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122.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C. japonicum)extract on serum level of hormones from induced osteoporosis by ovariectomized rats. Two month-old rats were ovariecto-mized (OVX), remained untreated for 8 weeks, and were subsequently administered C. japonicum (200㎎/㎏) every day for8 weeks. We examined the effects of treated C. japonicum on ovariectomy-related changes in Insulin-like Growth Factors(IGF),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GBF-3), Estrogen, Calcium, and Phosporus. After 8 weeks, the serumlevels of IGF-I, -II, and IGFBP-3 were higher presented a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P<0.05), in the C. japonicumextract treatment on OVX rat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OVX and C. japonicum extract treated OVX rats in serumlevels of Ca2+, but Ca2+ levels for the normal group was higher than for the other two groups. The C. japonicum extractincreased both serum IGFs and IGFBP-3 levels on induced osteoporotic rat by ovariectomized. Thus, these results revealedthat the C. japonicum extract is a possible role for improvement of osteoporosis induced-ovariectomized rats and has a greatpotential as an alternative tool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123.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ute pulmonary embolism (PE) is a common and often catastrophic disease.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 is im-portant, however, prompt diagnosis is difficult due to nonspecific clinical manifestations. On the other hand, syncope may develop as a presenting symptom of PE, and defecation activity could trigger PE. In Korea, PE associated with defecation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We report on a case of acute massive PE presenting as defecation syncope in a 26-year-old female with a serous borderline tumor of the ovary.
        124.
        2013.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다양한 생리작용의 조절자로서 잘 알려져 있으며, 생리적 활성에 따라 5그룹 (mineralocorticoids, glucocorticoids, estrogens, progestagens, androgens)으로 나뉜다. 그 중 estrogen류는 특히 암컷 포유류의 이차성징을 유도함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춘기 전후 암컷 흰쥐난소에서의 steroidogenesis 조절 효소의 유전자 발현에 대해 정밀 조사한 것이다. 미성숙한 암컷 흰쥐를 생후 29일에서 43일까지 2일 간격으로 희생한 뒤 total RNA를 추출하여 semi-quantitative RT-PCR을 시행하여 steroidogenesis 관련유전자인 StAR(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CYP11A1(side-chain cleavage enzyme), CYP17(17α-hydroxylase), 3β-HSD(3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17β-HSD(17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CYP19(Aromatase)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암컷 흰쥐는 대체로 37일에 질구개방이 일어났다. 유전자 발현 조사에서 StAR는 생후 41일, 43일에 유의하게 증가(p<0.05, p<0.01)하였다. CYP11A1은 43일에 유의하게 증가(p<0.01)하였다. CYP17의 경우, 35일과 39일에서 유의한 감소(각 p<0.05)를 보였다. 3β-HSD, 17β-HSD, CYP19의 경우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스테로이드 합성 관련 유전자 모두 생후 35일에 감소하였다가 암컷의 성 성숙 지표인 질구개방이 대체로 일어난 37일을 기준으로 유전자 발현이 급증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춘기 개시를 위한 다량의 sex steroid 합성을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사춘기 전후시기 난소의 성 성숙에 관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25.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HP(di-ethylhexyl phthalate)는 가장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인체노출 빈도가 매우 높은 내분비계장애물질이다. 본 연구는 임신기와 수유기 동안의 DEHP 노출이 후세대 생쥐 암컷 난소 및 난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난소의 기능유전체 발현 변동을 조사하고, 유전자 발현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생식독성 마커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DEPH를 임신(GD) 1일째부터 수유기에 해당하는 출생 후(PND) 20일까지 모체에 0, 1.5 mg/kg/day 농도로 경구투를 한 후, F1 암컷의 난소 RNA를 추출하여 microarray 분석을 수행하였다. Expression Console software version1.1을 이용하여 발현변화가 나타난 유전자 정보를 획득하였다. 대조군과 1.5 mg/kg/day 처리군의 난소조직의 microarray 분석 결과, 약 120여 개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 정보를 확보하였으며, 특히 골지체에 존재하는 당전이효소인 fucosyltransferase 11(FUT11)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난소 내 FUT11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발정주기에 따른 난소 FUT11 발현, 과배란을 유도한 후 난포 성숙과정에서의 FUT11 mRNA 및 단백질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발정주기에 따른 난소 조직에서의 FUT11발현은 발정기시기에 가장 높았으며, granulosa luteal cell, oocyte, interstitium에서 FUT11 단백질 발현이 확인되었다. 과배란을 유도한 난소조직에서는 PMSG 46 h 째에서 FUT11의 발현이 가장 높았다. DEHP는 임신기 및 수유기를 통해 장기간 노출될 경우 후세대 암컷의 난소기능 및 난자에 기능적 문제를 야기한다. FUT11은 인체질병 발생시 비정상적인 당잔기의 합성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실제로 암 조직이나 염증부위의 단백질 및 당지질의 당쇄부위에 fucosylation이 증가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 DEHP의 장기 노출이 후세대 암컷 생쥐 난소내 FUT11 발현을 증가시켜 난소 내 granulosa luteal cell, interstitium, oocyte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의 당쇄구조의 비정상적인 fucosylation을 유발함으로서 난소의 내분비기능과 및 난자성장 및 성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26.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식력을 보존하고자 하는 가임기 여성 암환자는 항암치료 전, 자신의 난소를 동결보존할 수 있으 며, 암 치료 후 동결된 난소를 해동, 이식하는 방법으로 임신에 성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 중 난소과 난포는 동결 손상을 입게 되며, 난소 조직의 생존률은 크게 저하될 수 있다. 그 후 난소 이식 에 따른 허혈성 손상 등의 이유로 암 생존 후 동결 해동된 난소조직이 성공적으로 난소 기능을 유지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최근 난소의 동결과 보존 그리고 이식은 전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 가 진행되고 있는 주제이지만 아직까지 획기적인 방법이 개발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가임력 보존 의 가장 궁극적인 방법인 난소동결보존을 최적화하여 그 효율성을 높이고, 이식후 생존기간을 연장 시킬 수 있는 기술의 탐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27.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 isoflavones have been suggested to improve bone loss and lipid profile in postmenopausal women and ovariectomized rats. In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hypothesis that consumption of soybean, mung bean, cowpea and azuki bean has a beneficial effect on lipid profile which associates with bone mass in ovariectomized rats. Forty two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either sham-operated (Sham) or surgically ovariectomized (OVX). Sham and OVX groups were fed a regular AIN-93M diet, but ovariectomized rats with soybean (OS), mung bean (OM), cowpea (OC) or adzuki bean (OA) were fed AIN-93M diet replacing 35% of corn starch with powdered OS, OM, OC or OA for 10 weeks. Tota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ham and OC groups than other OVX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ibia in only OC group. In conclusion, tota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D in rats consumed cowpea, suggesting that the reduced cholesterol concentration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bone mass.
        128.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CL-2 family 단백질들은 세포사멸 신호전달 체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CL2L10 단백질은 그 중 하나로 세포의 사멸과 생존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이하게도 BCL2L10 단백질은 세포 또는 조직 특이적으로 서로 상반되는 친 세포사멸 또는 항 세포사멸 효과가 각각 보고되어 있다. 현재까지 난소세포에서의 BCL2L10의 발현 여부 및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인간 난소 과립세포주인
        12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nesfatin-1/NUCB2가 섭식과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백질이 생쥐의 생식기관에서도 발현을 하는지, 그리고 그 수용체가 생식기관 내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nesfatin-1이 생식기능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암컷 생쥐에서 난소와 자궁을 획득하여 conventional PCR 방법으로 NUCB2 mRNA 발현을 조사하였고, real-time PCR 방법으로 상대적인 NUCB2 mRNA 발현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난소 내 nesfatin-1 단백질의 발현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nesfatin-1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수행하였으며, biotin conjugated nesfatin-1을 이용하여 nesfatin-1 결합 부위를 확인하였다. 또한 생식소 내 NUCB2 mRNA 발현이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PMSG 투여 후 NUCB2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생쥐의 난소와 자궁에서 확인된 NUCB2 유전자가 시상하부에서 만큼이나 많은 양이 발현되고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nesfatin-1 단백질은 협막세포와 대부분의 기질세포에서 발현되었고, 일부 황체세포에서도 발현이 확인되었다. 반면, 난포 내 과립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으나, 특정 난포 내 난자에서는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nesfatin-1 단백질의 결합 부위는 난소 백막 주위의 기질세포와 협막세포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PMSG 투여 후 난소와 자궁에서 NUCB2 mRNA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난소 내 nesfatin-1 단백질의 발현과 그 결합 부위의 존재는 nesfatin-1이 뇌에서 뿐만 아니라 생식기관에서도 국부조절인자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생식기관에 미치는 nesfatin-1의 역할을규명하기위한더많은연구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130.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포 사멸(apoptosis)은 세포의 항상성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메커니즘이다. BCL-2 family 단백질들은 세포의 생존과 세포 사멸을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이다. MCL-1 단백질은 세포의 생존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는 pro-survival BCL-2 family member이며, 난소암, 혈액암, 자궁 경부암과 같은 다양한 암 조직에서 높게 발현하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 본 연구진에 의해서 IEX-1 단백질은 MCL-1의 결합
        13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의 난소 성숙에 대한 serotonin(5-hydroxytryptamine, 5-HT), ecdysone(20-hydroxyecdysone, 20-E) 그리고 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하에 5-HT(체중 g당 ), 20-E(체중g당 ) 그리고 HCG(체중 g당 5 IU, 10 IU)를 5일 간격으로 3회 주사한 후 10일이 더 지난 시점에 채집하
        132.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PES(Blepharophimosis/Ptosis/Epicanthus inversus Syndrome)는 FOXL2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는 상염색체 우성질환이다. 눈꺼풀이 갈라지거나 쳐지고 넓은 미간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며, 여성의 조기 난소 부전증(prema-ture ovarian failure, POF)을 일으켜 불임을 유발한다. FOXL2는 forkhead family에 속하는 전사인자로서 FOXL2가 결여된 난소에서는 granulosa cell의 분화가 진행되지 않아 난포 성숙과정의 멈춤과 난자의 폐쇄증을 유발한다. FOXL2를 bait로 하여 rat의 난소 cDNA 라이브러리의 yeast two-hybrid screening을 시행하여 FOXL2 단백질과 상호작용을 하는 small ubiquitin-related modifier(SUMO)-conjugating E2 효소인 UBE2I 단백질을 찾았다. UBC9이라고도 알려진 UBE2I 단백질은 SUMO 변형 과정을 위한 필수적인 단백질이다. Sumoylation은 수 많은 전사인자의 전사능력의 조절을 포함하여 다양한 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하는 번역 후 변형과정이다. 본 연구에서 인간세포인 293T 내에서 면역침전반응 실험을 통해 FOXL2와 UBE2I의 단백질-단백질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 FOXL2의 돌연변이형을 제작하여 yeast two-hybrid system을 이용해 UBE2I와 결합에 필요한 FOXL2의 부분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FOX2에 상호작용하는 UBE2I의 규명은 sumoylation에 의한 FOXL2의 새로운 조절 메커니즘을 시사한다.
        13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부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의 경우,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이지만, 대부분의 내분비계 장애 물질(endocrine disruptor 또는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 EDC)은 노출된 개체의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인간이나 야생 동물의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 연구에서 본 연구자들은 사춘기 전에 단기간으로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genistein(GS)을 투여했을 때 암컷 흰쥐의 생식계가
        134.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태생경골어인 쏨뱅이의 번식생태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체내 자어와 출산 후의 시원생식세포의 출현, 원시 생식소와 난소 분화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약 의 시원생식 세포는 체내 자어의 초기 소화관과 중심신관 사이 복막에 위치하였다. 출산 후 31일째부터 생식원세포가 생식원기에 도달하였으며, 체세포들이 분열 증식하여 원시생식소를 형성하였고, 출산 후 49일째에 난소강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출산 후 60일째에 생식원기의 양쪽 끝에서부터
        135.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테로이드 합성효소 중 는 progesterone을 을 거쳐 androstenedione으로 변환을 담당하는 효소이다. 양서류 난소에서 스테로이드 합성의 분자적 조절과정의 연구에 사용할 목적으로 북방산 개구리(Rana dybowskii) 난소에서 cDNA를 클로닝 하였다. 북방산 개구리 난포세포의 cDNA library 검색을 통해 분리된 약 2.5kb의 cDNA는 529개의 아미노산을 가진 단일 번역틀을 가지고 있었다. 개구리 의 아미노산 서열은 Xe
        136.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포유동물 난소에서의 신속한 프로게스테론(P4) 선호 전달경로에 관해 현재 통용되는 지식을 요약하였다. P4는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 합성 과정에서의 중요한 중간 산물이면서 그 자체로도 배란, 난포폐쇄(atresia), 황체형성과정(luteinization)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모든 포유동물의 초기 임신 유지에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생리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포유동물 난소에서의 정확한 P4 작용기작은 아직까지도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
        137.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암컷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난 형성과정 중 생식세포 발달과 난소 성숙 및 군 성숙도를 세포 및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바지락은 자웅이체이다. 난황 형성 과정 중 골지복합체, 글리코겐 입자들과 미토콘드리아들은 초기 난황 형성 단계의 난모 세포질 내에서 지방적 및 지방 과립 형성에 관여한다. 후기 난황 형성 단계 난모 세포질 내의 피질 과립, 조면 소포체 및 미토콘드리아들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 과립의 형성
        139.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난소가 제거된 생쥐를 이용하여 자궁조직에서의 ADAM-8, 9, 10, 12, 15, 17, 그리고 ADAMTS-1의 유전자의 발현이 생식호르몬에 의하여 조절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암컷 생쥐의 난소를 제거하고, 2주후에 sesame oil, 17 -estradiol (), progesterone ( 혹은 이 둘 혼합액 ()을 피하 주사하였다.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자 전사체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ADAM-8, 12, 그리고 17은 oil을 주
        140.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쥐 신생자 시기에 생식 세포의 사멸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사멸을 보이는 생식 세포에서 세포 사멸 관련 단백질인 caspase-3, caspase-activated DNase(CAD), Bax 및 Fasnas ligand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활성화된 caspase-3와 CAD의 면역화학적 염색 결과 일차 및 이차 난포내 TUNEL 양성을 보이는 세포 사멸 난자에서 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CAD 또한 TUNEL 양성을 보이는 세포 사멸 난자에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