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1

        81.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imple conservation technique baled silage making of selected froage materials was discussed in Suwon and in Muan county during 1991 - 1992. Eleven species of forage crops and pasture grasses(maize. sorghum, pearl millet, barnyardgrass, rye, barley, spr
        4,000원
        82.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level of cattle sluny(T1:150, T3:250, T53.50 kglha) and chemical fertilizer(T2:150, T4:250, T6:350 kg/ha)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chemical soil pro
        4,000원
        83.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야지보다 일조량과 적산온도가 다소 적은 고냉지에 적합한 사료작물 윤작체계를 구명하여 토지의 이용성 및 단위생산성을 제고하여 조사료 생산기반을 확대시키고자 호맥+숙기가 다소 틀린 옥수수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9개 품종의 작부체계를 공시하여 2모작 작부체계를 확립고자 해발 800m의 대관령지역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1. 높고 추운 대관령 지역에서도 양호하게 호맥을 재배할 수 있다. 2. 호맥후작으로 도입되는 옥수수는 구태어 조생종이
        4,000원
        84.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variation of the esterase isozyme, germination rate, chemical composition and digestibility of field bean(G1ycine soja S. and Z.) were estim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anding patterns of the esterase isozyme in field bean were varied wit
        4,000원
        85.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ries of test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urity and germination of pasture plant and forage crop seeds imported in 1986 and 1987 at the grassland and forage laborator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At the same time,
        4,000원
        87.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rice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Suwe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rvesting time on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rye (Secale cereale L.) on paddie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re
        3,000원
        88.
        198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wo year's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on newly reclaimed saline tidal lands to measure the effects of sand mulching on salinity of the soils and their relationship to crop performance. Hybrid sorghum cv. Pioneer 931 was grown under different mulchin
        4,000원
        89.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a new corn cultivar with multiple tillers that is suitable for forage. Materials were developed at the Corn Breeding Laboratory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 total of 3,650 accessions were collected domestically and from other countries, including China. Among them, 16 CNU inbreds, tillering and non-tillering, were compared to each other in terms of stem heigh, number of tillers, fresh weight, and dry weight per plant. Of these surveyed traits, the stem heigh at tasseling stage was 140~190 cm and number of tillers per plant ranged from two to four.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these lines were higher in the tillered than in the non-tillered sample.
        9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풍’은 1999년에 대립이며 황색 종피이며 다수성인 ‘수 원191호’를 모본으로 하고 경장이 짧고 조생종인‘수원196호’ 를 부본으로 교배되었다. 2000년도에 F1을 양성하고, 2001년 도에 F2는 집단선발을, 2002년 ~ 2004년도에 F3 ~ F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HS982-B-1-1-2-2 계통으로 계통명은 ‘연천3호’이다. ‘연풍’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육형은 유한신육형이며 꽃색은 자색이고, 엽형은 피침형 과 능형의 중간형이며, 모용색은 회색이고, 종실모양은 편구 형이며, 제색과 종피색은 황색이고 협색은 갈색이고 협은 성 숙 후에도 잘 개열되지 않으며, 성숙기는 대원콩보다 15일 빠 른 조중생종이며, 100립중은 28.7 g으로 대립이다. SMV유묘 검정에서는 하위엽에서 모자이크증상을 보였으나, 포장에서 는 0이었다. 검은뿌리썩음병의 발병율은 2.5%였다. 불마름병 유묘 검정에서는 5 정도였으나, 포장에서는 0이었다. 콩나방 은 1.5%였다. 종실의 화학적 성분은 단백질은 36.1%이었는 데 특히 아미노산 함량은 346.8 ㎎/100g, 아이소플라본 함량 은 1,667 ㎍/g으로 대원콩보다 낮았다. 조지방은 19.2%였는 데, 대원콩보다 포화 지방산은 11.8%로 1.6% 높았으나, 불포 화지방산은 85.0%로 1.2% 낮았다. 가공적성에서 두부수률은 대원콩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두부물리성 중 경도, 검성, 응집성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경도는 낮았다. 청국장의 발효 및 풍취는 대원콩보다 우수하였다. 수량성은 대비품종인 대원콩보다 생산력검시험에서는 16% 증 수 되었고, 3개년 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3.44 MT/ha으 로 38% 증가하였다(품종보호번호: 제4242호).
        91.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체생산성이 높은 밀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장간, 다수성인 Kanto75/8/탑동밀/4/Bb#1/장광//STRAMCHO/3/수원220호/5/수원185호/CI 12703//관동75호///수원219호/7/F 1277에서 유래한 우량계통을 모본으로 하고, 중단간이면서 농업적 특성이 우수한 식용 밀 표준품종인 금강밀을 부본으로 하여 1998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하였다.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여 초형이 우수하고, 장간인 SW98008-YB-7-5-1-1-2 계통을 선발하였다. 3년간 생산력검정 예비시험과 생산력 검정 본시험을 실시한 결과, 총체수량이 우수하여 ‘익산326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지역적응성 시험을 수행하여 총체수량성이 높고 한해에 강한 계통으로 입증되어 2009년 12월 직무육성품종선정심의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청우’로 명명하였다. 그 후 국립종자원의 재배심사를 거쳐 2013년 종자산업법 제55조에 따라 품종보호 등록원부에 등록(품종보호 제4311호) 되었다. ‘청우’는 잎색이 진녹색이고, 잎폭은 중간 정도이며, 줄기는 길고 직립형태는 중간 정도로 뻗은 형태이다. 이삭은 중간 정도의 길이고, 이삭의 까락은 황백색이고 길이가 길며, 종실의 크기는 중간 정도이고, 종실색은 백색을 띄는 백립계이다. 출수기는 밭상태에서 4월 22일로 대비품종인 금강밀보다 1일 빠르고, 논상태에서 4월 24일로 금강밀과 유사하였다. 황숙기는 밭상태에서 5월 19일로 금강밀보다 2일 빠르고, 논상태에서 5월 22일로 1일 빠르다. 초장은 91 cm로 표준품종인 금강밀보다 장간형이고, 수장은 7.1 cm로 금강밀보다 0.9 cm 작은 편이지만, 경수는 1,070개/m2로 많다. 건물수량은 14.8 MT/ha으로 표준품종인 금강밀에 비해 12% 증수한 다수성이다. 조사료 품질은 표준품종 금강과 비교하여 유사하나, TDN 수량은 ha당 10.0 MT으로서 9.0 MT인 금강에 비해 높다.
        92.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토양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총체 밀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2년(2012~2013년) 평균 총체 밀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6.10~7.70, 0.59~0.76 및 3.84~4.74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07, 0.35 및 2.54 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총체 밀의 평균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100~150 kg N/ha(7.24~7.59, 0.67~0.73 및 4.43~4.69톤/ha)가 무비구(5.96, 0.57 및 3.71톤/ha)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총체 밀의 조단백질 함량은 콩과사료작물의 혼파구에서 평균 9.83~10.03%로 총체 밀 단파구의 8.37%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ADF 함량은 헤어리 베치 혼파구 그리고 RFV는 사료용 완두 혼파구가 다른 처리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조단백질 함량은 9.17~9.52%로 처리수준 간 차이가 없었고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100 kg N/ha 까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총체 밀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3.99~4.20두로 단파구(평균 2.21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질소 수준 100 kg/ha(평균 3.68두)까지 무비구(평균 3.09두) 보다 총체 밀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총체 밀 재배 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양질의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9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미’는 답리작 적응 내재해 다수성 청보리 품종육성을 목표로 1999년 내재해성으로 총체적성이 우수한 ‘수원337호’를 모본으로 하고, 도복에 강한 ‘수원355호’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 선발된 ‘익산438호’로 전국 7개소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0년에 육성되었다. ‘조미’는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Ⅰ정도이고, 잎은 녹색이며, 잎귀가 없는 무엽이 품종으로 가축기호성이 높다. 초장은 90㎝이고, m2당 경수는 846개로 표준품종인 ‘영양’보다 194개 많은 다얼성이며, 엽신 비율이 높다.답리작에서 출수기는 4월 23일로 ‘영양’보다 3일 빠르고, 황숙기는 5월 25일로 1일 빠른 조숙종이다. 내한성은 ‘영양’보다 다소 강하였으며, 흰가루병에는 감수성을 보였지만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5.7톤/ha ‘영양’과 같았으나 답리작에서 10.3톤/ha으로 ‘영양보다 5% 적었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8.3%로 ‘영양’에 비해 높았으며, ADF는 26.2%, NDF는 48.3%로 ‘영양’보다 낮았으나 TDN이 68.2%로 ‘영양’보다 다소 높고, 사일리지 등급은 II 등급으로 양호하였다.
        94.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ungmo2502’ awnless barley line (Hordeum vulgare L.) developed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11. The Jungmo2502 derived from three-way cross between Millyang100 and F1 (Samheung/Suwon300) in 2000. Subsequent generation were handled by the bulk method in a pedigree selection program. A promising line showed high yield as well as lodging resistance in the yield trial tested at Iksan in 2007 to 2008, designated as Iksan 448. The lin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RYT) tested in seven locations around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The Jungmo2502 is carrying the growth habit of Ⅳ, green leaf and stem similar to the check cultivar ′Youngyang′. Its heading date was May 3, and maturing time was May 30 in paddy field, which was 3 days later respectively than check cultivar. It was 98 cm of culm length, 607 spikes per m2 and showed more rate of leaf blade, winter hardiness, and resistance to BaYMV than the check cultivar. Average dry matter yield was similar with the check cultivar in paddy field (about 11 ton ha-1). It also showed good qualities as 8.7% of crude protein, 21.9% of ADF (acid detergent fiber), 40.7% of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71.6% of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including high grade of silage for whole crop barley.
        95.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섬유작물인 케나프의 가축 사료용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개발한 신품종 장대와 다른 품종들(옥수, C12, C14-DRS)에서 생육특성과 유용물질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돌연변이 신품종 장대가 다른 대조품종들보다는 생육이 좋았는데 특히 생체중, 건물중, 줄기직경, 마디 수에서 대조품종들보다 1.6~3.1배 가량 높은 생육 특성을 보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장대의 줄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잎에서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줄기의 조섬유와 조회분 함량은 계통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잎의 조섬유 함량은 C14-DRS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장대가 높았다. ADF함량은 옥수의 줄기와 잎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NDF는 장대의 줄기와 잎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옥수, C12, 장대, C14-DRS순으로 나타났다.
        97.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체사료용 청보리 신품종 "다미"는 가축의 기호성을 개선하고 잎 비율이 높은 다수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6년에 잎귀가 없는 돌연변이체 'BGS60'을 모본으로, 내재해성이고 총체적성이 우수한 '강보리'를 부본으로 여교잡하고 계통육종법에 의하여 제반특성이 우수한 'SB962002-B-B-B-10-1'계통을 선발, 생산력검정시험과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07년에 육성되었다. 1. "다미"는 직립 초형으로 파성이 III 정도이고, 잎은 녹색이면서 넓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