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0

        12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2015 KNHANES to understand the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middle-age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Those that eat breakfast five to seven times a week were 76.3 percent (male) and 72.7 percent (female). Frequency of eating lunch and dinner, and eating out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male subject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eating lunch, dinner and eating out. Female subjects that ate breakfast five to seven times a week had lower height and weight compared with other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MI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the four groups. Adults that eat breakfast five to seven times a week had consumed more carbohydrates, dietary fiber, phosphorus, potassium and vitamin C regardless of gender, which validates the nutritional benefits of eating meals regularly. Male adults that ate breakfast five to seven times a week revealed lower levels of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LDL-cholesterol compared with other groups, which validates eating breakfast regularly was beneficial to their health.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at regular meals daily relative to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of Korean middle-age adults.
        4,000원
        122.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mber of companies investing substantial marketing resources in sport sponsorship has been growing rapidly. This trend has resulted in more competition among the candidate companies to acquire official sponsorship rights. Not surprisingly, the recent increase in the popularity of sport sponsorship has been accompanied by increased attempts in ambush marketing – a marketing strategy wherein the companies associate themselves with, and therefore capitalize on, a particular sporting event without paying any sponsorship fee (Hoek & Gendall,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uch ambush-marketing activities can damage the evaluation of the company when they are noticed by consumers. This study further examines whether the prior reputation of the company influenc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mbush marketing and company evaluations. Sponsorship and Ambush Marketing Prior research in sport marketing (Meenaghan, 1983; Sullivan & Mulphy, 1998) suggests that the sponsorship of sporting events offers sponsors opportunities to develop favorable brand images by creating goodwill perceptions (Hoek, Gendall, and West, 1990; Marshall, 1992). As noted above, companies unable to fund sponsorship rights have attempted to achieve the same benefits by engaging in promotional efforts associated with the event as if they were true sponsors (McKelvey, 1994). It is, however, only when consumers are unaware of the fact that the companies are, in fact, ambush marketers that these companies can expect positive goodwill perceptions from their ambush marketing practices. This is because ambush marketing has been perceived to be an unethical business practice. Payne (1998) indicated that ambush marketing not only harms the integrity and viability of global sport events, but also infringes on official sponsors’ rights; similarly, O’Sullivan and Murphy (1998) claim that ambush marketing is just as bad as stealing. Thus, once consumers become aware of the fact that a company is implementing an ambush marketing practice, rather than being a true sponsor, those consumers will be disappointed, and negative evaluations of the company are most likely to result.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proposed: H1: When an ambush-marketing attempt is not noticed, subjects exposed to an ambush- marketing practice will have more favorable evaluations of the company than the evaluations of the subjects not exposed to an ambush- marketing practice. H2: When an ambush-marketing attempt is noticed, subjects exposed to an ambushmarketing practice will have more unfavorable evaluations of the company than the evaluations of the subjects not exposed to an ambush- marketing attempt. Expectation and Evidences We further predict that the risks associated with ambush marketing are more profound for companies with high levels of a good reputation, rather than low. Such reasoning is based on theories of the interaction between expectations and evidences. In this study, expectation refers to the belief probabilities of attribute occurrence (Olson and Dover, 1976);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consumers may form expectations about a company based on the corporate reputation—the sum of the values that stakeholders attribute to a company,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the company’s image and behavior over time (Dalton & Croft, 2003). Corporate reputation comprises three dimensions (Graham and Helen 2005) including public responsibility (e.g., ―Are they socially responsible?‖), consumer fairness (e.g., ―Do they treat the consumers with some respect?‖), and leadership and success (e.g., ―Are they successful at what they do?‖). Thus, having established a high degree of good reputation indicates that consumers can expect more positive perceptions on each of the three dimensions of corporate reputa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research in consumer satisfaction, it is the direction and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resulting from the incongruity between the prior expectation and the evidences that determine the product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liver 1980). In particular, Oliver (1980), and Tse and Wilton (1988) proposed that expectations are thought to create a frame of reference about which one makes a comparative judgment, whereby evidences higher (or lower) than the expectations are thought to be a positive (or negative) disconfirmation. Mandler (1982) further suggests that increasing the degree of discrepancy between a schema-triggered expectation and new information results in heightened arousal and cognitive processing, which leads to a more polarized evalu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Therefore, in a sponsorship context, a seemingly true sponsorship activity (i.e., an unnoticed ambush attempt) is likely to lead to a positive disconfirmation of the consumers’ expectations about a company, and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will be greater when the company’s prior degree of good reputation is low, rather than high. On the other hand, when noticed by consumers, an ambush-marketing attempt is likely to lead to negative disconfirmation of prior expectations about a company, and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will be greater when the company’s prior degree of good reputation is high, rather than low. Based on the discussion,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posed: H3: When an ambush-marketing attempt is not noticed, subjects exposed to the ambush-marketing practice will perceive a positive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and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will be greater when the company is disreputable than when it is reputable. H4: When an ambush-marketing attempt is noticed, subjects exposed to the ambush-marketing practice will perceive a negative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and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will be greater when the company is reputable than when it is disreputable. Disconfirmation and Evaluation Satisfaction literature (Oliver 1980) also suggests a high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as well as the traditional criteria of attitudes. Oliver (1980), for exampl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and the amount of attitude change. Also, given the earlier discussion that the degree of disconfirmation is proportional to the extremity of the attitude,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posed: H5: When an ambush-marketing attempt is not noticed, subjects exposed to the ambush-marketing practice will have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company, and the degree of enhancement in company evaluation will be greater when the company is disreputable than when it is reputable. H6: When an ambush-marketing attempt is noticed, subjects exposed to the ambush-marketing practice will have a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company, and the degree of reduction in company evaluation will be greater when the company is reputable than when it is disreputable. Method In order to examine the proposed hypotheses, a 2-by-2 by-2 full-factorial experiment will be conducted. A convenient sample of college students will be used for theory-testing purposes. There ar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Prior reputation (high vs. low reputation), and whether the ambush-marketing attempt is noticed or not (noticed vs. unnoticed) are the between-subject factors, whereas the measurement sequence (before vs. after stimulus exposures) is the within-subject factor. Corporate reputation will be manipulated by exposing subjects to either high- or low-reputation company profiles. Subjects will then be asked to rate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irst time. Then, subjects from each company reputation condition will be exposed to hypothetical newspaper articles describing the company as either a true sponsor or an ambush marketer. After being exposed to the stimulus newspaper articles, the subjects will be asked to rate the key dependent variables the second time. The primary dependent variables include perceived corporate reputation, and attitude toward the company.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 will be analyzed by three-way ANOVA.
        3,000원
        12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국내 및 해외 안경사의 직무범위와 국가시험 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국가시험 개선방향에 지표로 삼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방 법: 국가시험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국내 안경사의 직무범위와 시험제도를 해외 안경사와 비교분석해 보았으며, 실기시험 도입의 효과에 대해 안경사를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미국, 일본, 독일, 호주 등 안경사 면허제도가 체계화된 외국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임상실기시험 이 치러지고 있었다. 그러나 국내 안경사제도는 외국의 조제안경사(dispensing optician)와 검안사 (optometrist)의 직무를 포괄하는 제도로 운영되고 있으며, 국가시험에서는 실기과목을 30년째 이론시험으 로 대체하고 있어 실무능력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전국 안경사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문 제로 발생한 신입안경사의 낮은 실무능력을 자체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재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결 론: 시험제도는 교육현장의 질적 향상을 견인한다는 의미에서 시험제도의 체계적인 검토와 논의를 통 한 개선점 도출이 안경사 교육의 질 관리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4,300원
        124.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디지털 매체의 사용이 확산되면서 이러한 매체의 최대 사용자인 청소년들이 유해매체물에 노 출되는 빈도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현행 청소년 유해매체물 규제 제도에 대해 유해매체물 심의 기준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현행 청소년유해매체물 심의 기 준에 의하면, 음란한 자태를 지나치게 묘사한 것, 성행위에 대해 그 방법 등을 지나치게 묘사한 것, 청소년 대상으로 성행위를 조장하는 등 성 윤리를 왜곡시키는 내용 등을 담은 매체들은 청소 년에게 유해한 매체물로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규제되지 않은 매체물도 많으며 또는 이와 유사 한 매체물들은 디지털 매체를 통해 여전히 활발하게 전파되고 있다. 나아가 때로는 동법에서 보 호하는 청소년이 이러한 매체물들을 직접 생산⋅전파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빈번한 현상을 볼 때, 보다 실질적인 규제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그 방안으로서, 청소년 유해성의 개념을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의 인권을 존중하는 범위 내에서 청소년의 보호가 어떠한 의미인지에 대해 현 시대에 적합하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법적인 규제와 자율 규제를 조화롭게 운영하여 보다 실효성있는 규제 체계를 정립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보다 명확한 심의 기준을 바탕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6,300원
        127.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2)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건성안 유병률과 위험요 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세 이상 성인 중 안과의사에게 건성안 검진을 받은 5,698명(남자 2,368명, 여자 3,330명)을 대 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전신질환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에 따른 건성안의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분석 하였다. 결 과: 전체 연구대상자의 건성안 유병률은 13.5%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건성안 유병률은 남성보 다 여성이, 50세 미만군보다 50세 이상군이, 농촌지역보다 도시지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전 신질환별 건성안 유병률은 고혈압, 이상지혈증,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우울증, 신부전증이 있는 경우 에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관련행위별 건성안 유병률은 비흡연자, 비음주자, 수면시간이 짧은 군이 높았다. 건성안 빈도는 여성에서(OR 2.29, CI 1.89-2.77)와 50세 이상군에서(OR 1.21, CI 1.01-1.46), 농촌지역에 서(OR 1.96, CI 1.56-2.47)에서 더 높았다. 유의한 모든 변수를 보정한 후에 건성안의 위험인자는 신부전 (OR 2.82, CI 1.48-5.69), 갑상선(OR 1.62, CI 1.16-2.26), 류마티스 관절염(OR 1.54, CI 1.01-2.33), 이상 지혈증(OR 1.42, CI 1.13-1.78), 우울증(OR 1.36, CI 1.11-1.66), 골관절염(OR 1.27, CI 1.02-1.57)이었다. 결 론: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건성안 유병률은 13.5%으로 높은 수준이며, 50세 이상, 도시지역 거 주자, 여성과 신부전증, 갑상선, 류마티스 관절염, 이상지혈증, 우울증, 골관절염 환자에서 건성안의 위험이 높으므로 해당 위험요인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홍보를 통해 건성안증상을 조기 발견하여 적 절하게 대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4,000원
        128.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표면코일의 신호강도를 최대로 하려면 Z축에 90°로 위치시켜야 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코일의 기울 어짐이 빈번히 발생하는데, 위와 같은 경우 신호강도가 줄어들게 되어 병소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표면코일이 어느 정도 기울어질 때 신호강도가 저하되는지 측정하여 기준 각도를 제시함으로써 코일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신호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방법은 표면 코일의 각도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틀을 자체 제 작한 후, Z축을 기준으로 0°에서부터 180° 까지 10°씩 표면코일을 변경시켜 구형 팬텀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획득은 1.5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 장치와 4채널 loop large 코일을 사용하여 표준 T1과 T2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획득한 영상의 신호강 도는 영상평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된 신호강도는 일원배치분산 분석과 사후분석을 이용하여 신호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기준 각도를 알아보았다. 결 과 : 연구결과 신호강도는 T1, T2 영상 모두 90°(X-Y 평면)에 가까울수록 높게 측정 되었고 멀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신 호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기준 각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Duncan의 사후분석을 시행한 결과 유의수준 0.05에 대한 부 집단 중 T1, T2 강조영상 모두 70°, 80°, 100°가 통계적으로 90°와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일한 신호강도임을 알 수 있다. 결 론 : 결론적으로 몸통이나 사지 등 body 코일을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할 경우, 머리 쪽으로는 10°, 발쪽으로는 20° 이상 기울어지지 않는다면 보상이 필요 없으므로 보상 물질을 사용해 신호강도를 감소시키는 것보다 사용하지 않는 것이 최적의 신호강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4,000원
        129.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isk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olescents consuming snacks frequently from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subjects (12~14 years: n=523; 15~18 years: n=614) were presented with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and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frequency of snack consumption. In the age group of 12~14 years, boys and girls (boys OR: 1.11, 95% CI: 0.52~2.39, girls OR: 12.45, 95% CI: 2.26~68.51) who consumed yogurt frequently had a higher risk of overweight and obesity at the highest quartile frequency compared with the lowest quartile after adjustments for multiple confounding factors, including age, physical activity, frequency of eating out and snack consumption, and energy intake. In the age group of 15~18 years, girls (OR: 1.01, 95% CI: 0.34~2.99) consuming fried foods had a higher risk of overweight and obesity at the highest quartile frequency compared with the lowest quartile after adjustments for multiple confounding factors, including age, physical activity, frequency of eating out and snack consumption, and energy intake. Thus, we conclude that frequent consumption of yogurt and fried foods increases the risk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olesc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isk of overweight and obesity is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snack consumption.
        4,000원
        13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nergy nutrient intake, health related factors,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biochemical indices,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odds ratio (OR) of metabolic syndrome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Subjects were 1,205 men aged 40~64 years. The average fat intake was 52.8 g.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ficient, normal, excess)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The dietary fat energy rations of the three groups were 36.9%, 42.9% and 20.2%, respectively. Energy and protein intak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dietary fat energy ratio (p<0.001), whereas carbohydrate intake decreased (p<0.001). In health related factors, amount of smoking alone showed increase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p<0.001). In compa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pressure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excepting diastolic blood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p<0.01~p<0.001). The rate that exceeded criteria in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the serum triglyceride (41.2%) and was lower in the waist circumference (22.2%).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37.9%, an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o dietary fat energy ratio (p<0.05). The OR of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deficient and excess group than in normal group, but it had no relationship between fat energy ratio and metabolic syndr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fat intake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men.
        4,000원
        13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isk of chronic disease as predicted by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 females. Data on 2,738 adult females aged 40~64 yrs was obtained from the 2013~2014 Korean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rmal (n=1,835), abdominal obesity (AO, n=73), and BMI-diagnosed abdominal obesity (BMI-AO, n=505) groups based on the NCEP-ATP III guidelines and by applying the KSSO definition regarding waist circumference. Triglyceride blood levels, fasting blood sugar level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higher in the AO and BMI-AO groups than in the normal group. The HDL-cholesterol levels of subjects in the two abdominal groups were lower as compared to those of subjects in the normal group. The mean adequacy ratio was lower among subjects in the AO and BMI-AO groups than among those in the normal group. Moreover, the NAR and INQ scores of some micro-nutrients in both of the abdominal obesity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Both the AO and BMI-A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isks of hypertriglycemia, hyperglycemia, hypertension, hypoHDL-cholesterolemia, and metabolic syndrome than were shown by the normal group. Notably,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AO group showed higher risk of hypercholesterolemia, hyperLDL-cholesterolemia, hypertriglycemia, and metabolic syndrome than did the BMI-AO group.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develop prevention programs including programs for those with abdominal obesity despite their having a BMI within the normal range.
        4,000원
        13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자기공명영상(MRI)의 발달은 소아신경계의 병리학적 과정을 이해하고 진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검사 건수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소아의 Brain MR 검사는 환자에게 주의를 주거나 Sedation을 하여 검사를 진행하지만 움직임, 소음 등으로 인하여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고해상력의 영상 획득이 가능한 3.0T의 경우 1.5T에 비해 SAR가 약 4배 증가하게 되며, 최근 미국 소아과학회에서는 어린이가 어른보다 전자파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더욱 주의하여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때, 기존의 TSE가 아닌 다양한 Refocusing FA를 사용하는 Hypere-TSE은 동등한 SNR을 유지하면서 SAR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또한, MR 검사 시의 소음은 Gradient의 빠른 Switching을 통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기존의 소음 감소를 위한 Gradient mode인 Whisper mode는 Scan time이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나 최근 E11 Upgrade를 통해 도입된 Acoustic noise reduction는 이를 개선하여 동등한 Scan time과 향상 된 소음 감소 효과를 가져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 Brain MRI 검사 시 Hyperecho와 Acoustic Noise Reduction을 이용하여 Image quality를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소아를 더욱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에서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장비는 SIEMENS사의 3.0T SKYRA(Germany)와 32ch Head coil을 사용하였고, Spherical Phantom D165(Siemens, Germany) 및 만 15세 이하의 소아 환자 20명(남자 12, 여자 8, 평균연령 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Hyper-TSE와 Acoustic noise reduction을 사용했을 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T1 Dark fluid(TR: 2000, TE: 9, TI: 900, Matrix: 384*307, FOV: 200*200, NEX: 1) T2WI(TR: 6000 TE: 103, Matrix: 448*269, FOV: 200*200, NEX: 2), T2 FLAIR(TR: 9000, TE: 84, TI: 2500, Matrix: 320*192, FOV: 200*200, NEX: 1)에서 비에스코리아사의 디지털 소음 측정기를 통하여 Isocenter에서 150㎝ 거리에서의 소음을 측정하였고, SAR와 SNR은 Siemens NUMARIS/4 - syngo MR E11로 Gray matter, White matter, Eye ball을 관심 영역 0.02㎠ 측정하여 IBM SPSS Statistics v22.0을 통해 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정량분석 결과 Hyper-TSE와 Acoustic noise reduction을 사용했을 때는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SAR가 T1 Dark fulid에서 -26%, T2에서 -33%, T2 FLAIR에서 –33%로 감소되었으며, 소음은 T1 Dark fulid에서 -14%, T2에서 -16.6%, T2 FLAIR에서 –16.1% 감소하였고, SNR은 T1 Dark fulid에서 GM: 17%, WM: 15%, Eye ball: 12%, T2에서 GM: 10%, WM: 14%, Eye ball: 14%, T2 FLAIR에서 GM: 3%, WM: 9%, Eye ball: 7%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NR은 T1 Dark fulid에서 14%, T2에서 3%, T2 FLAIR에서 –19%로 증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모수 대응표본 Wilcoxon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값에서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Hyperecho를 사용하게 되면 SNR을 유지하면서 SAR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과 Acoustic noise reduction을 사용할 경우 동일하거나 약간의 검사 시간 증가와 함께 많이 조용하게 된다는 이론적 사실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Hyperecho 및 Acoustic noise reduction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Sequence와 비교하여 SAR와 소음은 감소시키면서 SNR과 CNR 값은 동등하거나 증가된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소아 환자에게 더욱 안전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고 효과적이며 진단 가치 높은 영상을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200원
        13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경추 MRI 검사 시 고식적 2D T2 TSE 시상면 영상과 3D T2 SPACE 시상면 영상에 대해 비교하고, 얻어진 3D 볼륨 데이터에 다중 평면 영상 재구성 기법(이하 MPR)을 이용해 양측 신경공 축에 수직 방향으로 사위 시상 재구성 영상을 획득하여 3D T2 SPACE영상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6월부터 2016년 1월 까지 경추의 통증으로 본원에 내원하여 경추 MRI 처방을 받고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령군은 남자 12명(평균나이=42.23세), 여자 8명(평균나이=40.38세)이었으며, 총 평균나이는 41.52세 이었다. 영상 평가는 영상의학과 근골격계 전문의 1명, 정형외과 전문의 1명이 환자의 사전정보를 모두 배제 시킨 고식적 2D T2 시상면, 3D T2 SPACE 시상면, 3D T2 SPACE 재구성 사위시상면에 대해 각 시퀀스 별로 해부학적 구조물(Neural foramen, Intraspinal nerve roots, Foraminal fat tissue, Spinal cord, CSF, Bone. Disc)들의 관찰정도를 리커트(Likert scale) 5점 척도로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통계적 기법의 검증 결과는 일원배치 분산분석 검증 후, p< 0.05일 때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두 평가자 간 신뢰도를 위한 일치성 검증은 Cohen’s weighted kappa 95% 신뢰구간에서 평가 하였다. 결 과 : 정성적 평가에서 2명의 평가자에 의한 리커드 5점 척도 결과. 고식적 2D T2 시상면, 3D T2 SPACE 시상면, 3D T2 SPACE 재구성 사위시상면의 평가 결과는 Neural foramen에서 1.8±0.516, 3.525±0.505, 4.8±0.405, Intraspinal root에서 2.325±0.797, 4.325±0.474, 4.75±0.438, Foraminal fat tissue에서 3.0±0.877, 3.675±0.572, 4.15±0.735, CSF에서 4.85±0.483, 4.4±0.59, 4.2±0.822, Spinal cord에서 4.7±0.464, 4.0±0.555, 3.45±0.504, Bone에서 4.15±0.662, 3.4±0.496, 3.35±0.483, Disc에서 4.43±0.500, 3.7±0.464, 3.85±0.579 라는 결과를 얻었다. 평가된 값의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Neural formen, Intraspinal root, Foraminal fat tissue는 3D T2 SPACE 재구성 사위시상면, 3D T2 SPACE 시상면, 고식적 2D T2 시상면 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CSF, Spinal cord, Bone, Disc에 대해서는 고식적 2D T2 시상면이 3D T2 SPACE 시상면, 3D T2 SPACE 재구성 사위시상면 보다 높다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두 평가자 간 평가결과의 일치성 검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01). 결 론 : 3D T2 SPACE 시상면 영상과 3D T2 SPACE 재구성 사위시상면 영상은 높은 공간 분해능과 T2 대조도를 가지고 있으며, CSF, Spinal cord, Bone, Disc의 해부학적 구조물 관찰정도가 고식적 T2 시상면 영상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Neural foramen, Intraspinal nerve root, Neural foramen fat tissue의 구조물들이 잘 관찰되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신경근병증, 디스크 탈출증 의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에게 3D T2 SPACE 시상면 시퀸스를 적용한다면 Neural foramen, Intraspinal nerve root, Neural foramen fat tissue에 관한 높은 진단적 영상정보를 제공하므로 질환의 감별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13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유방 MRI 검사는 비대칭 조직 및 비 종괴 조영증강 평가와 동시성 양측성 유방암 발견을 주 목적으로 양측 유방 영상을 동시에 얻는다. 편측 유방 전 절제의 경우에도 추적검사와 전이 여부 등의 확인을 위해 양측 유방을 동시에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편측 유방 전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는 양측 유방이 모두 있는 환자와 달리 해부학적 차이로 발생하는 자장의 불균일에 의해 영상의 signal intensity(SI)가 감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자체 제작한 phantom과 다양한 filling factor들을 이용하여 감소된 SI의 보상 유무와 그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 편측 유방 전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유방 MRI 검사에서 filling factor들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Phantom study는 본 연구를 위하여 자체 제작한 phantom으로 유방의 해부학적 차이에 따른 SI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Breast coil의 한쪽에는 phantom과 반대쪽에는 paraffin, sponge, rice, flour, gel, saline을 각각 넣고 검사하여 filling factor들에 의한 SI의 보상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Patients study는 편측 유방 전 절제 수술을 받고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본원에서 유방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 30명(평균 연령 49.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는 Philips INGENIA 3.0T(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이고, 신호수집 코일은 16channel Breast coil을 사용하였다. Scan parameter는 반복시간(TR): 9400ms, 에코시간(TE): 100ms, NSA : 1, 절편두께(thickness): 2mm, scan time: 2분 49초 , 영상기법: mDIXON T2 AX을 사용하였다. Phantom study의 평가방법은 filling factor에 따른 phantom영상의 SI 변화를 알아보고 정량적 방법으로 SNR을 비교하였고, patients study는 filling factor 사용 전°후 영상의 SI 변화를 비교하였다. 통계적 분석 방법은 Wilcoxon signed rank test(SPSS 18.0K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p값이 0.05보다 작은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 Phantom 영상의 SI는 breast coil의 양측을 채웠을 때와 편측을 채웠을 때 각각 평균 1361, 1122로 편측일 경우가 양측일 때보다 17.6 % 감소하였다. Filling factor들에 의한 SI의 보상 정도는 양측을 모두 채웠을 때를 100으로 했을 때, paraffin 94.4%, sponge 94.2%, rice 87.3%, flour 86.5%, saline 65.5%, gel 48.3%로 분석되었고, filling factor들에 의한 SNR결과는 양측을 모두 채웠을 때(124) >> paraffin(97) > sponge(90) > rice(76) > flour(72) > 편측만 채웠을 때(69) >> saline(54) > gel(51) 의 순서로 측정되었다. Patients 영상의 평가 결과, 14명의 환자에게서 SI가 최대 11%, 평균 5%증가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모든 경우에서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 론 : Phantom을 이용한 실험 결과를 통해 breast coil의 양측에 phantom이 채워졌을 때보다 편측만 채워졌을 때 SI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다양한 filling factor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paraffin, sponge, rice, flour들은 편측만 phantom이 있는 경우보다 SI가 보상되는 효과를 보였지만 saline과 gel은 오히려 감소되었다. Patients 영상 획득 시 호흡에 의한 motion artifact가 SI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최대 11%까지 SI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paraffin, sponge, rice, flour를 이용하여 어떤 scan parameter의 조작 없이 filling factor의 사용만으로도 편측 유방 전 절제 환자의 감소된 SI를 보상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편측 유방 전 절제 환자의 유방 MRI 검사에서 filling factor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진단학적 가치가 보다 높은 영상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입학전형 사교육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공교육을 촉진 또는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공교육 정상화를 도모하는 전형방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대학교 재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응답자의 72.3%는 사교육 경험이 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시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시전형이나 논술우수자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사교육 의존도가 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학 과목은 타 과목보다 사교육 유발요 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교육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수능과 논술에 대한 대학입 학 전형방법의 개선과 함께, 고교생활 가운데 학습의 결손을 막을 수 있는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되어진다.
        6,600원
        137.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health behaviors and nutritional status related to dyslipidemia in Korean middle-aged adults (between 50 and 64 years ol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s Survey data (2007~2010). A total of 4,721 subjec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borderline, and dyslipidemia) according to serum lipid levels. Parameter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drinking and smoking, anthropometric parameters, blood and nutritional parameters. The latter parameter included food/nutrients intake. All data was adjusted by sex, region, education level, and age. General linear model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yslipidemia group was comprised of more men than women. By contrast, the borderline group was comprised of more women than men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ore smokers and drinkers(drinking per time) in the dyslipidemia group (p<0.05). Anthropometric dat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e, height (p<0.05),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percent body fat, and blood pressure were higher in the dyslipidemia group (p<0.001). Only blood urea nitrog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The HbA1c (p<0.01), fasting blood glucose, GOT, GPT, creatinine levels were higher in the dyslipidemia group (p<0.001). So it is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in dyslipidemia group. The dyslipidemia group ate less sea food (p<0.05). The nutrients intake of energy and protein, thiamin, riboflavin, niacin, calcium, phosphorus were lower in the dyslipidemia group (p<0.05). Therefore, to lower dyslipidemia prevalence rat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intake of foods containing ω-3 fatty acids. We also suggest a meal management program and nutritional education to recognize the risk of dyslipidemia, especially for people such as the individual in the borderline and dyslipidemia study groups. Key words: dyslipidemia, Korean middle-aged adults, nutritional status, health behaviors
        4,200원
        138.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 차이는 교육방법을 어렵게 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 다. 본 연구는 집중몰입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전문대학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방 법: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여름방학동안 합 숙을 통한 집중몰입교육을 실시하여 매년 12월에 치른 국가고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만족도는 on-line으로 설문하였다. 결 과: 집중몰입교육을 개발·운영한 결과,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3학년 학생들의 국가고시 합 격률이 전국 안경광학과 국가고시 평균 합격률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결 론: 집중몰입교육은 학업 성취 향상을 보였으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경사 면허 증 취득을 위한 학습자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기에 다른 전공의 경우 전공 교과목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4,500원
        139.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2011, 201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내용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나이관련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과정 중 2011년, 2012년도 조사대상자의 건강 검진과 안과 검진을 받은 45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AMD와 상관성이 있는 위험요인인 성별과 연령 통제 전과 후로 구분하여 로지 스틱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 이하로 하였다. 결 과: 인구·보건학적인 요인에서는 성별과 연령을 통제하기 전에는 여성,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정도 가 낮을수록, 읍/면 거주자에서 발병률이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경우에는 거주지는 상관 성이 없고 여성과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발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신체·질병학적인 요인 에서는 성별과 연령 통제하기 전에는 고혈압, 중성지방 및 가족력이 위험요인이었으나 성별과 연령 통제 후 에는 모든 요인들이 AMD와 상관성이 없었다. 성별과 연령을 통제하기 전에는 난시, 근시, 원시, 백내장 및 안질환 가족력이 AMD와 상관성이 있었으나, 성별과 연령을 통제 후에는 원시안과 백내장이 AMD 위험요인 으로 나타났고 근시안은 AMD 위험요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태학적인 요인에서는 성별과 연령 을 통제하기 전에는 햇볕 노출 5시간 이상만 상관성이 있었으나,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후에는 흡연, 햇볕 노출 5시간 이상이 AMD 발병을 높이는 위험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AMD 발병은 나이와 성별에 연관이 있고, 성별과 연령을 통제한 경우에는 원시, 백내장, 흡연 및 햇볕 노출 시간이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140.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metabolic biomarkers, and nutrition intake in adult participants in the combined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Subjects (2,095 males and 3,297 fema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sex and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1 time/month, ≥2 times/month and ≤6 times/week, 1 time/day, 2 times/day, 3 times/day)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Nutrition intake was analyzed using 24 h recall data. The 3 times/day coffee consump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age, and frequency of smokers and drinkers compared to the ≤1 time/month coffee consumption group in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Males in the 3 times/day coffee consump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HDL-cholesterol level, but females had a higher waist circumference compared with the ≤1 time/month coffee consumption group. Males in the 3 times/day coffee consump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nutrient density of fiber, vitamin B2, vitamin C, calcium and phosphorus compared with the ≤1 time/month coffee intake group. Females in the 3 times/day coffee consumption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nutrient density of fat and niacin, but lower nutrient density of carbohydrate, calcium, phosphorus, and iron compared with the ≤1 time/month coffee intake group. In males, the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was not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metabolic biomarkers. In females, the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astolic blood pressure after adjustments for multiple confounding factors, including age, BMI, smoking status,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intake. Coffee consumption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femal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an awarenes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offee consumption and metabolic risk.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