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anguage usage of outdoor advertisements and find ways to improve it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language. Anyone is exposed to signboards without limitations, and it allows the public to learn fixed language forms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public’s language lives. This study focuses on sign language as a public language. Here, signboards from four districts in Gyeonggi-do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ree ways. Signboards marked only in Korean accounted for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of the main words, whereas mixed types of characters were used together in the subwords.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of intentional violation of the language norm and listed only the initial consonants, those conscious of ambiguity. Results show that follow-up studies, such as conducting an additional survey, designating a demonstration area for the practical maintenance of sign language, and preparing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of outdoor advertisements, are expected to contin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ography of the language used on signboards with a focus on the typographical norms and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that consider exactly which factors are evaluated when approaching this 'signboard language' as a target of language policy.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signboard language have classified signboard language as an object of purification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f signboard language using quantitative research. This study takes a different approach to try and examine whi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classifying signboard language as an object of purification in the normative aspect.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signboard language markings on the Hangeul Sign Street in Insa-dong and interviewed a business owner who had experience signboard posting.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business owner, the producer of the signboard language, this study was able to find clues about the value of sign language-related transcription norms to the business owner and the direction of the language policy on the signboard language. In an interview with the sign language owner I tried to find clues about the value of the signboard language and the direction of the language policy toward the signboard language and looked at various factors to consider.
본 연구는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일개 척추전문병원 입원환자 중 미세현미경 요추간판제거술을 받은 환자로 실험군 26명, 대조군 2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χ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가간호프로그램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조기 관리지식(p=.001)과 일상생활관리지식점수(p=.005)가 더 높아 지지되었다. 또한 자가간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는 대조군보다 보조기 관리이행도(p=.011), 일상생활 이행도 (p=.007), 유해생활 습관관리 이행도(p=.011)가 높아 지지되었다. 따라서 자가간호프로그램은 요추간판제 거술 환자의 수술 전후 적용을 통해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및 자가간호이행도를 향상시켜 보다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Each municipality is promoting signboard improvement projects, but the effectiveness is not great.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signboard is manufactured the location of the shop is only dependent on the visual aspiration effect and it is not harmonized with the building by applying uniform design.
The signboard are installed almost everywhere in the city, such as residential, natural and commercial environments. And the signboard provides various services such as traffic information and life safety to customers. Also, by applying design and functional elements, we can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and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by enhancing the mutual connection effect of customers and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sign elements and functional elements of the signboard on customer preference. In other words, we conducted surveys and analyzes of 152 specialists and non-experts (customers, self-employ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functions and design elements of signboards are important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preference. Second, the function of the signboar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ustomer preference,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and the corporate image side function directly affect the customer preference. Third, color elements have a positive(+) meaningful effect on customer preference. Especially, similar color sign affects customer preference positively. Fourth, the signboard design component has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preference. In particular, typefa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preference.
Unlike other types of outdoor advertisements, rooftop signboards are installed on the roofs of buildings, rather than on their outer walls. This means that the area of a rooftop signboard is commonly larger than that of a general outdoor signboard. Moreover, as such signboards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wind, they can suffer a lot of damage from typhoons and strong winds every year. However, there is no wind load specification for rooftop signboards. In this study, wind pressu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ak wind pressure on each side of rooftop signboards installed on the roofs of 5–15 story buildings in a city center. The minimum peak wind pressure coefficient was –3.0 at the bottom edges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rooftop signboards and –2.0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sides . As the height of the rooftop signboard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height of the buildings, the peak value was found to be larger than the absolute peak value for the minimum peak wind pressure coefficient. The maximum and minimum peak wind pressure distributions of the rooftop outdoor signboards were influenced by the position of the signboard and the wind angle.
Indiscriminately installed signboards are messy in out of harmony with the urban environment. In such a case, improving signage project is needed to improve significantly the urban environment. Signboards are installed to give good perceptional effec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Also, Signboards are designed to make harmonize well with the urban environment because signboards are installed in virtually every place, such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natural environment, the commercial environment of the city. The design of signboards should consider functional elements as a perceptual media and the user interface communication in order to provide customers with various services such as traffic information and life safety. In this study, we analysis design and functionality the customer is seeking, and suggest design elements of signboards which can well harmonized with the urban environment.
경관해석에서 기호학은 매우 유용한 정보전달의 도구이며 도상기호(Icon), 지표(Index), 상징(Symbol)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도상기호를 통해서 가로의 간판에서 표출되는 항구의 가로경관의 특성을 밝혀내는 것이다. 그리고 가로 의 간판에 나타난 기호적 경관의 특성을 통해서 경관을 직접 관리하거나 경관정책을 제시하는 이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지는 경북 영덕군 강구항구이며, 연구방법은 가로의 간판에 나타난 도상기 호를 전수 조사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구항구의 가로 간판에 나타난 도상기호의 수는 모두 169개이며, 2차원 도상기호와 3차원 도상기호로 구성되어 있고 도상기호의 형태은 모두 34종이다. 그 중에서 가 장 많이 나타난 도상기호를 순서대로 보면 영덕대게 36.7%, 생선(회) 19.6%, 항구(배) 7.2%, 사람 얼굴 4.9% 찻잔 4..3%, 꽃 3.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평면적 도상기호의 구성비는 전체 도상기호의 구성비와 유사하나 3차원 도상기 호의 빈도는 모두 15개이며, 유형은 영덕대게와 생선(회) 2종류로 영덕대게가 93%, 생선(회)이 7%다. 이러한 도상기호는 이 지역 특산물인 영덕대게와 생선(회)을 표현한 것으로 이런 현상은 매우 흥미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상기호를 통한 강구항구의 가로경관의 특성은 특산물을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가로경관에 3차원적 도상기호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다. 또한 강구항구 가로의 도상기호를 유형화하면 동식물, 자연, 음식물, 생활서비스, 추상적 유형 등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주로 관광객들을 위한 가로와 인근 주민들을 위한 가로에서 표출되는 도상기호가 다른 양상으로 표출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가로의 도상기호는 해당 지역 주민들의 삶을 한마디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전주의 한옥마을을 전통문화 중심도시로 육성시키기 위해서 진행하였던 간판정비 사업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전체구성 방법은 표준화 디자인에 있어서 활용과 설명방법 그리고 각종 사인물에 있어서 올바른 설치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사인디자인 적용과 기본방향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 있어서는 전주시 시민과 외부인 그리고 한옥마을에 주거하는 주민 등 600명을 대상으로 한옥마을의 일반적 특성, 한옥마을의 정보습득과 이동성 그리고 한옥마을의 간판 규제와 범위 등 3분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주한옥마을에 있어서 디자인 컨셉과 세부적인 간판 적용방법을 규정하였고 사인물 디자인에 대한 픽토그램과 전통 한옥에 있어서 사인물 설치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주한옥마을에 대한 사인물 정비의 행정적 절차 규정에 있어서는 전주시와 간판 광고업자, 한옥마을 심의위원회, 지역주민의 상호협력 방법 등 행정적으로 사업 진행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 사인디자인 사업진행 방향을 종합하였고 관련 담당부서와 협의를 통해 앞으로 전주한옥마을을 전통과 역사가 잘 보존된 지역으로서 육성 발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재고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적재하는 위치나 장소가 바뀌는 경우에 재고의 현황을 알 수 있다. 많은 정보를 태그에 보관할 수 있어 제품관리가 용이하다. 제품의 이력상태를 바로 알 수 있으며, 열이나 물 등의 이유로 인하여 바코드를 사용할 수 없는 곳이나 공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RFID는 바코드 시스템의 장점을 포함하고 있고 제품개체에 대한 실시간 파악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RFID는 유통 및 생산시스템 사용이 크게 확대될 것이다. RFID를 이용하면 Just In Time 생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RFID를 이용하여 간판생산방식의 도입에 적용하는 데 있다.
TOC는 90년대 후반부터 경영혁신의 방법론으로 크게 부각되어 다방면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DBR이론은 기존의 다른 생산시스템보다 생산현장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쉽게 접근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서 산업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론에 비해 현장에 직접 적용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방법론에 대한 해석이 부족하고 전문적 노하우를 통한 체계적 방법부터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서 최근의 DBR 연구추세는 6시그마나 간판방식 등과 결합되어 새롭게 해석된 방법론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간판방식을 응용하여 DBR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특히 DBR의 핵심요소 중 하나인 Buffer 관리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해 제시하고자 한다
간판시스템의 목적은 최소한의 자원으로 수요에 대처하고, 궁극적으로 생산리드타임을 단축하여 제품생산원가를 줄여 대외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있다. 간판생산시스템은 수요에 따라 생산하여 최소한의 재고를 보유하고 공급하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생산에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간판시스템을 도입하는 데에는 생산시스템에 많은 조건들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간판시스템은 JIT 생산시스템을 이루는 하부구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때 성공적인 도입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우리나라 기업, 특히 중소기업에서의 간판시스템 도입 시에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과 절차 등 표준모델을 제공하는데 있다.
CVA(Cerebro-Vascular Accidant) and HLD(Herniated Lumbar Disc) induces psychiatric disorders as well as neural disorders. In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management of CVA patients(group A) and HLD patients(group B), these psychiatric disorders are as major and important as neural disorders. For investigating the rate and differ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between two groups, We examined them with SCL-90-R(Symptoms Check List-90-R),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among psychological test. th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group A, phobic Anxiety was most high, and somatization, psychoticism,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interpersonal sensitivity, obsessive-compulsive and paranoid ideation were located by score. 2. In group B, somatization was most high, and phobic anxiety, hostility, depression, psychoticism, anxiety,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paranoid ideation were located by score 3. According to SCR-90-R test, group 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group B in phobic anxiety 4. According to STAI test, group 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group B in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5. According to BDI test, group 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group B in depression we might be suggested that CVA patients had more serious psychiatric disorders than HLD patients. therefore, CVA patients must be treated and managed more actively than HLD patients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태평성시도>에 나타난 간판디자인의 조형성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간판문화의 형성은 개항 기에서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에 주로 영향 받은 것으로 보여 지며, 간판이라는 단어가 우리 문헌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는 1907년 대한학회월보를 시작으로 보고 있다. 당시에도 간판에 대한 크기나 색상 등 조형적 문제를 이슈로 다루 었던 기사가 나타난다. 이 당시 시작되었던 간판의 크기나 지나친 표현 등의 문제는 현재까지도 사회적문제로 지속되고 있 는 사안이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전통기의 간판 사용과 그 조형성을 살펴보고 특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 구대상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태평성시도>를 선택하였다. <태평성시도>는 성시의 여러 생활상 을 담고 있는 일종의 풍속화로 당시의 상업시설과 상행위를 중심으로 그려진 그림이다. 이 그림에는 간판으로 불리어지는 초패와 등간이 나타나는데, 초패란 나무판에 글자를 쓴 것이고, 등간은 상품이나 업종을 형상화한 상징물을 장대에 걸어 놓은 것이다. 연구방법과 연구기준은 <태평성시도>에 나타나는 초패 총63개, 등간(燈竿) 총285개를 대상으로 구조, 형태, 색상, 내용, 서체를 중심으로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초패의 크기측정은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양동민속마의 ‘대성헌’을 잣 대로 하였다. <태평성시도>에 나타난 간판디자인의 조형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형태적 측면에서는 건축물에 적용되는 면적이 작아 간판이 건축물의 원형미에 최소한의 범위에서 개입하고 있다. 2. 언어적 측면에서는 상호나 상품에 대한 직접적 표현보다는 유교적 의미에 부합하는 글귀로 대신해 언어적 품위를 보이고 있다. 3. 수량적 측면에서는 좌우 두 개만 설치되어 있어 건물과 균형적 조형미를 느끼게 한다. 4. 윤리적 측면에서는 초패로 인한 교통 불편을 최소화 해 상반상생의 디자인윤리의식이 드러나 있다. 5. 색상에서는 시각적 혼란이나 자극적 색상을 줄이여 보는 이로 하여금 정서 적 안정감을 주고 있다. <태평성시도>에 나타나는 간판디자인은 현대사회의 간판디자인과 조형의식에 한국적 간판의 원형 적 가치가 담긴 유용한 사례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조선시대 간판 연구를 위한 이론적 단초를 제공한다 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