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블레이크는 아하니아의 서를 우주가 창조된 후에 신들의 판테 온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신화 형식으로 노래한다. 아하니아의 서는 유리젠의 서 와 로스의 서의 속편으로 이 두 작품에서 노래하지 않은 블레이크의 창조적 신화와 여성의 상징성을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유리젠과 푸존은 질서와 파괴, 분노와 희생을 상징하는 신의 양면성을 보여주고, 유리젠과 아하니아는 남성과 여성의 역할뿐만 아니 라 남성과 여성 사이의 비극적 사랑의 전형을 세밀하게 드러낸다. 현대인들은 이러한 창조적 신화와 여성에 관한 블레이크의 시를 감상하면서 상상력의 다양성과 현실 세 계와 내세 사이를 오가며 물질세계가 아닌 정신세계의 중요성을 자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후준비교육이 비혼 중년여성들의 노화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에 있 다 실험집단은 비혼 중년여성으로 통제집단은 기혼 . , 중년여성으로 균등하게 배정하여 각각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하는 혼합설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서 적용한 측정도구는 노화불안 척도이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노 화 불안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는 공변량분석을 적용하였 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비혼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인식 전체 점수뿐만 아니라 노화 불안을 구 성하는 하위요인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감소를 가져왔다. 노후준비교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노화 불안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 인식 향 상, 노화 불안 감소, 성공적 노화 기대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다.
기타 하리하란은 인도의 가장 주목받는 여성 작가 중 한 명이다. 그녀 는 자신의 상처와 굴욕의 경험을 기록하기 위해 자신만의 독특한 문체를 채택했다. 또 한 여성 문제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잘 알려진 사회운동가이기도 하며, 1995년 인도 대법원에서 힌두 소수자 및 후견법에 이의를 제기하여 인도 현대사에 있어 주목할 만 한 판결을 이끌어냈다. 그녀는 인도 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문제와 도전에 대해 탐구 하였다. 여성의 지위, 생활방식, 삶의 상태,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반응에 대해 논의 하였으며, 그녀의 소설을 통해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여성 인물들을 묘사하고, 남성 중심 사회에서 여성이 어떻게 대우받고 있는지를 드러냈다. 그녀의 소설은 여성들이 엄격한 사회 체제와 공동체적 구조 속에서 어떻게 이끌리고 통제받는지를 보여주는 실제 여성들의 상황을 반영한다. 그녀의 작품들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이러한 맥 락에서, 그녀의 첫 번째 소설 밤의 천 가지 얼굴은 남성 중심의 인도 사회에서 자 기 정체성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여성들의 문제와 도전을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은 세 명의 서로 다른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전통과 문화 사이에 끼어 있는 그들의 삶 의 기대와 현실을 조명한다. 각 인물은 자신만의 정체성과 자리를 찾기 위한 독특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시적인 문체로 구별되는 이 소설은 인도 사회 규범이라는 경로 를 따라 세 여성의 불안정한 여정을 그려내고 있다.
본 연구는 가족친화제도 잠재계층 유형이 미혼 여성의 결혼의향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 여 분석자료는 여성가족패널 9차년도 데이터 미혼 여성 538명을 대상으 로 잠재계층성장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친화제도 잠재계층 유형은 가족친화제도 최상집단, 기본집단, 최하집단의 3가지 유 형으로 분류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족친화제도 최상집단은 가 족친화제도 11개가 모두 제공되는 직장이었으며 전체 대상자의 9.6% 였다. 가족친화제도 기본집단은 가족친화제도 4개가 제공되는 집단으로 연구 대상자의 28.1%였다. 가족친화제도 최하집단은 11개의 가족친화 제도 모두가 제공되지 않는 집단으로 연구 대상자의 62.2%였다. 가족 친화제도 잠재계층 유형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친화제도 최하 집단보다 기본집단일 경우 결혼의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혼 여성의 긍정적인 결혼의향에는 가족친화제 도 등의 정책적 지원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중국 드라마 <겨우, 서른>은 “여성소재(女題材)” 열풍을 일으킨 작품으로 작가, 인 물, 관객 측면에서 모두 여성 주체성이 돋보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본고는 작품 속 여성 목소리를 통해 여성의 주체성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주인공들의 내레이션과 방백을 분석한 결과, 드라마 <겨우, 서른>은 기존 여성에게 부과되었던 신체와 일치된 목소리, 비자발적 발화, 비의미적 발화와 같은 특징을 거부하고, 여성 의 목소리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중국 현대 여성의 주체성을 드러낸다. 또 한, 시청자를 향한 주인공들의 방백은 시청자를 대화의 청자로 끌어들이며 그들과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새로운 ‘여성’ 목소리를 확립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는 전래 문헌과 출토 문헌을 비교 활용해 초기 유가(儒家)의 국풍(國風) 해석과 여성 이해를 탐색하고자 한다. 전국(戰國) 시기의 시경(詩經) 해석에서 여 성은 색(色)과 예(禮)의 긴장 속에 위치한 존재로 묘사되며, 색(色)은 부정적인 개념 이 아니라 예(禮)를 통해 조율되어야 할 자연스러운 인간 본성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한대(漢代)에 들어서면서 시경 해석은 경전으로서의 권위를 갖추게 되었고, 이에 따라 여성의 역할도 후비(后妃) 제도 안에서 재구성된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문헌 해석상의 차이를 넘어 제국 체제 내에서 여성의 역할과 규율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반영한다.
본 연구는 농촌 지역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 예방을 위한 통합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2024 년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총 20명의 여 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치매예방 교육, 공예치료, 원예치료, 손뜨개치료, 놀이·노래치료 등의 프로 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사전·사후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인지 기능 변화(CIST), 노인우울척 도(SGDS), 주관적 기억감퇴 척도(SMCQ)를 활용한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참여자의 반응과 경험은 면담을 통해 참 고적으로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들의 인지 기능이 향상되었으며, 우울감이 감소하고, 기억력 저하가 완 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일부 참여자 들은 배운 내용을 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모습 을 보였다. 본 연구는 농촌 여성 독거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인지 기능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 조한다.
Purpose: In this study, we aim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anxiety caused by illegal filming and to develop strategies to relieve this anxiety among young Korean women. Methods: Seven young Korean women were recruited through public announcements using the photovoice method, a type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hotographing,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photo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Participants engaged in various structured activities, including orientation sessions to introduce the research objectives and methods, photo taking to document their anxieties, photo submission and categorization, and focus group discussions to share their experiences and reflectio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six-step thematic analysis method to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indings. Results: Five themes and 11 subthemes were derived based on the participants’ anxiety about illegal filming. The first theme, “Tension that persists in everyday life” included cautious behavior on uphill paths, highlighting how anxiety shapes everyday decisions and physical behaviors in public spaces. The second theme, “Searching for illegal cameras due to anxiety,” encompassed specific actions that participants regularly undertook, such as using camera detection applications, carrying specialized preventive items, and routinely checking for reflections using fingers and mirrors to ensure privacy. The third theme, “Efforts to avoid harm,” detailed participants’ intentional selection of safe environments, such as utilizing secure restroom facilities, choosing locations equipped with safety mirrors, and consciously observing illegal filming prevention banners. The fourth theme, “Exposed to illegal filming crimes,” involved direct experiences with illegal filming crimes, including discovering holes in public restroom walls, encountering cameras concealed in shoes, and experiences with silent or disguised cameras. Finally, the fifth theme, “Mental distress due to accidental damage” resulting from unintended victimization, was poignantly captured in participants’ descriptions of having negativ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emphasizing the long-lasting impacts of such invasions of privacy. Implications: The findings provide critical foundational insights into the specific anxieties that young Korean women experience about illegal filming.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that can inform effective preven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Participants’ proactive behaviors, including adopting detection tools, carrying prevention-focused items, and using safety-enhancing public facilities, underscore significant efforts to manage personal anxieties. These individual-level strategies highlight the urgent need for broader, systematic, and institutional support structures to effectively combat and mitigate anxieties related to illegal filming. Sugges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irst,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e participant demographics by including women across various age groups and occupational backgrounds. Second, given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s inherent in the photovoice methodology, repeated studies are essential for uncovering additional meanings, themes, and deeper contextual understanding. Finally, future research employing the photovoice method should integrate diverse interpretive activities, allowing participants to analyze and articulate their photographic narratives more profoundly. Such comprehensive and multifaceted research approaches will significantl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women’s anxieties regarding illegal filming and contribute to developing more robust, effective, and responsive policy interventions and societal support mechanisms.
본 연구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일상 속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의 관 계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이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20대 여성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 대 여성 1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 속 성차별 경험은 20대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 속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 대 여성이 일상에서 성차별을 경험할 때 여성주의 정체성의 수준이 높아 질수록 우울이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성차 별과 한국에서 만연한 반페미니즘 정서와 좀처럼 변화하지 않는 사회 모 습에 대한 괴리감이 우울감을 강화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20대 여성의 우울에 여성주의적 실천방법으로서 개입이 필요하며, 여성주의 정체성 수준이 높은 여성이 경험하는 우울에 대하여 환경적·제도 적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4월 여성가족부에서 발표한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 본계획(2023~2027)’의 세부 정책에 대한 다문화가구원의 인식 조사를 수행 하고자 한다. 즉,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을 구성하고 있는 4개의 대과제와 14개의 중과제, 그리고 각 중과제별 주요 세부과제에 대한 다문화 가구원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IPA,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을 수행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A자치 단체 관내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다문화가구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IPA 분석으로 현재 추진되고 있는 다문화가구지원 사업들을 ‘지속유지영역’, ‘집중노력영역’, ‘점진개선영역’, 그리고 ‘과잉노력영역’으 로 구분하였다. 각 영역이 갖는 이론적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 화가구 지원 정책을 기획하고 집행하는 정부기관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 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다문화가구 지원 정책 연구의 고도 화를 위해,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책에 대한 다문화가구원의 중요도와 만족 도 관련 인식조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국내 다문화연구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 및 타 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자는 20개의 하위 구성요소 7개의 범주 를 제시하였다. 포커스 그룹인터뷰는 제주도를 제외한 5곳의 지역을 중 심으로 진행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다음은 전문가 5인의 예비문항 내용타당도 검증을 한 후, 결혼이주여성 노인 192명을 대상으로 1차 탐 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6개의 성공적 노화 요인과 35개의 문항 을 선별하였다. 2차 탐색적 요인분석(EFA)는 결혼이주여성 노인 382명 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5요인, 23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이를 바탕 으로 결혼이주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문항 검증 결과, 통계적으 로 유의한 요인 간 상관이 확인되었고 요인별 최종 내적합치도는 .832~.905이었다. 확인적 요인분석(CFA)를 실시한 결과 비교적 양호한 CFI, SRMR, RMSEA, TLI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결혼 이주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한 도구임 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중년 여성의 적응필요역량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Y시에 거주하는 50세∼69세 신중년 코칭 교육 여성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 터뷰와 요구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Colaizzi 방법과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중년 여성 들이 은퇴 후 자율적이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적응 역량으로 자긍심, 경제적 자립 능력, 사회적 소통 능력, 심리적 회복 탄력성, 평생학습 능 력이 도출되었다.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자긍심과 경제적 자립 능력이 가장 큰 격차를 보여 우선순위 과제로 나타났으며,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자긍심, 경제적 자립 능력, 사회적 소통 능력이 즉각적인 개선이 요구되는 핵심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신중년 여성의 주요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정 책과 교육적 지원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심리적 안정, 경제적 자립, 사회적 관계 강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삶을 지원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우울증 여성에게 게슈탈트 코칭을 적용하고 코칭 과 정을 분석하여 그 변화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병원에서 진단받고 우울 증 약을 6개월째 복용 중인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단일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게슈탈트 코칭은 주 1회 50분씩 총 2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코칭 과정은 게슈탈 트 코칭의 PRESENT 프로세스 7단계를 적용하여 그 회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는 자신의 우울감 뒤에 숨겨진 분노를 발견하고 스스로 주체가 되어 서 수용해보는 경험을 하였고, 현재 엄마와 갈등을 다루기 위한 힘이 생기면서 주변에 긍정적인 관계를 찾고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였으며, 복용 중이던 우울증 약의 용량을 줄이면서 자신의 힘으로 일상생활을 해보고자 시도하고 실 천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게슈탈트 코칭은 고객의 부정적인 정서 를 먼저 다루면서 목표를 위한 행동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둘째, 고객은 게 슈탈트 코칭을 통해 지금-여기에서의 순간을 인식함으로 미래를 위한 변화와 성장을 일으킬 수 있다. 셋째, 게슈탈트 코칭은 우리나라 20대 여성의 우울감이 감소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visual image effects regarding the design changes of sleeves and shoulders on plus-size women in their 20s and 30s to propose ideas for plus-size women’s clothing production and design. Based on a plus-size women’s basic raglan sleeve shirt, six types of raglan sleeve shirts with various design elements were developed using a 3D virtual imaging program to analyze the visual image effect of each pattern’s fea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shaped sleeve silhouette, exemplified by Pattern A2, makes the upper body look longer and slimmer as a whole. It also conveyed a sense of refinement and attractiveness, displaying positive effects regarding body shape and aesthetic perception. Meanwhile, O-shaped silhouettes, such as Pattern B1 and Pattern B2, showed positive effects regarding comfort and mobility, while Y-shaped silhouettes, such as Pattern C1 and Pattern C2, created a visually confident appearance. Furthermore, the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static images and dynamic videos on evaluation outcomes. The results showed that dynamic images enhanced immersion and vibrancy, thereby increasing focus on the apparel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visual image evaluation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not only raglan sleeves but also overall sleeve shapes.
This study is a continuation of previous research (Bae & Kim, 2024) that identified ways to improve the fit of commercially availabl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otards for women in their 30–40s through a survey and evaluation of wearing conditions. The previous study revealed that women in this age group struggle to find well-fitting leotards, despite knowing their body measurements. This issue arises because most apparel industries produce garments for women in their 20s, and grading differences do not sufficiently address the increases in bust, waist, and abdominal girth typical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leotard patterns that improve fit and comfort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Body surface data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using 3D body scanning technology, forming the basis for pattern design. Experimental garments were created to evaluate compression and determine the suitable pattern reduction rate based on material elasticity. Thus, a pattern reduction rate that offers suitable wearing comfort was proposed. Leotard patterns were developed from experimental results in the most popular styles: camisole and sleeved types. The final leotard patterns were presented after synthesizing results from wearers’ evaluations, compression assessments, and expert appearance evaluations. The final leotards were deemed appropriate for women in their 30s and 40s, demonstrating improvements in comfort, movement stability, compression, and appearance.
Women in their 50s undergo significant changes to their bodies, including weight gain and rapid increases in body mass index (BMI) due to menopau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asic bodice pattern suitable for women with a “square” body type, which is the most common type among Korean women in their 50s. We used a body shape avatar representative of square-body-type women in their 50s, provided by 6th Size Korea (KATS, 2010) as the model. This avatar was loaded into a virtual fitting program to evaluate the fit of the research patter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Using the 3D virtual fitting program, the ideal bodice pattern was found to be close-fitting, based on an analysis of the body surface of women in their 50s with a square body type. This population’s characteristic body features included a rounded back, forward-protruding waist, forward-tilted neck, and shoulder tips angled toward the center-front. Because of the protruding abdomen, the bodice’s waist dart value was lower than average. The base bodice design for this body type was adapted from the research pattern of Jun and Jang (2024). Adjustments for this study included adding 0.5 cm to the center-back length and designing the profile line from the back neckline to the armpit wall. Further, the front bodice waist dart was omitted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abdomen. After two rounds of revisions, evaluations of the virtual fitting significantly improved, with scores increasing from 2.38 out of 5 to 4.82 out of 5.
This study focused on Issey Miyake’s 14 womenswear collections from spring 2018 to fall 2024. Reviews and reports on these collections and the designer were collected from the American Vogue and the Women’s Wear Daily websites using the keyword “Issey Miyake.” Drawing upon the dress criticism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form of Miyake’s fashion designs identifying styles, descriptive features, and aesthetic values through the collection photographs. Implicit evaluations were derived through external interpretations and sociocultural analysis based on reviews and reports of Miyake’s collections and desig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iyake’s fashion design is avant-garde in style. Descriptively, Miyake introduced variations in silhouette through the three-dimensionality of pleats, exploring a new sculptural order. The aesthetic values of Miyake’s works extend beyond the fashion show realm, embodying natural beauty wearable in daily life, artistic beauty through the three-dimensionality of pleats, and a pursuit of new aesthetic values challenging existing systems and traditional norms. Externally interpreted, Issey Miyake is recognized for his diverse, practical, and innovative designs, and as the first Japanese designer to present shows in Paris. Sociocultural interpretations characterize of Issey Miyake’s works as a blend of tradition and modernity, an expansion of form through pleats and three-dimensional sculptural qualities, the result of ongo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ossessing timeless qualities transcending eras, and a pursuit of practicality and artistic excellence.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우울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 석하고 신체매력지각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 소재 폐경기 여성 25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델, bootstrapping기법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폐경기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은 우울과 통계적 유 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건강과는 정적(+) 영향을 보였다. 둘째, 폐경기 여성의 신체매력지 각은 우울과 통계적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건강과는 정적(+) 영향을 보였다. 셋째, 폐 경기 여성의 외모관리행동과 우울,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신체매력지각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폐경기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을 통하여 변화된 자신의 긍정적 신체매력지각이 우울과 정 신건강에 더욱 강화된 영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모관리행동으로 폐경기 여성의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중재변수로서의 타 당성을 제고하였다는 측면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직장인 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진행된 싱잉볼 명상 프로그램이 스트레스 지수와 뇌 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직장인 여성의 스트레스 관리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 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단순무선표집 방식을 통해 선정된 직장인 여성 16명으로, 이들을 각각 실험 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나누었다. 싱잉볼 명상 프로그램은 8주 동안 주 3회 50분씩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각 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통 계 분석은 유의수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스트레스 지수는 실험집단에서 명상 전보다 감 소한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증가하였다. 둘째, 뇌파 분석 결과, 세타파와 베타파는 실험집단에서 명상 전보 다 감소했으나 통제집단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알파파는 실험집단에서 명상 전보다 증가했 으나 통제집단에서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싱잉볼 명상은 직장인 여성의 스트레스 지수를 줄이고 뇌파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career trajectories among women with career breaks, using data from the 2019 National Survey of Women on Career Breaks (n=1,138). The data underwent preprocessing, including outlier detection, feature scaling, and class imbalance correction with SMOTEENN. Three machine learning models were evaluated, with the Random Forest model achieving the best performance. Key predictors included flexible leave policies, social insurance, remote work options, and job security.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upportive organizational policies in retaining female employee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longitudinal impacts and additional variables like organizational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