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6

        121.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기성폐기물(음식물, 하수슬러지 등)은 2005년부터 육상 직매립이 금지되었고, 2006년에 발효된 런던협약에 따라 2013년 1월부터 해양투기 또한 금지되어 폐기물의 처리 및 재활용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의 효과적인 자원화 방법 중 하나인 혐기성소화가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며, 혐기성소화조에서 발생되는 바이가스는 일반적으로 CH4 50~90%, CO2 10~50%, 소량의 H2S 및 NH4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바이오가스의 정제방법으로는 탄소흡착법, 막분리법 등이 있으나 높은 운전비용과 공정구성의 어려움, 2차 폐기물 발생 등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CO2의 재활용이 아닌 폐기시키고 있어 자원순환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CH4의 전환방법중 하나인 CO2 methanation반응은 1M의 CO2와 4M의 H2가 반응하여 1M의 CH4와 2M의 H2O가 생성되는 반응이다. CO2는 열역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물질로,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수소 등과 같은 높은 에너지의 환원제를 같이 반응에 참여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나 열역학적 평형으로 인해 전환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 적절한 반응속도와 선택도를 달성하기 위해 촉매가 요구되며, CO2 methanation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는 주로 Ni, Fe, Al 등 금속계 촉매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가스의 정제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CO2 methanation 촉매를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촉매별 CO2 전환율을 평가하였다.
        122.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의 건축・토목 재료의 연구개발은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를 중심으로 행해져 왔다. 그러나 현재에는 고성능화 및 다기능화 뿐만 아니라 환경부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각종 순환자원을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건축・토목재료의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특히, 시멘트산업은 그 규모의 크기로부터 비롯하여 자원소비량 및 CO2의 배출량이 가장 많은 산업으로 지적되고 있기 때문에 시멘트 생산에 있어서 각종 산업부산물 또는 폐기물을 활용함으로써 천연자원 소비량을 감축시키고 또한 저에너지 소비형 생산방식의 개발을 통해 CO2의 배출량을 감축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 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국토교통부 「순환골재 품질기준」에 따르면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량을 전체 굵은골재량의 30%이하로 할 경우 장기 내구성 및 안전성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제시한 바 있으며, 국내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1종 순환 굵은골재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전체 굵은골재량의 50%까지 순환 굵은골재로 치환하여도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구조적인 안정성과 장기 안정성을 고려하여 순환 굵은골재의 치환율을 「순환골재 품질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계값인 30% 이상(60%까지)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암거의 설계기준강도는 34MPa 이상으로 「순환골재 품질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최대 설계기준강도인 27MPa를 상회하는 값을 가능하도록 하며, 기존의 재생골재를 활용한 콘크리트의 강도저하 및 재료분리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미분말과 탈황석고를 적극 활용하여 콘크리트 2차 제품용 혼합재를 개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연구결과 탈황석고 및 고로슬래그미분말의 포졸란반응 유도로 강도발현성 확보와 일부 증점제 혼입으로 인한 재료분리 현상의 현저한 저감으로 재생골재의 활용성을 높인 콘크리트의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12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 유기적으로 통합된 새로운 유통 패러다임으로 옴니채널쇼핑(omni-channel shopping)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상황이다.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모르는 새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서비스를 이용하고(EC연구회 외, 2015), 이러한 서비스의 이용은 가속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소비자는 혁신적인 제품・기술을 바로 수용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정도 저항을 거친 후에 수용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음료판매 옴니채널쇼핑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스타벅스 사이렌오더를 혁신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이에 대한 잠재 이용자의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 혁신저항이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 지각된 유용성, 소비자 혁신성, 복잡성, 복귀성이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고 혁신저항은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옴니채널쇼핑의 후속연구와 관련 종사자들을 위한 실무적 정보를 제공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124.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인 가구 및 핵가족의 증가 등의 소비구조의 변화와 농식품 유통의 다각화로 유통채널별로 적합한 농식품의 포장재가 중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물류형태에 따른 포장재 재질과 포장 디자인의 이용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접유통 농가와 간접유 통 농가 112호를 중심으로 2015년 3월 27일부터 5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카이제곱(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H1. 유통 채널별로 포장박스를 구별하여 제작하는 것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설이 채택되어서 간접유통 농가집단 보다 직접유통 농가집단이 포장박스 제작을 유통채널별로 보다 더 구별하여 제작하고 있었다. H2. 포 장박스 제작 시 중요 결정요인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가정이 채택되어 간접유통 농가집단과 직접유통 농가집단은 제작 시 중요결정 요인은 유통채널별로 구별하여 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 통채널의 다각화에 따른 포장재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택배 물류의 농식품은 소비자가 직접유통 중에서 물류시스템이 더 복잡한 전자상거래로 구입이 많기 때문에 좀 더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고, 비택배 물류의 농식품은 마트 나 상점에서 구입하기 때문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규정을 준수하여 제작되어져야 한다. 둘째, 직접유통의 경우에는 소비 자와 생산자의 상호 신뢰와 면대면을 통해서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포장 디자인을 크게 부각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간 접유통의 경우에는 소비자와 생산자의 상호신뢰가 형성되지 않았거나 미흡하기 때문에 포장 디자인을 통한 상품의 우수성 을 강조하여 포장 디자인을 차별화해야 한다. 셋째, 유통채널에 따른 포장재 표기방식에서 부각해야 할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농식품의 유통채널에 따른 포장재 재질과 포장 디자인의 다양화가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여 향후 농식 품 포장의 선진화에 바탕이 될 것을 기대한다.
        125.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내부에서는 콜라겐의 합성 능력이 떨어지고 탄력섬유의 손상 및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 발현이 증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눈가에 주름이 형성되기 전에 연령이 증가할수 록 피부 내부에서 피부 노화의 징후가 관찰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피부 내부에서 먼저 발생하는 노화의 징후가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 함유 크림(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의 효능으로 인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육안으로 눈가에 주름이 관찰되지 않는 21 ∼ 34세의 한국 여성 52명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들에게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외부의 노화 징후가 관찰되지는 않지만 피부 내부에서 노화의 징후가 시작되는 시점을 진피치밀도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육안으로 주름이 관찰되 지는 않았지만, 진피치밀도가 감소하는 연령대에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을 4주 및 8주 사용한 후에 진피치 밀도 값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크림이 피부 내부에서 먼저 진행되는 노화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칠엽담 지페노사이드 분획물이 향후 주름 개선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활용하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12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presents flowable fill material using collected CO2 byproduct, which prevents geotechnical sinking related to underground utilities in the vicinity of downtown areas. The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calcium carbonate found using laboratory tests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test, comparison of the shear base of dynamic behavior and restriction pressure, the freeze-thawing test) on 3, 7, 14, 28, and 56 days of the flowable fill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s of the unconfined strength, elastic modulus, flow, and w/c were suggested as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for the calcium carbonate flowable fill.
        127.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에 의 해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지방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 였다. 침지수가 포함된 일반 사료를 섭이한 실험군의 체중 및 간 과 부고환 지방 조직 내 지방 축적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복부 내 내장 지방과 피하지방도 크게 발달하지 않은 것으 로 나타나 침지수는 체내 축적된 지방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 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수 식이군의 혈중 AST와 ALT의 활성은 대조군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과 중 성 지질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 로 인한 혈중 효소 활성과 지질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특히 침지수는 metabolic sensor 단백질인 AMPK와 ACC 의 인산화를 촉진시켜 체내 지방산 산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침지수는 복부 내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축 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두 부산물 중 침지 수는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혈중 지질 함량을 개선할 뿐만 아 니라 체내 조직의 지방 축적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하는 데 효과 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128.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dustrial by-products in combination with FA, BS was excellent compressive strength,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by OPC 60(W/C 60%)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most effective periods were BS 28 days and FA 56 days.
        129.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e to a world trend on renewable energy, biomass that is one of renewable energy resources has to be applied at thermochemical process, actively. However, in commercial plant, one of many problems is an agglomeration production at biomass thermochemical process, because it leads to disturb continuous operation on thermochemical process. Thus, in this study, the EFB (empty fruit bunch), one of palm oil industry by-products was used as a biomass fuel, and washed by water and nitric acid solution (0.1wt.%) with different total washing times for resolving this problem at biomass thermochemical process. After washing, ash content was decreased from 5.9wt.% to 1.53wt.% using all of the washing treatments, and the Alkali & Alkaline Earth Metallic (AAEM) was removed over 80wt.% of total AAEM, such as potassium, magnesium, calcium and sodium. Additionally, SEM with XRD was analyz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ed agglomeration, and the agglomeration production ratio was measured: it revealed that the ratio was resulted in decrease over half, in the case of using all of washed EFBs.
        130.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rganic forage production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organic livestock production. Animals in the organic farming system are also essential for manure to be used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Both organic forage and animals are essential to maintain the cycle of organic agriculture system.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organic forage production system in Korea. Summer and winter crops are getting popular in Korea because of their high forage yield and cultivation in double cropping systems. Common cropping system for forage production in Korea is the double cropping system with legume and grass mixture. Forage sorghum and sudangrass are the most popular ones of annual summer forage corps because of their high production with low cost in the double cropping systems. In the mixture of forage crops, inter cropping is more suitable in the corn and sorghum cropping system because of high lodging resistance and forage yield, and low weed population. Forage sorghum and sudangrass are difficult to preserve as direct-cut silage due to the fact that its high moisture content causes excessive fermentation during ensiling. Corn grain addition to sorghum silage could be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creasing quality and reducing production cost. It is recommended that corn grain could be added up to 10% of total amount of silage. And agriculture by-products also can be added at the time of ensiling to minimize losses of effluent and have the additional advantage of increasing quality. Agriculture by-products as silage supplements increased DM content and quality, and decreased the production cost of sorghum silage. Field pre-wilting treatment of forage crops also increased DM content and quality of the silage. Wilting sorghum×sudangrass hybrid before ensiling was the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effluent and increasing pH and forage quality more than direct cut silage. Optimum prewilting period of sudangrass silage was 1 or 2 days. In organic forage,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enhancement of organic forage sufficiency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al-friendly and organic livestock. Consequently,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for animal production and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Korea. No forages no cattle concept should be emphasized in organic farming system.
        131.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inishes for the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is one of important issues in the fieldof building materials. Indoor air quality can be affected by gases, particulates, microbial contaminants or any mass thatcan induce adverse health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co-friendly internal material of acrylicemulsion mortars using light-weight aggregate carrier which contains pyroligneous liquid. Four types of light-weightaggregates (perlite, vermiculite, charcoal and zeolite) those are functionally used in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are selectedand the properties such as flowability, adhesion, water absorption coefficient, crack and impact resistance are evaluatedin accordance with KS F 4715. As a result, the properties of acrylic emulsion mortars using light-weight carrier in thisstudy are satisfied with KS requirements. Among the four types of mortars with light-weight carrier, properties of acrylicemulsion mortars using zeolite carrier is more excellent than those of other light-weight carriers.
        13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optimal condition of acid-catalyzed hydrothermal hydrolysis of Laminaria japonica, the main constituentsof Laminaria japonica such as cellulose, alginic acid and mannitol were hydrolyzed using acid-catalyzed hydrothermalreaction. Then, we proposed the re-designed experimental method including the predicted optimal conditions of the mainconstituents and performed acid-catalyzed hydrothermal hydrolysis of Laminaria japonica. The coefficients ofdetermination (R2) of Y5 (yield of reducing sugar from Laminaria japonica) were 0.877. P values of Y5 were 0.002,indicating significance, within 1% (p<0.01).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 for acid-catalyzed hydrothermal hydrolysisof Laminaria japonica determined by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s 143.65oC of reaction temperature, 22min ofreaction time, hydrochloric acid concentration 0.108N, resulting in a production rate of 115.62mg/g-Laminaria japonica.
        133.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diction method for the long-term chemical leaching amount from by-product/recycled materials such as waste concrete and steel slag and so on is necessary to widely promote their effective utilization and evaluate their environmental safety. Although there are the batch leaching tests and the column leaching test as the testing methods for evaluating the long-term leaching behavior, the leaching mechanism and the testing result compatibility in both tests has insufficiently been clarified yet. Thus, the prediction of the leaching behavior from the by-product/recycled materials used in actual civil works and their environmental safety evaluation are by no means certain. This paper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tch leaching tests and the column leaching tests in the chemical leaching behavior of Cu-slag. The batch leaching tests were conducted under liquid/solid ratio = 10, liquid = distilled water, stirring strength = 0, 30, or 120 rpm. After a certain elapsed time, the leaching solution was exchanged with the pure distilled water and then the stirring was restarted. The elapsed time was set at 1, 2, 4, 8, 16, 32 days. The column leaching tests were also conduc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of the batch leaching test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ore distribution and the pore flow velocity in the Cu-slag column on the leaching behavior. In the column leaching tests, the effluent passing through the column was circulated as the influent (Fig. 1). The leaching duration in the column tests can be equivalent as that in the batch tests,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leaching behavior between the batch leaching tests and the column leaching tests may be dependent on the pore-scale heterogeneous flow and path generated in porous materials. Figure 2 shows the leaching rate evaluated from the batch leaching tests and the column leaching tests. In the same fluid velocity levels, the leaching rate in the column tests was larger than that in the batch tests. The leaching rate has been considered large with the fluid velocity. Although the fluid velocity generated by the stirring was the same as the flushing velocity on the surface of the Cu-slag in the batch tests, the fluid velocity in the column tests was enhanced because the permeant liquid was concentrated into the limited pore space in the Cu-slag column. Thus, the pore-scale heterogeneous flow and path generated in porous materials should be evaluated in order to clarify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batch leaching tests and the column leaching tests.
        135.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fter reviewing the storability of harvested persimmon fruits by using food-waste compost, it was hard to find an improvement of storability in room temperature, but the hardness of the fruit remained quite long when treated by foodwasted compost and stored in low temperature. So, it is decided that the use of food-waste compost doesn't influence the fruit's storability in room temperature, but it can influence persimmon fruits' physical properties and component significantly in low temperature. The resul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differences on composition of persimmon fruits by food-waste compost and maintaining hardness at room temperature, but at low temperature, the composition of persimmon fruits was changed.
        136.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물의 멀칭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필름의 개발과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생분해가 가능한 필름의 제조를 위해 벼 부산물인 왕겨와 쌀겨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2. 천연고분자를 이용하여 개발된 생분해성 필름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멀칭필름과 비교해서 신장율은 낮으나 인장강도는 2배 이상 강함을 보였다. 그리고 파열점 비교에서도 멸칭필름은 뚜렷한 파열점이 존재하고 그 이후에는 같은 힘을 주어도 계속 늘어난 반면, 생분해성 필름은 서서히 늘어나며 점차 힘을 증가시켜야 늘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3. 생분해성 필름에 대한 유해성분 용출시험에서 중금속 들이 검출되지 않았고, 국내 친환경 인증 기준이 정하는 생분해성 수지의 함량기준에 충족하였다. 4. 작물을 이용한 토양 분해력 시험에서도 3 개월 이후에 서 대부분 분해됨을 보여 일반 농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37.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물의 이식재배에 활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육묘용 폿트의 개발과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천연물을 이용한 생분해가 가능한 폿트의 제조를 위해 벼 부산물인 왕겨와 쌀겨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농자재로 육묘용 폿트를 제조하였다. 2. 생분해성 육묘용 폿트의 기계적인 특성은 기존 생분해성 폿트로 활용되고 있는 지피폿트와 비교해서 제품의 초기 강도는 강하고 토양중에 처리하였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품의 강도가 급속히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3. 토양중 분해율을 간접 측정한 방법에서 거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은 지피폿트에 비해 생분해성 폿트의 경우 작은 조각으로 떨어져 나가서 6주가 경과하였을 경우 45% 이상이 10 mesh 이하의 작은 조각으로 분해됨을 관찰하였다. 4. 생분해성 필름에 대한 유해성분 용출시험에서 중금속들이 검출되지 않았고, 국내 친환경 인증 기준이 정하는 생분해성 수지의 함량기준에 충족하였다. 5. 작물을 이용한 토양중 작물생육과 더불어 판단한 실질 분해력 시험에서도 지피폿트에 비해 왕성한 분해력을 보여 일반 농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38.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는 북동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되는 감귤류 종이며, 비타민 C, 플라보이드, 리모노이드를 풍부히 함유하고 있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유자는 차나 음식료품으로 사용되고, 부산물인 씨와 과피는 전량 폐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자 부산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씨와 과피 에탄올 추출물에서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활성 효과는 크지 않았지만 고농도의 phenolic compounds를 함유하고 있다. 각질형성세포(HaCaT Keratinocyte)와 섬유아세포(Normal Fibroblast)에 UVB를 각각 12.5 mJ/cm2, 15 mJ/cm2를 조사한 후 항염효과와 Collagen 합성량, Collagen 분해효소인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과피 추출물에서 UVB에 의해 증가된 TNF-α를 상당량 줄여주었다. 마찬가지로 과피 추출물은 MMP-1의 발현량을 줄여주고 Collagen의 합성량도 증가시켰다. 한편 유자 추출물의 α-MSH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처리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능과 타이로시나제 발현량 감소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자 부산물의 에탄올 추출물질은 항노화,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가치가 기대된다.
        139.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아미 부산물의 -amylase 및 cellulase 혼합처리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가용성 고형분 및 환원당은 -amylase 처리구(A)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ellulase 함량이 많아질수록 조금씩 감소하였다. 총식이섬유소 및 총당은 두 효소 농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류 분석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가 모두 검출되었으며, 말토올리고당은 -amylase 처리구(A)에서 약 2,200 mg%로 가장
        140.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연탈황석고 및 인산부산석고에 함유된 부착수분을 마이크로파에 의한 직접 내부 가열 방법으로 증발시켜 건조하고자 하였다. 700 W, 1,000 W, 1,700 W의 출력인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2.45 GHz의 마이크로파로 배연탈황석고와 인산부산석고를 가열한 결과, 마이크로파 출력의 세기를 700 W에서 1,700 W로 높임에 따라 부착수의 증발시간이 10분에서 3분으로 단축되었고, 이수석고는 베타형 반수석고로 변질되었다. 그러나 베타형 반수석고는 무수석고로 변질되지 않았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