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8

        12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 분포하는 느티나무의 표현형의 변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생지 6곳을 대상으로 35가지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분산분석 수행결과 20가지 정량적형질 중 16가지 형질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청주시 것대산' 집단이 20가지 정량적형질 중 9가지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 결과 측정항목들이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는데 적절하지 못함이 확인되었다.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남해군 미조리상록수림' 집단과 '양평군 용문산' 집단이 가장 가까운 그룹을 이루었으며, '청주시 것대산' 집단, '보은군 속리산' 집단, '대구광역시 팔공산' 집단, '함양군 상림' 집단 순으로 군집되었다.
        127.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원도농업기술원 옥수수연구소에서 튀김옥수 수 품종개발을 위하여 육성한 79개의 자식계통들에 대하여 총 13개의 양적 및 질적 형질들을 이용하여 형태적 변이 연 구를 수행하였다. 3개의 질적 형질 중에서 웅수색(QL1)은 연한 자주색을 나타내는 계통(46계통)들이 가장 많았고, 자 수색(QL2)과 줄기색(QL3)에서는 각각 녹색을 나타내는 계 통(55계통, 75계통)들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10개의 양적 형질 중에서 간장(QN1)은 174.2±34.9 cm, 착수고(QN2)는 103.4±24.7 cm, 이삭장(QN3)은 9.4±3.0 cm, 착립장(QN4) 은 8.4±2.6 cm, 이삭경(QN5)은 24.9±7.7 mm, 이삭열수 (QN6)는 14.0±2.3 열, 이삭중(QN7)은 36.5±26.0 g, 종실중 (QN8)은 30.9±19.3 g, 백립중(QN9)은 10.4±3.8 g, 발아율 (QN10)은 평균 95.3±8.1%를 각각 나타내었다. 분석에 이 용된 자식계통들 중에서 5개의 자식계통(PS0-001, PS0-003, PS1-002, PS1-003, PS2-009)들은 조사된 7개의 수량 관련 형질들 중 5개 이상의 형질들에서 비교적 높은 경향이었다. 주성분 분석은 분석에 이용된 13개의 양적 및 질적 형질들 중에서 자수색(QL2), 이삭장(QN3), 착립장(QN4), 이삭경 (QN5), 이삭중(QN7), 종실중(QN8), 백립중(QN9)은 제 1 주 성분에서 양의 방향에 크게 기여하였고, 반면에 웅수색(QL1), 줄기색(QL3), 착수고(QN2) 그리고 이삭열수(QN6)는 음의 방향에 크게 기여하였다. 제 2 주성분에서는 간장(QN1), 착 수고(QN2) 그리고 종실중(QN8)은 양의 방향에 크게 기여 하였고, 반면에 웅수색(QL1), 자수색(QL2), 이삭장(QN3), 이삭열수(QN6) 그리고 100립중(QN9)은 음의 방향에 기여 하였다.
        128.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천시 수산면의 고생대 백운암에는 속성기원 흑색 처트 단괴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흑운모 화강암 관입과 관련된 접촉변성작용으로 백운석과 처트가 반응하여 단괴 주위로 변질대가 형성되었다. 변질 초기에 활석 및 방해석이 처트와 백운암을 교대하며 생성되었지만, 후기에 투각섬석이 활석과 방해석을 교대하였다. 처트 단괴들이 밀집한 백운암 층준에서는 회백색 투각섬석이 다량으로 산출된다. 주사전자현미경 및 광학현미경 관찰결과, 투각섬석은 다양한 종횡비의 신장된 입자 형태를 보이며, 수 mm의 좁은 공간에서 같이 산출된다. 침상-섬유상 입자들이 다발을 이루는 석면상 투각섬석도 있으나, 주상 입자들도 흔히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연 유래 석면물질의 경우, 모든 투각섬석이 석면상 투각섬석은 아니므로 석면 정량 시 유의해야 한다. 수산 지역에서 석면상 각섬석의 산출 환경은 함처트 백운암, 열원, 수용성 유체의 존재가 투각섬석 석면의 지질학적 생성 조건이 될 수 있음을 지시한다.
        130.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약용식물로 부가가치가 높은 두릅나무 선발클론을 대상으로 잎, 가시 그리고 동아의 형태적 특정을 조사하고 다변량 분석 방법을 통하여 선발클론 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4 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은 76%로 나타났으며, 유집분석 결과 거리 수준 2.0을 기준으로 I그룹은 강원 연곡 등 15클론, II그룹은 경기 여주 등 5클론, III그룹은 봉화와 울릉 클론, IV그룹은 용문과 보성 클론 그리고 V그룹은 신구 클론으로 총 5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131.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억새 수집종의 초장 길이를 조사한 결과, 개화 전과 후 전체 생육기간 동안 200 cm 이상 우량한 생육을 나타낸 개체 자원은 India에서 수집한 억새 MS013이며, 개화 후에는 MS005, MS010, MS011, MS014 억새도 200 cm 이상의 생육을 보여주었다. 대부분의 억새 수집종의 경우 분얼수가 2-3개 정도로 나타났다. 엽장의 길이가 100 cm 이상인 수집종은 MS001, MS002, MS005, MS012, MS013, MS014로 6종이며, 엽폭은 1-2 cm 사이가 63%이상으로 대부분의 수집종들이 이에 속하였으며, MS002, MS003, MS005 억새의 엽폭은 2 cm 이상으로 잎이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S005 억새는 초장, 간경, 마디수, 분얼수 뿐만 아니라, 엽장, 엽폭에 있어서도 다른 지역에서 수집한 억새보다 수치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바이오에너지용 억새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132.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accinium oldhami Miq. is a Korean native tree, which is deciduous and shrub tree with broad leaf. It grows 1~4m in height generally. Ecologically, this tree grows well in shady place even in barren soil. Also, the tree has resistance to cold and dry, which tend to form a little community. This research investigates quantitati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f and fruit among the V. oldhami in South Korea and then considers its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raw data among the 10 populations. This study will give us invaluable information about growing conditions, reasonable management and breeding by selection of V. oldhami in South Korea.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Leaf size of Mudeung population was larger than other populations. Naebyeon population was smaller in size of the leaf than other populations. Anmyeondo population was larger in fruit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other populations and Deogyu population was the smallest among populations.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leaf and frui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natural V. oldhami popula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such as the first group of Kumo population, the second group of Mudeung population, the third group of Anmyundo, Daedun, Doolyun population and the fourth group of the other five populations.
        13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lucidate genetic diversity of common reed in Korea, we collected a total of 674 common reed plants from 27 regions in South Korea. Hierarchical clustering using 7 morphological traits divided the 27 common reed populations into 7 groups.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results identified three distinct groups of common reed. Common reed accessions in group I mostly inhabit coastal areas. Group II includes reeds mostly collected from inland areas. Group III consists of common reed accessions collected from inland and coastal areas, suggesting that this group might contain hybrids. In summary, we suggest that parapatric speciation might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genetic diversity of common reed and geographical speciation of common reed that might be also affected by environmental gradients.
        13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research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genetic diversity by using RAPD in Calanthe species, native plant in Jeju, Korea. Twenty-six samples were selected by flower color, and 19 horticultural traits were investigated to stud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 discolor had the smallest leaf, the length and width of dorsal sepal, lateral sepal, petal, central lip, lateral lip, and flower stalk length were shortest and/or smallest except the spur and ovary length in Calanthe species, but those of Calanthe discolor for. sieboldii (Dence.) Ohwi (Calanthe discolor for. sieboldii) were the largest and/or biggest, and those of variants were the intermediate between C. discolor and C. discolor for. sieboldii, but spur length was the longest in C. discolor, the shortest in C. discolor for. sieboldii, and intermediate in the variants. Ovary length in C. discolor was shortest and C. discolor for. sieboldii and variants were similar with each other. The flower colors of C. discolor were brownish red, the value of CIE Lab was between 40 and 50. The flower color of C. discolor for. sieboldii was yellowish; the value of CIE Lab was between 110 and 130. And variants had various colors between 50 and 70 in the value of CIE Lab. After analyzing multiple band patterns of PCR products, 154 bands were selected as polymorphic RAPD markers. The analysis of Genetic distance of Calanthe species using RAPD showed that C. discolor and C. discolor for. sieboldii are more distant from each other than variants, and demonstrated the fact that genetic position of variants is between the other two species.
        136.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반도 특산식물 누른괭이눈(C. flaviflorum Ohwi)의 보전과 활용을 위하여 근연분류군과의 비교를 통한 형태학적 특성 조사와 새로운 분포지의 보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된 형질은 지하로 벋는 줄기의 생성과 잎 표면의 무모로, 전자는 본 분류군에 대한 선행연구 중 Hara를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은 형질이며, 후자는 Ser. Pliosa 내의 변종의 동정에 매우 중요한 형질임에도 본 종을 발표한 Ohwi를 포함한 모든 연구자들이 기재하지 않았던 중요한 형질이다. 한국특산식물인 본 종은 현재까지 한반도 북부지역에만 한정 분포한다고 알려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 한반도 중부아구인 경기도 가평군과 강원도 철원군, 충청북도 영동군에 분포하는 것이 1943년 이후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종의 분포에 관한 정밀한 연구와 환경부 식물구계구분에 의한 특정식물종으로의 지정 등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13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with purple colored pericarp deposit anthocyanin on the seed coat and color accumulation increased rapidly during seed development. The purple color of rice pericarp is genetically determined by the Prp locus. Inheritance of purple pericarp was studied in Prp/ Kumgangbyeo (indica type Korean variety). Pericarp color of the F1 plants was purple and the F2 population of 274 plants segregated into 3 purple: 1 white ratio indicating dominant nature of the purple color. Comparative proteomic approaches using 2-DE were applied to analyze the protein profiles and molecular mechanism of purple color formation in ricepericarp. Result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1,500protein spots were reproducibly detected in the gels with silver staining across the two biological replicates. Among them, 46 proteins were expressed differentially between purple color pericarp rice and white color pericarp of the wild type rice, in which 28 and 16 protein spots were more than two fold up regulated in the wild type and purple pericarp, respectively. MALDI-TOF MS analysis of nine spots revealed that putative fructokinase,embryo-specific protein and one unknown proteins were abundant in the wild type, whereas, anthocyanidin synthase, putative chloroplast inner envelope protein, and dihydroflavonol reductase were highly abundant in the Prp rice. Results indicated anthocyanidin synthase and/or dihydroflavonol reductase might be involved in the biosynthetic pathway of the purple color formation in the rice pericarp.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Grant funded by Agricultural R&D Promotion Center, ARPC (IPET project number: 108091-05-1-CG000)].
        138.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trichomes and acorns were investigated in 6-year-old artificial hybrids of Q. aliena × Q. mongolica var. crispula and Q. serrata × Q. mongolica var. crispula. Leaf shapes of Q. aliena × Q. mongolica var. crispula F1 were obovate and resembled to that of Q. aliena. But several characters including the size of leaf and petiole and the shape of leaf base resembled to those of Q. mongolica var. crispula. In F1 hybrids, small stellate hairs distributed sparsely on the abaxial surface and their lay length was intermediate between both parent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on characters of nuts and cupules between both parents and F1 hybrids. Leaf shapes of Q. serrata × Q. mongolica var. crispula F1 were obovate-elliptic, and the leaf shape and leaf base and the length of petiole resembled to those of Q. mongolica var. crispula, but leaf size and serration resembled to those of Q. serrata. The number of serration in a leaf was intermediate between both parents. Small stellate hairs distributed sparsely and large single hairs were mixed on the reverse side of leave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on the number and size of stellate hairs between F1 hybrid and Q. serrata. It is able to distinguish F1 hybrids from both parents by the size leaf size and shapes, leaf base and serration, petiole length and trichome type in the leaf.
        13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이식 재배를 위한 건전 우량 인삼묘 생산을 위하여 해가림 내의 광량이 1년생 인삼의 광합성 및 형태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투과율에 따른 인삼의 엽록소 함량 및 광합성은 광 투과율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광 투과율이 높은 조건은 잎이 생리적 장해를 받아 황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줄기는 하피가 형성되었으며, 줄기의 유관속내 사부의 발달이 현저하게 위축되었다. 또한 뿌리는 광량이 높을수록 표피가 파괴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형성층의 발달이 적었다. 뿌리 수량 역시 광 투과율이 높을수록 감소되었다.
        140.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자생 쑥속의 식물을 약용작물 및 산업화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쑥속 식물들은 사철쑥 (A. capillaris)을 포함한 20종 1아종 2변종 24분류군으로 분류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25개의 화기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제1주성분은 전체 분산의 44.73%, 제2주성분은 16.86%, 제 3주성분은 8.88%, 제4주성분은 7.07%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상위 제4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이 77.56%였다. 군집분석 결과, 자방의 퇴화, 아관목, 두화의 크기 등의 주요형질에 의해 크게 3개의 군으로 구분되어졌으며, 화기구조의 식별형질로는 기발표된 Dracunculus, Abrotanum, Absinthium 3절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국내 자생쑥의 분류형질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