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2

        14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ultifaceted approaches will be needed, such as global synkinesis (GS) achieve functional improvements in the arms of stroke patients from involuntary movements during exercise. Objective: To identify changes in arm GS and muscle activity, functional evaluation and the correlation with variables through action observation training, combined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thereby verifying the effect on stroke patients. Design: A quasi-experimental stud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roke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n=10) and experimental group (n=10). Before the intervention, arm GS and muscle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and arm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Fugl– Meyer Assessment (FMA) scale. At the end of the intervention, which lasted 4-wk, arm GS and muscle activity were measured again using the same scale. Results: There was a decreas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S during the bending action in experimental group (P<.01).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creased only in the activity of the anterior deltoid (AD) and biceps brachii (BB) (P<.05). The results of the arm functional assessment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crease in both groups (P<.05).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crease in GS during the bending action (P<.05). Only the muscle activity of the AD and BB were significantly increase different (P<.05). There was a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increase in the arm functional assessment (P<.0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S and muscle activity on the FMA in the control group (r=.678, P<.05). In experimental group, GS during the bending arm action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r=-.749, P<.05), and the muscle activity of the AD and BB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701, P<.05). Furthermore, in experimental group, the activity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increased, and the activity of the flexor carpi radialis decreased, which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r=-.708, P<.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ain plasticity could be more efficiently stimulated by combining surface stimulation in the affected arm of stroke patients.
        4,000원
        14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language choice for modality patterns to express the degree of probability specifically in email texts based on Systemic Functional Grammar (SFG) analytical framework. Participants were students enrolled in an English writing composition course at an online-based Korean university. They were required to write an email thanking their professor, in which they stated their future plans (definite or indefinite) with a degree of probability. The text analysis was compared with two groups of students' scores (high-scoring group n=40 and low-scoring group n=29), based on an assessment of the course assignment. After building up two learner corpora, UAM Corpus Tool version 3.0 was used to analyze the language choice closely using a modality system of the SFG framework. The high-scoring group showed more range and frequency in the use of modal verbs combined with a modal Adjunct or another modal expression. Explicit teaching on the importance of expressing the appropriate degree of probability using a range of modality devices, rather than relying heavily on the primary modality (choice of modal verbs) is highlighted as a pedagogical implication.
        6,700원
        143.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군집지수와 FD와의 상관분석 결과 FD는 군집지수 중 Shannon 다양도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조사지점은 환경 특성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으며, 고도에 따라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고도가 높은 그룹 1은 산림의 비율이 많고 좋은 수질을 보였으나 고도가 낮은 그룹 6은 수질이 양호하지 않았다. 환경 구배에 따른 조사지역 그룹과 군집지수와 FD의 연관성 분석을 위해 NMDS를 시행하였으며 그룹 1~3에서 FEve를 제외한 모든 지수가 높았다. 그룹 간의 종구성은 그룹 1~3에는 하루살이목, 날도래목, 강도래목이 높았으며, 그룹 4, 5에는 잠자리목, 딱정벌레목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생물학적 형질은 그룹 1~3에서 생식기간이 길고, 이동성이 낮은 형질 특성을 보였으며 생물의 저항력 전략을 잘 보여주었다. 반대로 그룹 4~6은 생식기간이 짧고, 이동성이 높은 회복력의 전략을 뚜렷하게 반영해 주었다. 수질의 오염도가 낮은 상류는 교란의 빈도가 적고 공간적으로 높은 이질성을 가졌으며 생물이 주로 저항성 전략을 보였으며 생물이 서식지에 오래 머무를 수 있어 기능적, 구조적 생물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수질의 오염도가 높은 하류는 교란의 빈도가 높고 공간적으로 균질성이 높으며 생물은 주로 회복력의 전력을 보여 교란에 의해 이동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휴면기, 고치, 세포, 알 등의 독특한 형태를 갖는 반면 생물다양성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의 기능적 다양성은 수서 생태계 환경과의 관계를 잘 설명해 주었다. 따라서 생물의 형질을 이용한 기능적 다양성은 잠재적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4,800원
        144.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mbucha is a fermented tea manufactured by adding various microorganisms and sugars to brewed herb tea such as green tea and black tea. Its components and functions vary depending on ingredients, inoculated microorganism compositions, and fermentation condi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ich conditions affect kombucha properties and how these features are affected. Types of substrates, specifically plant-based foods, alter profiles of polyphenol, organic acids, carbohydrates, and protein amounts in kombucha. Long fermentation time raises polyphenol contents and high fermentation temperatures increase sourness in kombucha. Microbial composition of SCOBY, which is the symbiotic culture of bacteria and yeast used to inoculate microorganisms, change the kombucha microbiome that contributes to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functions of kombucha. Several studies have discovered that kombucha has health beneficial functions such as antioxidant activity, hepatic protective effects, antimicrobial effects, anti-diabetic effects,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cholesterol reducing effec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kombucha has high potential as a health functional food. However,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further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kombucha.
        4,600원
        145.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recovery is a long and complex process. Successful stroke recovery seems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patients’ high motivation and committed participation. Patients’ motivation is a key determinant of successful rehabilitation outcomes, but it is difficult in defining and measuring. Patients’ participation is defined as the degree or extent to which subjects take part in rehabilitation activities and can be measured by observable behavior.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tients’ level of participation in rehabilitation on functional outcomes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Forty post-stroke in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level of rehabilitation participation was measured by the Hopkins Rehabilitation Engagement Rating Scale (HRERS). Other measures used for the evaluation were the Rivermead Mobility Index (RMI) and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K-MBI). Overall measurements were made at early intervention and late intervention. Spearma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s between HRERS, RMI, and K-MBI. Results: The correlation found between HRERS total scores at early intervention and RMI total scores of late intervention was above moderate (r = 0.607, p < 0.01). RMI total scores at early intervention (p < 0.000), HRERS total scores at early intervention (p < 0.001), and disease duration (p < 0.003)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RMI total scores at late intervention. Conclusi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t early intervention wa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mobility. The level of mobility at early intervention, disease duration, and patients’ participation at early intervention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f functional outco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tients’ participation should be encouraged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stroke recovery.
        4,000원
        146.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noise problem in concrete pavements has an adverse effect to the road user or nearby residents and is generated by the contact between a tire and the pavement surface.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s have been adopted to solve the tire-pavement noise problem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owever, the efficiency of the coagulation retarder and exposure equipment used for this kind of pavement has not yet been investiga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bility of the coagulation retarder and exposure equipment in producing the optimum exposed aggregate texture to achieve low pavement noise. A method for the exposure time selection has also been introduced here. METHODS: Sodium gluconate retarders were selected for use in this study. The retarder-water ratios of 1:1, 1:2, and 1:3 were investigated. The retarder was sprayed on a fresh concrete surface with rates of 200 g/m2, 300 g/m2, and 400 g/m2. The aggregates were then exposed to the surface using a steel brush and a water jet. The efficiencies for the low-noise texture, workability, and environmental impact produced by the two exposure devices were estimated. The EAN and the MTD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exposure time. RESULTS : The aggregates were exposed after the retarder was sprayed on the fresh concrete surface; the exposure lasted for 18 h to 26 h each time. The retarder-water ratio of 1:2 and the spraying rate of 300 g/m2 produced an optimum surface texture for low noise. Additionally, the steel brush performed more effectively in exposing aggregate to the surface compared to the water jet. The selected exposure time window (ETW) was 28 h to 35 h. CONCLUSIONS : The optimum retarder was the sodium gluconate retarder with a retarder-water ratio of 1:2 and a spraying rate of 300 g/m2. The steel brush showed a good performance in exposing the aggregates and showing the efficiency of the coagulation retarder in the given environment so as to produce the quality control condition. The ETW was influenced by the construction, mixture design, and construction environment; however, the selected ETW in this study was 26 h~35 h.
        4,000원
        148.
        201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lectins are cell membrane glycoproteins that recognize specific glycoconjugate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cells. Then, selectins adjust cell-cell interactions that are important in inflammation, hemostasis and cancer metastasis. Selectins mediate leukocyte calls to move into the site of inflammation through interactions with activated endothelial cells or endogenous selectin ligands expressed in high endothelial venules. Types of selectins are divided into L-selectin, E-selectin and P-selectin, which are called to CD62L, CD62E, and CD62P, respectively. Each selectin is composed of four regions; the C-type lectin region of N-terminal,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region, the intracellular C-terminal region, and the hydrophobic transmembrane region. They have similar structures but differ in their binding specificities and tissue distributions. The selectin family commonly recognizes the sialyl Lewis X (sLeX) on carbohydrate structures. Although biological ligands bound to each selecti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y commonly bind to P-selectin glycoprotein ligand-1 (PSGL-1) ligand. The PSGL-1 ligand is a glycoprotein promoting cell adhesion in inflammatory responses. If the absence of selectins and their ligands in humans and animals are, should lead to persistent infections and diseases. Selectin family must be considered as a key subject for drug discovery since they have various functions depending on the ligand which they bind to.
        4,000원
        14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두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이화학적 특성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 중 탄수화물 함량은 57.20±0.29%로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조단백질 26.40±0.69%, 수분 9.90±0.16%, 조회분 3.54±0.43% 및 조지방 2.96±0.26%로 확인되었다. 녹두의 비타민 성분 중 vitamin B5가 0.62±0.013 mg/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A의 전구체인 β-carotene 이 87.37±0.754 μg RE/100 g으로 동정되었다. 칼륨(K) 함량은 12,428.55±147.55 mg kg-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마그네슘(Mg)은 2,053.32±14.13 mg kg-1, 칼슘(Ca) 1,966.40±14.53 mg kg-1을 함유 하고 있었으며, 녹두의 총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29.23±0.03%의 함유량을 보였으며, 단불포화지방산은 20.30±0.04%, 다불포화지방산은 50.46±0.06%의 비율로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ω-6계 linoleic acid가 41.19±0.02%, ω-9계 oleic acid 19.98±0.03%를 함유하고 있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21.75±0.24 g%이며, glutamic acid 3.93±0.03 g%, aspartic acid 2.68±0.03 g% 등을 함유하고 있었고,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가 총 아미노산 함유량의 18.07%, 12.32%를 차지하였으며, 구성 아미노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두 중,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336.77±8.66 mg%로 확인되었고, arginine이 81.97±1.31 mg%로 유리 아미노산의 24.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tamic acid, asparagine 및 aspartic acid 순으로 각각, 41.97±0.29, 28.47±0.15 및 26.97±0.12 mg%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4,300원
        15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강 상류의 지류이며, 국내 대표적인 모래하천으로 잘 알려진 내성천 상류에 위치한 영주댐을 기준으로 하류 지점과 상류 지점을 선정하여, 2015년과 2016년동안 담수화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유형 및 군집구조의 변화 양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는 댐의 건설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5년, 2016년 총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댐에 의한 내성천의 담수화가 2016년 7월부터 진행됨에 따라 전체 출현 종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댐에서 가까운 상류 지점인 St.2와 St.3에서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다. 유수성 환경과 입자가 큰 하상구조를 선호하는 E.P.T. 분류군의 종조성 비율은 감소하고, 정수역 환경을 선호하는 O.C.H. 분류군의 종조성 비율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식기능군은 담수가 진행됨에 따라 붙는무리 (CL; Clinger)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모든 지점에서 감소하였고, 굴파는무리 (BU; Burrower), 기어오르는무리 (CB; Climber), 기는무리 (SP; Sprawler), 헤엄치는 무리 (SW; Swimmer)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서식환경 변화에 따른 군집안 정성을 비교 결과, group I (높은 저항력, 높은 회복력)의 종 분포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St.2와 St.3에서 group II (높은 저항력, 낮은 회복력)의 종 출현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댐 건설로 인해 담수가 진행됨에 따라 저서환경변화와 유속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의 서식유형과 군집구조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향후 내성천 수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댐 건설과 이로 인한 담수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변화와 서식기능군은 물론 섭식기능군의 변화 양상에 대한 체 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그리고 댐 조성이 하천생태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및 서식양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4,000원
        15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단성분보다는 복합제품 개발이 우선시되고, 12가지 기본제형이외에도 일반식품형태의 제품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에서 기능성(지표)성분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복합제품 등에서 정성·정량 가능한 코엔자임Q10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체크로마토그라프-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 중 코엔자임Q10의 정성·정량시험법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시험법에 대해 특이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도, 정밀도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중 유통검체 14 건을 확보하여 시험의 적용가능성도 검토하였다. 직선성에서는 R2>0.999 이상임을 확인하였고, 검출한계 및 정량 한계는 각각 26.0 및 78.9 μg/L이었다. 또한 평균 회수율은 98.6-107.0%로 나타났으며, 반복정밀도는 상대표준편 차 4.0%이하, 실험실간 재현성은 2.4%로 나타나 정확성, 재현성이 우수하였으며 이는 AOA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기준에 모두 적합한 수준이었다. 시중 유통 제품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84.0-118.7%로 모두 적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건강기능식품 중 코엔자임Q10의 정성·정량분석에 이용될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건강기능식품유통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52.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ymilk has been substituted for milk for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lactoseintolerance. In this study γ-aminobutyric acid (GABA)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um, Lactobacillus plantarum LP2, was applied to ferment soymilk for improving its functionality. GABA production was proved in MRS broth supplemented 3% monosodium glutamate (MSG) and soymilk including 10% (w/v) soymilk powder and 5%(w/v) fructooligosaccharide where L. plantarum LP2 was applied. In addition to the soymilk, isolated soy protein (ISP), which was enzyme-treated, was added to it for improving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including glutamic acid. L. plantarum LP2 was well grown and produced GABA in the soymilk medium.
        4,000원
        15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요인인 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 두 변인과의 관계에서 기능적 지지가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동구, 중구, 서구, 유성 구, 대덕구에서 각각 90명씩 450명을 대상으로 생활 관리사들의 도움을 얻어 방문 설문조사를 실시해 45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분석 프로그램(SPSS 24.0)을 이 용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구학적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는 가장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고, 교육수준과 직업이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거환경 요인인 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능적 지지의 경우 독거노인의 주거환경 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기능적 지지 중에서도 정서적 지지에 비중을 크게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지지라 함은 사회적 지지의 두 가지 의 미인 구조적 지지와 기능적 지지의 일부분으로써 물질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를 모은 용어 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네 가지를 제언한 다. 첫째,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을 재해로부터 안전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건강상태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남에 따라 독거노인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감독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능적 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남에 따라 기능적 지지를 위한 체계적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거안전성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역사회 차원의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7,000원
        154.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LSS), lumbar flexion exercise (LFE) is considered a standard therapeutic exercise that widens the space between the spinal canal and intervertebral foramen. However, some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lumbar extension exercise (LEE) may improve lumbar pain and functional ability in patients with LSS. Although exercise intervention methods for patients with LSS have been widely applied in clinical settings, few studies hav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exercise methods. Object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LFE, LEE, and lumbar flexion combined with lumbar flexion-extension exercise (LFEE) on pain, range of motion (ROM), pelvic tilt angle, and functional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LSS. Methods: A total of 30 patients with LSS, LFE (n1=10), LEE (n2=10), and LFEE (n3=10) were assigned to each of the three exercise groups. The numerical pain rating scale (NPRS), modified-modified schober test (MMST)-flexion, MMST-extension, pelvic tilt inclinometer, and 6-minute walking test (6MWT) were measured.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NPRS (p=.043), MMST-flexion (p<.001), MMST-extension (p<.001), and 6MWT (p=.005)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post hoc test, the NP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FEE and LEE groups (p=.034). The MMST-flex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LFE and LEE (p=.000), LFE and LFEE (p=.001), and LEE and LFEE (p=.001) groups. The MMST-exten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LFE and LEE (p<.001), LFE and LFEE (p=.002), and LEE and LFEE (p=.008) groups. The 6MW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LFE and LFEE (p=.042) and the LEE and LFEE (p=.004)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LFEE was the most effective exercise for pain and functional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LSS, LFE was the most effective exercise for lumbar flexion ROM, and LEE was the most effective exercise for lumbar extension ROM.
        4,000원
        156.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프랑스해안송껍질추출물 중 catechin, caffeic acid, ferulic acid, taxifolin에 대한 동시분석법을 개발하는 연구이다. 최적분석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시료 채취량, 용매 조건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UPLCMS/ MS를 이용하여 각 4개 성분에 대한 정확한 분석 및 분석시간의 효율성도 향상하였다. 분석 시 사용한 컬럼은 Acquity UPLC BEH C18이며, 정량이온으로 catechin, caffeic acid, ferulic acid, taxifolin 각각 133, 135, 245 및 248을 선정하였다. 확립된 시험법에 대해 특이성,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 등의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4개 성분 모두 50-25000 mg/L 농도에서 결정계수(R2) 0.999이상으로 높은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회수율은 84.9-104%이었고, 정밀성은 1.2-4.3%의 RSD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시험법은 프랑스해안송껍질추출물 중 catechin, caffeic acid, ferulic acid, taxifolin 분석을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57.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의 목적은 간척지 토양에서 다른 EC처리에 따라 향부자와 갯방풍의 생장 및 기능성물질 차이를 분석 하고자 수행하였다. 향부자와 갯방풍 종자를 트레이에 파종 후 8주간 온실에서 육묘하였고 새만금 지역에서 채취한 간척지 토양을 담은 포트에 이식하였다. 식물은 EC농도에 따라, 대조구, 1, 2, 4, 8dS·m-1 조건으로 12주 간 실험을 진행했고 추가로 간척지 토양에서의 EC 1dS·m-1 과 원예용 상토를 구분하여 생육을 비교했다. 향부자의 초장, 엽장 엽폭은 EC 1dS·m-1 에서 가장 높 았다. 엽수, 화방 수, 인편 수는 EC 2dS·m-1 에서 가장 크고 EC 8dS·m-1에서 가장 적었으며, SPAD는 EC 2와 4dS·m-1 에서 가장 높고 EC 8dS·m-1에서 가장 낮았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은 EC 2dS·m-1 까지 증가하다 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값이 감소했다. EC 1dS·m-1 조건에서 간척지토양과 원예용 상토에서 자란 작물의 생육을 비교했을 때 SPAD, 엽수, 화방 수, 인편 수, 지상부 와 지하부의 생체중은 원예용 상토에서 더 높았다. 갯방 풍은 모든 생육 조건에서 EC 8dS·m-1가 가장 낮았으며 EC 8dS·m-1을 제외하고 다른 처리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향부자는 EC 1dS·m-1에서 pcoumar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갯방풍의 지상부는 catechin의 함량이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지하부는 EC 1dS·m-1에서 benzo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간척지 토양을 EC 4dS·m-1 이내로 관리 할 수 있다면 향부 자와 갯방풍의 재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