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육군 지휘관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리더십코칭의 효과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 군 리더십코칭을 받은 지휘관 74명을 대상으로 리더십코칭의 효과 및 만족 도에 대해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 설문은 이끌기, 리더다움, 품성, 역 량개발, 군사 전문성, 성과달성 6개 분야로 측정하였으며, 만족도는 코치 적극성, 코칭 필요성, 진단문항 적절성, 코칭기법 적절성, 코치 전문성 5개 분야로 측정하였다. 설문자료는 일표본 T검정, Kruskal-Wallis 일원배치분 산분석 등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사 전문성과 성과달성 측면에서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진단문항 적절성, 코칭기법 적절성, 코치 전문성 측면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위한 발전방안으로 코치 전문성 향상, 다양한 리더십 성향을 고려 한 코칭, 코칭 대상 계급 재검토, 리더십코칭 계량화 및 코치인력 다양화 등 4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육군 리더십코칭의 질적향상과 지휘관들의 리더십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군 전투력이 한층 더 높아질 것 으로 기대된다.
2024년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다인종·다문화 국가로서 사실 상 ‘이행기 문화’의 시기이자 ‘다문화 국가로의 체제전환’ 과정에 진입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변화, 요구를 반영한 국내외적 배경에 따라 이 민정책을 추진하는 주체 즉, ‘정책결정자(policy maker)’이자, ‘정책명령자 (policy commander)’이면서, ‘정책조정자(policy broker)’인 행정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한다. 특히, 현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형 이민정책’ 가운데 ‘출입국‧이민관리청 신설 방안’을 정책 사례로 선택하고, 선행 연구된 논문들과 관련 문헌, 연구보고서, 주무 부처의 국회 제출자료 등을 근거로 내용 을 비교 및 검토한다. 그 결과, 먼저, 국익 중심의 선별적 수용과 강력한 동화 주의를 지향하는 정책 기조에 대해 국익 개념이 갖는 모호성의 문제를 지적하 고 헌법적 가치와의 양립 필요성 등 인식론 차원의 재논의를 주장한다. 또한, 한국형 이민정책 추진을 위한 정부 차원의 미흡한 사전 조사, 정책 추진 근거 의 불균형에 따른 보완이 요구되며, 이에 한국인의 ‘신안보’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포괄적 안보의 관점에서 인간안보 및 사회‧경제적 위협요인을 최소화하 고 기존 제도의 붕괴에 따른 공백을 대체할 수 있는 정부의 역할과 기능을 강 조한다. 특히, 이때 정부에 강력하게 요구되는 것으로서, 선거에 따른 정부 권 력의 이동과 관계없이 한국형 이민정책 추진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확보해야 만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순환 구조의 리더십’을 다음과 같이 제언 한다. 정부는 첫째, 이민정책 내용의 전문성을 높이고 정책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한 ‘정책 리더십(policy leadership)’을, 둘째, 정부조직법 등 관련 법령의 통 과와 예산 확보 논의를 가능케 하는, 정책의 입법 성공을 위한 ‘입법 리더십 (legislative leadership)’을, 셋째, 이민정책을 단계별 진행순서(sequencing)에 따라 적절히 관리하고 책임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이민정책실명제를 시행하 는 등 ‘행정 리더십(administrative leadership)’을 갖추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new grading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to AI-based automatic sorting machines, reflecting curr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rends. The current domestic grading standards for onions in South Korea are based on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Quality Control Act”. They classify onions based on criteria such as uniformity, shape, color, and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Onion grading standards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bulb diameter and weight. However, in the actual domestic market, onions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a five-grade classification based on bulb diameter.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onions into eight grades, reflecting curr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rends in the domestic market. These grades are applicable to AI-based automatic sorting machines. Marketable onions were classified into A1 (extra large) to A5 (extra small) based on the diameter of a single bulb. Onions used for non-marketable purposes (processing) were classified as grade B. Additionally, grade C and grade D were designated for processing and disposal, respectively. By establishing quality grading classifications that align with current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market trends as well as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I-based automatic sorting machines, we can expect improvements in work efficiency and reductions in distribution costs. Following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comprehensive quality grading standards that include both external criteria (such as bulb weight and size) and internal criteria (such as detection of internal decay and disease occurrence).
This study sought to improve the accuracy of estimating national emiss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consumer solvent products (CSPs) by updating emission factors and category-specific activity data. The classification of the CSPs, which was originally proposed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 reorganized to reflect domestic consumption patterns in Korea. VOC contents, product sales, and atmospheric evaporation rates of the CSPs were analyzed for subcategories including personal care products, household products, and automotive aftermarket products to update their emission factors. Additionally, the category-specific activity data, previously based on only population statistics, were newly applied to 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ification, such as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the number of registered automobiles. The updated emission factors were calculated to be 1.90 kg/capita·yr for personal care products, 4.37 kg/household·yr for household products, and 2.36 kg/car·yr for automotive products. An evaluation of uncertainties revealed the limitation in the product classification, the shortage of sales data, and the lack of information on VOC contents depending on the product forms (liquid, solid, and aerosol).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detailed classification systems and standardized VOC content measurement methods, ultimately contributing to more accurate and practical assessments of VOC emissions from the CSP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New Zealand’s beekeeping industry and Manuka honey grading system to suggest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lans for Korea’s honey grading system. Manuka honey in New Zealand is harvested from the Manuka tree (Leptospermum scoparium). It is known for its various bioactive properties, including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s. Since 2017, the New Zealand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national certification and grading for all exported Manuka honey. For this purpose, compositions of Manuka honey across New Zealand have been investigated and four chemical indicators and one biological indicator have been established. Currently, Korea has been fully implementing a honey grading system since September 2023, which divides honey (acacia honey, chestnut honey, and miscellaneous honey) into 1+ grade, 1 grade, and 2 grade according to Enforcement Rules of the Livestock Act. The following seven indicators are used: carbon isotope consumption, moisture content, sugar ratio, hydroxytmethylfurfural, flavor, chromaticity, and defects, similar to Codex standards or European standards. However, details are modified to suit Korean conditions. To make the Korean honey grading system more stab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ntroduce different indicators for honey functionality and honey grading system matur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farmers in the honey grading system, secure consumer trust in the honey grading system, and continue to promote it.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integrating the carbon storage of grasslands in Gangwon province into the InVEST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model using large-scale digital land cover maps. Land cover maps from 1980, 1990, 2000, and 2010, obtained from the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were analyzed, with 28 maps examined for each year. Grassland carbon storage in Gangwon province was estimated through the InVEST softwar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grassland area showed an increase in 1990, followed by a declining trend, contrasting with the continuous reduction observed in actual managed grassland areas. Discrepancies between mapped and managed grassland areas were attributed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land cover maps, which included non-forage land uses such as golf courses, ski resorts, and green spaces, resulting in overestimations of grassland areas. To enhance accuracy, the adoption of land cover maps with refined grassland classification criteria is necessary. Accurate representation of grassland areas in land cover maps is critical for reliable estimation of grassland carbon storage using the InVEST software.
The Ansan Reclaimed Wetland, reclaimed in 1986 and maintained for 38 years, underwent two wetland function assessments to develop strategies for enhancing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The biota of the reclaimed wetland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pecies observed across most taxa, while the number of amphibian and reptile species decreased. Among legally protected species and specific species, Aix galericulata and Lefua costata were not observed, whereas Libellula angelina were introduced.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protection or improvement” and “enhancement.” Proposed conservation measures include removing planted shrubs, maintaining waterways, and installing gabion structures and wildlife corridors.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한 정책의 현황 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자립준비청년은 원 가정에서 분리되어 국가의 보호를 받다가 성인이 되어 보호가 종료된 뒤 자립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청년들을 말하며, 이들은 경제적, 교육적, 심 리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건 복지부 중심의 자립지원정책이 2019년부터 본격화되었으나, 지금까지의 연구와 논의들은 자립지원정책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 다. 본 연구는 정책자료와 학술자료를 바탕으로 자립지원정책의 현황과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자립지원정책은 부처 간 지원 내용에서 차이가 있었고, 이는 자립준비청년 간 자립역량과 자립수준의 격차로 이어질 가능성을 확인했다. 특히, 현 정책은 청년이 된 이후의 지 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청소년기부터 개인별 자립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로드맵이 부재했다. 이에 본 연구는 자립준비청년 지원 정책의 개선 방안으로, 자립지원 전달체계의 통합과 자립지원 방식의 다 각화를 제안하였다.
근로자는 작업중 발생하는 유해위험을 가장 먼저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주체이다. 기업 이 ESG 경영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자의 역할과 참여가 중요하 다. 특히 근로자의 작업중지는 급박한 위험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최후의 보루로서 산업현장에서 작동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학설비의 정비 및 보수작업 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근로자의 작업중지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작업중지 제도를 활성 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22년까지 18년간 발생 하였던 150건의 중대산업사고 중 정비ㆍ보수작업 중 발생한 총 54건의 사고를 분석하였 다. 정비ㆍ보수작업의 시작부터 사고라는 결과가 발생하기까지 사고요인인 사건(Event)과 조건(Condition)들을 논리적인 순서로 나타내고, 사고에 영향을 준 조건(Condition)들을 추론하여 직접원인(Direct Cause)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직접원인은 여러 명의 전문가 그룹(Focus Group)을 구성하여 직접원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위하여 계층화 분석법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을 통하여 최종 핵심 위험요인을 결정하였다. 최종 적으로 결정된 핵심위험요인은 최근(2023년) 발생한 사고사례에 적용하여 핵심위험요인 의 인지한 근로자가 작업중지를 실행하였다면, 사고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발굴된 핵심위험요인들은 사업주 책임경영의 일환으로써 화 학설비의 정비ㆍ보수작업 시 근로자의 작업중지 결정이 활성화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어 학습에서 한자는 단순한 문자 학습을 넘어 어휘 확장, 문해력 향상, 문화적 이해를 연결하는 핵심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의 한자 교육은 주로 단순 암기에 의존 하며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과 학습 성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 는 대학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자 학습의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단계별 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초급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기초 한자의 형태, 발음, 의미를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 자료와 반복 학습을 활용한다. 기본 부수 학습과 병음을 연계한 발음 연습이 포함되며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초 어휘를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중급 단계에서는 한자의 조합 원리를 활용한 어휘 확장 과 문맥 내 한자 사용법 학습을 통해 실질적인 독해 및 표현 능력을 강화한다. 부수 기반의 한자 조합 이해와 다양한 텍스트 자료를 통한 문맥 속 학습이 강조된다. 고 급 단계에서는 전문 용어 및 고급 어휘를 포함한 복합적인 한자 학습을 중심으로 하 며 전문 자료를 활용하여 심화된 문해력과 응용 능력을 배양한다. 본고는 초급, 중 급, 고급 단계로 나누어 학습자의 수준에 맞춘 체계적인 한자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한자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학습자들의 중국어 문해력과 어휘력을 체 계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ESG의 거버넌스(G)의 준법경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준법 경영 측면에서 사이버 정보 피해 유형과 사례를 분석하고 기업의 대응 방안을 연구하였다. 온라인 불법 정보 사례로 사이버 금융사기, 온라인 도박, 온라인 음란물, 권리침해 정보 유통으로 인하 여 사회적으로 지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매체 특성상 온라인상 피해는 글로벌하게 발생할 수 있어 다양한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기업의 다각적인 대응 방안 이 필요할 것이다. ESG 경영에서 사이버상 불법정보 유통 문제는 기업의 신뢰성과 지속 가능성에 직결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남북 분단 78년 현시점에서 정치, 경제, 문화, 사회체제, 모든 부문의 통합이 중요 하지만 남・북통일 후 국가와 사회의 안정을 위해서는 사법행정 그중에서도 교정행정 의 통합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정치적으로 복잡한 사정 속에 시간이 흘러 가상하여 20년 후인 2044년에 남・북 통일이 된다고 해도 준비 시간은 길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동・서독통일 후 4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깊은 후유증을 겪고 있는 통일독일을 보면 쉽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반도는 남・북 통일의 과제를 남・북한의 새로운 역사에서 완전히 삭제 할 수가 없다. 독일통일과정과 남・북한은 확실하게 복잡한 부문 에서 비슷한 부문도 존재하지만 다른 부문도 존재한다. 따라서 남・북 통일 후 안게 될 책임과 문제점들은 독일의 통일을 이룩한 경험은우리 에게 소중한 사례가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 후 북측지역의 교정정책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시하여야 할 것인가 보다 구체적으로 북한지역 교정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법 교정시설 복구 비용, 북한교도소시설 활용 방법, 북한 교정공무원에 대한 재임용 표준, 수용자 재분류, 개별처우를 위한 특별프로그램의 개발, 교도소 신축 시 건축 형태, 재임용 탈락자에 대한 행정소송 준비, 교도소시설의 의료지원 방안, 군교 도소와 민영교도소 분리 문제 등 수많은 문제들이 많다고 볼 수 있다. 통일 후 북한지역의 교도소정책의 문제는 그간 한국교정학회와 한국교정복지학회, 교정포럼 등에서 많이 다루지 않은 분야이다. 이 분야는 정치 상황이 지나치게 변동적 이고 민감한 특별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이제는 동독과 서독 통일 사례등 외국의 사례 를 비교하여 진지하게 검토해 보는 것도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병역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Z세대인 대학생이 인식하는 현행 한국의 병역제도와 여성 징병제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4개 학기에 걸쳐 전쟁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 중 19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 여 병역제도와 여성 징병제에 대해서 설문 조사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의 방법으로 SPSS 26.0의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하였다. 분석 결 과 한국의 병역제도는 모병제 전환이 필요하고 효율적이라고 답변하였다. 또한 남녀가 비슷한 수준으로 여성의 병역의무 이행을 위한 징병제 시행에 찬성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여성에게 적합한 병역의무 이행의 방법에 대해서도 제언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병역의무 대상자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한국 병역제도 발전 방향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병역의 당위성을 확보하여 국방정책의 수립 과 모병제 전환을 위한 논의의 시발점이 되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국내 동물매개 활동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 토끼 등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매 개 치료 동물 외에도 다양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동물 군을 발굴하고, 동물매개 활동 및 치료에서 파충류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매개치유 생물로 누에 나방(김소윤 외, 2022) 이나 수족관 물고기(최영복, 2023) 등을 이용한 선행 연구가 있었 다. 기존의 매개동물로 사용되는 개, 고양이, 토끼 등 포유류는 따뜻한 체온과 친밀감을 통해 안정감을 제공하지만, 파충류는 그와는 다른 자극을 유발하며 매개 동물로서의 안전 성과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있는 적합한 종들을 선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대상 파충 류로 도마뱀은 호주 턱수염 도마뱀(Bearded Dragon), 푸른 혀 도마뱀(Blue-tongued Skink) 등 2종, 뱀은 공 비단구렁이(Ball python), 우유뱀(Milk Snake) 등 2종, 거북은 붉은 다리 육지 거북(Red-footed Tortoise), 중국 상자거북(Chinese Box Turtle) 2종을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공격성이 낮고 인간의 핸드링에 익숙하며 체질이 강하고 환경변 화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은 종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비늘의 형태가 달라 다양한 질감을 느낄 수 있거나 신체 구조가 독특하여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종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된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 해 데이터를 검색하였다.
고령화 등 화장시설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환경오염에 대한 님비(NIMBY)현상과 혐오시설 인식 등으로 시설의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화장시설에 대한 공정 및 안전, 환경 관리를 철저히 하여 주민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높다. 연구에서는 화장시설에서 사용하는 암모니아 누출 등의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HAZOP 위험성 평가를 통해 잠재적 위험을 분석하였고, 공학적 및 관리적 대책을 도출하였다. 또한 누출된 암모니아가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ALOHA, CFD 시뮬레이션, 프로빗(Probit) 분석 등의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온도에 의한 영향은 미미하지만 풍속과 대기안정도는 확산에 영향 을 미치며, 암모니아 중화 정도는 확산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대응 을 위해 유족이 이용하는 구간의 관심농도 기준 최소 실내 대피 가능 시간은 7분 이내로 나타났고, 실외의 경우 치사량이 3~4%로 나타났다. 실내와 실외 환경을 모두 감안하여 비상대피 계획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가 화장시설의 위험성을 줄이고, 환경적 측면에서 화장시설 운영사업자의 ESG 경영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 충주중원문화재단이 개최하는 충주문화재야행의 발전 방향과 지속가능성을 문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충주문화재야행은 여타 지자체와는 달리 충주중원문화재단 에서 직접 기획하고 전체 운영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의 의지와 지역문화재단의 역할을 함께 도모해 볼 수 있다는 점은 중요한 부분이다. 충주문화재야행은 2021년에 문화재 야행 사업으로 선정되어 2022년에 이어 2023년까지 3회 연속 진행되었다. 충주시 소재 유무형 역사 문화재를 중심으로 한 지역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사업을 추진하여 충주시의 역사적, 지리적 문화재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충주지역의 역사문화 우수성을 널리 알리 려는 목적이 있다. 야행의 주요 프로그램은 테마별로 야경(夜景), 야로(夜路), 야사(夜史), 야설(夜說), 야화(夜畵), 야식(夜食), 야시(夜市), 야 숙(夜宿)까지 총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주중원문화재단의 충주문화재야행은 문화재청에서 시행하 는 충북지역 문화유산 야행 사업으로 선정되었고, 지역을 대표 할 수 있는 야간특화 프로그램으로 활성화할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전반적인 사항을 재검토할 때가 되었다. 충주문화재야 행을 통해 그 지속가능성을 살펴서 야행으로서의 미래가치와 고품격 문화유산 야행으로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주문화재야행 프로그램에 대한 방문객의 반응 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충주문화재 야간관광 프로그램을 다른 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도록 개선,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보편적 문제로 자리 잡은 직무 스트레스의 해소를 위해 직무 컨설 팅과 상담적 해결방안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100명의 직장인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직장인들을 중 심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였으며,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 컨설팅과 상담적 해결방안 모두 직무 스트레스 해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직무 컨설팅을 받은 그룹과 상담적 해결 방안을 받은 그룹 모두에서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직무 스트레스 해소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과 개인이 직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해소하는 데 있어 직무 컨설팅과 상담적 해결방안이 중요한 방법론임을 시사한다. 더욱이,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상담 요구와 관련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상담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에 있어 중요한 지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ought various way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aste fishing gear and promote the recovery. It is expected that the problem of waste fishing gear can be effectively solved through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education and publicity, technical measures, establishment of recovery infrastructure, and provision of incentives. In particular, introduction of the waste fishing gear recovery promotion point system gives fishermen practical motivation. It can be an important means of inducing leisure and sustainable fishing activities. In addition, by inducing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ompanies, it is expected to promote the recovery and recycling of waste fishing ports and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fisheries resources.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should actively review the measures suggested in this study and prepare related laws and polic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and support sustainable fishing activities through public-private cooperation.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goals in the fishing sector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suggests an early stage plan, and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find and improve practical effects through pilot project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anagement of closed fishing gear and carbon neutrality practice measures at the global level by seek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measures. Consequently, more effective and sustainable marine environment and fishery resource protection measures can be prepared.
우리나라 헌법 제107조 제3항은 재판의 전심절차로서 행정심판을 할 수 있 으며 절차는 법률로 정하되, 사법절차가 준용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그리고 행정심판법 제4조 제1항에서는 사안의 전문성과 특수성이 인정되면 필요에 따 라 개별법이 정한 특례절차에 따라 심판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 한 특례절차에 따른 행정심판을 특별행정심판이라 하는데, 해양안전심판, 특허 심판 및 조세심판 등이 있다. 특별행정심판 중에서도 해양안전심판은 해양사고의 원인규명재결뿐만 아니 라 해기사 등에 대한 징계재결까지도 심판의 결과로 도출하는 특별한 형태의 행정심판으로서 구술변론주의, 대심주의 및 조사관의 청구독점주의 등을 채택 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관은 해양사고관련자를 조사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어 해양사고관련자와 대등한 입장이라 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상대적 약자인 해양 사고관련자의 정당한 권리구제와 방어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심판변론인 제 도의 적극적 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해양사고심판의 심판변론인제도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 고, 다른 특별행정심판인 특허심판과 조세심판 제도와 비교·분석하여 해양안전 심판의 심판변론인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국제사회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을 끊임 없이 해오고 있다. 그러한 노력의 결실로 유엔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 파리 협정이 채택되었고, 교토의정서에서 따라 해운산업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 한 권한을 위임받은 국제해사기구에서는 MARPOL 부속서 Ⅵ을 통하여 여러 조 치들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 세계는 녹색해운항로를 구축하고자 노력 하고 있다. 그러나 녹색해운항로는 친환경연료 공급 인프라가 중요한 요소인 데, 이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초기투자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녹색해운항로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녹색해운항로의 활성화를 위하여 국가 차원의 방안으로는 친환경연료공급 실적을 국가결정기여로 인정하고, 민간 차원의 방안으로는 친환경연료공급 실 적을 배출권으로 인정해주며, 이러한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법제도적 활성 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