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5

        105.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장애아동 부모들의 치료교육에 관한 욕구 조사를 통하여 현재 치료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작업치료계 입장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의 장애아동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402부를 회수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로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여러 전문가들에게 점검받아 수정하였다. 결과 : 부모들이 가장 원하는 치료교사로는 전문 치료 영역을 가지고 있는 치료사이며 77%의 부모들이 택하였다. 한 학교에서 치료교육을 받는 경우는 27%이며 사설기관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이 55%이고 두 곳 모두에서 치료교육 및 치료를 받는 아동이 65%였다. 이로 인한 사치료비는 가구당 월 평균 49만원 정도였다. 사설치료를 받는 부모들의 79%가 치료교육의 질적인 문제를 지적하였다. 결론 : 치료교육의 주체인 장애아동과 부모들이 요구하는 부모들이 요구하는 치료교육의 현실화를 위해서는 세부 전문영역을 가지는 치료교사를 양성하여야 한다. 또한 전문 영역의 치료사를 관련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로 인해 치료교육의 질적, 양적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4,000원
        107.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성마비가 아닌 발달장애로 진단된 아동을 대상으로 GMFM과 BSID-Ⅱ 평가를 각각 실시한 후 GMFM이 BSID-Ⅱ의 하위 항목들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발달장애 아동의 평가도구로써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인하대학부속병원 재활의학과에서 뇌성마비 이외의 발달장애로 진단받은 만 3세 이하의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GMFM과 BSID-Ⅱ를 평가하였다.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라 조산의 유무, 출생시 체중, 역연령에 따라 구분한 후 각 집단간 차이 및 두 평가도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발달장애 아동 26명 중 조산의 유무와 출생시 체중에 따라 각 집단간 GMFM, BSID-Ⅱ 정신척도, BSID-Ⅱ 운동척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정연령에 따른 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집단간 GMFM과 BSID-Ⅱ 정신척도는 조산아(r=0.68), 만숙아(r=0.67), 저체중아(r=0.63), 평균체중아(r=0.72)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GMFM과 BSID-Ⅱ 운동척도도 조산아(r=0.57), 만숙아(r=0.89), 저체중아(r=0.65), 평균체중아(r=0.90)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체 아동의 GMFM과 BSID-Ⅱ 정신척도의 상관계수는 0.71, GMFM과 BSID-Ⅱ 운동척도의 상관계수는 0.84로 관계가 있었으며, 교정연령 상 하위집단에서 0.56-0.85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발달장애 아동의 GMFM과 BSID-Ⅱ의 평가 결과는 모두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기능을 평가하는데 있어 GMFM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09.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200원
        111.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는 손의 기능, 즉 조작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손의 기능을 검사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한 검사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성, 연령, 우세한 손)과 신체적인 특성(앉은키, 몸무게)에 따른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의 정상아동 표준치를 제시하여서, 아동 치료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에 다니는 남학생 85명(45.2%), 여학생 103명(54.8%)으로 전체 188명이였다. 자료는 8세에서 13세까지 6집단으로 나누고, 평균, 표준편차, 백분위 점수로 나타내었다.결과 :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평균값은 성별, 연령, 우세손에 따라 계산되었다(남자: 80.15, 여자: 75.68). 성별에 따라 점수를 비교했을 때, 남자 학생들의 점수가 왼손, 오른손 손 검사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결론 : 본
        4,600원
        112.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이연구의 목적은 현재 임상에서 많이 사용 중인 DTVP-2와 MVPT-R을 사용하여 일반아동의 시지각을 평가하고, 두 검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 : 2003년 5월 13일부터 2003년 8월 29일까지 대전과 익산에 위치한 유치원을 다니는 일반 아동 62명을 대상으로 DTVP-2 와 MVPT-R의 검사를 실시하였다.결과 : DTVP-2와 MVPT-R 점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두 평가도구 PQ에서 r=0.583이고 PA에서는 r=0.731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DTVP-2의 하위항목 간 대상 연령대별 평균을 보면 Copy영역에서 연령별 평균이 가장 높았고, SR, VC, VMC항목에서 연령별 평균점수가 낮게 나왔다. DTVP-2와 MVPT-R의 검사-재검사를 통한 신뢰도 검사에서 신뢰계수가 r=0.95로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과 시지각 발달의 영향에서 시각운동통합 지각지수(VMIPQ)에는 익산지역과 부모(어머니)의 학력 중 대졸인 경우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운동감소 시지각지수(MRVPQ)에서는 남자아동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지, 학원수강, 선수학습은 아동의 시지각 발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MVP-R과 DTVP-2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이들 도구의 올바른 적용을 위하여 충분한 표본을 대상으로 국내의 표준화 자료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13.
        200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아동에게 앉은 자세에서 현수를 이용하여 체중지지를 해주었을 때 상지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뇌성마비 아동 5명과 뇌종양 아동 1명이었다. 연구대상자에게 harness를 착용하여 부분적 체중지지를 하기 전과 착용한 상태에서 손 뻗기 동작을 3차원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어깨관절과 손뻗기 동작에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고, Box and Block 검사를 실시하여 체중지지 전과 착용 시 상지 기능을
        4,000원
        115.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 This study evaluated norms for fine motor dexterity skills o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 :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five kindergartens and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san area. The sample consisted of 160 healthy students ranging in age from five to eight years. The Grooved Pegboard Test (GPT) was utilized to investigate fine motor dexterity. Results : The GP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nd dominance based on the findings that the scores of nondominant hands were substantially lower than those of dominant hands (p<0.05). The GPT showed significant age group differences in which 8 year old group demonstrated substantially higher scores than those of all other younger age groups (p<0.05). The results indica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GPT scor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compared hand function between healthy children and abnormal children. These data will provide standard value of GPT for occupational therapists.
        4,000원
        116.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동학대란 아동의 보호자 또는 성인이 아동의 건강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 또는 가혹행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 등의 일체의 행위를 말한다. 아동학대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방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아동학대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므로 아동학대사범에 대한 교정정책은 이러한 특수성을 반영한 것이어야 한다. 즉 학대아동의 피해자의 절반 이상이 가정으로 되돌아간다는 점과 부모나 보호자의 아동양육권 등을 고려할 때 아동학대사범에 대한 교정정책은 가정의 결속을 해치지 않을 것과 동시에 아동학대사범의 성격교정을 꾀할 수 있어야 하며, 나아가 아동양육에 필요한 기술과 책임감 등을 익히고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가족과의 접촉프로그램의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 재소자와 가족간의 전화편지면회 등의 정례적인 접촉의 보장이 있어야 한다. 둘째, 귀휴제, 보호관찰제나 봉사명령 및 수강명령 등의 사회내 처우가 필요하다. 셋째, 가족들에 대한 경제적 지원 및 상담 등의 재소자가족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이러한 프로그램은 교정당국의 의지만으로는 그 한계가 있으며, 지역사회와 아동학대예방센터, 관련시민단체, 종교기관 등의 강력한 지원과 참여가 있어야 그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곧 시행되는 민영교도소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것이다.
        5,400원
        117.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Play may be important determinants of children’s occup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play history of 5∼7 years old using Takata’s Play History. Method: The number of subjects were 63 kindergarten children whose ages were 5∼7 yeras ol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s in from June 27 to July 3, 2002. The study using survey questionnaires was based on Takata’s Play History. The previous play was analysed from the 4 different categories of play characteristics. The χꊔ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play of each age group. Results: The playing characteristics (toy, playing form, playing time., etc) have been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groups. Overall, Different play trends have been found among different age group by applying Takata’s Play History. Conclusion: The play trend of child can be forecasted by appling Takata’s Play History to the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development of screening play ability for normal child and abnormal child. Therefore Takata’s Play History will help occupational therapists to evaluate children’s play ability.
        4,600원
        118.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behavior problems of preschoole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problems and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Participants: Parents of preschoolers between ages of 4 and 6 who attended D kindergarten or S nursery school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Method: Parent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at home from 12th to 14th of August in 2002. We used SSP (short sensory profile) which was used by Kim, Mi-Sun in 2001 to understand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We also used 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which was reconstructed by Jung, Yeon-Woo in 2001 to understand behavior problem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AS 6.12. Results: 1. The total incidents in behavior problems were 87 out of 200. And the total incidents in sensory processing were 164 out of 190. Among low-ranking patterns, the mark of overactivity was highest with 21.56 point and the mark of flinching activity was lowest with 13.97 point.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der comparison of sensory processing,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comparison of aggressive behavior and flinching behavior in behavior problems. 3. There was no significant finding in age difference. 4. In correlation between behavior problems and sensory processing skills, as the incidents of hyperactivity rose the incidents of underresponsive/seeks sensation and auditory filtering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lations, as the incidents of anxiety behavior rose the incidents of underresponsive/seeks sensation and auditory filtering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lations, as the incidents of flinching behavior rose, incidents of movement sensitiveness, low energy and weakness decreased. In relations, as the children acted aggressively the incidents of sensitiveness, low energy, weakness and auditory filtering decreased. In relations, as children acted immaturely the incidents of sensitiveness, underresponsive/seeks sensation, auditory filtering, low energy and weakness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We hope that the children who have behavior problems with difficulties in sensory processing skills can be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And we also hope the development of a study which can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treatment for the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4,200원
        119.
        2002.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120.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procedures in promoting postural control, bilateral coordination and motor planning outcomes in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Design: A single-subject ABA research design. Setting: Early Intervention Center of University. Participant: A 7-year-old boy with developmental delay. Interventions: Sensory integrative procedure. The subject was tested four times before, four times during, and three times after intervention. Main Outcome Measure: Part of subtests of DeGangi-Berl Test of Sensory Integration, Bruininks-Oseretsky Motor Proficiency and 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 Result: Postural control and motor planning are effected on sensory integrative procedure. Bilateral coordination did not change by this study. The quality of performance was increased by the therapy.
        4,000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