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9

        83.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ptimal conditions for hot water extraction of Liriope spicata tuber were investigated with changes in solvent ratio(2∼6 fold) and heating time(1∼5 hr)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content of extractable solids increased with an increased in solvent ratio, and the highest content showed at heating time of 3 hr. The content of total steroid saponin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solvent ratio, an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heating time at increasing the solvent ratio. The content of non-reducing sugar containing oligosaccharides at a lower solvent ratio didn’t show changes depending on heating time, while that at a higher rati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heating tim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using hot water as the limited conditions of 15∼18% extractable solids, 1.5∼2.0% total steroid saponin, 6∼8% reducing sugar, 6∼7% non-reducing sugar and 13∼15 brix were 3 hrs of heating time and 4 fold of solvent ratio.
        84.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편씨마를 이용하여 마를 재배할 경우 토성에 따른 괴경의 형태적 특성과 수량성의 차이를 단마 품종 '마1호'와 장마 품종 '안동재래종'을 공시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토에서는 괴경의 길이가 짧고 분기의 발생이 많아 괴경의 모양이 좋지 않았다. 양토와 사양토에서는 사토에 비하여 분기 발생이 적어 괴경의 모양이 양호하였으며, 괴경의 생체수량은 단마가 21~27%, 장마가 각 6% 증수되었고 , 상마수량은 단마가 45~55%, 장마가 20~22% 증수되었다. 식양토에서 단마는 괴경의 분지 발생이 다소 많았으며, 장마는 괴경의 굵기가 가늘고 만곡되어 모양이 좋지 않았다.
        85.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mass production of plug seedlings in cultivar ‘Dejima’ potato (Solanum tuberosum L.) the optimal apical cutting diameter for rooting and rapid multiplication of stem cuttings in hydroponics were determined. In addition, the best planting date was predicted to increase tuber yield of plug seedlings at fall cropping in Cheju-Do, Korea. Days to initial rooting decreased as the cutting diameter was reduced. Plant height, leaf number, root length and root weight per plant were favorable as the cutting diameter was small. The ideal cutting diameter was 1-2 mm in this experiment. In the hydroponic cultures, the Japanese standard (JS) nutrient solution was the most effective for multiplication of stem cuttings. It was able to propagate more than 20 times a month from a single mother plant. Viability of plants, which were derived from plug seedlings using stem cuttings, was excellent when transplanted to the field. The number of tubers and tuber yield in both of the plug seedlings and seed potato planting plots were high when planted on 25 August. The number and yield were reduced when planted on 15 August, 5 September and 15 September. The degree of decrease of tuber yield in the plug seedling planting plot however, was lower than that of seed potatoes when the planting date was late. In the case of small tubers (under 30 g), the number of tubers and tuber yield were evidently increased in the seed potato tuber planting plot; the yield of large tuber (over 80g) in the plug seedling planting plo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eed potato. The total tuber yield per plant in the plug seedling planting plot was less than that of the seed potato;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uber yield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field plant density.
        86.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 재배에 있어서 트랜쳐를 이용한 심경재배 효과와 트렌치 깊이에 따른괴경의 형태적 특성 및 수량성의 변화를 자주식 보행형 트렌쳐인 "NF-827H"를 공시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트렌처를 이용한 심경으로 마를 재배하면 관행 경운에 비하여 괴경의 크기가 커지면서 모양이 좋아지고 상품성이 높은 괴경의 수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트렌치에 의한 심경재배 효과는 단마보다 장마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괴경의 크기와 모양 및 수량성을 고려할 때 단마는 60cm 이상, 장마는 80cm 이상으로 트렌치하는 것이 좋다.
        87.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종근으로 사용한 부위와 마디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996~1997년 2년간 충북 농촌진흥원 시험포장에서 상위부, 중위부, 하위부를 각각 1마디, 2마디, 3마디씩 절단하여 분할구배치법 3반복으로 재식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근부위별 출아율은 중위부 재식에서 82%로 가장 양호하였고, 심는 마디수가 증가할수록 출아율이 향상되었다. 2. 중위부 3마디를 재식하였을 때 LAI도 3.10으로 높았고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도 가장 양호하였다. 3. 근경의 건물중 및 건물율은 중위부의 3마디 재식에서 821g/m2와 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건엽과 건근경의 수량은 중위부 3마디 재식에서 272kg/10a과 821kg/10a로 높게 나타났다.
        88.
        199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마의 종근부위에 따른 수량성을 밝혀 적정 종근부위를 확인하고 새로운 지주설치 방법이 단마와 장마의 수량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다수확 재배기술을 확립코자 수행한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동부과 미부가 노두나 두부에 비하여 15일 정도 늦고, 출현율은 동부에서 다소 낮은 경향이였다. 2. 종근부위별 지상부의 생육은 두부가 가장 왕성하였고 지하부의 생육은 두부와 미부가 가장 왕성하였다. 3. 10a당 수량은 노두에 비하여 두부와 미부가 각각 16, 15% 증수를 보였으나 동부는 8%의 증수를 보였다. 4. 개화기와 영여자착생기는 모든지주설치 방법에서 비슷하였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관행지주법에서 보다 네트를 이용한 Λ, I형 지주에서 높았다. 5. 단마는 지주형에 따라 큰 수량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장마는 Λ, I형 지주에서 각각 11.8%의 증수를 보였다. 6. 경영비를 고려할 때 네트지주형은 I형이 적합하였다.
        89.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give some information on the harvest and storage of Chinese yam (Dioscorea opposita), the experiment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its harvesting date and storage method on tuber weight, tuberrelated characters during the storageor at the end of storage. The yam tubers harvested 4 times at 20 days interval from Oct. 15 were stored with different storage methods(pit, room and cold temperature) and on Mar.15. all the characters were measured. Fresh weight of the tuber harvestedafter Nov. 5 and stored were greater than that done on Oct. 15 while dry tuber weight did not have any difference between the harvesting dates. The fresh weigth done directly from the field on Mar. 15 was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harvesting dates owing to its higher moisture content. The rate of sound tuber stored at room or cold temperature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at the field at which the rate was greater at the harvest after late nov. compared to the earlier harvests. Although the two storages were similar at sound tuber rates and marketable yield, the tuber weight was more reduced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than when done at cold temperature . Brightness and value 'b' of chromaticaity realted to the tuber coloring and sugar content were higher but moisture content was lowerwhen harvested on Oct. 15 than the other havesting dates. All the characteristics realted to the marketability after storage were nearly same when stored at room and cold temperature. Value 'a' of chromaticity and sugar content were higher when harvest on Mar. 15 than when harvested before Dec. 15 but the 'b' value and mositure content were reverse results.
        90.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의 껍질을 제거하거나 상처가 생겼을 때 발생하는 갈변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코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는 박피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갈변지수가 높아지는 경향를 보여 박피 후 15시간에 갈변지수가 장마는 38까지 증가한 반면 단마는 13이 었으며 이로서 장마가 단마보다 갈변이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2. 장마의 경우 NaCl 2M 처리시 갈변억제율이 48시간에 48%로 가장 높았고 특히 80℃ 온탕처리의 경우 24시간까지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나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NaCl 1M 처리시 단마의 갈변은 43% 정도 억제 되었으나 NaCl 0.5M과 70℃ 온탕처리는 비슷한 억제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60℃ 온탕처리는 무처리보다 더 높은 갈변지수를 나타내었다.
        92.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부지방의 새로운 작물(作物)인 야콘의 재배법(栽培法) 확립(確立)을 위하여 정식시기(定植時期)와 재식밀도(栽植密度)에 대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품종(品種)은 도입종(導入種)을 공시(供試)하여 4월(月) 5~7일(日)에 냉상(冷床)으로 육묘(育苗)한 것을 5월(月) 25일(日) 부터 10일(日) 간격으로 6월(月) 5일(日) 그리고 6월(月) 15일(日) 그리고 6월(月) 15일(日)의 3 시기(時期)와 재식밀도(栽植密度)를 휴폭(畦幅) × 주간(株間)을 80×35cm, 80×45cm, 80×55cm의 3수준(水準)으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草長)은 정식시기간(定植時期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고, 재식밀도(栽植密度)에 있어서는 80cm×35cm에 비하여 소식(疏植)한 구(區)에서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은 정식시기(定植時期)가 빠를 수록, 소식구(疏植區)일 수록 무거워 지는 경향(傾向)이었고, 그 밖의 지상부(地上部) 생육형(生育形) 질간(質間)에는 일정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2. 총수량(總數量)은 정식시기간(定植時期間)에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고, 재식밀도(栽植密度)에 있어서는 80cm×4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상품수량(商品收量)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3. 생육형질간(生育形質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상품수량(商品收量)과 초장(草長) 사이에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 (r=0.927**)가 인정(認定)되었다.
        93.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황정(原黃精)(충층둥글레)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종근(種根)을 선발(選拔)하고자, 청주(淸州)와 제천(提川)에서 충북(忠北) 지방(地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종근(種根)의 크기를 15g, 30g, 45g, 60g(±2g) 별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出現期)는 파종(播種) 당년(當年)에는 제천(提川)보다 청주(淸州)에서 5일 늦었으나 파종(播種) 2 - 3년차(年次)부터는 제천(提川)보다 청주(淸州)에서 4 - 7일 빨랐으며 작은 종근(種根)보다 큰 종근(種根)일수록 빨라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초장(草長)과 경장(莖長)은 청주(淸州)보다 제천(提川)에서 짧았고 종근간(種根間)에는 15g 종근(種根)보다 60g 종근(種根)에서 더 길었다. 3 엽장(葉長)은 청주(淸州)보다 제천(提川)에서 짧았고 종근간(種根間)에는 청주(淸州), 제천(提川) 공히 15g 종근(種根) 〈 30g 〈 45g 〈 60g 종근(種根) 순(順)으로 큰 종근(種根)에서 길었으며 엽폭(葉幅)은 큰차이(差異)가 없었다. 4. 10a당 수량(收量)은 청주(淸州), 제천(提川) 공히 1,600kg/10a 이었으나 종근간(種根間)에서 15g의 종근(種根) 청주(淸州) 869kg, 제천(提川) 830kg에 비(比)하여 30g은 64 - 79%, 45g은 111 - 135%, 60g 종근(種根)은 157 - 161%가 각각 증수(增收)되었으나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원황정(原黃精) 재배시(栽培時) 종근비(種根費) 등을 고려(考慮)하면 45g 내외(內外)의 종근(種根)이 유리(有利) 할 것으로 판단(判斷) 되었다.
        94.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한방(漢方)의 생약재로서 뿐만아니라 식용(食用)으로서의 마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본시험(本試驗)은 정상(正常)마와 분기(分岐)마에서 분리한두부(頭部)를 종근(種根)으로 이용하고 시비방법(施肥方法) (질소멸양(窒素滅量), 측조시비(側條施肥), 관행시비(慣行施肥))를 장(長)마를 재배할시 생육(生育) 괴근(塊根)에 관련된 형질(形質), 수량(收量) 및 상품성(商品性)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여 장(長)마 재배와 상품성(商品性) 제고(提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던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율(出現率), 만장(蔓長), 덩굴의 분지수(分枝數) 및 경수(莖數)는 두부(頭部) 종류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출현일(出現日)은 정상(正常)마 두부(頭部)에서 빠른 경향을 보였다. 시비방법(施肥方法)간에는 정상(正常)마 두부(頭部)를 이용한 관행시비구(慣行施肥區)의 출현율(出現率), 만장(蔓長)및 경수(莖數)가 가장 양호하거나 많았던 반면, 분기(分岐)마 두부(頭部)의 실소감양구(室素減量區)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2. 괴근장(塊根長), 괴근직경(塊根直徑), 개체당(個體當) 및 단보당(段步當) 생체수양(生體收量)은 분기(分岐)마 두부(頭部)보다는 정상(正常)마 두부(頭部)에서 크고 많았으나, 괴근직경(塊根直徑)을 제외한 괴근(塊根)과 관련된 제형질(諸形質)과 수량(收量)은 양공시두부(兩供試頭部) 모두 실소감양구(室素減量區)에서 가장 적었다. 3. 괴근(塊根)의 크기는 분기(分岐)마 두부(頭部)에 비하여 정상(正常)마 두부(頭部)에서 증가되었고 이러한 증가는 개체당(個體當) 분기괴근수(分岐塊根數) 및 분기괴근수(分岐塊根數)의 비율(比率)이 가장 낮아 상품화율(商品化率)이 가장 좋은 측조시비구(側條施肥區)에서 현저하였다. 4. 개체당(個體當) 또는 경제적(經濟的) 수량(收量)은 양공시두부(兩供試頭部) 모두 괴근장(塊根長)과 정(正)의 상관(相關)이, 분기수(分岐數)와는 부(負)의 상관(相關)이있었다.
        95.
        199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패모(貝母) 재배시(栽培時) 적합(適合)한 피복재료(被覆材料)를 구명(究明)하고자 지방(地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92~'93년(年)에 휴폭(畦幅) 200cm(4열(列)), 주간(株間) 9cm(m2 22구(球))로, 시비양(施肥量)은 마늘 전용(專用) 복합비료(複合肥料)(N-P-K=9-14-10)를 10a당(當) 80kg을 전량(全量) 기비(基肥)로 하였고, 피복(被覆) 재료(材料)는 퇴비(堆肥) 3,000kg, 볏짚 300kg, 30% 차광강(遮光綱), 흑백(黑白) P.E, 흑색(黑色) P.E 녹색(綠色) P.E 피복(被覆), 무피복(無被覆) 등(等) 7처리(處理)로 실시(實施)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지온(地溫)은 무피복(無被覆)보다 모든 피복처리(被覆處理)에서 낮았으며, 토양수분(土壤水分)은 무피복(無被覆)보다는 퇴비(堆肥), 볏짚 피복(被覆), 흑색(黑色) P.E 피복(被覆)에서 많았으나. 흑백(黑白) P.E 피복(被覆)은 적었다. 2. 출현기(出現期)는 처리간(處理間)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草長(초장)은 무피복(無被覆)에 비(比)하여, 퇴비(堆肥) 3 000kg/10a 30% 차광강(遮光綱) 피복(被覆)에서 4~7cm 길었으나, 특(特)히 흑백(黑白) P.E 피복(被覆)에서는 41cm로 가장 짧았다. 3. 경수(莖數)는 무피복(無被覆)보다 30% 차광강(遮光綱) 피복시(被覆時) 적었으나, 흑백(黑白) P.E, 흑색(黑色) P.E, 녹색(綠色) P.E 피복(被覆) 등(等)은 많았으며, 엽수(葉數)는 무피복(無被覆)보다 30% 차광강(遮光綱)에서 적었고, 흑백(黑白), 흑색(黑色), 녹색(綠色) P.E 피복(被覆)에서 많았다. 4. 구고(球高), 구폭(球幅)은 무피복(無被覆)에 비(比)하여 30% 차광강(遮光綱) 피복(被覆)이 가장 적었고, 퇴비(堆肥) 3,000kg, 볏짚 300kg, 흑백(黑白) P.E 피복(被覆)에서 컸으므로, 총수량(總收量)은 무피복(無被覆) 585kg/10a에 비(比)하여 퇴비(堆肥), 흑색(黑色) P.E, 녹색(綠色) P.E 피복(被覆)은 8~11% 증수(增收)되었고, 상품수량(上品收量)은 무피복(無被覆) 228kg/10a 보다 51~64% 증수(增收)되었으므로, 중북부(中北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패모(貝母) 재배(栽培)는 녹색(綠色) P.E, 흑색(黑色) P.E, 퇴비(堆肥) 3,000kg 피복(被覆) 재배(栽培)가 유리(有利)한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96.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문동(麥門冬)의 괴근비대기간중(塊根肥大期間中)의 괴근비대양상(塊根肥大樣相), 수량(收量)및 성분변이(成分變異)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맥문동 1호를 공시(供試)하여 '92년 .4월 10일에 30×10cm로 정식(定植)해서 다음해 1월 15일부터 4월 15일까지 15일 간격(間隔)으로 수확하여 수량관련형질(收量關聯形質) 및 성분변이(成分變異)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맥문동의 지상부 생육은 월동중(越冬中)에도 계속 증가(增加)하였고 괴근(塊根)의 형성(形成)은 1월 15일 이전에 결정(決定)되는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2. 괴근의 비대(肥大)는 월동중(越冬中)에 진행(進行)되며 2월 28일 이후에 완료(完了)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괴근수량은 3월 15일에서 387kg/10a로 최고수량(最高收量)을 보여 수확적기(收穫適期)로 판단(判斷)되었다. 3. 괴근의 전당함량(全糖含量)은 1월 30일에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여 3월 15일에 가장 낮으며, 전당함량(全糖含量)과 수량(收量)과는 고도(高度)의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0.788**)을 보였다.
        97.
        199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하(半夏)의 엽절편(葉切片)을 배양(培養)하여 유도(誘導)한 Callus로부터 식물재분화(植物再分化)에 미치는 온도(溫度)와 광조건(光條件) 그리고 기내(器內) 괴경(塊莖) 비대(肥大)를 위한 배지내(培地內) 실소원(室素源)의 영향(影響) 등에 대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엽절(葉切)으로부터의 Callus 형성(形成)과 기관분화(器官分化)에는 2, 4-D 또는 NAA의 첨가(添加)가 IAA 첨가(添加)보다 좋았으며, 배양조건(培養條件)으로는 26℃에서 8시간(時間)/ 일(日), 명배양(明培)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Callus로부터 식물체(植物體)를 재분화하기 위한 적정배지(適正培地)는 MS 배지(培地)에 BA 2mg/l를 첨가(添加)하였을 때 좋았으며, 배양환경(培養環境)은 26℃에서 16~24시간(時間)/일(日) 명배양(明培養)시키는 것이 좋았다. 3. 배지내(培地內)에 KNO3 3.0g/l처리(處理)하였을 때 식물체(植物體) 재분화배지(再分化培地) MS+BA 2mg/l에 비하여 기내괴경(器內塊莖)의 비대(肥大)가 2.5배(培) 이상(以上)에 달하였다.
        98.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문동(麥門冬) 재식밀도(栽植密度)에 따른 생육(生育) 및 수양성(收量性)을 구명(究明)코자 맥문동(麥門冬) 1호(號)를 공시(供試)하여 재식밀도(栽植密度)는 조간(條間) 20cm× 주간(株間) 10cm, 30×10cm, 30×30cm의 4수준(水準)으로 하고 주당본수(株當本數)는 2,4,6본(本)으로 4월(月) 10일(日)에 정식(定植)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포장(試驗圃場)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은 중점토(重點土)로 유기물(有機物), 유효린산(有效隣酸), Ca, Mg는 전국치(全國値)보다 낮은 반면, K, C.E.C.함량(含量)은 높았다. 2. 재식밀도(栽植密度)에 다른 맥문동(麥門冬)의 지토부(地土部) 생육(生育)은 밀치(密値)에 비하여 소치(疎値)할수록, 잎은 크고, 분얼수(分蘖數)도 많았으며, 경엽중(莖葉重)은 무거운 경향(傾向)이었다. 재식밀도별(栽植密度別) 지토부(地土部)의 수양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양성(收量性)은 재식거리(栽植距離) 30×10 재식본수(栽植本數) 6본(本)으로 정식(定植)한 것이 괴근수(塊根數)가 43개(個)로서 많았고, 건근수률도 372kg /10a로 높았다. 4. 각형질간(各形質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면 분얼수(分蘖數) 뿌리무게, 괴근수간(塊根數間)에 유혜성(有蕙性)이 있었고, 괴근수(傀根數)와 수양간(收量間)에도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99.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문동(麥門冬)의 발아촉진방법(發芽促進方法)과 실생묘(實生苗)와 분주묘(分株苗)의 생육(生育) 및 수량성(收量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맥문동(麥門冬)은 실내(室內)(25℃)에서 발아율(發芽率)이 濃黃酸(농황산)과 GA3 처리(處理)가 각각(各各) 100%, 층적저장(層積貯藏)이 98%로 가장 높았고, 발아기간(發芽期間)은 층적저장(層積貯藏)이 11일(日)로서 가장 빨랐으며, 포장(圃場)에서는 층적저장(層積貯藏)이 발아율(發芽率)은 93%, 출아기간(出芽期間)이 76일(日) 로서 가장 빨랐다. 2. 신초출현기(新梢出現基)는 실생묘(實生苗) 1년차(年次), 2년차(年次), 3년차(年次), 분주묘(分株苗), 4년차(年次) 처리(處理) 순(順)으로 빨랐고 개화기(開花期)는 반대(反對)로 실생묘(實生苗) 4년차(年次), 3년차(年次), 분주묘(分株苗), 2년차(年次) 순(順)으로 빨랐으나 1년차(年次)는 개화(開花)되지 않았다. 3. 지상부(地上部)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생육최성기(生育最盛期)(11. 20)와 수확기(收穫期)(4. 10)가 비슷하였으나, 괴근수(塊根數)는 수확기(收穫期)가 2배정도(培程度) 많았고, 처리별(處理別)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실생묘(實生苗) 3년차(年次), 4년차(年次), 분주묘(分株苗), 2년차(年次) 순(順)으로 좋았다. 4. 건괴근수량(乾塊根收量)은 분주묘(分株苗)에 비(比)해 실생묘(實生苗) 3년차(年次)가 25%, 실생묘(實生苗) 4년차(年次)가 10%, 실생묘(實生苗) 2년차(年次)에서도 5% 증수(增收)되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맥문동(麥門冬) 재배시(裁培時) 분주묘(分株苗)를 계속사용(繼續使用)하는것 보다는 실생묘(實生苗)를 이용(利用)하므로서 4년차(年次)까지는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100.
        199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직배양기법(組織培量技法)을 이용(利用)하여 대량증식(大量增殖)된 반하(半夏) 종구(種球)를 포장재배(圃場栽培)할 때 알맞은 수확시기(收穫時期)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12개월(個月), 18개월(個月) 및 24개월(個月) 수확시(收穫時) 생육특성(生育特性), 괴경(塊莖)크기 분포(分布) 및 수량(收量)등에 관련(關聯)된 몇가지 형질(形質)에 대(對)하여 3년간(年間)('90~'92년(年))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초장(草長) 및 엽장(葉長)은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수확(收穫)부터 24개월(個月) 수확(收穫)까지 늦게 수확(收穫)할 수록 초장(草長)은 0.7~6.5cm엽장(葉長)은 0.6~2.6cm 각각(各各) 길었으며, 특히 파종후(播種後) 18개월(個月) 이후(以後)는 신장정도(伸長程度)가 둔화(鈍化)되었다. 2.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입묘주수(立苗株數)는 파종당시(播種當時) m2당(當) 주수(株數)가 78개(個)이었으나 6개월(個月) 후(後)에는 2.3배(倍), 12개월(個月) 후(後)에는 5.6배(倍), 18개월(個月) 후(後)에는 13.3배(倍), 24개월(個月) 후(後)에는 20.0배(倍)로 수확(收穫)을 늦게할 수록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3.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괴경장(塊莖長), 괴경폭(塊莖幅) 및 괴경량(塊莖量)은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수확(收穫)~12개월(個月) 수확(收穫) 까지는 증가폭(增加幅)이 미미(微微) 하다가 18개월(個月) 수확(收穫) 때 크게 증가(增加)하였으며 그 이후(以後)는 완만(緩慢)하게 증가(增加)하였다. 4.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괴경(塊莖)크기 분포(分布)는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12개월(個月) 수확(收穫)은 중(中), 소괴경(小塊莖)이 많은 반면 18개월(個月) 이후(以後) 수확(收穫)은 상품성(商品性) 있는(직경(直徑) 7.1mm이상(以上)) 중(中), 대괴경분포(大塊莖分布)가 많았다. 5.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10a당(當) 생체수량(生體收量)은 파종후(播種後) 6개월(個月) 수확(收穫)은 172kg, 12개월(個月) 수확(收穫)은 231kg, 18개월(個月) 수확(收穫)은 345kg, 18개월(個月) 이후(以後) 수확(收穫)은 392kg으로 증수(增收)하였으나 24개월(個月) 증가폭(增加幅)은 미미(微微)하였다. 6. 지상부(地上部) 엽형(葉型)의 전개정도(展開程度)를 보고 지상부(地上部)의 괴경폭(塊莖幅)과 괴경량(塊莖重) 등(等)을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