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민속문화는 중요한 관광자원으로서 지역의 경제발전을 효과 적으로 촉진하고 민속문화를 보호하여 홍보하며 지역의 관광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민속관광 개발은 민속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래문 화가 관광지 문화에 미치는 문화적 충격, 과도한 개발로 인한 민속유산 훼손, 민속풍토의 동화, 민속문화의 저속화 등의 문제 가 생긴다. 본 논문은 중국 민속관광의 발전과 민속문화의 보 호를 위하여 네 가지 요구 사항을 제시한다. 즉, 개발과 보호, 전승과 발전 간의 관계를 올바르게 처리하고, 지역 실정에 따 라 관광자원을 개발하고, 정책적인 지도를 강화하여 지역사회 에서 민속문화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임이다. 아울러 전문 인 재를 양성하여 민속문화에 대한 연구와 전승을 확대해야 한다 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5,200원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958년 처음 짐 맥게리(Jim McGarry)를 비롯한 창립 멤버들 이 <슬라이고예이츠학회>(The Yeats Society of Sligo)를 설립하고, <예이츠 컨트리 예술 축제>(Yeats Country Arts Festival)를 그해 5월에 개최하고, 그 이후오늘 까지의 예이츠 섬머스쿨의 연대기적, 문화적, 학술적 성장과정을 Sligo 지도와 예이츠의 전기 적 사실에 기초한 역사적 자료를 제시하면서 세밀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역사적 배경에 기초하여 예이츠 학자들이 <예이츠 인터네셔널 섬머스쿨>(Yeats International Summer School)을 운영해온 과정을 그린다. 또한 예이츠의 시와 학자들의 예이츠 시 의 이해를 중심으로 자세하게 연대기를 작성하여, 특히 창립초기의 학문적 배경과 문 화적 배경을 탐색하여, 이른바 슬라이고의 “조그만 지하문화”(Sligo’s small cultural underground)에서 성장하여 슬라이고 민속촌으로 변모해가는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5,500원
        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광지 및 공공공간에서의 사인 시스템은 대상지에서의 즉각적이고 명확한 정보 안내는 물론 현장에서의 다양한 이용자 계층을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 한국전통문화 관광지의 하나인 한국민속촌을 대상으로 정체성, 통일성, 가독성, 내구성, 위치의 적합성 등 5가지 조성원칙에 입각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인시스템에 대한 문헌분석, 한국민속촌 사인시스템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실제 이용자 150명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조성원칙이 전반적인 사인 이용 만족도와 어떤 상관성을 갖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체성, 통일성, 가독성, 내구성, 위치의 적합성 등 사인시스템의 5가지 주요 원칙들과 사인의 이용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민속촌의 경우 통일성과 가독성이 사인의 이용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내구성과 위치의 적합성은 사인의 이용만족도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5개의 주요 요소들간에는 정체성과 통일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일성과 가독성, 정체성과 위치의 적합성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000원
        5.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민속문화는 예이츠에게 큰 의미가 있다. 그는 슬라고와 골웨이 현 지역의 야담, 민속, 및 민요를 수집하여 민속집을 간행했다. 원시민속문화와 창조적 작품으로서 예이츠의 민속집은 그가 국민시인으로 성장하는 창의적 작가이면서 독창적인 인속학자인 사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우리는 그 근본과 원인을 오컬티즘으로 돌린 수 있다. 그가 재생시키려고 한 민속전통은 그의 시와 시학의 불가분의 부분이 되며, 이로써 엘리트 앙글로 아이리쉬 계층과 카톨릭 농민들을 위한 신비주의적이고 보편적인 문학을 만들고, 이로써 중교적 정치적 갈등을 풀고 문화의 통합을 달성한다.
        4,500원
        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청금석」과 브라운의 「나의 레이니」에서 예술의 마술으로 비극적 장면이 행복의 장으로 바뀐다. 「청금석」에서는 “구슬픈 곡조”조차 기쁨을 만들고, 블루음악은 청중으로부터 고마움을 일으키는 군중의 흥미를 만드는데 이는 레이니의 기교를 통해서 노래로 만들어진다. 아일랜드의 문예부흥과 신흑인 문예부흥 사이의 연관성이 있는데, 토속적 언어, 음악성, 그리고 공연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두니의 바이올린연주자」와 「성인들이여」는 둘 다 “예술에서의 자기존중에 대한 갈망”을 표현하 는 민속과 강하게 연관된 토속적 시의 전통을 만들어 내기 위해 민속의 중요성을 전경화 시킨다.
        4,900원
        7.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본과 한국에서 기독교의 수용과 발전에 대조적 유형이 존재하는 것에 주목하여 이 두 이웃 나라에서 개신교와 일반 대중의 종교성을 비교함으로써 동아시아의 ‘종교성’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한국의 경우 근대화의 정신과 개신교 양자가 결합한 것이 중상층(‘엘리트 종교성’)에게 매력을 준 반면에,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한국적 종교성(무속신앙)과 오순절 성령운동 기독교의 결합은 중하층(‘대중 종교성’)에게 한층 매력적인 것이었다. 보수적 개신교(장로교 혹은 순복음교단)와 무속신앙(민속 종교의 실천) 양자의 관계가 자연스러운 한국에서 신약성서의 축사(귀신쫓기)와 치병의 행위를 강조하는 기독교의 성령운동적 형태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본의 경우 민속 종교와 무속신앙을 믿는 일반 대중은 천리교, 금광교, 창가학회 같은 이른바 ‘신종교’에 이끌렸다. 특히 1960년 이래 이 신종교들은 치병은 물론 가난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공하였다. 일본의 상황에서 기독교는 사무라이(무사) 계급을 주로 개종시켰는데, 이들은 여전히 유교적 에토스(‘엘리트 종교성’)를 놓지 않았다. 이로부터 기독교는 주로 일본 사회의 교육받은 ‘상류’ 계층의 사람들로부터만 계속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7,800원
        8.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平凡的世界』는 중국 當代작가 路遙의 생전 마지막 소설작품이자 유일한 장편소설이기도 하다. 『平凡的世界』는 한 때 인기를 얻었던 『人生』의 후속작품으로 작가는 陝北 농촌마을의 一草一木과 거기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상을 묘사하는 한편, 그 일상과 함께 어우러져 나타나는 陝北의 민속문화를 자연스럽게 묘사해내기도 하였다. 陝北은 수 천 년의 역사변천 을 거친, 특수한 지리적 환경을 가진 지역으로, 해방전쟁시기 革命區라는 신분까지 더해지면 서 민속문화가 형성되었고 변화를 거듭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陝北의 민속문화는 陝北 사람 들의 생활 속 깊이 자리 잡게 되었고 영향을 주기까지 하였다. 路遙도 바로 이러한 陝北의 민속문화 속에서 성장하였고, 陝北에 대한 사랑이 지극한 나머지 고향의 경물을 담은 『平凡的世界』를 창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路遙는 『平凡的世界』에서 陝北의 음식·가무·주거·언어문 화를 묘사함으로써 陝北 농촌마을 사람들의 순박한 삶을 노래한 동시에 당시 시대 에 처한 陝北 농촌의 현실을 고발하기도 하였다.
        4,900원
        9.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탑돌이는 예경의 대상인 탑을 도는 종교의식이지만, 마당에서 많은 인원이 함께할 수 있는 개방성을 지녀 민속적·축제적 성격이 짙다. 특히 탑돌이는 주로 밤에 등을 들고 행하는 의식이기에 연등(燃燈)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 다. 의식이나 놀이로 불을 밝히는 일련의 풍습 또한 광범위한 문화적 기반을 지니고 있어, 탑돌이와 연등은 불교의식에 국한하기보다는 종교민속적 토대 위에서 다루는 것이 전승양상의 의미를 밝히기에 보다 적합하다. 이처럼 탑돌 이에‘탑·돌기·연등·달’이라는 종교적 정서의 핵심을 이루는 요소가 결집 되어 있어 이를 중심으로 탑돌이의 종교민속적 상징성을 분석하였다. 불교에서‘탑’은 붓다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건축물이지만, 하늘을 향한 수 직성은 마을돌탑·돌무지와 솟대·장승·서낭대·볏가릿대 등 입간(立竿) 구 조물과 함께 일종의 신간(神竿)이자 우주목(宇宙木)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만월 아래서 탑을 도는 것은 우주의 중심에 있는 경배대상을 찬탄하는 몸짓이 자, 달의풍요와생명력을담은지상의리듬이라할만하다.‘ 돌기’의행위는 경배의 대상을 돌아 예경하거나, 달을 모방한 원을 그려 풍요와 생명력을 소 망하는 뜻을 담고 있다. 아울러 도는 것이 밟는 것과 이어지고, 여러 장소나 넓은 공간을 도는 것으로 연결고리를 이어 탑돌이·지신밟기·세절밟기·성 밟기처럼 돌기와 밟기와 순례가 결합된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인도와 한국의 기록에서 초기 탑돌이가 밤에 이루어졌듯이 탑돌이는‘연 등’과 맥을 함께하는 의식이었고, 초기의 연등민속은 보름과 밀접한 관련 하 에 성행하였다. 이는 보름달이 상징하는 풍요와 재생을 지상의 섭리로 옮겨놓 기 위한 주술적 기원에 해당한다. 보름밤의 탑돌이는 만월(滿月)이라는 자연 주기를 탑돌이의 주된 요소로 수용함으로써 종교적 정서에 합당하며 전통 탑 돌이의 원형적 면모를 지닌다는 점에서, 가장 한국적인 전통 종교축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달의 축제’로서 탑돌이의 상징성에 주목한다면 탑돌이는 달이 뜨는 밤 시간, 가능하면 보름의 밤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음력 문화와 전통세시풍속의 전승주체인 사찰에서는 달의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체계적으로 전통세시를 전승해온 집단은 불교권이 유일하여, 달 의 축제인 탑돌이를 통해 달의 변화로 진행되는 시간의 흐름을 재조명하면서, 전통과 현재를 연결하는 대표적 축제로 승화시켜갈 만하다. 또한 탑돌이는 등을 들고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돌이의 핵심은 탑을 돌며 불법을 마음에 새기는 것이기에, 스스로를 밝히는 등을 들고 참여하는 것은 그 의미를 더욱 깊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축제적 측면에서 보면 탑돌 이는 자신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일종의 행렬이며, 연등은 밤에 행하는 불교 축제의 핵심요소에 해당한다. 따라서 축제의 상징인 등을 직접 밝혀들고 탑돌 이 행렬에 참여하는 것은 축제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7,000원
        1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hieroglyph “文”, I have continued to have some doubts from what is brought. But when I have looked at“滄源崖画”(Wall paintings on cliff. There is this painting in Yunnan. It is maid about three thousand years ago), I found out the new interpret. I noticed that the described persons on the “崖画”(Wall paintings on cliff) wear poncho(“貫頭衣”). The reason why I found out that originates from the association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described persons on the “崖画”and the described persons on the Japan’s “銅鐸”(dotaku ;   , a bell-shaped bronze vessel of the Yayoi period). Both of them wear a poncho(“貫頭衣”). Furthermore the mark “× ”of “ ”(“甲骨文”of “文”) shows tattoo(“文身”)marks. The ancient race in the south China that live in the house of a raised-floor construction have two characteristics. They are “貫頭衣”and “ 文身 ”. Therefore the model of “ ”originals in this both characteristics. Until now model of “ ” has been thought the person of Shan(商). The conventional idea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 shape of “ ” belong to the character of “大”. The idea that “大” is the front shape of a person is popular. The character of 爽・狭・夫・天・央・夭 belong to the character of “大”. But “文”not belong the genealogy of “大”. Therefore “文” is the character of the individual genealogy. The model of “文” means the person that wear clothes(that is“貫頭衣”).
        5,800원
        1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 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수행하였다. 11개 시∙군지역의 주민 5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885 건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민속식물은 총 66과 137 속 140종 2아종 12변종으로 총 154분류군이 확인되었 다. 지역별로는 완주시가 135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고 창군이 128분류군, 무주군 104분류군, 진안군 103분류군, 부안군 87분류군, 정읍시 69분류군 등의 순으로 높게 나 타났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112종류, 약용 62종류, 관상 4종류, 염료 3종류, 유지 3종류, 향료 1종류, 수액 1종류, 향신료 1종류, 기타 9종류로 식용과 약용의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이용부위로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전체 순으 로 나타났다. 표준식물명과 각 시∙군별 지방명의 일치 에서는 무주 (59.4%), 완주 (51.8%), 부안 (51.0%), 고창 (50.4%), 순창(46.3%)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 적으로 민속식물의 이용정보는 대부분 구전으로 습득하 였다.
        4,500원
        13.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Braille Painting·Munja(Character) Paint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culturally underprivileged people for the first half of 2013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provide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process how the visually challenged people experience and apprehend traditional art through the museum’s education program that focuses on Hyoje Munjado(character painting), traditional Korean folk painting. The <Braille Painting·Munja(Character) Painting> program helped the attendees with visual disability to learn about the folk painting, Hyoje Munjado, exhibited in the museum, and re-interpret and visualize the meaning of eight characters of Hyo Je Choong Shin Ye Ui Yeom Chi (filial piety, brotherly love, loyalty, sincerity, etiquette, fidelity, integrity, and shame) based on one’s unique experience, and create an art work of their own. This program was distinct as it allowed those with visual disability to learn about the ethics and culture of the Chosun society through the contents of Hyoje Munjado, while at the same time helped them experience the process of art creation by making an art work of one’s own. Hyoje Munjado is a special type of painting in which eight Chinese characters of Hyo Je Choong Shin Ye Ui Yeom Chi, the key ethical virtues of the Chosun society, were written and old sayings and figures are symbolized and drawn into the strokes in the eight Chinese characters. The ethical virtues expressed in the painting are still considered socially important and the program attendees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Hyoje Munjado reflected in their life and create their own munjado based on such contextual understanding. The program demonstrates how suitable a contextual understanding from constructivism perspective is i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of museums for the museum visitor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visually challenged. Furthermore, the program clearly indicates the effects of a constructivism education that creates a new meaning through a contextual interpretation of experiences in the education for the visually challenged. Although the program started out of an exploration into how to enable those with visual disability experience art, it also appears to be effective in allowing people with rare access to art and history of art experience art in their daily life experience.
        5,400원
        14.
        201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民俗学とは古くから民間で伝承されてきた有形及び無形の民俗資料をもとにし、人間社会に伝承されてきたものの歴史的変遷を明らかにし、それを通じて現在の生活文化を相対的に説明しようとする比較的に若い学問である。また、こうした習俗の検証を通して伝統的な思考様式を解明しようとする学問でもある。民俗学という学問の背景には、近代化によって多くの民俗資料が失われようとするとき、消えゆく伝統文化へのロマン主義的な憧憬やナショナリズムの高まりなどがある。 アジアにおける民俗学といえば、学問としては日本において一番早く確立されたといえる。特に、日本ではイギリスのケンブリッジ学派などヨーロッパの影響をうけて、柳田國男や折口信夫などの研究者によって近代人文科学として完成された。民俗学は、通常はFolkloreの訳語とされるが、Folkloreは民間伝承それ自体を意味ずる傾向が強く、英語圏では民俗学をFolklore-StudiesやFolkloristicと呼ぶこともある。 現在社会において、民俗学が主たるフィールドとしてきた閉鎖性の高い農村は実質的にほとんどが消滅している。現在では、農村人口は都市人口に圧倒され、都市住民および都市の生活様式が一般性をもつようになった。したがって、一見伝統的な生活様式を保っているようにみえる地域にも、過疎化や観光開発、産業構造の変化などにより、古いタイプの民俗調査ではカバーしきれないのが現状でもある。こうした対象の変化に対して、現代の民俗学はさまざまな新分野を開拓しつつある。 日本の民俗学研究においては、1970年代~80年代には「民俗の消滅」が盛んに議論され、都市民俗学のブームやアメリカ民俗学の影響を受けた都市伝説研究が多く見られた。また1990年代以降は、現代社会のシステムと地域の関係を問う研究が多く行われてきた。特に、観光人類学の影響を受けた地域開発や観光化の研究、文化財制度の研究などが増加してきたのである。そして、日本と韓国、中国や台湾、東南アジア、ヨーロッパなどをフィールドに、比較民俗学の観点からアジア諸国の実地調査を行う研究も多様に現れている。このようことを背景にオンドル民俗を考察することは大変有意義なことである。 オンドルの発生と発展、変遷に関する遺跡は、新石器時代の韓半島各地の遺跡を始めとして、中国の東北部、日本でも多く発見されている。オンドル民俗の研究体系を整えることは、広範囲に渡るオンドル文化に関する学問的に解釈につながり、オンドル文化圏の人たちの営みの姿を描き出してその根本を明らかにすることができる。 オンドルは韓国式家屋の主要な構成部分である。韓国式家屋は単純な建築物ではなくオンドル文化圏の人たちが一生を生きていく日常生活の基盤であり、人々の精神世界の具体的な表現でもある。そのなかで、韓国式家屋は家の跡地の選定、家屋の大きさ、構造の特徴、外形などにおいて自然景観との調和を根本としている。そこには人たちの自然親和的な生活観を表しており、自然に逆行するのではなく自然を受け入れ、調和しながら自然を活用する営みの知恵が隠れている。 李重煥の『択里志』によれば、韓国式家屋を位置の選定における明堂の条件は次のようである。家を建てるにあたって一番重要なことは、地形的な条件の地利である。そして、次が経済的な条件の生利、三番目が社会的条件の人心である。すなわち、その一番としているのは自然景観としての山水との調和であり、これが欠けると家を建てることは望ましくない。このような条件は、自然環境との調和による長期居住の可能性、生活に欠かせない生産地としての条件、人文環境の良さとして解釈することができる。 オンドルがある韓国式家屋は、自然と調和する第一条件であり、自然のふところに抱かれるように建てるのである。高麗忠烈王3年(1277)に朝廷の造成都監で宮廷を大きく建てようとしたときに、観候署で上述の理由でその建築を反対したことは良い手本である。 オンドル部屋を主とする韓国式家屋は、生活する人たちの身体とも深く関系している。 昔の韓国人の平均身長である五尺が家屋構成の基本単位であったのである。民家は一般的に十五尺の四方広さで建てられた。そこには、天地人の合計数である三と韓国人の平均身長であった五という人間自身の数値が関係して家屋の基本単位を成している。すなわち、古代韓国の家屋は、中宇宙をイメージして建てたのである。現代人が外から覗けば、部屋は少し狭いという感じを受けるが、中に暮らす人間にとっては最も安らかさを感じる空間の大きさだという。要するに、オンドルは原初的にお母さんの腹の中なのである。 オンドルをもつ韓国式家屋は、環境に対する配慮が多く現われている。燃料は主に藁や間伐材であり、かまどは植物性廃棄物を熱エネルギーとして焼却利用することができる。オンドルの煙道は地面と並行しており、30cm程度の深さである。オンドル下の沿道と煙を排出する煙突と繋がる部分であるゲザリは60cm程度の深さであり、沿道より相対的に温度が低いのである。したがって、煙はこの場所に留まりながら冷却され、煤煙がゲザリに落ちるようになっている。したがって公害物質を外に出すことを抑えることができたのである。韓国式家屋の材料をみすると、木と土、わらで成り立っており、オンドルは土と石でできている。要するに、全てをそのままに自然に返すことができたので環境ゴミの問題も存在しなかったのである。 オンドルをもつ韓国式家屋には、長い間の試行錯誤を通して得られた生活哲学と、生業の現場で反復的に観察され、熟練した多様な経験が集約されている。すなわち、オンドル文化圏の情緒と環境観の形成でもあったのである。このようなオンドル文化に対する研究は多様な分野で総合的に研究する必要がある。要するに、オンドルに対する研究は、建築学、歴史学、民俗学、地理学、経済学、生態学、地質学、生物学、医学などの多様な分野で総合することによって、オンドルと人間との有機的な関係を体系的に説明することができる。 櫻井龍彦は民俗学を技術という精神及び哲学的なものと、技量という人間の抽象的な知識と知恵の蓄積が具体的な形として表現される地域智(local knowledge)としても捉えている。このような見地からみれば、人間の生活におけるオンドルの役割と、自然に負荷を与えない親環境的な経験と知恵を現在と未来に応用することができる可能性がみえてくる。したがってオンドル民俗に対する簡潔な民俗学的な捉え方は、人間と自然の交渉である。人間と自然の交渉には、谷川健一が捉えている人間と神の交渉にその根本を問うことができる。 オンドルで暮らしていた人たちは、自然をどんな観念で眺めていただろうか? また、自然からどのような恩恵を受けてきたのか? オンドルが現在直面している不利な側面はどのようなものなのか? そして、人たちはどのようにその問題を処理しようとしているのか? 重要なことは、民俗学で捉える人間の知恵と技術は人間中心主義ではないことである。人間が自然と交渉することは、人間自身だけのためではなく、自然と人間の調和のためでもあり、人間は自然に対して常に完全勝利を追求するのではなく、自然と妥協してきたのである。このような交渉の過程において歴史的知恵と技術が発揮されており、オンドル民俗はその意味と意義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寄与できる。 オンドル文化圏の人たちは、オンドルで生まれ、オンドルで生活し、オンドルで死と向き合ってきた。多機能であり複合的なオンドルに対する民俗学的研究は、このような生と死を含んだ人間社会の集団的記憶や心理的な機能も課題として取り扱うべきである。要するに、オンドル民俗に対して、人間と自然、信仰(潜在的)という三者の有機的な関係を総合して考察する必要がある。オンドルに対する民俗学はこのようなことを目標とする学問でもある。
        3,000원
        1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eaching Korean folk-dance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four teachers conducting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ere interviewed on three topics; the general perceptions on Ko
        4,600원
        16.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울릉도지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수행되었다. 울릉도의 20개리에서 주민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한 조사야장 553장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51과 93속 98종 2아종 13변종 총 11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조사된 113분류군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5분류군, 희귀식물 14분류군, 귀화식물 5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다. 용도별 이용현황은 약용 72종류, 식용 65종류, 관상용 5종류 등으로, 약용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용 부위로는 잎, 열매, 뿌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4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70대에서 가장 낮았다.
        4,200원
        17.
        2012.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or plan types of folk houses or traditional vernacular dwellings found in Nagan Folk Village located in Joellanamdo province. Examining the floor plans appeared among 36 vernacular folk houses presumably built in the 19th century in the village by means of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bays of Anche, the mail block of the house, the study was also able to construct a spatial compositional process of floor plan development. The floor plan examination revealed that the basic floor plan type in Nagan folk housing was 'ㅡ' shape, a typical southern dwelling based 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This basic type is consisted of three bays or rooms: Jeongji (kitchen), Anbang (large room), and Jageunbang (small room). New spaces or rooms are added to this three room house to expand the house as the residential functions become more complex, such as more living and storage spaces. The expansion appears to have two direction. On the one hand, it has been taken place by inserting Marea, an open wooden floor living space between Anbang and Jageunbang to meet the extended living demand. On the other, Jeongjibang, a second kitchen/storage has been attached to Jeongji outward for extra cooking and storage. This two-way expansion shows the trend of symmetric expansion between cooking, storing space and dwelling space. It can be implied that the arrangement of house rooms has been structurally formulated and shared by the farmer-builders in the 19th century in Nagan village who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fixed images for housing.
        5,800원
        19.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the regional folk plants in northern area of Gyeonggi-do.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from 238 survey sheets of 223 residents at 65 places of 11 counties and cities from March to October, 2010, the folk plants in north of Gyeonggi-do consisted of a total 238 taxa; 84 families, 194 genera, 207 species, 3 subspecies, 26 varieties, and 2 form. The use by its usage was: 146 taxa; edible, 93 taxa; medicinal, 7 taxa; dye, 3 taxa; aroma, 4 taxa; spice, 4 taxa; ornamental, 12 taxa; fiber, 6 taxa; oil, 51 taxa; others, respectively, so the edible use is the highest. The most useful part was the leaf, followed by root and fruit. The consistency comparison between the scientific name and the local name was the lowest in 40's.
        4,300원
        20.
        2011.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지상파 방송의 어린이 TV프로그램이 왜 그렇게 축소되고 있는 지에 대한 문제의식 하에서, 텔레비전 어린이 프로그램의 제작에 관한 문제를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성찰해 보고자 MBC <뽀뽀뽀>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 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뽀뽀뽀> 프로그램의 기획 의도는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들이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키우고, 놀이체험 등을 통해 인지학습 및 사회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뽀뽀뽀>의 생산과정을 둘러싼 환 경들의 특성으로 여러 제작진들의 재능과 의견의 수렴을 통해 생산된 창작구성물, 프로그램의 ‘교육성’ 강화를 통한 학부모 ‘관심 끌기’, 다양한 루트를 통한 피드백 과 의견반영, 텔레비전 생산물 및 외주제작물로서 특징, 방송 편성 및 제작 환경의 열악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텔레비전 어린이 프로그램이 글로 벌 콘텐츠로서 제작될 수 있도록 회사차원의 정책적 배려와 관심, 과감한 경제적 투자,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과 장기적인 시간 투입의 필요성을 제기 하였다.
        8,4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