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5

        161.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soybean (Glycine max) is known for its high nutritional value of oil and protein, soybean has been domesticated and cultivated by one specific character trait based on human selection. Importantly, tracing back in time where G. max and G. soja, the undomesticated ancestor of G. max have diverge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udying of genetic diversity and in investigating the common ancestor of soybean. In this study, we sequenced 6 G. max and 6 G. soja using Illumina’s Hiseq 2000 with a low coverage sequencing technology to estimate the divergence of times between genotypes and populations. A total of the 12 genotypes were sequenced at the average depth of 6.5 and resulted 892.5 Mb and 903.3 MB consensus sequences with the coverage of 91.54% and 92.65% for G. max and G. soja, respectively. The whole genome SNP analysis showed that G. max had lower frequency levels of polymorphism (~0.1%) than G. soja (~0.25%). And, a high number of SNPs located in introns were found among 6 G. soja genotypes as SNPs were approximately twice than those found in 6 G max. The number of SNPs in G. max intronic regions was 53,134, whereas a total of 133,329 SNPs were discovered in G. soja introns. Almost an equal number of SNPs were discovered in 5’ UTR and exon regions; however, different numbers of SNP in CDS and 3′ UTR were identified. By the rate of nonsynonymous change, divergence of time between G. soja and G. max would be investigated.
        162.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served distribution of a blending-corrected sample of Einstein ring crossing times, tE, for microlensing events toward the galactic bulge/bar are analyzed. An inspection of the distribution of crossing times suggests that it may be bimodal, indicating that two populations of lenses could be responsible for observed microlensing events. Given the possibility that microlensing in this direction can be due to the two most common classes of stars, main-sequence and white dwarf, we analyze and show via Monte Carlo simulations that the observed bimodality of tE can be derived from their accepted mass functions, and the density distributions of both stellar populations in the galactic disk and bulge/bar, with a transverse velocity distribution that is consistent with the density distribution. Kolmogorov-Smirnov (KS) one sample tests shows that a white dwarf population of about 25% of all stars in the galaxy agrees well with the observed bimodality with a KS significance level greater than 97%. This is an expanded and updated version of a previous investigation (Wickramasinghe, Neusima, & Struble, in Mao 2008). A power-point version of the talk, with introductory figures, is found at: https://sites.google.com/site/rhkochconference/agenda-1/program.
        163.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하천기본계획 수립에서는 해당 구조물의 설계 및 하천개수 계획의 빈도와 지속시간에 해당하는 확률강우량을 이용하고 있고, 이러한 확률강우량은 강우유출 뿐만 아니라 토양침식, 토사유출 등 강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현상들에 대한 연구에도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률강우량에 대한 토양침식량 추정 시 필요한 빈도별 지속시간별 강우침식능 인자 산정을 위하여,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2011, 국토해양부)」에서 제시한 전국 71개 주요지점의 빈도별(20년, 30년, 100년) 지속시간별(60분, 120분, 180분) 확률강우량을 Huff 3분위 강우 시간분포에 적용하였다. 강우침식능 인자 산정 시 필요한 강우에너지식은 노재경(1984)이 제시한 식을 이용하였다. 빈도별 지속시간별 지점평균 확률강우량과 강우침식능을 비교한 결과, 지속시간이 강우침식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재현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강우침식능이 강우량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강우량과 강우침식능은 정확히 비례하지 않고, 이는 강우침식능 산정 시 이용된 각 지점의 Huff 시간분포 형태 및 강우량 크기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산정된 각 지점별 강우침식능을 IDW 기법으로 공간보간하여 등강우침식능도를 작성한 결과, 지속시간이 1시간일 경우 강우침식능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지속시간이 2시간, 3시간일 경우 확률강우량도와 유사하게 강화 인근의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의 강우침식능이 크고, 경북 내륙지방이 가장 작게 산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작성된 전국 강우침식능 인자는 빈도별 지속시간별 토양침식량 산정 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고, 나아가서는 토양보존 계획 수립 및 토사재해 위험지역 파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16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antioxidant activity and lignan contents by harvesting times to expand use of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o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seed was higher than those of flesh bu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harvesting times. As RC50 value, that was, the concentration of sample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was 13.7~24.2 μg/ml in seed thus it showed a high antioxidant activity. Among lignan components, schizandrin content was the highest and followed by gomisin N and gomisin A in all of flesh and seed. Also these components in seed were 4~9 times more contained than those of flesh. All of them were decreased by harvesting times in flesh. But the contents of schizandrin and gomisin N were high in August 3rd and September 15th in seed, respectively. As the results, the seed of S. chinensis had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lignan contents so it could be potentially developed as a resource.
        165.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sidential comfort and safety on ship are more focused than ever,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the crews' onboard time and interest in cruiser sailing. To grasp the safety characteristics on ships against various scenarios of evacuations, this study performed experiments and simulations for the evacuation times on a training ship. Through the experiments, the average walking speed is 3.0m/s on 100% visibility, and 1.2m/s on 8% visibility, but the speeds go down 1.3m/s and 0.7m/s, respectively, when obstacles are happened without any previous notification. From the simulation, it is clearly reconfirmed that the worse visibility and many people make evacuation time comparatively longer. And unlike the common expectation of the effect of emergency announcement, the difference of evacuation times between cases of announcement and non-announcement is negligible on this study. From the survey after experiments, it is known that experiment participants feel unsafe and fear when the evacuation routes are longer in bad visible condition, even if they know the perfect evacuation route. And the survey results also show that the evacuees give more careful consideration to make a evacuation route decision under bad visibility.
        16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계 피복작물의 파종 시기는 월동 후 회복률과 생산량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치나, 포장에서 피복작물은 주작물의 수확이 끝난 후에 파종되기 때문에 주작물의 수확이 늦어질 경우 파종 시기를 놓쳐 안전한 월동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4종의 피복작물에서 파종 시기에 따른 생육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1. 실내 발아 조사를 실시한 결과 모든 피복작물에서 25℃ 와 20℃ 에서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15℃ 이하 처리구에서 온도가 낮아질수록 초기 발아율이 낮게 나타났다. 호밀은 5℃ 에서 처리 4일 후부터 발아를 시작해 처리 7일 후에는 90% 이상이 발아되었다. 2. 월동 전 생육 조사에서 크림손클로버, 알팔파, 헤어리베치는 지상부 길이와 생체중이 9월 파종구와 10월 파종구간에 차이를 보였고, 호밀은 9월 파종구와 10월 파종구 간에 큰 차이가 없어 다른 작물에 비해 내한성이 뛰어났다. 3. 월동 후 생체중은 모든 피복작물이 9월 파종구와 10월 파종구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다. 호밀과 헤어라베치는 월동후 지상부 길이가 파종일에 따라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크림손클로버와 알팔파는 10월 11일 이후 파종구에서 감소했다. 4. 크림손클로버는 10월 4일 이전 파종구에서는 피복률이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후의 파종구에서는 점차 감소되어 10월 25일 파종구에서는 11.9%로 나타났다. 알팔파는 10윌 파종구에서 파종일이 늦어짐에 따라 피복률이 감소되었으며, 호밀과 헤어리베치는 파종 시기에 관계없이 우수한 피복률을 보였다.
        16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어린모, 중묘 등 묘령에 따른 쌀겨 시용 시기가 친환경 재배에 있어서 제초 효과와 벼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그리고 더 나아가 미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1. 쌀겨 처리후 토양내 산화환원 전위차는 급격히 떨어져 심한 환원 상태로 변하였으며, 쌀겨 시용구에서는 쌀겨 살포 직후 1~2 일 사이에 용존산소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2. 쌀겨 시용구 중에서는 이앙전 5일 시용에서 잡초 본수 및 잡초 건물중이 가장 적거나 가벼워 잡초 발생이 상당히 억제되었으며, 이앙 후 늦게 살포할수록 잡초 발생량은 늘어났다. 3. 쌀겨 처리시기에 따른 수량은 이앙전 5일 시용에서 관행시비와 수량이 비슷하였으나, 이앙후 표면처리에서는 수량이 현저히 감수되었다. 4. 쌀겨 시용 시기에 따른 처리별 완전미 비율은 쌀겨 처리구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높았고, 단백질 함량은 쌀겨 처리구에서 대체로 낮았다. 식미치는 완전미 비율이 높았고, 단백질 함량이 낮았던 쌀겨 시용구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2~8 정도 높았다.
        16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how different harvesting times affec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in two forage rice varieties(Nokyangbyeo, Dasanbyeo).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in leaf and stem decreased, with time, after heading in Nokyangbyeo, Dasanbyeo, but there was not so changed in that of spikes. Contents of Neutral Detergent Fiber(NDF) and Acid Detergent Fiber(ADF) in leaf and stem increased slightly but decreased rapidly in these of spikes. Contents of Total Digestive Nutrient(TDN) in spikes was the highest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parts of plants. Contents of Total Digestive Nutrient(TDN) in plants was the highest at 40 days after heading in Nokyangbyeo and was the highest at 50 days after heading in Dasanbyeo.
        16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how different seeding methods and harvesting times affected the biomass partitioning of forage rice. Two rice varieties(Nokyangbyeo, Dasanbyeo) were planted by 4 different seeding method(rice transplanting, direct seeding on dry paddy, water hill seeding, water seeding). The heading date was delayed more than 10 days in water seeding and water hill seeding compared to that of rice transplanting method. The biomass production by harvesting times was the highest at 50 days after heading in two rice varieties and was high in order of direct seeding on dry paddy〉water hill seeding〉rice transplanting〉water seeding in seeding methods. The ratios of spikes dry weight to total dry weight increased, with time, after heading. But the ratio of leaf and stem dry weight to total dry weight decreased, with time, after heading.
        17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clear optimum planting time for yield enlargement by comparing yield with dry matter at Miryang from 2005 to 2006. Variety used were Daewon, Daepung, Daol and Cheongja 3. Seeding was performed on April 30 to June 30 with 20day intervals and planting density was 142,857 palnts/ha (70×20㎝, 2plants per hill) with black vinyl mulching. In R2~R4 stages, crop growth rate(CGR) was largest on June 10 seeding. Although net assimilation rate(NAR) increased as seeding date was delayed, NAR on June 10 seeding was the highest throughout the growth period. Positive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NAR from R2 to R4 the ratio of pod to total dry matter weight. The LAI and total dry matter weight at the R4 stage was higher at earlier seeding date. In the case when seeding date was delayed, the ratio of leaf(source) and pod(sink) increased. From the comparison of all factors such as dry weight, optimum LAI, and of source to sink, the optimum planting date for high seed production was June 10. The highest yield was recorded with on June 10 seeding. Also, this seeding date showed high ratio of seed yield to dry matter in R2 stage. Difference between surveyed pod no. and theological pod no. which was calculated by dry matter ratio compared with standard seeding date(June 10) at R2 stage was the smallest in June 10 seeding.
        171.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남부지역에서 5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파종기에 따른 녹두 생육과 수량 변이 및 vitexin과 isovitexin 함량 변화 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파종기가 늦을수록 개화일수, 성숙까지 일수와 재배기간이 짧았다. 반면에1차 성숙 후1차 수확까지(소요)일수, 각 수확기 간 소요일수는 길었다. 2. 수량은 1차 수확기 개체당 협수가 15.3개로 많은 6월 하순 파종이 가장 많았고, 표준 파종기 6월 상순보다 14%가 많았다. 반면에1차 수확기 협당 립수와 천립중은 7월 중순 파종이 가장 높았다. 3. 녹두 파종기별 수확횟수는 6월 하순과 7월 중순 파종이 2회로 가장 적었다. 4. 녹두 종실의 vitexin과 isovitexin 평균 함량은 7월 중순, 6월 하순, 5월 중순 파종 순으로 많았고, 특히 2차 수확 종실에서 이들 함량이 가장 높았다. 5. 이상의 재배기간, 수량, 수확횟수 및 vitexin, isovitexin 함량 등을 감안할 때 남부지역 녹두 파종적기는 6월 하순에서 7월 중순으로 보아진다.
        172.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식물의 약용적, 심리적, 공기정화 기능들이 심도 깊게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을 통합한 원예활동 및 원예치료활동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원예활동범위를 넓히고 조경사업, 원예치료활동, 원예관련사업 다각화를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계절과 월별로, 원예식물을 이용한 실내소형 컨테이너정원 조성 및 원예치료활동 등에 활용가능한 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식물의 생육시기와 기능을 분류하고, 절기별로 컨텐츠를 제안하였다. 관상화훼학, 약용학, 관엽식물, 채소학 등의 다수의 참고자료를 이용하였으며, Table 1은 장식식물의 유형에 따른 컨텐츠, Table 2는 채소/약용식물의 이용이나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기준으로 정리한 개발가능한 컨텐츠의 일례이다.
        173.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수확시기에 따른 도정수율은 메벼의 적기수확시기보다 5일정도 늦게 수확하는 것이 높았으며 품종에 따라서는 보석찰벼와 해평찰벼가 도정수율이 높았다. 2. 찹쌀의 특징인 불투명한 유백색은 수분함량 14.0%이상부터 점차 소실되기 시작하여 15.0%대에 마치 멥쌀이 섞인 것처럼 보이다가 16.0%이상에 도달될 경우는 거의 대부분이 멥쌀과 같은 외관을 나타냈다. 3. 수분 증가에 따른 찹쌀의 유백색 소실은 조기에 수확된 벼에서 더 민감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가능한 수확시기를 적기 이후로 정하는 것이 건조효율이나 찹쌀 수율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4. 찹쌀 고유의 유백색 발현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찰벼 건조수분의 critical point은 13.5%이하였다.
        174.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화의 생장해석을 위하여 3월 1일, 4월 1일, 5월 1일 및 7월 1일에 파종한 홍화의 생육상황과 생장분석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홍화의 발아기간은 저온기 3월 1일 파종에서 발아까지의 소요기간은 24일이었으며, 4월 1일은 8일이었고 고온기로 갈수록 빨라졌다. 나. 개화소요일수도 3월 1일 파종에서는 104일, 4월 1일에서는 79일, 5월 1일과 7월 1일 고온기 파종에서는 각각 65일과 58일로 단축되었으며 파종기별 생육은 3월 1일에 조기 파종한 것이 가장 좋았다. 다. T/R(Top/Root ratio)율은 줄기 신장기부터 수확기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7월 1일 파종은 전반적으로 3월 1일파종과 4월 1일 파종에 비하여 T/R율이 낮았다. 라. RGR(Relative Growth Rate)은 줄기가 신장하는 시기에 가장 높았고 개화기 이후는 급격히 생장량이 둔화되었다. 마. CGR(Crop Growth Rate)은 분지시기에 증가하다가 개화직전에 증가속도가 다소 떨어졌으며 개화기에 다시 증가하여 가장 높았다가 그 이후는 둔화되었다. 바. NAR(Net Assimilation Rate)은 줄기신장기에 가장 높았으며 3월 1일에 조기 파종한 것이 가장 높았다.
        175.
        200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역 주요 조림수종인 삼나무 종자의 침지시 온도 및 시간 조절을 통해 발아율을 향상시키고자 실시되었는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삼나무 종자의 발아적온은 20℃ 및 25℃이었으며, 고온인 35℃에서 가장 발아율이 낮았다. 또한 15, 20, 25, 30, 35℃의 온도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수분흡수율은 30℃ 및 35℃에서 높게 나타났다. 초기수분흡수속도는 30℃에서 가장 빨랐으며 본 실험 중 가장 저온인 15℃에서 가장 늦었다. 수분흡수속도상수 역시 고온인 30℃와 35℃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15℃와 20℃에서는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삼나무 종자는 35℃를 제외하고는 모두 30시간 이상이 경과한 후에 평형에 도달하여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온도별 침지시간에 따른 삼나무 종자는 발아율에 있어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30℃에서 48시간 침지한 종자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45.3%)을 보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무처리구와 유사하거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종자의 평균발아일수는 침지온도 및 침지시간에 따라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는데 침지 48시간까지는 대체적으로 균일한 수준이었으나 35℃를 제외한 나머지 온도조건들에서는 60시간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30℃ 48시간 침지처리의 경우는 무처리구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이외 대부분 처리구들은 무처리구 보다 평균발아일수가 길었다. 결과적으로 침지온도 및 침지시간의 조절은 삼나무 종자의 발아일수를 단축시킬 수는 없으나 기존상태로 유지하면서 발아율은 향상시킬 수 있다.
        176.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귀나무의 종자의 주요발아촉진법인 열탕처리에 있어 구체적인 처리시간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각각 0.5, 1.0, 2.0, 3.0, 5.0, 10.0분 동안 열탕처리된 종자와 무처리 종자, 24시간 침지종자의 발아특성 및 수분흡수특성을 비교한 결과, 발아율의 경우 열탕처리시 그 효과가 현저하였으며, 특히, 2.0분에서 그 효과가 가장 뛰어나 적정처리시간으로 판단되었다(p〈0.01). 그러나 평균발아일수는 무처리구와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02). 즉, 시간별 열탕처리는 자귀나무 종자의 발아소요일수 단축에는 효과가 없었다.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는 발아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흡수특성 중 수분흡수율과 수분흡수속도상수는 무처리구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발아특성과 수분흡수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발아특성 중 평균발아일수를 제외한 모든 특성이 수분흡수율 및 수분흡수속도상수 (24시간 침지)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r=0.854~0.931, p〈0.01). 그러나 초기수분흡수속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한편, 발아특성들 간에는 평균 발아일수를 제외하고 모두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으며(p〈0.01), 수분흡수특성들 간에는 수분흡수율과 수분흡수속도상수만이 상관성을 나타내었다(r=0.9508, p〈0.01).
        178.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의 수확시기 및 부위별 생육특성, scoparone과 capillarisin함량을 조사하여 약리 성분 함량이 높은 수확시기와 부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철쑥은 7월 30일경 꽃봉오리가 형성되었으며 8월 30일 만개하여 9월에 종자가 성숙되었다. 생육은 8월 30일에 가장 양호하여 생체중과 건물중이 높았다. 특히 이 시기에 엽은 관찰되지 않았고 생체중은 243.7g으로 높았는데 종실의 무게는 109.6g, 줄기의 무게는 134.Is이었다. Scoparone 함량은 종실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8월 30일 종실에서 6.50mg/g DW로 가장 높았다. 또한 capillarisin은 줄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엽과 종실에서 나타났는데 7월 30일 종실에 1.65mg/g DW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179.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initiated to explore the yield potential of bushbean by exploiting the interaction of variety, sowing time, and fertilizers containing N, P, and K Two varieties namely BARI Bushbean 1 and BARI Bushbean 2, three levels of fertilizer viz. control (N0P0K0 ), medium (N20P30K30 ), high (N40P60K60 ) and three sowing times (November 15, December 1 and December 15) were considered as treatment variables. Among the varieties, BARI Bushbean 2 always showed better performance for most of the yield and yield attributes duly attributed by the application of fertilizers ~circleda N: P: K = 40: 60: 60 respectively. The highest seed yield (1375.17 kg/ha) was recorded when the crop was sown on the 15th November with the supplemented soil nutrition status as above. The influence of sowing times indicate that there is a gradual trend of decreasing in seed yield and other associated parameters after first sowing (15th~;November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ulti-locational trial under varied sowing times with soil nutrition might potentially increase the long-term adaptation of bushbean in Banglade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