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3

        10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안경수건에 함유된 은나노 입자의 항균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은나노 입자가 함유된 안경수건과 함유되지 않은 안경수건의 세균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은나노입자가 함유된 안경수건에서 뚜렷한 세균수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이 결과는 안경렌즈에 존재하는 세균에 대해 은나노 입자가 높은 항균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결론: 가까운 미래에 나노기술을 이용한 항균작용 안경수건의 개발이 기대된다.
        4,000원
        104.
        2009.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post-CMP cleaning on the chemical and galvanic corrosion of copper (Cu) and titanium(Ti) were studied in patterned silicon (Si) wafers. First, variation of the corrosion rate was investigated as afunction of the concentration of citric acid that was included in both the CMP slurry and the post-CMP solution.The open circuit potential (OCP) of Cu decreased as the citric acid concentration increased. In contrast withCu, the OCP of titanium (Ti) increased as this concentration increased. The gap in the OCP between Cu andTi increased as citric acid concentration increased, which increased the galvanic corrosion rate between Cu andTi. The corrosion rates of Cu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concentrations of citric acid. Second, theeffect of Triton X-100®, a nonionic surfactant, in a post-CMP solution on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the specimens was also investigated. The OCP of Cu decreased as the surfactant concentration increased. Incontrast with Cu, the OCP of Ti increased greatly as this concentration increased. Given that Triton X-100®changes its micelle structure according to its concentration in the solution, the corrosion rate of eachconcentration was tested.
        4,000원
        105.
        2008.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st methods of Korea Air Cleaning Association (KACA) and Association of Home Appliance Manufacturers (AHAM) for particle cleaning capacity performance of an indoor air cleaner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conditions of the test particle generation, the range of particle measurement and the calculation methods for particle cleaning capacity, and types of the test particles. The performance test was conducted in a 30 m3 chamber with the same test specimen and the test particles of each test were generated until the number concentration of 0.3 ㎛ particles reached 2.2 × 108 #/m3. The performanc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leaning capacity with the particles of higher surface area and volume density, regardless of the type of test particles, was higher than with those of lower and the capacity from calculation with 0.3~1 ㎛ particles was higher than with 0.3 ㎛ particles. Moreover, the cleaning capacity with the calculation of KACA method was lower than with that of AHAM method in spite of using the same test specimen.
        4,000원
        10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색폐수처리를 위하여 피페라진, 메타페닐렌디아미, 트리메소일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계면중합법으로 폴리아마이드계 나노분리막과 폴리아마이드계 역삼투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을 오스모닉스사로부터 구입한 역삼투막의 투과특성과 비교하였다. 이들의 기본 분리투과특성 조사를 위하여 PEG 600, Na2SO4, NaCl 수용액을 이용하였으며, 제조된 분리막들은 전형적인 나노복합막과 저압용 역삼투막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이들 분리막들을 이용하여 국내 염료 제조업체인 (주)경인양행으로부터 공급된 실제 염색폐수를 처리하였으며, 이때 이들의 분리투과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리막을 이용한 폐수처리 시 발생되는 분리막 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시간마다 CIP를 실시하였다. 이때 3종류의 서로 다른 화학세정제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세척성능을 살펴보았다.
        4,000원
        107.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산 유기물과 미세 입자는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에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는 주요한 물질이다. 특히 휴믹물질은 막오염을 일으키는 자연산 유기물의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어 막여과 정수처리와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정수 원수를 모사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믹산 용액과 자연수의 한외여과시 막여과 및 세척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분리막 모듈의 실제 정수 원수 적용시 휴믹산 용액을 이용한 모사수가 가지는 대표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수원수의 막투과도는 5 mg/L 휴믹산 용액의 여과와 거의 같은 양상을 보였으나 유기물 및 탁도 제거율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용존성 유기물의 제거율은 휴믹산 용액에 비해 자연수의 제거율이 아주 낮으며 자연수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은 분리막에 의해 거의 제거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모사수의 제거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이유는 유입수 내 유기물의 분자량 분포와 UV254 및 SUVA 값으로부터 휴믹산 용액 내 유기물의 크기 배제 및 소수성 흡착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미세입자 제거의 경우 입자 분포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카올린을 함유한 모사수가 자연수에 비해 한외여과 처리수의 탁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입자 크기 자체보다는 입자의 형태가 분리막에 의한 입자 제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화학세정을 통한 막성능 회복률의 경우 비슷한 막투과도를 보이며 오염을 일으킨 경우에도 모사수가 자연수에 비해 다소 높은 회복률을 보였고, 이 또한 모사수의 한계를 드러낸다고 하겠다.
        4,000원
        108.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터널 내 축적된 다양한 오염원들은 간헐적으로 수행되는 세척과정 중에 폐수로 배출되게 되며, 서울 시내 3개 터널 지점에서 수행된 수질분석결과 SS, CODCr, T-N, NH3-N, NO3-N, Zn, Cu, Cr(+6). Mn, Mg, Phenol. CN-, E-Coli 등이 고농도 형태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오염수질의 배출농도 특성은 터널 세척 폐수의 채취 방법, 세척횟수, 세척수량, 터널내벽 특성, 통행량, 배수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농도범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집된 터널 세척폐수를 단순 중력침전을 이용하여 저감실험을 수행한 결과, CODCr는 80%, T-N, T-P는 각각 30, 90% 제거됨을 확인하였고, 중력침전 분리를 통하여 제거되지 않은 잔여 오염물질에 대하여 GAC 소재를 통한 흡착실험(터널 세척폐수 1l에 대하여 GAC를 50g을 투입) 결과, CODCr, T-N, Zn, Cu, Mn, Phenol, CN 항목에서 80% 이상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4,000원
        111.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택트렌즈 단백칠 침전물의 양은 착용하는 콘택트렌즈의 재질과 사용하는 관리용 액의 종류에 따라서 크게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눈물을 이용한 m vitro 방법으로 Group 1, Group III, Group IV 의 소프트콘택트렌즈에 단백질 침전물 을 오염시킨 후 계면활성세척액과 다목적용액을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뜰 세척하고 콘 택트렌즈에 남아있는 단백질을 Bradford 법으로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륜 얻었다. 세척 후 남아있는 단백질 침전물은 Group IV 렌즈가 Group 1 렌즈보다 16 레 이상 많았으며, 모든 재질의 렌즈에서 계면활성서l 척액은 다목적용액보다 세척효과가 우수힌 것으로 나타나 다목적용액으로 Group IV 렌즈틀 세착한 경우에는 계떤활성세척액으로 Group 1 렌즈플 세착한 경우보다 단백칠 침전물이 30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실리 콘하이드로젤렌즈의 경우 비이온성, 이온성 재질에서 모두 단백질 침전불이 잘 부착되 지 않았으며 반복오염에 의해서도 침전물이 적게 부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백질 침전물의 양은 렌즈의 재잘과 표면처리방법과 판리용액에 의해 영 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12.
        200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valuate parameters influencing on the dust removal of the High Temperature Filter(HTF) system, a computer simulation of fluid dynamics inside the system had been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um pulse jet periods were 50ms and 90ms for the 1000mm and 1500mm long filter elements respectively. Dust removal effect was very excellent under the pulse jet pressure of 3 bar.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pulse jet nozzle and the venturi of a filter element had no meaningful effect on the performance with the variation from 5mm to 10mm. Compared to the dispersion mode of pulse jet, the collective mode of pulse jet flow was preferable in maintaining the pressure inside the system stable.
        4,000원
        113.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2CO3. Sodium orthosilicate (Na-OSi), Tetronix T-701 (T-701), Na-dioctyl sulfosuccinate (303C), Newpol PE-68 (PE-68), MJU-100A, and tetrasodium pyrophosphate were blended to prepare high performance alkaline cleaning agents (ACASs). The results of cleaning test with steel specimen showed that ACAS-6 (Na2CO3 50g/Na-OSi 35g/T-701 20g/303C 18g/PE-68 17g/MJU-100A 10g/TSPP 20g/ water 180g mixture) had a good cleaning power. The cleaning power for press-rust preventing oil was 98% and 99% degreasing at 4wt%, 70℃ and 90℃, respectively ; for quenching oil, the cleaning power of ACAS-6 was 91% degreasing at 4wt% and 70℃. The foam heights measured immediately after foaming by Ross & Miles method and Ross & Clark method at 6wt%, 60℃ were 18mm and 65mm,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ACAS-6 had a good low foaming cleaning agent.
        4,000원
        11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cid cleaning agent (AACA) for aluminum was prepared by blending of sorbitol, n-octanoic acid, MJU-100A, Tetronix T-701, PPA-23, C8-83 and phosphoric acid. With the prepared AACA, degreasing, foam height, etching and derusting test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AACA-4 and AACA-7 showed better cleaning ability than commercial acid cleaning agents.
        4,000원
        115.
        2004.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erformance of various air-cleaning devices and an assembled air cleaner has been evaluated for the removal of biological pollutants in indoor air. Bacteria, fungi, and viruses were sprayed in a test chamber, and air samples in the chamber were taken for analysis. Air-cleaning devices - UV lamp, ion generator, an UV LED and plasma electricity dust collector -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in the removal of microorganisms in the air. The UV lamp and the ion generator tested exhbited complete sterilization effect within 4hrs of operation. Other devices were less effective: The extent of removal by the UV LED and the plasma electricity dust collector after 6hrs of operation was about 20% to 82%, depending on the microorganisms tested. The performance of an assembled air cleaner was much superior to individual air-cleaning devices: the extent of removal being 97.6%, 99.1%, 98.7%, and 93.7% for Staphylococcus aureus (Gram(+) bacteria), Escherichia coli (Gram(-) bacteria), Aspergillus niger and Penicillium funiculosum (fungi), respectively, after 3hrs of operation. The removal of influenza virus was even more effective, with 99.9% of removal within 25min of oper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air cleaner is effective for the removal of microbial and viral pathogens in the air.
        4,200원
        11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kaline powder cleaning agents (APCAs) were prepared by blending of Na2CO3 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sodium orthosilicate (Na-OSi), Na-dioctyl sulfosuccinate (303C), Demol C, and MJU-100A (100A). The physical properties of APCAs tested with steel specimen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leaning powers of APCA-6 (Na2CO3 250g/TSPP 70g/Na-OSi 40g/303C 60g/Demol C 50g/100A 30g mixture) for press-rust preventing oil was 97% and 98% degreasing at 2wt%, 70℃ and 90℃, respectively; for Quenching oil, the cleaning power of APCA-6 was 95% degreasing at 2wt% and 70℃. From the results, it was ascertained that APCA-6 exhibited a good cleaning power. Also low foaming power tests proved that the APCA-6 maintained good defoaming effect.
        4,000원
        118.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for benzene desorption by purge gas or evacuation in an activated carbon bed. As purge gas flow rate increased, desorption rate increased due to the higher interstitial linear gas velocity. For various purge gas flow rates, desoption curves almost got together if they were plotted against dimensionless time. At a higher flow rate, mass transfer zone became narrower. Temperature drop in the bed was more fast and severe at higher flow rates and higher outer temperature. It was found out that desorption was almost completed when the temperature in the drop of the bed returned to the initial temperature before temperature drop. Desorption by vacuum purge was completed in shorter time than desorption by purge gas. Countercurrent purge was more effective than cocurrent purge.
        4,000원
        120.
        2001.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른 세정공정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현재 사용되는 세정은 다량의 화학약품 및 초순수를 소비하며, 고온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RCA세정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세정공정수의 증가는 바로 화학약품의 사용량 증가를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른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 이르렀다. 따라서 이러한 화학약품 및 초순수 사용을 절감하고, 저온에서 세정공정이 이뤄지는 기술이 향후 요구되어 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화학약품 및 초순수 사용량을 줄이며, 상온 공정이 이뤄지는 전리수를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 세정을 하였다. 제조된 전리수는 산화성 성질을 지닌 양극수와 환원성 성질인 음극수로 이루어지고, 각각 pH 및 ORP는 4.7/+1050mV, 9.8/-750mV를 30분 이상 유지하고 있었다 전리수의 양극수에 의한 금속제거 효과가 음극수의 효과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입자제거 실험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분포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4,000원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