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1

        8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offering eco-friendly fashion items on consumers’ perceived image of stores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food in a hybrid cafe setting.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of 465 adults aged 20 to 49 years. In order to compare ‘a general cafe’ where only food is sold and ‘a hybrid cafe’ which offers eco-friendly fashion items as well as food, we developed two store types (general×hybrid) with two store designs (modern×eco-friendly) as stimuli, resulting in four scenario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ffering eco-friendly fashion items at a caf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onsumers’ perceived eco-friendly image of the store. Further, this negatively affected consumers’ perceived healthy and tasty images of the store and intention to purchase food. Such negative effects on the healthy and tasty images of the store increased in the store with a modern design. In conclusion, offering eco-friendly fashion items at cafes may not contribute to enhancing the stores’ images or sales.
        4,000원
        82.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이용해 전국 대학생들의 생태통로에 대한 인식 및 지식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간과 자연이 공존해야 하는 생태계는 사람들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고 있다. 생태통로는 이러한 생태계 파괴를 방지하고 생태계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인공적인 생태적 공간이다. 그러나 국민들의 관심과 인식이 부족해 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민들의 생태통로에 대한 인식수준을 높이고 교육의 기회를 제시하고자 한다. 전국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생태통로에 대한 인식 및 지식을 분석하였다. 생태통로에 대해 들어보았는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57%가 ‘있다’고 하였으며, 43%가 ‘없다’고 하였다. ‘생태통로는 야생동물들이 안심하고 통행할 수 있도록 나무와 풀로 뒤덮여 있을수록 좋다’는 지식 문항을 조사한 결과 생태통로에 대해 들어본 그룹은 22.8%, 생태통로에 대해 들어보지 않은 그룹은 23.3%만 올바르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생태통로에 대해 들어본 그룹이 60% 미만으 로 생태통로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생태통로에 대해 들어본 그룹이 생태통 로에 대해 들어보지 못한 그룹만큼 지식이 올바르게 정립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국민들이 생태통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도록 교육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8.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friendly design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ildren’s collections. Photos from FirstviewKorea were utilized for analysis; 29 brands were selected that included children’s clothing collections featuring eco-friendly characteristics from 2007 to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aturalness was the most frequent characteristic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hildren’s collections. It was not conveyed in an eccentric way in any season, showed a relatively uniform distribution, and was seen in various ways, including printed on the fabric and expressed in appliqués and embroidery. Second, handcrafted features frequently changed according to seasonal trends. Various methods such as beading, embroidery, applique, sewing techniques, and handbags were used, which enhanced manual workability, discrimination from other designs. Third, traditionality is divid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ethnicity and revivalism. National traditions were expressed in the clothing and reflected the current generation while connecting to the past. Fourth, simplicity appeared in classic designs such as simple silhouettes, sparse decoration, natural colors, and comfortable dress length that is not tight on the body. Simplicity was not a frequent fea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clothing collections. Fifth, playfulness functioned to enhance the children’s clothing’s wear frequency. Although it was the least frequent of all the characteristics, it seemed to increase the design fun and the clothing’s value by fusing with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handcraftedness and naturalness.
        4,600원
        8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효과적인 사면복원을 위해 친환경 식생자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경북대학교에서 개발한 친환경 식생자루와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하던 론생백과 황마씨자루를 대상으로 인장강도시험, 내후성시험, 전단강도시험을 통해 식생자루별 특성을 비교분석 하였으며, 친환경 식생자루의 현장적용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주시 목재문화체험관 뒷 사면에 시공하여 실외발아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친환 경식생자루가 기존의 식생자루에 비해 200 N 높은 인장강도를 보였으며, 내후성시험에서는 근소한 차이로 기존의 식생자루가 높은 저항성을 보였으나, 강도의 분포가 고르지 않은 경향을 나타냈다. 전단강 도시험에서는 친환경식생자루가 높은 토양응집력과 접촉효율을 나타내어, 현장시공 시 높은 토양안정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실외발아실험결과, 초본, 관목, 교목 모두 70%의 높은 피복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친환경 식생자루가 기존의 식생자루에 비해 사면복원 및 녹화사업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식생자루와 기존의 식생자루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인 사면복원 방법 및 친환경 재료의 활성화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0.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rtical activity was assessed in fashion-luxury consumers with a different sustainability orientation, in order to obtain insight on implicit dynamic towards eco-luxury products. Findings highlighted a strong emotional negative impact elicited by sustainability pictures implying a high engagement in luxury consumers when exposed to specific sensitive issues.
        4,000원
        9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실리콘계 소포제가 해양으로 배출되었을 때 소포제 내에 존재하는 주요 성분들이 해양 저서환경에 서식하는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리콘 및 알코올계 소포제에 대해 저서성단각류(Monocorophium acherusicum)와 발광박테리아(Vibrio fischeri)를 이용하여 해양생태독성실험을 수행하였고 실리콘계 소포제의 주요성분인 디메틸폴리실록산(PDMS)에 대한 수중생물 독성영향을 조사하였다. 실리콘 및 알코올계 소포제에 대한 발광박테리아와 저서성단각류를 이용한 독성실험결과, 실험생물별 독성영향은 발광박테리아가 저서성 단각류에 비해 알코올계 소포제에서 최대 9배까지 민감한 독성영향을 보였으며 소포제 종류별 독성영향은 실리콘계 소포제가 알코올계 소포제에 비해 최대 400배 이상 높은 독성영향이 나타났다. 실리콘계 소포제의 주요성분인 PDMS가 수중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식물플랑크톤, 무척추동물 및 어류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50)및 반수영향농도(EC50)값은 10 ~ 44,500 μg/L의 범위로 나타났다. 물질의 정성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PBT(P: persistency, B: bioaccumulation, T: toxicity)특성을 PDMS에 적용한 결과, 지속성(P)과 생물농축성(B)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PDMS가 해양으로 배출될 경우 생물농축 및 먹이사슬을 통한 상위 영양단계로 축적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저서생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향후 실제 해양으로 배출되는 다양한 소포제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조사시 소포제 내 주요성분을 고려한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위해성평가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9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umers’ interests in the environment have been growing; hence, their consciousness about the environment has changed and affected their clothing shopping behavior. Prior study indicated attitude-behavior inconsistency in eco-friendly consumer behavior. It was because consumers’ consciousness or attitude was often measured at an abstract level, not at a product specific level. This study investigated eco-friendly clothing knowledge, eco-friendly clothing consciousness, and ecological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The effects of consumers’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and subjective norms in this process were also investigated. For the empirical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responses from 480 women in their 20s to 50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interest and fashion consciousness dimensions of clothing involve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cofriendly clothing knowledge, which thereb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hree factors of eco-friendly clothing consciousness: social responsibility, health orientation, and clothing resource-saving consciousness. Such factors had different roles in the clothing consumption process. Soci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ntire process of clothing consumption: shopping, purchasing, using, and disposing behaviors. Health orientation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hopping and purchasing behaviors, whereas resource-saving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ly on shopping behavior. Subjective norm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aspects of the clothing consumption process. Influence on disposing behavior was relatively weaker than other aspects of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4,300원
        9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지생태축산이 가진 다원적 기능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가치를 평가하였다. 산지생태축산의 다원적 기능은 크게 직접이용가치, 간접이용가치, 유산가치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직접이용가치의 경우 조사료 및 축산물 생산과 같은 채집 기능과 레크리에이션 및 관광과 같은 비채집 기능이 존재한다. 간접이용가치의 경우 수자원 관리, 토양 침식 조절, 대기 조절, 경관, 축산분뇨처리, 산불확산억제 기능이 존재하며, 유산가치의 경우 종다양성 기능이 존재한다. 분석결과 산지생태축산 운영지 1ha의 연간가치는 직접이용가치 21,090,874원, 간접이용가치는 경관이 초지일 때 15,562,203원, 경관이 임간초지 일 때 16,018,224원으로 추정되었고, 유산가치의 경우 종다양성 가치로 멸종위기종의 개체수에 따라 최소 767,273원에서 최대 1,578,845원으로 추정되어, 다원적 가치의 총합은 최소 37,420,350원에서 최대 38,687,942원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국내 산지생태축산 정책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9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perties of eco-friendly waterproofing materials for bridge decks. METHODS: Various waterproof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 were evaluated. Then, the problems in field application were identifi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nstructability and stability. Thus, the properties of heating waterproofing membranes and waterproofing systems using recycling additives were evaluated. In addition, a field test was conducted to ensure the construct-ability and stability. RESULTS AND CONCLUSIONS : Waterproofing materials were developed using waste tires and carbon black the results of the softening point test, tensile adhesion test, and shear adhesion test. A new sheet system, which consists of mesh and vinyl, was also determined from the sheet test. The properties of waterproofing materials were better than those developed under the "A Asphalt Concrete Pavement Construction Guidelin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aboratory tests and the report of the authorized testing agency. Finally, the field test showed that the materials met quality standards.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continuous field tests and follow-up inspections.
        4,200원
        100.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중국 ‘생태시’의 성장과정과 창작 현황을 고찰하고, 나아가 21세기에 들어 최악의 환경오염 문제를 안고 있는 중국 사회에서 ‘생태시’가 내포하고 있는 ‘환경과 개발’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인간과 자연’ 관계에 대한 새로운 지향을 살펴보고자 한 시도이다. 개혁개방 이후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면서 중국이 보여준 기록적인 경제성장률의 이면에는 경제성장의 속도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자연환경파괴와 오염이 확대되고 있었다. 이러한 현실적 배경을 바탕으로 중국의 생태시 창작은 80년대 중반 극소수 시인의 작품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이후 하나의 창작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본고는 주요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생태시가 내포하고 있는 사회 참여의식과 비판적 특징, 자연과 인간의 새로운 관계 모색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5,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