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14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the experimental work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quality control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pavement thickness of Hwangtoh concrete(21MPa) using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and the impact echo method of nondestructive test methods based on the stress waves.
        142.
        2015.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가축분뇨의 저리 및 자원화문제는 퇴비화, 액비화, 정화처리 등의 단순한 기술적 문제뿐만 아니라 이종 사업간의 협력이 없으면 해결되기 어려운 복합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친환경축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축분뇨 관리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설정하고, 특히 가축분뇨 액비 품질규격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한 실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된 “액비품질인증제도 (Liquid Fertilizer Quality Certification : LFQC)” 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가축분뇨 규격액비 액비품질인증을 도출하였다. 규격액비 품질인증기준은 중심이 되는 4가지 목표요소 ①비효성(N농도, N-P-K 성분합계량), ②위해성(병원성미생물, 중금속), ③안정성(부숙도, 악취), ④균질성(총고형물, 전기전도도, 염분) 및 그 밖의 규격(원료의 종류, 성분표시)로 구분하여 각각의 목표요소에 대한 평가요소(정량목표)의 품질규격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또한 규격액비 품질인증기준은 혐기소화액의 이용을 포함시킨 개념으로서 국내실정에 맞는 현장 이용성을 고려하여 최소의 품질규격을 제시하였다. 향후 규격액비 품질인증기준은 국내 가축분뇨 유통액비 및 혐기소화액의 최소 품질규격인증과 액비 부숙도 평가지표 설정 및 매뉴얼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143.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eco-friendly material, Hwangtoh (red clay) has been studied for complete or partial replacement of portland cement consisted in concrete. In this research, the experimental work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initial quality control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of Hwangtoh concrete (24MPa) using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and the impact echo method of nondestructive test methods.
        144.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required development on the work process of the legal system, quality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for safety securement of co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and issues surrounding the current legal systems and proposes improvements of material for safety securement of construction.
        146.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해상도의 정량적 실황강우장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고밀도 강우관측망 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정량적 실황강우장 산정을 위한 입력자료로 SK 플래닛의 고밀도 복합기상센서 관측망과 기존 기상청 관측망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위치한 SK 플래닛의 복합기상센서 관측망을 소개하고, 2013년 7~9월 3개월 동안의 관측자료의 품질을 분석하였다. 품질분석 결과, SK 플래닛 관측소가 일부 관측소를 제외하고 대부분 기존 관측망과 유사하게 강우를 관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일시적인 기계 및 자료 전송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결측치 및 이상치가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저감하기 위해서 오자료를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는 품질보정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기법이 적절히 강우를 보정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결측률이 20% 미만이면서 오자료의 영향이 최소가 되는 190개소(기상청 34개소, SK 플래닛 156 개소)를 정량적 실황강우장 산정에 활용하였다. 또한, 약 3 km2의 밀도를 갖는 고해상도 관측망을 이용하여 산정된 강우분포장의 재현성을 기존 기상청 관측망의 결과비교를 통해 평가한 결과, 고밀도 관측망을 통해 산정된 강우분포장의 빈도곡선이 레이더 공간분포장과 유사하며, 기존 기상청 관측망의 공백을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 결과를 통해 고밀도의 강우관측 결과를 활용한다면 레이더 참강우장에 근사한 공간분포된 강우를 산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7.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is required development on the work process of the legal system, quality and safety management for safety securement of small sized buildings. Therefore, this is suggested the improvement on the quality and safety management for safety securement of small sized buildings.
        150.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prediction method of concrete strength according to curing methods for the quality control. Database an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were constructed and then the prediction program of concrete strength were developed.
        15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2005) revision was included for the first time in the seismic isolation design. However, in 2005, it is overly simplified, revised in 2010 to conduct performance test, prototype test, quality test of seismic isolation device. Details standards for scaled model test and quality test of seismic isolation device is required to use a rule is recognized at domestic and foreign. This study was to establish quality control test standards by research and review of test types and test methods of seismic isolation devices.
        15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rying to develop a monitoring system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ment of quality control methods suitable for curing concrete nuclear power plant structures. This experiment is divided part of data logger, sensors, control program in a accordance with standar of quality control Nuclear power plant hot weather/the middle of summer. This measuring method is expected to development quality control nuclear power plant
        153.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MDPS(COMS Meteorological Data Processing System) provides 16 meteorological products by processing satellite data obtained from 1 visible and 4 infrared channels. It is expected that the COMS(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products will contribute to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and climate change monitoring. For more active utilization of the products, we first need a scheme for the quality management based on outlier detection.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for detecting spatial and temporal outliers from the COMS products using Moran scatterplot and wavelet transform. The applicability of our method was made sure through the tests for seven products such as sea surface temperature, land surface temperature, aerosol optical depth, total precipitable water, upper tropospheric humidity, cloud top height, and cloud top temperature. Their quality was estimated very good in terms of our spatio-temporal statistical approach. For future work, we need more comprehensive study on the outlier detection, particularity focusing on the threshold setting in accordance with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roduct.
        15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9개 1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유방촬영 장치의 정도관리 상태에서 실제 방사선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유방촬영 시 1차 의료기관의 방사선 피폭선량의 최적화와 진단참고준위값을 제시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영상의학과와 일반의원으로 구분하여 T-검정분석 결과 mAs는 영상의학과 80.16 mAs, 일반의원 77.22 mAs 로 평균 78.58 mAs로 측정되었으며, 공기커마율은 영상의학과 8.94 mGy/mR, 일반의원 6.66mGy/mR로 평균 7.71 mGy/mR 측정되었다. 반가층은 영상의학과 0.40 ㎜Al, 일반의원 0.43 ㎜Al로 평균 반가층은 평균 0.42㎜Al 측정되었 고, 평균유선선량은 영상의학과 1.09 mGy 일반의원 1.19 mGy로 1.14 mGy로 측정되었다. 둘째, mAs, 반가층, 현상방법, SID를 두 그룹으로 구분하여 평균치를 T-검정 결과 SID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고(P<0.05), 영상의학과의 현상방법에서 현상기 사용 1.00 mGy, CR은 1.17 mGy로 mAs에서 유의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셋째, 항목별 상관분석에서는 평균유선선량에서 영상의학과는 mAs가 일반의원은 SID에서는 상관관계의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넷째, 항목별 회귀분석 결과 평균유선선량에서 mAs가 미치는 영향력은 22.7%, SID가 21.7%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며(P<0.05), 영상의학과의 평균유선선량에서 mAs가 미치는 영향력은 29.0%, 일반의원은 평균유선선량에서 SID가 미치는 영향력은 29.1%로 가장 많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5.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y control of Argo(Array for Real-time Geostrophic Oceanography) data is crucial by reason that salinity measurements are liable to experience some drift and offset due to biofouling, contamination of sensor and wash-out of biocide. The automated Argo real-time quality control has a limit of sorting data quality, so that WJO program is adopted as standardized method of Argo delayed mode quality control (DMQC) in the world that is a precise quality control method. We conducted DMQC on pressure, temperature and salinity measured by Argo floats in the Pacific Ocean including expert evaluation. Particularly, salinity data were corrected using WJO program. 4 salinity profiles of Argo delayed mode were compared with nearby in situ CTD data and other Argo data in deep layer where oceanographic conditions are stable in time and space. The differences of both salinities were lower than target accuracy of Argo. As compared with the difference of salinities before DMQC, those after DMQC decreased by 60-80 percent. Quality of delayed mode salinity data seemed to be improved correcting salinity data suggested by WJO program.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