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7

        141.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functional levels of affected upper extremities after treating patients with brain injury by intensive CIMT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ethod : Design was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versal design (A-B-A). Subjects was 6 persons with brain injury (F: 1, M: 5), mean age (57.0±9.6). Intensive CIMT was performed over 6 hours a day for 2 weeks. Box and block test and nine hole pegboard were used for assessment of affected upper extremity func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 Compared baseline 1, functional level in both intervention and baseline 2 revealed improved functional levels. In addition, carry over effect was shown in baseline 2 period. Conclusion : Intensive CIMT based on task-oriented activity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because it decrease the time to use the paretic limb and thereby overcomes the “learned nonuse”.
        4,000원
        143.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정화 inulinase를 이용하여 inulin으로부터 fructose시럽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Bacillus sphaericus 188-1 이 생성하는 inulinase를 부분 정제한 후 5시간 NaIO_4로 산화시킨 Cellulose에 고정화시킨 다음 이들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산화 cellulose에 고정화시킨 inulinase의 활성은 g당 47 Unit 이었고 고정 화수율과 활성수율은 각각 41%와 39% 이었다. 고정화시킨 inulinase의 작용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50℃, pH 9.0이었고 50℃, pH 8.0∼10.0에서 비교적 안정 하였다. 고정화 시킨 inulinase의 활성은 K^+, Ca^2+, Mn^2+ 과 Hg^2+에 의하여 활성화 되었으며 EDTA (10mM)에 의하여 심하게 저해되었다
        4,000원
        144.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해안에서 정치망 어구의 고정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닻가지(fluke)가 하나인 스톡형닻(A형), 닻가지 2개가 한 방향으로 달려 있는 스톡형닻(B형), 닻가지 2개가 좌우로 달려 있는 스톡형닻(C형) 세가지의 모형을 제작하여 들의 종류(펄, 모래, 모래펄)와 닻줄의 길이(수심의 2배, 2.5배, 3배, 3.5배, 4배)에 따른 모형별 장력, 파주력, 파주력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형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장력과 파주력은 저질별로는 펄에서 가장 크고, 모래펄, 모래 순으로 작아진다. 닻줄의 길이에 따라서는 닻줄이 길어질수록 장력과 파주력이 커지는 현상을 보였고, 닻의 종류별로는 B형이 가장 크고, A형, C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닻가지의 단위면책당 파주력은 닻줄이 짧을 때는 A형이 가장 크고, 길 때는 A형과 B형이 거의 비슷하며, C형은 모든 길이에서 A형과 B형에 비하여 거의 절반 수준이었다. 3. 파주력계수는 펄에서 가장 크고, 모래펄, 모래 순이며, 닻의 종류별로는 A형이 가장 크고, B형, C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정치망 고정용 닻의 성능은 조류방향이 항상 일정한 어장에서는 A형이 우수하며, 이상조류가 발생하는 어장에서는 B형이 어구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14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불규칙 가진력을 받는 회전-고정보의 비선형 응답특성을 나타낸다. 불규칙 가진력은 두 번째 고유모드의 절점과 최대변위점에 가했다.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과 경계조건으로 표현되는 이 문제를 Galerkin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립 비선형 상미분방정식으로 변환하였다. 이 상미분방정식으로부터 Fokker-Planck방정식과 모멘트 방정식을 얻은 후 Gaussian closure 방법 및 non-Gaussian closure 방법을 이용하여 3 모드 근사시 각각 27개 및 209개의 자율 상미분방정식을 구하였다. Gaussian closure 방법과 non-Gaussian closure 방법으로 2 모드 및 3 모드 근사해석을 수행하였고 해석적 결과들은 Monte Carlo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되었다. 해석결과 2 모드 근사해와 3 모드 근사해가 거의 일치하였고 2 모드 내부공진만 고려하여도 해석결과에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000원
        148.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pergillus niger KCTC 6144 포자를 alginate bead로 고정화하여 호박배지(포도당 9%, 호박가루 1%, pH 6)를 이용하여 구연산 발효를 수행하였다. 고정화된 A. niger 포자가 bead 내에서 발아하여 균사가 bead를 뚫고 자라났으며 30℃에서 4일간 배양 후 그 크기는 2.0∼2.5㎜에서 6∼8㎜로 커졌다. 30℃에서 5일간 진탕배양(150rpm)으로, 50ml 호박 배지가 든 250ml 삼각 flask를 사용하여. 구연산 생성의 최적 발효 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12%로 올렸을 때 구연산의 생성이 최고에 달하였고, 질소 및 무기질원으로 1%의 호박가루가 구연산 생성에 가장 알맞는 농도였다. 초기 pH는 6.0, bead의 수가 100개로 하였을 때 구연산 생성이 가장 좋았으며, 포토당 12%, 호박가루 1%로 한 최적 배양 조건에서, 5일만에 구연산이 23.5g/l로 최고로 생성되었다.
        4,000원
        151.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고정 또는 자유 연단 조건의 모든 조합을 고려한 마름모꼴 평판의 휨 진동에 대한 엄밀한 해석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주된 관점은 마름모꼴 평판 둔각 모서리의 경계조건이 고정 또는 자유일 때 휨응력의 특이도를 엄밀히 고려하여 해석하는 것이다. 고정 또는 자유인 모서리 응력 특이도의 중대한 영향력이 이해 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165º 둔각모서리를 갖는 마름모꼴 평판에 대하며 엄밀한 무차원 진동수와 수직 변동변위의 전형적인 등고선을 제시하였다.
        4,300원
        152.
        199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pergillus niger CAD 1의 β-galactosidase를 알긴산나트륨에 고정화하여 갈락토올리고당을 생산하였다. 고정화 β-galactosidase의 열 안정성은 20∼45℃ 및 pH 안정성은 4.0∼5.5를 나타내었다. 고정화 효소의 활성화 에너지는 13, 400cal/mole이었다. 알긴산나트륨에 0.12unit/g의 β-galactosidase가 고정화 되었을 때 20%의 유당을 함유한 치즈 유청에 대한 갈락토올리고당의 수율은 45℃에서 반응 72시간 후 18%를 나타내었다. 10회 재사용하여도 고정화 β-galactosidase는 87%의 활성을 유지하였다.
        4,000원
        155.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mproved antibody-coated sensor system based on quartz crystal microbalance was developed for the detection of Salmonella spp. An antibody against Salmonella common structural antigen was immobilized onto one gold electrode of the piezoelectric quartz crystal surface by various immobilization procedures. The best results in sensitivity and stability were obtained with the thin layers of protein A and 3,3'-dithiopropionimidate 2HCl (DTBP), a homobifunctional thiol-cleavable crosslinker. After the addition of a S. typhimurium suspension into a reaction cell with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7.2, the resonant frequency owing to S. typhimurium adsorption decreased conspicuously. The antibody-immobilized crystals prepared by the gold-protein A complex formation and DTBP thiolation showed the frequency shifts of 80 and 283 Hz, respectively. The time required for maximum frequency shift was about 30-60 min. The antibody-coated crystal could be reused for 6-8 consecutive assays.
        4,000원
        156.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GI활성이 높은 alkalophilic Streptomyces sp.를 사용하여 2% k-carrageenan에 균체를 고정화한 후 고정화 균체의 효소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pH stability는 pH가 7.5∼8.5에서 GI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reaction temperature는 70℃, Co^2+는 10 exp (-3)M, Mg^2+는 10 exp (-3)M일 때 GI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00원
        15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 fertilization and cutting fkquency without N fertilizer on nutritive value and nitrogen fixation activity of alfalfa.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farm of Kongju Natio
        4,000원
        158.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페놀성 화합물들은 단백질이나 금속 이온들과 결합하는 성질을 지녀 식품분야에서는 영양 저해물질 혹은 갈변의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또 이들물질이 상수원에 유입시 염소와 결합하여 악취나 발암물질을 형성하는 등 환경적으로 유해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들 물질들의 항미생물 효과, 항암효과 등이 밝혀짐에 따라 유용한 물질로 이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이들 물질들의 제거 또는 회수는 곧 유해물질의 제거 혹은 유용성분의 분리의 의미가 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연속식 고정층 흡착을 다성분계 페놀산 용액에서 행하여 실제 흡착공정에 적용시 필수적인 자료인 파과곡선 및 파과점을 nonlinoar curve fitting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흡착질의 종류가 증가할수록 파과곡선의 적합성은 점점 낮아졌으며 흡착속도에 있어서는 gallic acid가 가장 빨리 파과점을 지나고 ferulic acid, p-coumar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로부터 다성분계에서의 연속식 고정층 흡착은 흡착제와 흡착질간의 ionic strength와 흡착질간의 분자량의 차이가 흡착량과 파과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59.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osphate fertilizer level on growth, crude protein content and nitrogen fixation ability of alfalfa(Medicugo sariva L.) at sowing year. The experimental field was conducted using a randomized b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