance of 20m and released the natural enemies (Orius laevigatus) on TP at 3 times, an interval of 7 days. And then we set yellow sticky traps up at an distance of 5m from TP and compared the plot with TP+natural enemy(NE) to the plot without them.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was rather lower at TP+NE plot than the plot without at the formative period of flower bud of standard chrysanthemum. Therefore, The yellow flowering chrysanthemum possesses great value of TP attracting F. occidentalis in chrysanthumum PVC-house up to flowering period of cultivating chrysanthemum, and if it is used with natural enemy and chemicals simultaneously, farmers can minimize the quantity of chemicals used.
        8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rysanthemum stunt viroid (CSVd) is a serious pathogen affecting chrysanthemum that has caused significant economic losses to Chrysanthemum flower production worldwide. Control of CSVd disease is difficult due to its contagious nature and long latent period in the field. As chrysanthemum is most often produced by implanting seedlings, it is necessary to diagnose CSVd infection before cultivation. In this study, we screened CSVd infection in seedlings from 30 varieties including 5 domestic, 6 Japanese, and 19 European varieties. Molecular diagnosis of the combination of RT-PCR and nested PCR showed that CSVd was not detected by the first RT-PCR but detected by the second nested PCR analysis in 10 varieties, including 1 domestic, 2 Japanese, and 7 European varieties. Further comparison of 10 identified CSVd nucleotide sequences showed that those are highly conserved (99-100%) and the most similar to an isolate (AB006737) identified in Hokkaido, Japan. Our study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RT-PCR and nested PCR analysis is successful for the CSVd diagnosis of seedlings and the molecular diagnosis is necessary to prevent the introduction and propagation of viroid disease into the fields.
        4,000원
        8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용 스탠다드 국화 ‘백설’의 전처리제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1-MCP 0.5g·m-3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2일 정도 꽃봉오리의꽃잎착색과 조기개화가 지연되었으며 개화 정도도 9일 까지 개화를지연시켜 품질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Promalin(GA4+7+BA)100mg·L-1과 500mg·L-1 처리구에서도 개화지연 효과가 나타났으나,500mg·L-1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잎과 꽃의 조기 위조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체중의 변화에서도 1-MCP 0.5g·m-3, 1.0g·m-3 및Promalin(GA4+7+BA) 100mg·L-1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고찰해보면 1-MCP 0.5g·m-3와Promalin(GA4+7+BA) 100mg·L-1 처리는 절화 국화 ‘백설’의 수확 후 꽃봉오리 화색변화 및 조기개화를 억제시켜 품질 선도유지에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000원
        8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및 러시아 소비자들의 국화 구매 특성을 조사하여 이들 국가의 기호성과 유통과 관련한 정보를 얻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는 이들 지역의 전문 리서치 기관에 의뢰하여 실시되었으며, 국화를 대상으로 컨조인트 및 군집분석을 하였다. 중국 소비자의 국화 선택속성 별 중요도에서 속성으로는 화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화형, 포장형태 순으로 분석되었다. 각 속성별 부분가치를 보면, 화형은 겹꽃이 가장 높고, 홑꽃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형태는 국화 단일품목으로 포장한 경우가 혼합포장 보다 매우 높았고, 색상은 흰색이 주류를 이루었다. 연령별로는 30대 소득수준이 20-25만위안 이하이고, 최종학력이 전문대졸 이하인 군집1은 흰색 겹꽃에 다른 품목(또는 품종)의 꽃과 함께 포장한 것, 30대 소득수준이 20-25만 위안 이하이고, 최종학력이 대졸인 군집2는 흰색 겹꽃에 국화 단일품목으로 포장한 것, 20대이고 15-20만 위안 이하이고 최종학력은 대졸인 군집3은 흰색 겹꽃에 국화 단일품목으로 포장한 것, 40대 소득수준이 15-20만 위안 이하이고 최종학력이 대졸인 군집4는 흰색 겹꽃에 국화 단일품목으로 포장한 상품을 선호하였다. 러시아의 국화 선택속성별 중요도는 화형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화색, 포장형태 순으로 분석되었다. 각 속성별 부분가치를 보면, 화형은 겹꽃이 가장 높고, 다른 품목(또는 품종)의 꽃과 함께 포장한 형태가 국화 단일품목으로만 포장한 상품보다 더 높았으며, 색상은 흰색이 가장 높았다. 국화의 세부시장별 부분가치는 20대이하면서 최종학력이 전문학교이면서 성별이 여자인 군집1은 흰색겹 꽃에 다른 품목(또는 품종)의 꽃과 함께 포장한 것, 30대로 최종학력이 전문학교이면서 성별이 여자인 군집2는 흰색 겹꽃에 다른 품목(또는 품종)의 꽃과 함께 포장한 것, 20대 이하이면서 최종학력이 전문학교이면서 성별이 남자인 군집3은 흰색 겹꽃에 국화 단일품목으로 포장한 것, 30대로 최종학력이 전문학교이면서 성별이 남자인 군집4는 흰색 겹꽃이면서 다른 품목(또는 품종)의 꽃과 함께 포장한 것을 선호하였다. 그러므로, 중국 시장의 경우 흰색 겹꽃에 단일품목으로 포장한 상품, 러시아의 경우 흰색 겹꽃에 다른 품목(또는 품종)의 꽃과 함께 포장한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앞으로 수출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88.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protocol is developed for a standard-type chrysanthemum. When petal segments derived from flower buds (4 or 8cm in diameter) were used as the culture material, the highest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96%) was obtained on a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L IAA, 2 mg/L BA, 3% sucrose, and a 0.8% agar. Pre-culturing the explants under dark conditions for 14 days produced better results for the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than the explants cultured under a continuous 16 h photoperiod (40 μmolm-2 s -1 ). The shoot regeneration frequency ranged from 19.0% for the Shinmato cultivar to 89.1% for the Baeksun cultivar. Activated charcoal (0.2%) enhanced the root formation of the regenerated shoots in a hormone-free MS medium. The rooted plantlets were acclimatized and successfully established in a greenhouse.
        4,000원
        8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ore’는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절화용 스프레이 국화 신품종이다. 2003년에 분홍색 홑꽃인 ‘Rosa’와 백색 홑꽃인 ‘Angaesoguk’을 인공교배 하여 2005년 부터 2009년까지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화색은 오렌지색이며,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촉성 재배와 억제재배, 자연재배 조건에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Fiore’의 자연개화기는 10월 24일경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 재배가 가능하다. 꽃 크기는 2.8cm이며, 가을재배에 있어서 착화수는 33.8개이다. 봄 촉성재배시 개화소요일수가 48일이며, 가 을 자연재배시의 절화수명은 23.2일로 긴 편이다. 이 품종은 2011년 국립 종자원에 품종 등록되었다.
        3,000원
        9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화생육에 있어서 LED광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국화 'Shinma'를 대상으로 단일광 적색광(Red) 650nm, 647nm, 622nm, 청색광(Blue) 463nm, 450nm, 백색광(White)과 혼합광(적색광(Red) :청색광(Blue)-(9 : 1, 8 : 2, 7 : 3, 6 : 4, 5 : 5), 적색광(Red) :백색광(White)-(7 : 3) 그리고 광원의 조사시간에 따른 LED효과를 구명하고자 광원 비율 적색광(Red) : 청색광(Blue)-(8 : 2)의 컨트롤 베드를 3개로 구성하고, 대조구(태양광)를 포함하여 총 15개의 컨트롤 베드를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광 조사시간에 따른 생육에서는 6/6(on/off)에서 초장, 엽수, 생체 중, 엽면적이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단일광원의 경우 청색광(Blue) 450nm에서 초장과 엽면적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근장에서는 적색광(Red) 650n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외의 측정항목에서는 대조구(태양광)와 백색광(White)에서 높게 나타나, 단일광원에 대한 영향도 있지만, 다양한 파장대의 광원도 작물 생육에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혼합광의 경우 단일광과 달리 대조구(태양광)를 제외하고 적색광(Red)의 비율이 가장 높은 적색광(Red) :청색광(Blue)-(9 : 1)에서 초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에서는 적색광(Red) : 백색광(White)-(7 : 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대조구(태양광)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엽면적에 있어 대조구(태양광)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화생육에 있어서 LED광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한 결과 국화의 생장 및 형태형성에 분명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으며, 단일광과 혼합광에 대해 적절한 광원의 선택은 보광의 목적이나 고품질 국화생산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91.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한국에서 여름철 동안 야간 고온이 스프레이국화의 개화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05년 실험결과에 따르면, 단일기간 중 야간 온도가 25°C 이상 지속된 기간은 23.6일로 조사되었고 개화가 지연된 기간은 22일로 조사되었다. 유사한 결과가 2006년에도 조사되었는데, 단일기간 중 야간 온도가 25°C이상 지속된 기간은 23.6일, 개화지연 기간은 23일로 조사되었다. 2007년 결과도 단일기간 중 야간 온도가 25°C 이상 지속된 기간은 31.9일, 개화지연 기간은 31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2005년부터 2007년까지의 결과에 따르면, 스프레이국화 ‘Euro’ 품종에서 야간에 고온과 개화기간지연 사이에 특별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3,000원
        9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단용 국화 계통 ‘09-19-49’는 옥상 비닐하우스에서 화분에 재배한 것이 노지에서 재배하거나 옥상 공간에서 화분에 재배한 것보다 생육이 월등히 촉진되었다. 옥상 공간에서 재배한 경우 매트 삽목묘는 플러그 삽목묘에 비해 초폭, 피복율 그리고 건물 중과 생체중에서 유의성 있게 생육이 촉진되었다. 노지 재배와 옥상 공간에서 화분에 재배한 경우 피복율은 64.3~71.8%이었으 나, 옥상 비닐하우스에서 화분에 재배한 경우 피복율은 101.4~114.9%로 크게 높아졌다. 화단용 국화 계통 ‘09-09-51’ 도 옥상 공간보다는 옥상 비닐하우스에서 전반적으로 생육이 우 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착화수도 증가하여 옥상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한 경우 무려 854.3개로 옥상 화분 재배의 567.3개 보다 월등히 많았다. 노지 재배에서 화단용 국화 계통 ‘09-76-03’의 착화수는 플러그 삽목묘가 332.5개로 매트 삽목묘의 253.8개에 비해 월등히 많았고, 피복율은 플러그 삽목묘가 102.2%로 매트 삽목묘의 96.2% 보다 높았다.
        4,000원
        9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increase of chrysanthemum demand on chrysanthemum increases in Korea,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chrysanthemum is needed. Chrysanthemum stunt viroid (CSVd) is one of the important viroid, which infects chrysanthemum and induces diseases that affects the decrease of quality and yield. To solve this problem, we used different size of meristem of chrysanthemum ‘Ency’ for shoot tip culture and also that of combined with heat treatment at 37οC. The efficiency of CSVd elimination was influenced by the size of shoot tip. The small-sized of meristems with 1 or 2 leaf primodia were regenerated into the highest number of CSVd-free plantlets. By RT-PCR, the 214-bp band corresponding to CSVd was not detected in 22.2% of the total number of tested regenerants from shoot tips with 2 leaf primordia. While, shoot tip culture combined with heat treatment of one-month-old in vitro shoots was not effective for CSVd-elimination. The CSVd-free plants grew more vigorously than CSVd-infected plants in the greenhouse.
        4,000원
        94.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e case of one standard-mum polyvinyl house,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reached its peak in early June and decreased after the chemical control, which was carried out periodically. In the case of another standard-mum polyvinyl house,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increased continuously in spite of the periodical chemical control after planting. In both polyvinyl houses,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began to increase mid-May. The numbers of F. occidentalis collected on a tray with wet paper by heating the flowers of pink, white, and yellow Chrysanthemum standard mums were 18.4, 56.6, and 52.6 after flowering, but in the case of the leaves, the numbers were 7.8, 16.6, and 15.4. Also, the numbers of F. occidentalis collected on a tray with wet paper by heating the buds of pink, white, and yellow Chrysanthemum standard mums were 15.2, 45.8, and 41.6, but in the case of the leaves, the numbers were 2, 8.8 and 3.4. In the Y-tube olfactometer test, the frequency of F. occidentalis’ visits to one side arm of the Y-tube olfactometer was higher in the odor cue of the white flower than of the yellow, red, and violet flowers, but in the other combinations without white flowers, the frequency was higher in the odor cue of the violet and red flowers than of the yellow flowers. In the case of the four-choice olfactometer test, in the same visual cues as the odor cues of the pot mum flowers, the frequency of F. occidentalis was higher in the yellow flower than in the other flowers (white, red, and violet) in all the observation times (10, 15, and 20 minutes). In the case of the visual cues with disturbed odor cues, F. occidentalis preferred the yellow color to the other colors in all the observation times (10, 20, and 40 minutes). F. occidentalis preferred the white color to the other colors when the same odor cues as the flower color were provided, but the odor cue of the yellow flower was provided only without the color cue.
        9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een Hof’는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녹색 폼폰형인 ‘Froggy’를 모본, 녹색 폼폰형의 ‘Yoko Ono’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5년부터 2009년까지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 의 특성검정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촉성재배와 억 제재배, 자연재배 조건에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Green Hof’의 자연개화기는 10월 24일경이며, 일장조 절에 의해 주년 재배가 가능하다. 여름철 고온하에서도 비교적 화색이 안정되고 성장세가 매우 좋다. 초장은 113.5 cm 정도이며, 생장유형은 단일줄기형으로서 꽃 크 기가 3.4 cm, 설상화 길이 1.4 cm, 설상화 너비 0.4 cm, 착화수는 24.3개이다. 화색은 선명한 녹색이며, 화서형태는 평평한 산방화서형이다. 춘계 촉성 재배에 서 ‘Green Hof’의 개화소요일수는 42일로 아주 빠른 편이며, 자연재배에서 채화한 화경의 절화수명은 25.2 일로 매우 긴 편이다.
        4,000원
        9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o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of Chrysanthemum dye in Sprague-Dawley (SD) rats. SD rats were orally treated with Chrysanthemum dye at a dose of 0, 1 and 2 ml/kg body weight. After oral administration, the rats were observed for 14days. In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SD rats were dermally treated with Chrysanthemum dye and observed for 3 days. To ensure the safety of Chrysanthemum dye such as the following were observed and tested. We examined the body weight, the feed intake, the clinical signs, the ophthalmological test, the histopathological test, the mortality and skin irritation.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dy weight, feed intake and histopathological test between control and Chrysanthemum dye treated group. In the result of skin irritation test, Chrysanthemum dye did not induce erythema and edema after topical application. Primary irritation index was “0” in the tes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hrysanthemum dye has no effect on acute toxicity and side effect in SD rats and is non-irritant material based on the score “0” of primary irritation index.
        4,000원
        9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from Chrysanthemum cornarium L. var. spatiosum(CSE) against alloxan-induced oxidative stress in pancreatic β-cells, HIT-T15. In this study, the antidiabetic effect of CSE was examined using the 3-(4, 5-dimethylthiazolyl-2)-2, 5-diphenyltetrazoliu bromide(MTT) cell proliferation assay, lactate dehydrogenase(LDH) release assay, NAD+/NADH ratio and insulin secretion. To further investigate whether CSE is involved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lloxan-damaged HIT-T15 cells, its antioxidant effect against alloxan-induced oxidative stress was measured in HIT-T15 cells by determining the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S-transferase(GST), glutathione reductase(GR) and glutathione peroxidase(GPx).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alloxan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increased LDH leakage, and lowered NAD+/NADH ratio and insulin secretion in HIT-T15 cells. However, CS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iability of alloxan-treated cells and lowered LDH leakage. The intracellular NAD+/NADH ratio and insulin secretion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by 1.7-fold and 1.3-fold, respectively, after treatment with 100 ㎍/㎖ CSE. The HIT-T15 cells treated with alloxan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while CSE significantly elevated the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SE could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ytotoxicity and dysfunction of pancreatic cells in the presence of alloxan-induced oxidative stress.
        4,000원
        99.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addition of ethanol to wax gourd extract and by acetic fermentation, 5.0% acidity vinegar was produced. After putting 10% extract(10% concentration) of Chrysanthemum zawadskii in this, and by dissolving shell, Chrysanthemum zawadskii-pearl vinegar was produced. When a 1% of ark shell, oyster shell, or ear shell was added to wax gourd vinegar, 95.6~98.4% of the shell dissolved, and when a 2% content of shell was added, 97.2~98.4% was dissolved. The acidity of vinegar which dissolved 1% shell was pH 3.0~3.17, and the acidity of vinegar which dissolved 2% shell was pH 1.11~1.20. The pH values of vinegar which dissolved 1%, and 2% shell contents were 4.54~4.55, and 4.86~4.95, respectively. When 1% shell was dissolved, the acidity was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vinegar, with a high pH value and low level of free acid. This shows that when Chrysanthemum zawadskii 1% is added during acetic acid fermentation, the inhibition was 44.4%, and 22.2% respectively. In this regard, Chrysanthemum zawadskii should be added after the fermentation of acetic acid. The calcium content of 1% shell vinegar is 0.4%, and that of 2% vinegar is 0.78%. Non-heated native wax gourd shows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rate of 21.7%, an antioxidant activity of 5.23%, and a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5.5%. In the case of heated-extracted wax gourd,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rate was 16.1%,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as 20.5%, antioxidant activity was 23.2%, and the tyrosinase inhibition rate was 7.1%. Also, in the case of Chrysanthemum zawadskii,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rate was 28.8%, the xanthine oxidase inhibition rate was 28.2%,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was 14.5%,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3.2%, and the tyrosinase inhibition rate was 9.2% Data also revealed that when a 10% sample of the heated-wax gourd extract was added to A549 human lung cancer epithelial cells of, the number of cancer cells declined by 80% in 72 hours, When a 10% native extract was added, the number of cells declined by, 74% in 48 hours, and when a heated-extract of Chrysanthemum zawadskii was added, 100% of the cells died after 72 hours.
        4,000원
        100.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ellow Cap’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황 색 폼폰형인 ‘Chacha’를 모본, 황색 폼폰형의 ‘Focus’ 를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5년부터 2009년 까지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 검정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촉성재배와 억제재배, 자연재배 조건에서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Yellow Cap’의 자연개화기는 10월 26일경이며, 일장조절에 의 해 주년 재배가 가능하다. 초장은 108.7 cm 정도이며, 생장유형은 단일줄기형으로서 꽃 크기가 3.4 cm, 설상 화 길이 1.4 cm, 설상화 너비 0.4 cm, 착화수는 25.1 개이다. 화색은 선명한 황색이며, 화서형태는 산방화서 형이다. 춘계 촉성재배에서 ‘Yellow Cap’의 개화소요 일수는 51일로 7주 정도이며, 자연재배에서 채화한 화 경의 절화수명은 23.2일로 매우 긴 편이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