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2

        141.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다문화 교육 역량 인식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 교육 실천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다문화 교육 하위 역량 중에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 다문화 관련지식, 다문화 교육기술 순으로 다문화 교육실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교사의 다문화 연수경험, 교육경력, 학력, 다문화 학생 지도 경험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역량 인식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자율적인 장학협의체, 특수학교 사정에 맞는 연수프로그램, 대학과 대학원에서의 교과목 개설 등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실천가인 특수교육 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143.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사선 이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고, 방사선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올바른 이해와 방사선 노출로 인한 유아안전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8월 C시와 G시의 유치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에 대한 이해수준 낮았으며, 방사선에 대한 이해수준이 낮을수록 방사선의 일반적인 유해성과 피폭유해성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 이해교육 정도는 낮았으나, 유치원 교사들의 방사선 이해교육의 필요성 및 요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방사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교사교육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144.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생물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인식론적 세계관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예비 생물교사들은 3학년 2학기 교재 연구 및 지도법 과목에서 구성주의에 기반한 모의수업의 기회 및 RTOP(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에 의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기회를 가졌으며, 4학년 1학기 학교현장실습 기간 동안 매주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반성적 저널을 적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생물교사들은 현장실습 후 ‘지식의 확실성’과 ‘신속학습’에 대해 좀 더 세련된(sophisticated) 관점을 가지게 되었으나(p<0.05), ‘지식의 단순성’과 ‘권위의존성’ 점수에는 변화가 없었다(p>0.05). 또한 학교현장실습 후 약 90%의 예비 교사들이 자신은 맥락주의자(contextualist) 또는 상대주의자(relativist)라고 답하여 지식, 교육과정, 교수방법 및 평가에서 구성주의적 교수학습관을 나타낸데 반해, 구성주의적 교수학 습관의 실행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 생물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이 학교 현장 실습 후 좀 더 섬세한 관점으로 바뀌고, 그러한 관점이 수업현장에 반영되기 위해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 기간 동안 과학적 사고과정을 촉진하는 탐구중심의 수업을 통해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실행과정을 관찰하고, 이를 직접 실천해 볼 수 있도록 현장교사의 지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현장실습 시 단순히 예비 교사들을 학교 현장에 보내는 것이 아니라 교사양성기관과 현장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145.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인식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은 교사의 다문화 교육 교수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일반생활, 수업기술, 인간관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교장은 다문화 교육의 발전에 대한 관심, 의사결정을 위해 교사를 격려, 교사들의 지적 성장에 대한 도움, 교사들을 향한 신뢰와 존경의 태도, 다문화 교수에 관한 피드백, 다문화 환경개선 등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 도출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학교 경영자인 교장은 학교 공동체의 구성원이 다문화 교육의 발전을 위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교사의 다문화 교육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14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최근 중등학교에 재학하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증가 비율이 높은 현실을 고려하여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인식을 조사 자료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다문화교육 인식은 다문화가정 학생 수용성, 반차별 반편견 다문화교육에 대한 동의, 다문화가정 학생의 지원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고, 담임 경험 여부, 담당 교과, 학교급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차이에 주목하였다. 조사는 전국적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이 일정 수 이상인 중학교와 고등학교 167개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중학교 교사 1,733명, 고등학교 교사 835명의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학생의 담임 경험 유무나 담당 교과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담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반차별 반편견 다문화교육 등에 더 동의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담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러나 담당 교과에 따른 차이는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나는 편이었다. 국어와 사회과 담당교사는 영어나 그 외 교과 담당 교사에 비해서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해 더 수용적이며 다문화교육에 더 개방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연수 등 정책적 대응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147.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ognition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ing the factor for the environmental clas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the factorial analysis.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the factor of 'participation in environment' as well as the factor of 'environmental knowledge' for the environmental class. Furthermore, they had a very positive attitude about the factor of 'participation in environment'.
        148.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learning with a humanoid robot and seek for a policy implication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using humanoid robot.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as used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regarding the most effective subject through the use of humanoid robot. While the students consider Physical Education as the major subject, the teachers consider Science as the one. The students recognize that the use of humanoid is most effective in helping their learning while the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most effective in helping their teaching. As an expected positive effect, both of them choose an increase in interest in learning as the main effect of the use of humanoid robot, but the students, unlike the teachers, consider the improvement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its main effect as well. These results show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use of humanoid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nd in addition,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m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149.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공・사립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유치원교사 385명과 충청남・북도에 소재한 4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생 37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최기영, 서윤희, 박혜진(2011)이 개발한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검사 도구를 일부 수정한 것이며,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 전체와 하위범주 모두에서 유치원교사의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보다 높았다. 인식의 차이가 큰 하위범주는 전통놀이문화와 전통생활문화의 순이었으며, 인식의 차이가 가장 작은 하위범주는 전통역사문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 간의 상관을 보였으며, 유치원교사가 보인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과 기술 간 상관계수가 예비유아교사의 상관계수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0.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교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요소에 대해 전문가의 인식과 예비교사의 인식이 서로 다른가를 밝히는 데 있다. 또한 교원양성기관 재학기간, 교육실습, 교육봉사 및 진로 요인에 따라 예비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직인성이 전문가의 인식과 다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22인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실성, 책임감, 교사효능감, 교육적 신념, 소명의식 영역에서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중요도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의 학년에 따라, 교육실습 이수 여부에 따라, 교육봉사 이수 여부에 따라, 그리고 교직 장래희망에 따라 예비교사와 전문가의 교직인성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성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151.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초등교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 감정노동에 대 한 초등교사의 개념적 인식 수준은 어떠하며, 그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감정노동을 겪는지 그리 고 그에 대한 대처방안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서울시에서 근무하는 경력 10년 이하의 초등교사 9명을 심층면담하여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개념적 인식 수준은 미미하였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들의 직업 활동이 끊임없는 감정관리를 요 구하며, 그 과정에서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같은 상태를 경험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초등교사가 감정노동을 경험하는 대상은 크게 학생, 학부모, 관리자로 나눌 수 있다. 학생과의 관계에서 감 정노동의 주요 원인은 모욕적인 말과 행동,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 거부 등이며, 학부모와의 관 계에서는 연령 차이에 따른 무시, 모욕적 언사, 수업에 대한 간섭 등이다. 그리고 관리자와의 관계에서는 교육 외의 업무 부과 등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들은 감정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대방 이해하기, 자신의 감정을 바꿔 표현하기, 서로 관계 맺기, 학교생활과 자신을 분리하기’ 등의 감정 관리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15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음악교과와 미술교과 담당교사의 개별화 수업에 관한 인식 비교를 목적으로 한다. 설문은 수업요인, 교사요인, 학생요인의 범주로 개발되었다. 연구대상은 음악 및 미술교과 지도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음악교사 및 미술교사이며, 전국적으로 304명의 교사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음악교과와 미술교과 담당교사들은 수업요인 전반에 관하여 인식의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과 및 미술교과 담당교사들은 수업 가치의 우선순위, 수업의 형태, 교수 방식, 평가의 우선순위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음악교과 및 미술교과 담당교사들의 약 과반수가 개별화 교수법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었다. 두 교과의 담당교사 모두 개별화 교수법관련 교사연수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셋째, 학습자요인에서는 음악교과 및 미술교과 담당교사 간 인식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음악 및 미술학습 수준차이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으며, 수업의 계획 단계부터 진행과정, 교재 활용의 측면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 담당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자의 수업 이해도(음악과)와 수업 참여도(미술과)는 높게 나타났다.
        153.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가족 간 협력은 특수교육의 성과를 최대화하고 장애학생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킨다는 점에서 가족지원을 위한 중요한 초석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장애학생 가족과의 협력과 가족지원에 관해 어떤 경험과 인식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17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포커스그룹 면담과 개별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특수교사와 가족 간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가장 중요한 주제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1) 협력의 당사자인 교사와 가족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요인, (2) 협력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행동과 태도, (3) 협력을 위한 기반요인.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특수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154.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사기를 분석하였다. 초·중·고등학교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교사의 사기와 그 추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인식에 비해 학생의 인식 수준이 낮았다. 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학생의 경우에는 초등학생을 제외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수준이 감소하고 있었다.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에는 성별, 학력, 경력 등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생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교급에 따라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초등학생은 성취수준,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의 교육적 지원, 학교수준의 사회경제적 배경(SES)이었고 중등학생에게는 성취수준,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의 교육적 지원, 월평균 교육비, 조사 시기, 대도시, 설립유형, 학교급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사기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간의 인식의 차이는 교육 현장에 존재하는 두 주체간의 거리를 확인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므로 교사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조치와 함께 교사와 학생간의 인식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노력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155.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방사능 누출사고가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아안전 대책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2013년 2월 C도의 공 사립유치원 교사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13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일본 원전사고는 방사능 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교사의 불안감에 영향을 미쳤으나, 방사능오염으로 인한 유아안전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안전지식과 대처방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방사능 오염으로부터 유아안전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유아교사교육이 요구되며, 유아안전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56.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적 가치로서의 유교적 가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교적 가치를 반영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적 기초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J시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409명이었다. 강혜원(2012)이 사용한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전통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한국의 전통적 가치인 유교적 가치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덕함양과 관련된 유교적 가치에 대해서는 중요하다라고 인식하고 있었던 반면 사회질서와 관련된 유교적 가치에 대해서는 보통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도덕함양 관련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인식차이를 살펴보면 예비유아교사의 학년이 높고, 대인관계가 좋고, 그리고 학과만족도가 높을수록 유교적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157.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환이란 학생의 역할을 떠나 지역사회에서 성인의 역할을 감당하게 되는 지위의 변화이다. 장애학생들이 성공적인 성인생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환교육 및 서비스가 필요하다. 전환교육은 특수교사, 직업교사, 장애학생, 학부모, 성인장애인서비스 제공자, 지역사회 내 고용주 등 관련된 사람들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하여야만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이 모든 관련 담당자들을 연결하는 특수교사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등특수교사들이 전환교육 및 서비스를 얼마나 실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충청남도에 재직하고 있는 240명의 중등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등특수교사들은 전환교육 및 서비스를 제대로 실행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전환교육 및 서비스 영역들 중에서 전환계획 영역을 가장 잘 실행하고 있는 반면 교수계획 영역을 가장 실천을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최종학위, 교직경력, 장애영역, 소속학교급, 그리고 교육과정별 변인들에 따라 중등특수교사들의 전환교육 및 서비스에 대한 실행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15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장에 있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실행, 그리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을 심층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아동을 담임하고 있는 2명의 초등교사를 관찰 및 면담하였으며, 그 학급의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도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다문화학생을 주류 문화에 동화시키는데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의 모습은 다문화아동과의 경험이 증대함에 따라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나, 시간부족, 교사의 전문성 부족, 학부모의 무관심, 행정지원 체제의 미비 등의 장애요인에 의해 좌절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과 실행을 변화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 교육과정과 연수를 체계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159.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주의 관점 수용 정도를 파악하고, 다문화 관련 단원을 가르칠 때 쟁점을 다루려는 의향을 조사하였다. 강원, 경기, 충청 지역의 초등 예비교사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모든 집단에게 기회의 평등을 보장해야 한다는데 동의하였다. 그러나 사적, 공적 영역에서 소수 집단의 문화 표출과 소수 집단의 문화 유지를 위한 지원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다문화 교육 관련 수업을 들었던 집단은 문화적 측면에서 다문화주의 관점 수용 정도가 높았다. 한편, 다문화 관련 단원을 가르칠 때, 다문화 사회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나 편견·차별과 관련된 문제를 중립적으로 다루겠다는 의향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제기될 수 있는 쟁점을 다루겠다는 의향은 낮게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은 다문화 사회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다문화적인 태도를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가 긍정적이고 개방적으로 다문화주의 관점을 수용하도록 하며, 다문화 관련 쟁점을 다루려는 교사의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160.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교육의 초기 과정에 있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지닌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 1학년 108명에게 유아에게 놀이가 의미하는 바를 은유로 표현하도록 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기술한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은유적 표현은 총 81가지였으며 이들 표현은 ‘식물’, ‘동물’, ‘자연’, ‘사람’, ‘활동’, ‘추상’, ‘음식’, ‘물건’, ‘장소’ 등 9개 범주로 분류되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범주는 ‘물건’이었으며, 다음은 ‘자연’, ‘사람’이었다. 은유적 표현에 나타난 놀이에 대한 인식은 ‘성장과 발달’, ‘즐거움’, ‘학습’, ‘자발성’, ‘탐색’, ‘생활 자체’, 그리고 ‘정서적 치유’의 7개의 범주였다.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범주는 ‘성장과 발달’, ‘즐거움’, ‘학습’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사교육과정의 초기부터 놀이를 가치 있고 교육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