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6

        141.
        198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carboxyalk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s such as 1-(carboxyundec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and 1-(carboxytridecyl) trimethyiammonium chloride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α-bromoalkanoic acid with trimethyl amine hydrochloride. In other hand, (carboxymethyl) alkyl dimethyl ammonium chlorides such as (carboxymethyl) do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and (carboxymethyl) tetra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alkyl dimethylamine with sodium chloroacetate. The four kinds of alky carboxy betaine such as 2-(trimethylammonio) dodecanoate, 2-(trimethyl ammonio) tetradecanoate, (dodecyl dimethylammonio) ethanoate and (tetradecyl dimethyl ammonio) ethanoate were prepared from 1-(carboxyalk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s or (carboxymethy1) alkyl dimethyl ammonium chlorides. The surface activities including surface tension, emulsifying power, foaming power, foam stability, deflocculating effect, effectiveness of wettability and solubilizing effect were measured and also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nd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HLB) were evaluated. These carboxy betaines show good surface activities as O/W type emulsifing agent and detergent.
        4,000원
        142.
        198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2-bis(aminoacyl)hydrazine derivatives and dipeptides were synthesized by conventional peptide synthesis procedures. Their antioxidant activity were inverstigated by over-storage test using corn oil as substrte. 1.2-bis (aminoacyl) hydrazine derivatives and dipetides containing hydrophobic side chain amino acid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A free N-terminal amino group was also found to be important for the appearance of antioxidant activity. 1.2-bis (aminoacyl) hydrazine derivatives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dipeptides. Antimicrobial activites of dipeptides and 1.2-bis (aminoacyl) hydrazine derivatives were also examined by the paper disc method. All of these compounds had shown no antimicrobial activity.
        4,000원
        143.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표적인 유기인계 살충성 0,0-diethylphenylphosphate 유도체의 양자 약리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EHT와 CNDO/2분자궤도 함수 계산방법으로 0,0-diethylphenylphosphate 분자의 형태와 에너지성분 및 반응성을 검토하였다. 형태이성체들에 대한 전체에너지()와 쌍극자 능율값()을 계산한 바, 보다 인 형태가 와 및 만큼 작은 값을 나타낼뿐만 아니라, steric factor도 작아지므로 형태가 가장 알짜 안정화된 형태이었으며 형태에 대한 HOMO, LUMO에너지, 알짜 전하, overlap population, AO계수 등을 계산하였다. Hammett식에 적용하며 치환기 효과를 검토한 결과, 전자를 끄는 치환기에 의하여 P원자의 양하전이 증가하는 coulomb term 효과와 LUMO에너지가 낮아지는 frontier orbital term 효과가 같은 경향으로 이루어저 charge-control-led reaction과 orbital-controlled reaction이 일어나는 형의 반응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았다.
        4,000원
        144.
        196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 생장 조절제로서 phthalamic acid와 그 유도체를 사용하여 추락답을 개량하기 위한 예비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을 결과를 얻었다. 1) 아래 7종의 phthalamic acid 및 그 유도체를 합성 또는 정제하여 공시약제로 하였으며 합성품의 수율은 였다. (표 1) A. Phthalamic acid B. Phthalanilic acid C. N- (o-Chlorophenly)-phthalamic acid D. N-(p-Chlorophenyl)-phthalamic acid E. N- (3,4-Dichlorophenyl)-phthalamic acid F. Sodium-N- (m-tolyl)-phthalamate (Duraset) G. Sodium-N-(1-naphthyl)-phthalamate (Alanap) 2) Wheat straight growth test에서 공시약제는 10ppm 및 20ppm의 농도에서 Control보다 월등한 생장 촉진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흥미있는 것은 phthalamic acid 유도체가 phthalamic acid 자체보다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 (표4, 그림 1) 3) 수도 종자의 발아 시험 결과 초장은 phthalamic acid 유도체가 적시 phthalamic acid 자체보다 좋았으며 기중 Alanap. 3,4-dichlorophenyl phthalamic acid 및 Duraset가 가장 좋았으나 10-100ppm 범위내의 농도에 거의 영향없었다. (표 5) 근의 생육은 일반적으로 약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뿐 아니라 초장의 생육보다 더욱 약제에 민감하였다. 근장은 phthalamic acid, phthalanilic acid, (p-chlorophenyl)phthalamic acid, 3,4-dichlorophenyl phthalamic acid가 Control 보다 약간 좋은 효과를 보였고, Alanap은 매우 불량하였다. (표 6) 근수는 (p-chlorohhenyl) phthalamic acid만 Control에 비해 우수하였고 나머지 약제는 대체로 근수를 감소시키거나 Control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표 7) 또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근수는 감소하였으며, Alanap, (o-chlorophenyl) phthalamic acid는 근단에 심한 약해가 일어났다. 4) 전근시험에서 근수는 공시약제에 의하여 증가되었으나 50-200ppm의 농도에서 별 영향이 없었다.(표 8, 그림 2) 근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영향이었으나 공시약제에는 상이한 효과를 보였다. 5) 이상 결과에서 p-chlorophenyl phthalamic acid 및 3,4-dichlorophenyl phthalamic acid가 수도용 식물생장조절제로서 실용적 개발의 가능성을 보였다.
        4,000원
        145.
        2023.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continuous rise of China-Chic culture in recent years, a cultural atmosphere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has poured into people’s minds. The emergence of Chinese cartoon has also led to a new trend in China’s animation derivatives. Animation derivatives are an indispensable part of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The creation of relevant brands of China’s animation derivatives can reshape the cohesion of the animation derivatives industry, but China’s animation derivatives brands lack fresh blood. This article will discuss how Chinese animation derivatives, under the influence of China-Chic culture, can be put into the brand design boom with national flavor.
        146.
        202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China's animation market has been gradually prospered with the screening of many high-quality animation works. At the same time, a large number of high-quality national animation IP has also been born. From "Nezha" to "Legend of Deification" Chinese animation has triumphed both in box office and public praise. Sadly, compared with these achievements, the whole animation derivative industry looks depressed. In this paper, the current developing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animation derivatives industry is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foreign successful experience of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derivatives industry and the problems existing in the operation mode of derivatives in China are summarized. Finally, put forward suggestions for the next development of China's animation derivatives industry.
        147.
        2020.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sing the methods of literature, comparative research and logical analysis, this paper explores China's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of sports events and derivatives industrial ecology chains. The research shows that: (1) the ownership of event property and the substantiation of individual sports associations are the preconditions for sports companies to expand profit margins, cultivate brand events and maximize the dividends of event brands; (2)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ports lotteries and the introduction of well-funded The TV stations bid for the copyright of the competitions, sports industry can realize the energy saving and income increase of the competitions and expand the profit points of the competitions; (3) the ability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to conduct competition monitoring, risk early warning and scientific decision - making is an important assessment indicator for the safety of major sports events in the future; (4) related institutions should strengthen the creative and design development of derivatives for sports events, enhance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enefits of the ecological chain of the derivatives and promote the further development of China's sports industry.
        148.
        2020.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Chinese animation has been rising, and many well-made animation films have emerged. However, most of its companies fail to design based on user experience, resulting in poor sales and slow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derivatives industry. This paper mainly starts from the design methods of user experience, discusses the development status of animation derivatives based on user experience, explores the problems existing in China's current animation derivative industry, and finally studies the design strategy of animation derivatives experience through market analysis.
        149.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concerted efforts toward predicting ship maneuvering in shallow water since the majority of ship’s accidents near harbors commonly occur in shallow and restricted waters. Enhancement of ship maneuverability at the design stage is crucial in ensuring that a ship navigates safely. However, though challenging, establishing the mathematical model of ship maneuvering motion is recognized as crucial toward accurately predicting the assessment of maneuverability. This paper focused on a study on sensitivity analysis of the hydrodynamic coefficients on the maneuverability prediction of KVLCC2 in shallow waters. Hydrodynamic coefficients at different water depths were estimat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conducted in the square tank at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WNU). The simulation of standard maneuvering of KVLLC2 in shallow waters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Free Running Model Test (FRMT) in shallow waters from other institutes. Additionally the sensitivity analysis of all hydrodynamic coefficients was conducted by deviating each hydrodynamic derivativ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tandard maneuvering parameters including turning tests and zig-zag maneuvers were conducted at different water depths and their effects on the standard maneuvering parameters were assess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different derivatives in ship maneuvering in shallow waters.
        150.
        202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dging with derivatives and subsequent firm-level stock price crash risk. Our sample consists of KOSPI- and KOSDAQ-listed companies from 2004 to 2014. The total firm-year observation is 4,886. We find that hedging with derivatives is related to greater possibilities of crash risk.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lexity of economic and financial reporting for derivatives may aggravate the company's information opacity, ultimately increasing the crash risk. We contribute to the growing body of literature on hedging with derivatives. Academics and practitioners have debated on whether or not hedging enhances transparency or rather makes the information environment more opaqu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role of corporate hedging on information environment shows that hedging enhances earnings informativeness. Meanwhile, pieces of anecdotal and empirical evidence show that the economic and financial reporting complexity of derivatives can harm information transparency. Our results shed light on the question of whether and how hedging with derivatives affects information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dging with derivatives and crash risk. Furthermore, our findings provide useful insights for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Specifically, our results raise a need for a more transparent disclosure on corporate hedging activities with derivatives.
        151.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이란 등 5개국에서 수집한 홍화자원을 대상으로 하여 천연항산화제로써 홍화종자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세로토닌 유도체인N-(p-Coumaroyl) serotonin과N-feruloylserotonin의 함량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총폴리페놀함량은 28.25 ~ 90.53 ㎍ GAE/㎎ DE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색소화합물인 DPPH 라디칼과ABTS+을 이용한 유리라디칼소거능을 측정하는 DPPH assay와 ABTS assay 의 값은 18.76 ~ 93.98 및 48.91 ~ 163.73 ㎍ ASCE/㎎ DE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시료의 환원능을 측정하는 방법인 FRAP assay 과 RP assay는 3.80 ~ 132.29 및 26.32 ~ 80.08 ㎍ ASCE/㎎ DE의 범위로 나타내었다. UHPLC를 이용하여 CS와 FS를 분석한 결과, CS 함량은 2.56 ~ 64.99 ㎎/g DE이고, FS 함량값은 1.92 ~ 65.36 ㎎/g DE이었다. 5개국 중 이란 원산종은 다른 나라에 비해 세로토닌 유도체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평균값이 높게 측정되었다. 항산화 활성과 세로토닌 유도체 함량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CS는 TPC와 ABTS, DPPH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r = 0.673, 0.727, 0.820), FS는 DPPH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 = 0.740). RACI를 통하여 선발된 IT321214과 IT321215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자원으로 천연항 산화제 소재 탐색 및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52.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갈(Pueraria thomsonii Benth)은 전통적으로 중국 의학에서 발열, 급성 이질, 설사,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분갈의 꽃인 분갈화의 피부 효능은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어,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세포인 B16F1 세포주와 섬유아세포인 HS68 세포주를 이용하여 분갈화의 피부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갈화의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고, 분갈화 추출물의 효능 성분을 추적하고자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갈화에 함유된 이소플라본류 화합물인 tectorigenin,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3종 성분을 확인하였다. 3종 성분 모두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멜라닌 생합성 감소는 tyrosinase와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합성저해의 또 다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에서 유래되는 멜라닌 합성억제 인자인 DKK-1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분갈화 추출물,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는 DKK-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킨 반면, tectorigenin은 DKK-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 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분갈화 성분 중 tectorigenin은 멜라닌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 억제와 섬유아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인자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적인 미백 개선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5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ralia continentalis Kitag. (syn. = A. cordata Thunb., Araliaceae) is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spread widely in northeastern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Many constituents from its root extracts, including diterpene and essential oils, have been isolated as active components for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algesic, sedative, antifungal, anti-thrombotic, and growth inhibition.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structural determination of the two new compounds. Materials and Results : The roots of A. continentalis were collected in Namwon-si, Jeollabuk-do, Korea, in March 2018 and identified by one of the authors (Dr. S. S. Hong). The roots of A. continentalis were extracted with 70% EtOH two times at room temperature. The concentrated residue was subsequently suspended in H2O and partitioned with n-hexane, CH2Cl2, EtOAc and n-BuOH. The n-hexane, CH2Cl2, and EtOAc layer were subjected to sequential column chromatography over silica-gel, RP-18, MPLC and preparative HPLC to isolated the compounds 1 - 30. Consequently, a new nor-ent-pimaran diterpenoid (11) and a new 8-O-4′ type neolignan (25) along with 28 known compounds that included diterpenoids, phenolic derivates, and polyacetylenes have been isolated from the ethanol extract of the roots of A. continentalis. The structures of the new compounds were established by spectroscopic data interpretation, particularly HRESIMS, 1D and 2D NMR data including HSQC and HMBC. Also, those of the known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spectral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reported values. Conclusion : The structures of two new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18-nor-ent-pimara-9 (11),15-diene-4β-ol (11) and 8-O-4-dehydrocoumaroyl-ferulic acid (25). To our knowledge, compounds 10, 14, 15, 19, 20, 22 – 24, and 26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Aralia genus for the first time.
        15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o select potential plant resources as natural antioxidants and functional materials, e valuation of N-(p-coumaroyl)serotonin (CS) and N-feruloylserotonin (FS) in 43 safflower accessions collected from South Asia was conducted. Method and Results : CS and FS were analyzed by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Total phenolic content (TPC) was determined by Folin-Ciocalteu method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stimated by 2,2-diphenyl-1-picryl-hydrazil (DPPH), 2,2'-azino-bis-3- 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reducing power (RP). The mean CS content was 32.74 ㎎/g dried extract (DE) with a range from 3.44 to 83.30 ㎎/g DE, and the FS content ranged from 1.43 to 34.53 ㎎/g·DE with a mean of 12.69 ㎎/g DE. The mean of TPC of 43 safflower accessions was 55.22 ㎍ GAE/㎎·DE. The average values of antioxidant activities based on DPPH, ABTS, FRAP, and RP assay showed 48.77 ㎍ ASC eq/㎎ DE, 97.62 ㎍ ASC eq/㎎ DE, 70.22 ㎍ ASC eq/㎎ DE, and 50.01 ㎍ ASC eq/㎎ DE, respectively. The 43 safflower accession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complete linkage cluster analysis using their CS, FS, TPC, DPPH, ABTS, FRAP and RP. Group Ⅱ showed higher CS, FS and antioxidant activity than Group Ⅰ (p < 0.05). K185245 and K185247 were included in Group Ⅱ, K185245 had the highest CS and FS, and K185247 was the highest in TPC, DPPH, and ABTS. C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S (r = 0.849**).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recorded between TPC and antioxidant assays including DPPH, ABTS, and RP.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had accounted for the 80.46 %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K185245 and K185247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valuable natural antioxidant materials and could be useful to develop new functional materials.
        155.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 are important features of the brain pathology of Alzheimer's disea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afflower seed.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Safflower seed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Methods and Results : First, in order to determine active ingredient contents of safflower seed extract, we were carried out total 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analyses. As a result, dried safflower seed were found to contain 35.4 ± 0.4 ㎎·GAE/g dry weight and 45.3 ± 7.5 ㎎·NE/g dry weight in boiling water extraction. Also, the major compounds of safflower seed from HPLC analysis were identified as serotonin and serotonin derivatives [N- (p-coumaroyl)serotonin and N-feruloylserotonin].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afflower seed showed IC50 values of 331.4 and 168.2, respectively, against DPPH and ABTS in vitro. Finally, with regard to the memory improvement activity, the administration of Safflower seed extract significantly restored memory impairments induced by scopolamine in the behavior tests such as novel object recognition and Morris water maze test. Conclusion :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the safflower seed extract possess potent memory improvement activity and are also a good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ir memory improvement activity.
        156.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메조-디하이드로구아레틱산(MDGA, 1)과 합성 유도체(2와 3)의 일산화질소(NO)억제 효능 에 대한 내용이다. MDGA는 토후박(Machilus thunbergii Sieb. et Zucc.)껍질에서 분리된 리그난 화합물이다. 본 연구자들은 디메틸로 치환된 화합물(2)과 디아세틸로 치환된 화합물(3)을 합성하였고, 이 두 화합물의 일산 화질소 억제 효능을 MDGA (1)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MDGA (1)와 화합물(3)은 LPS에 의해서 유도된 일산 화질소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RT-PCR 분석을 통해 MDGA (1)와 화합물(3)의 일산화질소 억제 효능은 iNOS의 mRNA 발현의 감소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디아세틸로 치환된 화합물(3)은 MDGA의 프로드럭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58.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은 21세기의 신흥 산업으로 발전되어 있다. 그렇지만 중국 내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발전과정에서 또한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지금 중국의 애니메이션의 부가상품 시장규모이 아주 커지고 있지만 대부분 외국의 상품브랜드이다. 중국은 해외기업들이 지불한 제작비를 통해 공장을 운영하여 이윤을 얻는다. 캐릭터상품의 결실로 중국의 애니메이션산업 사슬은 단절된 상황에 처해 있다. 지금 시장에서 유통하고 있는 캐릭터상품은 주로 일본과 미국산 제품이다. 예를 들면, 스누피, 미키 마우스, 헬로우키티, 피카츄, 도라에몽 등이 있다. 하자만 중국의 원작 캐릭터상품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사람들이 알고 있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관련 상품은 거의 외국에서 생산된 것 이다. 분문은 중국의 캐릭터상품의 시장 발전현황과 시장용량 및 발전공간을 알아보는는 과정을 통하여 중국에서 비교적 성공하고 영향력이 있는 애니메이션브랜드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하여 중국 애니메이션파생상품시장의 운영형식과 발전 과정에서 부딪히는 문제점을 발견한다. 이러 연구는 중국 캐릭터상품산업사슬을 재구축하는데 방향과 발전 전략을 제공한다.
        15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의 경제적인 번영과 함께 가축 및 유제품에 대한 전 세계적인 수요는 지속하여 증가해왔다. 이에 가축의 광대한 수요는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가축 분뇨 처리에 대한 많은 걱정을 불러 일으켰다. 가축 분뇨의 탄소 중립성 때문에 가축 분뇨가 재생 가능한 탄소 원으로서 고려할 때 바이오 연료의 원료로서 가축 분뇨를 이용하는 것은 친환경 적이고 에너지 회수에 있어 지속 가능한 방법이다. 그러므로 가축 분뇨를 처리하는 친환경적이고 효과적인 기술을 고안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열분해가 연구되어져 왔고 이산화탄소가 바이오매스 열분해의 열효율을 증대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에너지 회수 뿐 만 아니라 벤젠 유도체의 형성 저감의 관점에서 우분의 열적 분해 동안에 이산화탄소의 역할에 대한 이해에 대하여 주로 다루고 있다. 우선 우분의 열중량분석을 통해 질소와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열적 분해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어졌다. 다음으로 반응 열화학 공정에서 매개체로서 이산화탄소의 도입은 질소대비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향상된 열분해로부터 유도되어진 휘발성 유기물질들과 이산화탄소의 직접 반응하는 열적 분해로부터 초래 되었다. 게다가 열분해로부터 발생되어진 타르에서 벤젠 유도체들의 양은 열분해 매개체로서 질소 대신에 이산화탄소를 사용할 때 감소되어졌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전통적인 열화학 공정들보다 더 향상된 에너지 회수를 보이고 더 적은 오염 물질들을 방출하는 새로운 방식의 지속가능한 가축 분뇨 처리 방법임을 제시한다.
        16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밀착연접(tight junction, TJ)은 인접하는 표피 세포 사이를 서로 연결 및 접합하여 전해질과 수분의 이동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신호를 전달하고 세포분열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TJ 관련 단백질들의 비정상적 발현은 암 발생 및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TJ 구성 단백질의 발현 조절은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 조절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장벽 조절을 통해 피부 보습 조절에 관여하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여러 가지 소재들에 대한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이 중 인공 감미료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스테비올 및 당 유도체(스 테비오사이드)의 미백 및 주름 개선 등의 효능에 대한 기존 보고에 따라, 이들에 의한 TJ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 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 활성 기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MTS (3-(4,5-dimethylthiazol-2-yl)-5-(3- 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스테 비올은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에 250 μ M 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이용한 TJ 관련 단백질들의 mRNA 발현 변화를 통하여 스테비올에 의한 TJ 조절 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스테비올은 TJ 관련 단백질 중 특이적으로 claudin 8을 대조군 대비 30%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이동에 의한 영향을 관찰한 결과 스테비올 처리에 의해 세포이 동이 현저히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 장벽의 투과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표피세포 피부저 항(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TEER) 분석 결과 스테비올에 의한 세포투과성(cell permeability) 또 한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반해, 스테비올 유도체(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에서는 1000 μ M까지 세포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claudin 8 발현 억제 및 세포이동 저해현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스테비올은 HaCaT 세포의 세포 독성, claudin 8 발현 억제, 그리고 세포 이동의 저해효과를 보이는 반면 스테비올 당 유도체인 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는 세포 독성 및 세포이동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들은 스테비올 당 유도체가 향후 화장품 원료로써 스테비올보다 적합한 소재임을 시사한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