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7

        141.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d plasma combined with UV-C irradiation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lettuce. E. coli O157:H7, S. Typhimurium, and L. monocytogenes,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5.82, 5.09, 5.65 log CFU/ g, were inoculated on lettuce, respectively. Then, the lettuce was treated with cold plasma, UV-C and combination (cold plasma + UV-C), respectively. The treated lettuce was stored for 9 days at 4oC for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Cold plasma reduced the populations of E. coli O157:H7, S. Typhimurium, and L. monocytogenes by 0.26, 0.65, and 0.93 log CFU/g, respectively. Each microorganism were reduced by 0.87, 0.88, and 1.14 log CFU/ g after UV-C treatment. And, the combined treatment that was treated by cold plasma after UV-C treatment reduced the populations of inoculated microorganisms by 1.44, 2.70, 1.62 log CFU/g, respectively. The all treatment significantly (p < 0.05) reduced the populations of all inoculated bacteria compared to untreated lettuce. UV-C combined with cold plasma was the most effective for reducing the pathogenic bacteria on lettuce, by showing log-reductions of ≥ 2.0 log CFU/g. All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ntil 6 day storage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terms of appearanc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refore, the combined treatment will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control the bacteria on lettuce.
        4,000원
        14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oonbaek’ b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2011 is a new white standard chrysanthemum cultivar. The artificial crossing was made in 2007 between ‘Suishin’ and ‘Gilyangma’. ‘Suishin’ was the autumn-flowering standard chrysanthemum cultivar with white petals and low temperature flowering type, while ‘Gilyangma‘ grew well at low temperature. Vigorous plants with numerous white petals and low branches were selected in 2008. Genetic trait investigations of the line (07B1-659) had been performed between 2009 and 2011 and included flowering stability, uniformity, and year-round productivity, the final test of the producer and consumer preference. ‘Woonbaek’ is a new standard cultivar that blooms in late October in natural condition. The flower has numerous petals, a green colored center, and a s table flower shape. The number of ray flower was 249 and flower diameter was 14 cm. Vase life was approximately 21 days in autumn season. The stem was not significantly thinner at the upper end. ‘Woonbaek’ was applied as No. 2012 - 244 on March 23, 2012, for variety protection and its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s have been registered as No. 4839 on March 17, 2014, at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4,000원
        14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omestic cut roses tend to be poor in quality especially during summer. This seasonal drop in quality of cut flowers has caused serious export disruption such as inadequate volume or price declin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vase life (VL) of cut roses. Six cut rose varieties, ‘Antique Curl’, ‘Beast’, ‘Iguana’, ‘Legato’, ‘Pink Heart’, and ‘Red Pocket’, were investigated from three commercial farm greenhouses (Farms A, B, a nd C ). The VL of cut flowers ranged f rom 5.8 to 18.2 days depending on the variety. Considering 16 days as the minimum VL required for exportation during the summer season, only two varieties ‘Antique Curl’ and ‘Beast’ would qualify for exportation. VL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to only relative humidity (RH) (r = - 0.69*) amo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only to peduncle length (r = - 0.60*) among plant morphological items. Thus, controlling RH is key to improve the vase life of cut roses during the summer production for export.
        4,000원
        14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ntrol Botrytis growth of cut roses during transport by applying hot water dipping. Water temperatures ranging from 40 – 70℃ and dipping time from 10 – 90 s were evaluated in vitro and in vivo. Hot water dipping at 50℃ inhibited mycelial growth depending on dipping time. Water temperature over 60℃ completely inhibited the pathogen growth even at exposure of 10 s while water below 40℃ did not have any effect. However, temperature over 60℃ rapidly damaged the tissue of rose petals. Dipping time below 40 s at 55℃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electrolyte leakage compared to control. In vivo, dipping flower heads in hot water reduced the severity of Botrytis rot. Dipping for 20 – 90 s at a temperature of 50℃ was more effective than at higher or lower temperatures. Heat treatment increased respiration rate and decreased slightly solution uptake, transpiration, fresh weight of flowers but dipping below 50℃ for 20 s did not affect vase life.
        4,000원
        14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stable cultivation technology switchable from an open system to a closed system for cut roses. Closed growing system in different ratios of drainage and water was supplied to investigate the accumulation of macronutrients and roses growth. In treatment by the 30% mixing ratio of drainage to water, total amount of drainage was reduced since the medium stage of growth. However, in treatment by the 10% mixing r atio, total o ne o f drainage c ontinuously was increased to the blossom stage. Electric conductivity (EC) of initiation drainage on 10% mixing treatment was stable to t he blossom s tage. However, EC of d rainage on 3 0% mixing treatment was slightly increased. The pH of the drainage was maintained between 5.0 and 5.5 in both treatments. Phenolic compounds were not detected in the drainage, while organic acids were detected a little bit. When recirculated drainage was continuously used, the concentration of NO3-N, Ca, Mg, S, and K in the drainage was increased, but that of P was decreased. The content of Ca in the leaves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rainage mixing rate. No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content, and in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cut rose
        4,000원
        146.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심비디움의 재배연령과 화분크기에 따른 절화 생 산량과 개화품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륜의 노란화색을 가 지는 심비디움 ‘Golden Tiara’ 품종을 실험재료로 사용하였으 며, 재배연차가 3, 4, 5년차로 증가함에 따른 절화 수확량과 특성을 비교하였다. 절화 수확량은 연차가 증가함에 따라 화 서수가 증가하여 5년차에 3년차에 대비 약 2배 증가하였다. 5 년차에서 화서 길이가 40cm미만으로 상품성이 없는 화서도 있었으나 이를 제외하고도 절화 수량이 가장 많았다. 개화소 요일수는 5년차에서 3년차보다 6일 정도 지연되었고 꽃크기 가 5년차에서 3, 4년차보다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절화 품질의 주요인인 화서 길이와 화수는 연차에 따른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 관행의 직경 12cm화분과 직경 22cm의 대형 화분에서 재배하여 4년차 식물체의 개화특성을 비교한 결과, 화서의 길이와 꽃크기가 직경 12cm분에서 보다 대형화분에 재배하였을 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심비디움 ‘Golden Tiara’ 품종의 경우 최소 5년까지 절화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관행화분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 보다 큰 화분으로 분갈이하여 줌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4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 심비디움 ‘In the mood’의 수확 후 1-MCP 전처리가 품질 및 선도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채화된 절 화 심비디움은 수확 직후 무처리를 대조구로 하여 1-MCP 0.75mg·L-1, 1.5mg·L-1, 3.0mg·L-1을 각각 1, 2, 4시간 동안 75L 챔버 안에서 각각 처리하였다. 전처리 후 각 처리별 절화 는 7℃에서 6일 동안 저장한 후 절화 줄기를 45cm로 재 절단 하고, 증류수가 담긴 시험관에 꽂아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폭 은 무처리와 1-MCP 0.75mg·L-1 처리구에서 21일 이후 급격 하게 감소한 반면 1.5mg·L-1 처리구에서는 31일까지도 꾸준 히 유지하거나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노화율과 수분흡수량에서도 1.5mg·L-1 농도의 1시간과 2시간 처리구에 서 가장 낮은 노화율을 나타내었고, 보다 많은 양의 수분이 26일까지 지속적으로 흡수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1.5mg·L-1 농도의 1시간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체중을 꾸 준히 유지하였으며, 에틸렌 발생량은 저농도인 0.75mg·L-1와 1.5mg·L-1 처리구에서 비교적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1-MCP 처리구에서 박테리아 발생량이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절화수명은 연장되었 다. 특히 1.5mg·L-1 농도의 1시간 처리구의 수명이 대조구보 다 6.3일(22%)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1.5mg·L-1 농도의 1-MCP 1시간 처리가 수확 후 절화 심비디움 ‘In the mood’의 품질 및 선도유지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출저장 유통 전에 필요한 전처리 방법에 있어 1-MCP 전처리시 적정 농도와 시간을 제시할 수 있었다.
        4,000원
        148.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의 한우 거세우 3,926두의 도체등급판정 성적과 부분육 수율 조사자료를 이 용하여 도체등급판정과 관련된 형질들(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마블링 및 육량지수)과 부분육 생산관련 형질들(부분육 중량과 수율, 지방중량과 비율, 뼈 중량과 비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의 도축일령과 도체중의 평균치는 각각 952.53일과 454.58㎏이 었으며, 부분육 수율, 지방율 및 뼈율의 평균치는 각각 61.69%, 26.54% 및 11.77%였다. 도체중은 부분 육 중량, 지방중량, 뼈 중량 및 지방율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부분육 수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등지방두께는 부분육 수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그리고 지방율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등심단면적은 부분육 수율 및 지방율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블링은 부분육 수율과의 상관 계수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작은 -0.01이었으며 지방율과의 상관계수가 유의성은 인정되었지만 작 은 크기의 양수인 +0.04였다. 육량지수는 부분육 수율 및 지방율과의 상관계수가 비교적 큰 크기의 +0.51 및 -0.57로 나타났다. 상관계수의 크기를 가지고 비교했을 때, 5개의 도체등급관련 형질 중 도 체중은 부분육 중량, 지방중량 및 뼈 중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육량지수는 부분육 수율과 지방율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체중에 대한 부분육 중량과 지방중량의 단순 직선회귀 계수는 각각 +0.562 및 +0.364㎏, 그리고 육량지수에 대한 부분육 수율 및 지방율의 단순 직선회귀계 수는 각각 +0.341 및 -0.445%로 나타나서 도체중이 1㎏씩 증가할수록, 도체에서 회수되는 부분육 중 량이나 지방중량은 각각 0.562㎏ 및 0.364㎏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육량지수가 1% 증가할수록 도체를 구성하는 부분육 비율은 0.341% 증가하고 지방의 비율은 0.445%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4,500원
        15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10년에 육성한 스프레이 국화 ‘Eye Green’ 품종은 2006년도에 녹색 폼폰형인 산티니계 스프레이 국화 ‘Froggy’를 모본, 성장세가 좋은 백색 폼폰형 스프레이 국화 우수계통 ‘S05-524’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 하였다. 2007년 실생 집단으로부터 개화가 균일하고 성장세가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FS07-175’로 계통명을 부여하였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에 걸쳐 춘계 억제재배와 하계 촉성재배를 포함하는 특성검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Eye Green’을 육성하였다. ‘Eye Green’의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이며, 전조와 차광처리에 의한 일장조절에 의해 연중생산이 가능하 다. 이 품종은 연녹색(YG145D) 꽃잎을 가진 폼폰형으로 성장 세가 강하고 하계 고온기 재배에서도 화색이 안정적이다. 가 을재배에 있어서 화경은 4.5cm, 본당 착화수가 14.1개이고, 절화수명은 25.4일이었다. 춘계 차광재배에서의 단일처리 후 개화소요일수가 46일이었다. 이 품종은 흰녹병에 중도저항성 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조품종에 비해 기호도도 높았다. ‘Eye Green’은 2012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권등록(품종보호 제 4202) 되었다.
        4,000원
        15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 및 수확 후 고품질 유지에 효과 있는 전처리를 선별한 후 일본으로 수출되는 절 화 장미의 잿빛곰팡이 방제에도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일본으로 수출 시 건식처리에 비해 습식 처리의 절화수명이 최소 5일 이상 연장되었으며, 이 중 ClO2 성분인 Vital Oxide 0.002mL·L-1 처리시 건식처리에 비해 절화수명 이 약 11.5일 연장되어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처리 에 따른 잿빛곰팡이의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수확 및 전 처리 후 6일까지 ClO2 성분인 Vital Oxide, Vibrex 처리에서 발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절화 장미의 수출 시 수출국 경 매장 및 판매처에서 잿빛곰팡이의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Vital Oxide 0.002mL·L-1 처리가 절화 장 미의 절화 수명 및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전처리인 것으로 판 단되었다.
        4,000원
        15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출 절화 백합 Medusa 품종을 대상으로 일본 모의 수출 환경에서 농가에서의 전처리와 습식수송이 절화 수 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절화 백합은 수확 직 후 증류수(대조구), 상업용 전처리제 Chrysal SVB 단용, Chrysal AVB + SVB 혼용으로 전처리 되었다. 이 후 일본 모 의 수출 환경으로 프로그램된 생장조절실에서 건식(건조수 송), 습식(수분수송)방식으로 처리되었다. 절화수명은 수확 후 일본 수송된 이후부터 조사되었다. 그 결과, 절화수명 및 절화 품질 개선에 있어서 전처리 효과보다는 수송방식 효과가 우수 하였다. 특히 습식수송은 절화수명을 건식수송보다 2일 연장 시켰다. 한편 농가에서 실시하는 전처리는 절화수명과 개화 율, 화색발현, 잎 황화현상 등과 같은 절화 품질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세균활성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습식수송이 수출 시 절 화품질 개선에 핵심요소이며 전처리 효과는 계절에 차이를 보 일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5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용 나리 주요 품종을 대상으로 구근 정식 시 기에 따른 생장과 발육의 특성을 알아보고 개화 및 절화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연중재배에 필요한 기초자 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오리엔탈 나리 ‘Siberia’, 오리엔탈-트 럼펫 종간잡종 나리 ‘Robina’, 나팔나리 ‘Bright Tower’의 구근 은 상자에 정식되어 싹틔우기 실시 후 4월 29일, 6월 23일, 8 월 26일에 비닐하우스로 운반되었다. 정식 시기별 일평균기온 은 품종에 따른 재배 기간별로 달랐으나 약 23℃, 26℃, 19℃ 로 나타났다. ‘Siberia’의 경우 정식 시기에 따라 초장과 엽수 는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기간이 긴 8월 26일 정식에서 생체중 과 화뢰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Robina’의 경우 저장기간 이 긴 8월 26일 정식에서 초장, 생체중, 화뢰 수가 모두 유의 하게 감소하였다. ‘Bright Tower’는 일평균기온이 높은 6월 26 일 정식에서 초장이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긴 8월 26일 정 식에서 생체중과 화뢰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절화수명의 경우 일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8월 26일 정식시 증가하였으며 대륜화인 ‘Robina’의 경우 고온에서 재배되는 6월 23일 정식에 서 화폭이 16.5cm로 8월 26일 정식 시 18.4cm에 비하여 감소 하였다. 화뢰 출현일과 수확일수 등 생육상의 변화는 재배 기 간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높은 일평균기온 화뢰 출현일과 수확일수를 감소시켰다. 특히 일평균기온 22℃ ~ 24℃ 범위는 생육상을 조절하는 결정적인 온도 범위 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산 오리엔탈 백합 절화 Siberia와 Medusa 품종 을 대상으로 겨울철 일본 선박 수출 시 수송단계별 미기상 분 석과 현지 절화수명에 대한 전처리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 었다. 전체 수출과정에서 온도와 습도 환경이 측정되었으며, 농가에서 수확 직후 수출업체로 수송되기 전까지 22시간 동안 건식저장(대조구)과 습식저장(지하수, 지하수 + 상업용 절화 보존제) 방식으로 전처리를 실시하였다. 전체 수출과정에서 온도 환경이 습도환경보다 변화폭이 컸으며 특히 농가에서 수 출업체까지 수송단계에서 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 차량에 의한 수송결과였다. 한편, 습식 전처리 효과는 일본수 송 후 절화 휨 정도와 절화수명 연장으로 두 품종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습식 전처리로 인해 절화 휨 정도는 5-7o, 절화수 명은 2-4일 개선되었다. 건식저장의 경우 수출 수송과정에서 의 수분 손실에 따라 초기 상대 생체중이 증가하였으며, 상대 적으로 수분스트레스에 대한 노출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지하수를 이용한 습식전처리의 조기개화가 발생하였으 며, 이것은 상업용 절화보존제 처리에서 개선되었다.
        4,000원
        15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의 절 지에 있어 CoCl2, CuSO4, 8-HQS, BA, kinetin, TDZ,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 등의 여러 가지 성분으 로 조성된 보존용액 처리가 절지수명, 생체중, 용액흡수 량 그리고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 행되었다. 보존용액에 첨가된 CoCl2, CuSO4, 8-HQS 그리고 BA에 있어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은 65mg • L−1 CoCl2 단용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A 단용 또 는 혼용처리에서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절지수명 또한 증류수만을 사용한 대조구 와 함께 65mg • L−1 CoCl2에서 7.1일로 높게 나타났다. 유 의차는 없었지만 엽록소 함량은 80mg • L−1 CuSO4 처리 에서 높았다. BA, kinetin, TDZ 그리고 sucrose에 있어 절지수명은 1% sucrose에서 13.5일로 가장 길게 나타났 으며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도 다른 처리에 비해 높게 나 타났다. 엽록소 함량은 10mg • L−1 BA, 20mg • L−1 kinetin 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절지수명 연장에는 효과가 없 었다. 처리 농도에 따른 sucrose와 8-HQS의 단용 및 혼용 처리에 있어 3% sucrose + 8-HQS와 5% sucrose + 8-HQS 에서 높은 생체중을 보였고 용액흡수량은 1% sucrose + 8- HQS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절지수명은 1% sucrose 단 용 및 8-HQS와의 혼용처리에서 각각 11.8일과 11.2일로 높게 나타났다.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에 있어 생체중은 2%의 sucrose, glucose 그리고 fructose에서 높 았다. 절지수명은 sucrose 보다 1, 2% fructose 그리고 1% glucose에서 각각 15.7, 15.4, 15.1일로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여러 종류의 당은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의 절지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으 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 glucose와 fructose는 절지수명 연 장에 sucrose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5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절화용 거베라 5품종의 화 경의 신장에 따른 유기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화경 내부 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거베라의 수확 전의 노화 생리를 구명하고 화경 내부 구조변화를 관찰하므로 거베 라 신품종 육종 및 재배와 노화생리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화경의 신장단계별 내부 동공은 15cm의 화경에서는 동공이 나타나지 않았 으며 그 후 개화가 전개되면서 동공이 생기기 시작하여 수확 직전의 55cm 정도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동공이 있 었다. 총 당함량은 ‘Ggotmuri’ 품종에서 29.3%로 가장 높았으며, ‘Red Auction’ 품종의 수확직전 화경이 55cm 정도일 때 8.8%로 가장 낮았다. 신장 단계별로 보면, 수 확기에 가까워 질수록 화경의 상부에서는 총 당함량이 증 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중부와 하부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다. 전분 함량은 화경의 상부에서 중, 하부보다 높 은 경향이었으며, 중부와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 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상부에서 중부와 하부보다 높았 으며, 신장단계별로는 모든 품종에서 화경이 신장함에 따 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화경이 신장 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화경의 부위별 아미노산 함량은 상부보다는 하부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절화용 거베라의 수확 전 화경 신장에 따 른 유기성분의 함량변화를 구명하고 내부구조의 변화 양 상을 관찰함으로써 거베라 신품종 육성과 재배생리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5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수국 ‘Ruby’의 보존화 가공 시 탈수 및 탈색 시간과 보존및 착색 적정 조건을 구명하고자 실 시하였다. 탈수 및 탈색의 적정 처리 시간은 18 ~ 24시 간으로 판단되었으며, 24시간 후부터 무게가 감소하고 Hunter value a 값이 낮게 조사되었다. 24시간 처리의 Hunter value a 값은 0.94로 0시간 보다 낮게 조사되었으 며, 36시간 처리는 꽃잎의 갈변 현상이 나타났다. 보존 및 착색 처리 결과, 관능평가에서 Solution II와 Black 염료 처리한 보존화가 65%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받았으며, Solution II, Red 6.7mL + Yellow 6.7mL+ Blue 6.7mL + Black 10mL 처리와 Red 5mL + Yellow 5mL + Blue 5mL + Black 15mL 처리가 각각 25%, 10%의 선호도를 받았다. 또한, Solution I은 건조과정 중 형태변형이 나 타나 Solution II의 형태유지성, 유연성, 질감이 Solution I(제작용액)에 비해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그에 반해, Solution I의 색상재현성은 다른 처리보다 높은 점수를 받 았으며, Hunter value L 값도 15.33으로 가장 낮게 조사 되었다. 따라서, Solution II(시판용액)가 절화 수국의 보존 화 가공 시 적정 처리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색 재현성 을 위해 검정색 표현을 위해 Black 염료 단독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59.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능력검정체계에 이용되는 선발형질에 따른 부분육 중량 및 수율의 간접선발반응을 파 악하고 부분육 형질을 선발형질로 포함하였을 경우 선호부위의 유전적 개량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ZPLAN+를 이용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1996년도부터 2013년까지 농협 중앙회 한우개량사업소, 도 축산연구센터,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육종농가에서 당·후대 검정한 한우 수 소 및 거세우 총 10,351두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후보 및 보증씨수소 선발가중치와 동일조건 하에서 등심단면적의 가중치를 각각 1, 3, 6으로 하였을 때 등심수율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은 각각 0.222%, 0.282%, 0.328%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현재 선발가중치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분육 형질 을 선발형질로 포함하여 등심수율에만 가중치를 주었을 경우 갈비, 채끝수율은 등심수율과 함께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심수율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또한 안심, 등심, 채끝 등 의 선호부위에 8가지의 경우의 수(가중치: 1 또는 2)로 그룹별 가중치를 주었을 경우, 가중치가 각각 2:2:2인 그룹에서 선호부위의 연간 유전적 개량량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선호되는 부위의 생산량 증대 를 위해서는 이들 부위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한우의 선발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4,900원
        16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of supplemental lighting intensity (SLI) on the shoot growthand flower quality of Rosa hybrida ‘Pink Bell’ in winter sea-son. High pressure sodium lamps (HPS) which were set upat 1.4m height above the planting beds were adjusted forthe SLI treatments: no supplemental lighting (control),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PAR) 30, 50, 70, and 90µmol•m−2•s−1 in 20h daylength (17:00 to 22:00 and 02:00to 09:00). Shoot growth including shoot elongation, shootweight, and flowering speed was promoted quantitatively asSLI increased. But the flower quality such as petal num-bers, petal pigmentation, and biomass distribution to thepetals was declined at PAR 90, even though the proper SLIfor rose production was generally known in the range ofPAR 90 to 120. In this experiment PAR 90 treatment madethe surface of petals heated near 30oC which was about10oC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supplementallight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etals was continu-ously rising because the distance to lamps from floral budsbecame increasingly short as the shoots grew in localgreenhouse facilities. The heat stress by HPS lampscaused petal discoloration and over-consumption of assimi-lation products due to excessive respiration and water lossin petals. Thus, it is necessary to prevent heat injury byswitching light intensity depending on shoot growth consid-ering local greenhouse structur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