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3

        121.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jongsi persimmon peels as a mushroom substrate on antioxidant activity of Pleurotus eryngii. The Pleurotus eryngii was growth on the medium with 0, 5, 10, 15, 20, 30, 40, 50% Kojongsi persimmon peels. The Pleurotus eryngii was extracted into ethanol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nalyz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he 20% Kojongsi persimmon peels treatment (40±0.38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100 g) than 0% Kojongsi persimmon peels treatment (21 ±0.18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100 g). The 20% Kojongsi persimmon peels treatment showed better DPPH scavenging activity (36.81±0.23% at 1 mg/ml), ABTS scavenging activity (39.03±0.10% at 1 mg/ml) and reducing power (0.3±0.10% at 1 mg/ml) than 0% Kojongsi persimmon peels treatment and another extract ones. Overall,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leurotus eryngii was increased dose dependently and 20% Kojongsi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showed better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0% Kojongsi persimmon peels treatment and another extract ones.
        122.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느타리버섯속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은 국내에서 가장 인기있는 버섯에 속한다. 대표적으로 느타리버섯 (Pleurotus ostreatus),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이 있으며,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ferulae), 백령느타리버 섯(Pleurotus nebrodensis) 등이 최근 소비자들에게 소개되었다. 아위느타리버섯은 우수한 식감을 가지고 있고 기능성이 우수하며, 큰느타리버섯과 재배과정이 비슷하여 큰느타리버섯의 과잉생산을 조절하여 상호보완해 줄 수 있는 새로운 버섯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큰느타리버섯에 비해 생산량이 다소 낮고, 소비자들에게 익숙 하지 않기 때문에 선호도는 낮은 실정이다. 아위느타리버섯 신품종 육성을 위해 국내외 34점의 유전자원을 수 집하였다. 수집자원의 18s rRNA ITS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17점은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ferulae), 17점은 백령느타리버섯(Pleurotus nebrodensis)으로 확인되었다. 형태적 특징으로는 큰느타리버섯과 유사한 형 태와 핀발생이 작은 형태, 갓이 편평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관찰되었다. 백령느타리버섯으로 동정된 계통 역시 말굽형인 형태와 손바닥인 형태로 구분되었다. 수집자원별 균사생육은 MEA배지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온도별 균사생장속도는 PDA, YEA에서는 25°C, 30°C, 20°C, 15°C, 10°C 이었으나, MEA에서는 25°C, 20°C, 15°C, 30°C, 10°C순으로 확인되었다. 자실체 특성조사는 큰느타리버섯 재배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재배시험 을 실시하였다. 균사접종후 35일간 배양을 하였으며, 17계통의 아위느타리버섯 중 8계통에서 버섯생산이 가능 하였다. 8계통 중 버섯품질과 수량이 우수한 계통과 버섯발생이 빨랐던 계통을 육종모본으로 선정하였다. 선 발된 육종모본에서 각각 350점의 단포자를 수집하였으며, 그중 200점씩 핵형검정을 실시하였다. 단핵균주의 비율은 부본의 경우, 27.7%였고, 모본의 경우 16.0%였다. 확보된 단핵균주 중 균사생장이 우수한 균주를 각 20 계통씩 교배하여 400조합을 구성하였다. 400조합 중 300조합에서 클램프가 형성되어 75%의 교배율이 확인되 었다. 현재 교배된 계통중 균사생장이 우수한 50계통씩 단위로 자실체 특성평가를 진행중이다.
        123.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 (Fr.) Quelet)은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느타리속에 속하며 봄부 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죽은 나무 또는 떨어진 가지에 군생하거나 단생하는 백색부후균이다. 맛과 향이 좋 고 씹는 질감이 뛰어나며, 항염증, 항콜레스테롤, 항고지혈증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육성품종으로 는 ‘호산’, ‘강산’, ‘향산’, ‘화산’, ‘자산’ 등 5종이 개발되어 있다. 본 시험에서 가격이 저렴한 맥주박과 건비 지를 이용하여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두 품종 모두 I 배지 수량이 가장 높았다. 맥주박과 건비지가 혼합된 II, III의 대부분의 배지에서 배양이 완료되기 전에 측면 발이 되고, 병뚜껑 틈새로 버섯이 발생되어 제거하여 주었는데 이 부분에서 수량이 감소되는 원인으로 보여진다.
        124.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Kojongsi persimmon peels is byproduct after production of dried persimm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ptimal mixing ratio of Kojonsi persimmon peels as a substrate for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The primary nutritive material of substrate for Pleurotus eryngii was corncob, soybean meal, beet pulp, ground corn and bran. Five to forty percent of persimmon peels were mixed with primary nutritive materials as new substrate. The chemical properties of substrate mixed with Kojongsi persimmon peels was similar to the mixture without Kojongsi persimmon peels in T-C, T-N, C/N ratio, and other nutrients. Mycelial growth time on medium with 5 to 30% persimmon peels was similar to the control without persimmon peels as 27 days but that on medium with 40% and 50% persimmon peels was delayed for 10 days. The time of pinhead formations in medium with 5 to 30% persimmon peels was 12 days, the growth time to harvest was 6 days.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without persimmon peels. The sizes of pileus of treatments with 5 to 30% persimmon peels were tend to be smaller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length of stipe of 10%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80 mm which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control with 120 mm.
        12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echniques for thelog cultivation of Pleurotus pulmonarius. Soil landfill cultivation of the in plastic container boxes containing yield per log than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yield from both spawn Hyangsan” variety. In the caseof soil landfill cultivation in a shaded vinyl house, an Ailanthus tree gave a higher yield than that usingpoplar tree, and the yield of the Hosan” variety washigher than that of the Hyangsan” variety. With regard to proper tree species selection, willow and cherry trees were good for both the Hosan” and “Hyangsan” variet.
        4,000원
        126.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breed a new Korean Pleurotus eryngii cultivar with high quality and yield, single crosses between 24×46 and KNR2539 were performed, and a new cultivar, 6×13, was selected based on the days to harvest (14.6 days), quality (7.2), and yield (85.9 g/850 cc bottle). The strain was named Aeryni 5 and cultivated on a large scale at the mushroom farms to compare with Keuneutari 2ho. The yield of Aeryni 5 (82.2 g) was 122.7% of Keuneutari 2ho, and the quality of the new cultivar was 7.7 while reference cultivar was 6.3. The yield and quality of the two cultivar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The lightness of the pileus of Aeryni 5 (61.7) was greater than that of Keuneutari 2ho by 3.4 points; thus, the pileus of Aeryni 5 looked brighter. PCR with URP2 was used to discriminate between Aeryni 5 and Kenneutari 2ho.
        4,000원
        127.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leurotus cornucopiae (PC) mushrooms is found in the field and commonly known in Japan as Tamogidake mushrooms.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PC also alleviating the toxicity of heavy metal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mechanism of the action of PC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especially in transcription factor. Inhibitor of DNA binding-1 (Id-1) function has been linked to th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senescence of cells, and studi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Id-1 and biological func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C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Id-1 and Id-2. PC treatment increased ALP, Col 1 and OCN. PC treatment up-regulated the mRNA levels of Id-1 and Id-2 genes. This PC–induced osteoblast differentiation is more effective in lower doses rather than high doses. This study shows that expression of Id-1 and Id-2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during PC-induced osteoblast differentiation.
        128.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느타리는 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죽은 나무 또는 떨어진 가지에 군생하거나 단생하는 백색부후균으 로서 일본, 유럽, 북반구일대 등에 분포하고, 한국에서는 한라산, 지리산 등에 분포한다. 갓은 반원형이고 갓 지름은 2~8cm, 자실체는 작고 살은 얇으며 균모의 색은 연한 회색 또는 갈색인데 나중에 백색 또는 연한 황 색으로 된다. 주름살은 백색에서 크림색 또는 레몬색으로 되고 밀생하거나 약간 성기며, 대의 길이는 0.5~1.5cm이고 굵기는 4~7mm로 때로는 없는 것도 있다. 포자는 6~10×3~4μm로 원기둥 모양이고 무늬는 회 색, 분홍색, 연한 회색이다. 산느타리는 맛과 향이 좋고, 씹는 질감이 뛰어나며, 항염증, 항콜레스테롤, 항고지 혈증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 육성품종으로서는 호산, 강산, 향산, 화산 등 4종이 육성되어 있으나 발 이가 균일하지 못하거나 수량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확소요일수가 빠르고 수량성이 높으 며, 갓색이 흑갈색인 ‘자산’ 품종을 육성하였다. ‘자산’ 품종은 수확소요일수가 26일로 대조품종 ‘호산’에 비 해 3일 빠르고 수량에 있어서는 1,100ml병당 128.6g으로 ‘호산’ 품종에 비해 13% 많았으며 갓색에 있어서는 ‘호산’ L:40.7, ‘자산’ L:34.9로 신품종 ‘자산’이 더 진하게 나타났다.
        129.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ifferentiation of Pleurotus eryngii is laborious and time-consuming tasks especially in mycelial status. For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ifferentiation of P. eryngii cultivars, simple sequence repeats (SSR) from whole genomic DNA sequence analysis was used for genotyping and two multiplex-SSR primer sets were developed. These SSR primer sets were employed to distinguish 12 cultivars and strains. Five polymorphic marke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genotypes. PCR with the each primer produced one to four distinct bands ranging in size from 200 to 300 bp.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of the five markers were in range of 0.6627 to 0.6848 with an average of 0.6775. Unweighted pair-group method with arithmetic mean clustering analysis based on genetic distances using five SSR markers classified 12 cultivars into 2 clusters. Cluster I and II comprised of 4 and 8 cultivars, respectively. Two multiplex sets, Multi-1 (SSR312 and SSR366) and Multi-2 (SSR178 and SSR277) completely discriminated 12 cultivar and strains with 21 allele with a PIC value of 0.9090. These results might be useful to provide an efficient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P. eryngii cultivars with separate PCR reactions.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Golded Seed Project (213003-04-3-SBY20), MIFAFF, Republic of Korea.]
        130.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yster mushroom is one of mushrooms that are cultivated and consumed a lot in Korea. P. ostreatus 'ASI 2504(Suhan)' is a preferable cultivar to mushroom farmers because it has a dark pileus and a thick stipe. But it is very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so farmers demand an alternative cultivar of ‘Suhan’ continuously. To develop a new cultivar, parental strains ‘ASI 2504(Suhan)’ and ‘ASI 0665(Heuktari)’ were selected from P. ostreatus’s various collected strains according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 ostreatus ‘Soltari’ was developed by the method of Di-Mono crossing between dikaryotic strain ‘Suhan’ and monokaryotic strain derived from ‘Heuktari’. Analysis of the mitochondrial genetic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for primary selection in 100 crossed strains. The mitochondrial DNA profile of ‘Soltari’ was same as that of ‘Heuktari’, when mitochondrial DNA primer MtPo1 was used. And a nuclear DNA profile of ‘Soltari’ was similar as those of the parental strains, ‘Suhan’ and ‘Heuktari’, when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primer URP 1, 3 were used.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was 30°C for ‘Soltari’. ‘Soltari’ was appropriate for middle high temperature to grow, especially 13~18°C. Fruiting body production per bottle (1,100mL) was about 158.6g.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strain ‘Suhan’, the stipe’s length and thickness of ‘Soltari’ were similar to those of ’Suhan’. But the pileus diameter of ‘Soltari’ was a little shorter than that of ‘Suhan’, the former was 42.72mm, while the latter was 51.33mm. And the pileus thickness of ‘Soltari’ and ‘Suhan’ were 18.18mm and 25.46mm, respectively. ‘Soltari’ was more resistant at high CO2 concentration than ‘Suhan’ and the color of pileus of ‘Soltari’ was kept dark gray at high temperatur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is new cultivar ‘Soltari’ be an alternative of ‘Suhan’ and contribute to energy saving effect in oyster mushroom farms.
        13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버섯 수확후배지를 바이오매스로 활용하 고자 수행하였으며, 적정 전처리 조건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버섯 수확후 배지의 전처리방법 중 알카리 처리가 리그닌 함량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면서, 당전환 율이 우수하였고 큰느타리 수확후 배지가 당전환율 80.7%로 가장 우수하였다. 큰느타리 수확후 배지에 1% NaOH를 이용한 알카리 처리시 전처리 온도별 성분분석 결과 120℃처리시에 glucose 25.3%, xylose 14.8%로 유 리당 함량이 가장 높고, 효소에 의한 당전환율도 66%로 무처리구 28.2%에 비해 2.3배 증가되었다. 촉매제 농도 (NaOH 0.5~2.0%)에 따른 당분석결과 glucose 함량은 촉 매제 농도와 관계가 적었으며, xylose와 arabinose는 촉매제 농도가 높을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당전환율은 NaOH 1% 처리시에 66%로 가장 높았다.
        4,000원
        13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 버섯류의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고품질 의 흑회색 느타리 신품종을 육성하였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느타리 유전자원의 특성을 검정하였고, 2008 년에 수한과 농기201호의 단핵체간 교잡하여 04-154 교 잡주를 육성하여 이를 이용해 구슬, 만추리, 야산을 육성 하였다. 2012년 구슬의 이핵체와 야산의 단핵체를 교잡하 여 몽돌을 육성하였고, 이 몽돌과 곤지7호를 교잡하여 갓 색깔이 우수한 Po 2012-706를 선발하여 특성검정, 확대 재배를 실시하여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고솔’로 명명하였다. 주요특성으로 균사 생장 적온이 25~30 o C이며 버섯 원기형성 및 발생온도는 12~18 o C이다. 자실체의 갓 색깔은 흑회색이며 자실체 형태는 옅은 깔때 기형이다. 대길이는 42.4±2.7 mm, 대굵기는 14.6±2.7 mm 로 수한에 비해 자실체 대가 가늘면서 긴 편이다. 자실체 수량은 병 당(850 mL) 124.2±35.2 g으로 수한이 100일 때 고솔은 116이었다. 가변특성으로는 감자배지와 버섯완전배지에서 균사를 배양한 결과 버섯완전배지에서 생장이 양호하였고 대조구 또한 같은 결과를 보였다. 4종류의 primer를 이용하여 새로운 품종 ‘고솔’과 모균주에 대한 DNA profile을 분석한 결과 primer URP1, primer URP2 에서 고솔이 양친의 주요 DNA 밴드를 갖고 있으며 대조 구인 ‘수한’과는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신품종 느타리 ‘고 솔’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흑회색의 갓을 나타났고 저장 성이 좋아 고품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33.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버섯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에탄올 추출 농도에 따라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인 ergothioneine,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 측정과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물 추출물(에탄올 0%)의 ergothioneine과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이 각각 2.98 ± 0.05 mg/g, 9.51 ± 0.45 mg/g, 2.83 ± 0.03 mg/g으로 가장 높았고, 에탄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에서 각각 80.41 ± 0.56%, 91.47 ± 0.1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FRAP 값도 물 추출물이 8.86 ± 0.33 FeSO4 eq. mM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ergo- thioneine은 total phenolic compounds (r = 0.818)와 flavonoid (r = 0.837)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DPPH (r = 0.614) 및 ABTS라디칼 소거능(r = 0.483)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34.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느타리버섯 ‘호산’, ‘화산’ 품종을 대상으로 강원도농 업기술원에서 개발한 배지와 농가에서 사용하는 배지를 가지고 수확후배지 첨가율에 따른 생육 및 수량특성 조사 결과, 강원도에서 개발한 배지에서는 호산품종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수량 차이가 거의 없었고, 화산에서는 20% 까지 수량이 증가하였다. 농가에서 사용하는 배지에서는 호산품종은 20%까지 수량 차이가 없었고 30%에서 다소 적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화산품종에서는 첨가율이 높을 수록 수량이 점차 떨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시험연 구를 통해 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를 20%까지 재사용한 다면 생산비 절감 뿐만 아니라 폐배지 폐기처리 비용 절 감 등 농가소득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3,000원
        13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 특산물인 감과피를 이용한 버섯배지 개 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감과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 고자 수행되었으며 감과피는 경상남도 산청지역에서 곶감 을 생산하고 남은 것을 수거하여 건조한 후 사용하였고 공시균주는 ASI 2312를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혼합배지:콘코브:톱밥(220:65:15, v/v)을 혼합한 기본배지를 사용하 였고 기본배지 중 혼합배지를 5%, 10%, 15%, 20%, 30%, 40%, 50%의 건조된 감과피 처리구로 대체한 처리 구를 시험구로 사용하였다. 대조구인 기본배지에 비해 시 험구인 5%, 10%, 15%, 20%, 30%, 40%, 50% 감과피 처 리구의 T-N 함량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T-C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고 C/ N율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다. 감과피 첨가량이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 사한 결과 대조구보다 감과피가 첨가된 모든 시험구에서 균사생장이 느리게 나타났다.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배양 일수는 대조구인 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를 30%까지 첨 가하여도 배양일수와 초발이 소요일수에는 뚜렷한 차이는 없었지만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배양일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 첨가비율이 증 가할수록 갓의 직경은 감소하고 대의 길이는 길어지고 직 경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 후 동결 건조한 큰느타리버섯의 수분, 단백질,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시 험구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조지방 함량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β-glucan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10%와 15% 감과피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조구와 비교 했을 때 15% 감과피 첨가구는 자실체 수량도 높게 나타 나고 β-glucan 함량도 높게 나타났기때문에 감과피 첨가 비율은 15%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llulase와 xylanase 분비능이 우수한 부숙촉진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진주시 집현면 소재의 느타리버섯 재배 농장으로부터 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를 수집하였다. 느타 리버섯 수확후배지로부터 19종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cellulase와 xylanase을 동시에 분비하는 균주를 최 종 선발하여 CA105로 명명하였다. Bacillus ID kit와 VITEK 2 system를 이용하여 분리균 CA105의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분리균 CA105은 B. subtilis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서는 B. subtilis와 98.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균 CA105은 Bacillus subtilis CA105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이 분비하는 cellulase와 xylanase 활성은 분리균이 증식함에 따라 대수 증식기 중반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정지기에 진입하면 효소활성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3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큰느타리버섯의 아미노산을 함량을 분석하고, 70% 메 탄올, 95% 발효주정,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 였다. 아미노산 17종류 분석결과 필수아미노산에서는 체 내 단백질을 구성하는 Ph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비필수 아미노산에서는 감칠맛을 내는 Glu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ASI 2887이 70% 메 탄올, 95% 발효주정, 열수 추출용매별로 34.37±1.19, 34.66±5.46, 40.97±1.65 mg/g으로 소거능을 보였고, 아질 산염 소거능 역시 열수추출물이 다른 추출물보다 소거능 이 높았으며 ASI 2820이 70% 메탄올, 95% 발효주정,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21.45±2.73, 33.32±1.06, 33.31±2.65 mg/g으로 추출용매에 상관없이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보였다. 폴리페놀 함량도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 량을 보였고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것은 ASI 2887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유사한 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 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은 아미노산과 생리활성 물질의 다 량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식품 및 건강식품으로서의 활용 이 기대된다.
        4,000원
        138.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ptimal mixture of persimmon peels for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The 5-50% of persimmon peels was mixed with mushroom growing medium for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Mycelial growth of persimmon peels treatment were 74-165 mm (28 days) and slower than that of control (treatment without persimmon peels) as 160 mm (28 days). Mycelial growth time of 5-20% persimmon peels treatment were similar to control as 34 days but that 30-50% of persimmon peels treatment were delayed for 17 days. The time of pinhead formations in control and 5-50% persimmon peels treatment were 11 days, the growth time to harvest were 6-7 days. The sizes of pileus of 15%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tend to be smaller compared with control. The length of stipe of 15%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124 mm which was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with 118 mm. The thickness of stipes of 15% persimmon peels treatments was 48 mm which were tend to be thicker than that of the control with 47 mm. Thirty percent of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better than other treatment comparing with control.
        139.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e mushroom growing medium for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using persimmon peels. Total nitrogen, carbon source and protein of commercial cultivation medium used in this study was 1.34, 53.9 and 0.09 %, respectively. The C/N ratio was 40.22. The total nitrogen was increased by increasing mixing ratio of persimmon peels. The carbon source and protei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increasing mixing ratio of persimmon peels. In column test, mycelial growth of 15%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similar with control, but mycelia of 20-50%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growed slowly compared with control. To investigate yields of fruiting body, 15% of persimmon peels was mixed with commercial cultivation medium. The fruiting body of 15%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yield compared with control. But, the chemical contents of 15% persimmon peels treatment were the higher than control.
        140.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leurotus eryngii, an edible white-rot fungus, is widespread in Eurasia and northern Africa. It has become a major cultivated mushroom in Asia, with a current global production rate of approximately 3 × 10 5 metrictons/yr. To improve the quality or productivity through breeding, a genetic linkage map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this study, genetic linkage map of the P. eryngii was constructed using 98 monokaryotic progeny derived from dikaryon of parental KNR2312 strain derived from haploid meiotic spores. The whole genome sequence of P5 monokaryon from P. eryngii KNR2312 strain by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strategy was used to design the SSR markers. 484 primers pairs were identified by SSR Locator I and tested polymorphism via PCR. A total of 241 loci were mapped using Joinmap 4.0, comprising 222 SSR markers, 2 mating type factors, and the 13 INDEL markers. The map consisted of 14 linkage groups spanning 1003 cM at an average marker interval of 4.2 cM. The mating loci, A and B were mapped on linkage groups 4 and 11, respectively. The established linkage map and the genetic information based on NGS could be used for QTL mapping of agronomic traits, marker-assisted breeding that may ultimately lead to outstanding phenotypic characteristic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IPET (213003-04-3-SBY20), MIFAFF,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