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

        122.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시 지역을 대상으로 산불발생관련 16개 인자별로 주제도로 구축하여 격자 자료로 변환하고 지역단위 산불발생확률을 산출함으로써 산불발생위험지도를 작성하고 진화자원 및 산불감시시설 배치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삼척시 지역단위에 해당하는 산불발생확률 모형 추정식을 산출하여 5단계의 산불발생위험등급 지역을 분류하였으며, 산불감시탑, 감시카메라 및 감시초소의 산불감시 범위는 47.9% 정도의 가시권역을 감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23.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품종 및 장려품종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재배되는 감자 20종에 대한 전분 조성 및 당함량을 조사하여 용도구분을 위한 지표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전분함량 과 상관관계가 높은 건물률을 바탕으로 측정된 전분함량은 11∼18.3%에 분포한다. 품종별로는 자영, 세풍, 하령 순으로 전분함량이 높았고, 이들 값은 가공용으로 주로 쓰이는 대서 품종보다 최대 4% 높은 수치이며, 수미보다는 7.8% 높다. 감자 조리 시 분질성을 띄게 하는 아밀로오즈 함량은 19.7∼27.1% 분포를 보였다. 품종별로는 하령이 가장 높았고, 조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분립의 크기는 주로 10∼80μm에 분포하였 다. 전분 입자가 작을수록 호화는 쉽게 일어나는데, 만생종인 자영은 40μm 이하의 전분립 비율이 74.5%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반면 2기작 품종인 추동, 추영, 고은에서는 41μm이상의 입자가 46∼56%로 분포하였다. 감자의 주요 당인 glucose, fructose, sucrose 총량은 2기작 감자인 추백에서 가장 높았고, 칩 가공 시 함량이 높을수록 갈변을 일으키는 환원당은 고운, 세풍, 남서, 자영에서 0.03%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124.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물과 무생물 구분에 대한 유아교사의 바탕개념과 오개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생물과 무생물로 구성된 22장의 카드 과제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먼저 유아교사는 생물을 무생물 보다 더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물의 경우 동물을 식물 보다 더 정확하게 구분하였으며, 무생물의 경우 인공물을 자연물 보다 더 정확하게 구분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생물에 대한 바탕개념은 유목적적 움직임, 영양분을 통한 성장, 호흡, 종족번식, 죽음 등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무생물에 대한 바탕개념은 여러 가지 물체 및 물질의 조합에 의한 형태변화, 움직이려면 도움이 필요하다는 두 가지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생물에 대한 오개념은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고, 호흡하는 것이 보이지 않으며 배아 즉 알과 열매로 되어 있다는 세 가지로 나타났다. 무생물에 대한 오개념은 자연발생적인 것,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화나 순환을 통한 형태변화가 이루어지는 세 가지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유아교사의 생물과 무생물에 대한 바탕개념과 오개념은 체계적인 유아 교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5.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우강도식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해서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의 목적함수로 RMSE와 RRMSE를 적용하여 보다 객관적인 기준으로 장 단기간을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한 장 단기간을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정확도를 기준으로한 방법과 그래프상의 접점을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상청에서 관리하는 22개 지점에 대하여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우강도식을 이용하여 그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
        127.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investigated coarse wind sectors in Busan metropolitan area and simulated detailed wind field using local atmospheric circulation model, RAMS in preceding studies (Part I, Part II). In this study, we divided and analyzed local wind sector in Busan according to the preceding results. We found that Busan metropolitan area is divided into 2 or 3 local wind sector in each coarse wind sector. The 9 coarse wind sectors were classified into 20 local wind sectors in total. But three local wind sectors were finally excluded because of these sectors were located on the complex hill area and the sea. Local wind sectors, therefore, in Busan metropolitan area were defined as 17 regimes. We assessed the location of air quality monitoring sites at Busan metropolitan area using the information of these wind sectors. Most of these were located at proper points, but 6 sites were placed at 3 local wind sectors as a couple and no site was set up at 3 other sectors. Hence the location of these sites was in need of rearrange.
        128.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도라지와 백도라지를 DNA 수준에서 구분하기 위하여, RAPD 분석을 바탕으로 SCAR primer (SPgR1, SPgR2)를 제작하여 이를 적용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24개의 임의 프라이머를 적용하여 6개의 청도라지와 백도라지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선발하였고, 이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총 18개의 다형성을 나타내는 DNA fragment를 확보하였다. 확보된 DNA fragment 중 2개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청도라지 특이적인 DNA 밴드는 887 bp의 염기서열로 구성되어 있었고 백도라지는 863 bp의 염기서열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두개의 SCAR primer를 제작하였고, 이중 백도라지 특이적인 SPgR2를 이용하여 PCR 한 결과, 청도라지에서는 약 500 bp 크기에서 두 개의 특이적인 밴드가 형성되었으며, 백도라지의 경우 한 개의 특이적인 밴드만 관찰되어 청도라지와 백도라지를 구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SCAR 마커는 청도라지와 백도라지를 구분하기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129.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have analysed the observed surface and vertical meteorological data to get atmospheric information over the Busan metropolitan area. For this, we have selected 10 days in all season such as spring, summer I(Jangma season), summer II(hot season), autumn and winter. The result which have performed cluster analysis using atmospheric data represented that these days are included to most frequently appeared synoptic cluster. We have simulated wind field around Busan metropolitan area which is assigned as 1km2 using RAMS. The calculated air temperature and the wind speed was similar to the observed the that, and the trends of daily variation showed good agreement. RMSE and IOA also showed reliable value. These results indicated the RAMS is able to simulate and predict detailed atmospheric phenomenon.
        130.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limate analysis and wind sector division were conducted for a propriety assessmen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air quality monitoring sites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based on the meteorological data(2000~2004) indicated hat air temperature is strongly correlated between 9 atmospheric monitoring sites, while wind speed and direction are not. This is because wind is strongly affected by the surrounding terrain and the obstacles such as building and tree. In the next stage, we performed cluster analysis to divide wind sector over the Busan metropolitan area.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Busan metropolitan area is divided into 6 wind sectors. However 1 downtown and 2 suburbs an area covering significantly broad region in Busan are not divided into independent sectors, because of the absence of atmospheric monitoring site. As such, the Busan metropolitan area is finally divided into 9 sectors.
        131.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4년까지 65개의 지상관측소와 309개의 AWS 지점의 일 최고 기온, 일 최저 기온, 일교차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의 기온 분포의 특성을 분석하고 인자 및 군집분석을 통하여 지역구분을 시도하였다. 우리나라 기온의 공간 분포는 기온 자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일 최고 기온은 고도가 높은 산지를 제외하고 남부지역으로 갈수록 높은 기온 분포를 보이며, 일 최저 기온은 지형과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반영하며, 일교차는 해양과 대륙의 분포에 의한 공간 패턴을 보인다. 인자분석을 통해 고유값 1.0이 넘는 3개의 인자와 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하여 5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지역구분은 국지 예보 구역 설정을 위한 연구와 국지규모에서의 기후 시나리오 작성 및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132.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necessary that the basic concept of rural planning update from economics based on the production and sale into experience of natural resources and traditional culture. For the purpose of set up development direction for rural district, it is requisite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In this study, the methods of the classification of rural village with existing data are studied, the results looking for applying to the making of principal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The analysis methods of classification are used the PCA, CA and combination of these, and making the revised method for localization of the rural district. In this study, we implement classification of regional pattern analysis for the planning of rural district in Chungbuk province.
        133.
        200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is a historical study on the distinction between to-infinitives and bare infinitives. Generally, the to-infinitive denotes the futuristic, indirect potential event, while the bare infinitive denotes the direct one. This meaning distinction between the two infinitival constructions has been persistent through the long history of English, as argued in Fischer(1995, 1996a, 1996b, 1997a, 1997b, 2000). The issue is how and from what this meaning difference is derived. The common account is structural, saying that the to-infinitive has the clausal status such as IP or CP with the inflectional element inside, while the bare-infinitive has the small clause structure such as VP. This account assumes that the infinitival marker to is a meaningless grammatical element(INFL). However, it is argued in this article that the infinitival to is a lexical element having its own lexical meanings and that these lexical meanings of the to are the maintenance of its original prepositional characters. In other words, the lexical meanings of the infinitival to, derived from its original prepositional category, has not been wiped out, although the meanings were a little weakened in ME for a while. The conclusion is that the meanings of the to-infinitives such as futurity and indirectness are due to the morpheme to itself, not to the structure caused by its presence.
        134.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항만은 급속한 성장으로 말미암아, 최근 부산항의 경쟁력 제고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동북아 주변항만의 경쟁력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평가하여, 부산항의 위상을 제시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학술적인 의미보다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현안자체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연구들로서, 이와 관련한 기초연구의 필요성은 오히려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항만의 경쟁력을 올바르게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기초가 되는 항만선택요인에 대한 철저한 고찰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말미암아, 기존연구들은 각기 다른 요인들을 척도로 하여 항만들을 평가/분석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기존연구의 분석결과들로부터 일관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항만의 선택 요인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증데이터를 분석하여 항만선택 요인을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하고, 그 동안 그 중요성이 실증적으로 부각되지 않았던 외적요인에 주목하여 이러한 요인이 항만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135.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whole idealistical process for ecological area zoning bas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analysis. In order to draw out the ecological zoning, this study used the remote sensing, GIS method and field survey. As a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t was helpful in establishing development direction of Midong Mountain, minimizing the impact on environment by drawing out a development suitable land based on the objective standards and data and also preventing the misconduct development in advance.
        136.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tends to classify and analyze the problem of rural villages on the basis of existing ec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ural village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4 types - (1) the village abundant in both ec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2) the village abundant in only ecological resources, (3) the village abundant in only cultural resources and (4) the village insufficient in two resources. And further, this study found that most ecological resources in rural villages are deteriorated or deteriorating. Even worse, the cultural resources are diminished or diminishing. It is suggested that the ec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process of rural village planning.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