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he” in the structure of “V1 zhe V2” in the Chinese translation of Qingwen Zhiyao is a counter translation of the Manchu adverb affix “- me” “- fi” “- hai, - hei, - hoi”. There are some special uses of this structure in Chinese translation, such as the combination of the tentative state and the continuous marker “zhe”, and the non continuous verb enters the “V1 zhe V2” structure as V1. The reason is that it is influenced by Manchu. The interference characteristics of Manchu language are weakened in the adaptation of Qingwen Zhiyao. By investigating the literature of the Qing Dynasty, it is found that the usage influenced by Manchu such as “Xiang zhe qiao” and “Zhuo liang zhe” once entered Chinese in the Qing Dynasty, and disappeared in modern Chinese with the decline of Manchu. The Chinese version has traces of Southern Mandarin, and the adapted version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Beijing Mandarin. The principle of iconicity has different constraints on the word order of verb conjunction in Manchu and Chinese. The text adaptation follows the law of sentence pattern development and reflects the prescriptive direction of Chinese sentence pattern development. Language contact affects the development of relevant sentence patterns to a certain extent, but it is ultimately restricted by the law of Chinese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wood joinery technique in the ancient era. Joinery is one of the core techniques in constructing timber frame archite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These techniques can be revealed by examining wooden members of ancient buildings. The members were excavated at th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the historic site in Gyeongju. This study collects the data of 284 members excavated at th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and analyzes the details such as length, thickness, width, joint types, joint shapes. Wi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indicate the level of wood joinery techniques in ancient buildings.
본 연구는 강원지역 신소득 작물인 결구상추의 지역별 병해충 발생 추이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고자, 2017년5월부터 10월까지 홍천 등 3개 지역 결구상추 주산지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병해로는 무름병, 균핵병,세균성점무늬병이 발생하였는데 지역별 발생양상을 보면 재배기온이 높은 춘천지역에서 무름병이 높았고, 홍천에서는 균핵병, 횡성에서는 세균성점무늬병이 주로 관찰되었다. 끈끈이 등 페로몬트랩을 이용한 해충 발생양상 조사결과 총채벌레, 파밤나방, 멸강나방, 담배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왕담배나방, 도둑나방이 발생하였다. 총채벌레의경우 지역별 발생양상은 차이가 있었으나 결구상추 재배기간 동안 지속적인 발생을 보였고, 나방류에서는 파밤나방이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홍천지역에서는 달팽이가 가을재배 시에 발생되어 결구상추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것도 확인 하였다.
Reduplication is a important way to coumpound words. The two kinds of redupli cation in the Chinese and Korean. are namely morphological reduplication and pho nological reduplication. These two kinds of reduplications does not affect each oth er. Reduplication can be divided into total reduplication and partial reduplication, it 's found in every language,samely existent both in Chines and Korean. As well kn own, Korean basic word order has agglutinatiing languages, partial reduplication ha s a number of ways, but Chinese basic word order has isolating languages, redupli cation is very simple. senses of nouns reduplication includes plurality and distributi on. senses of verbs reduplication include continuity and repeat, senses of adjects r eduplication include affecton and derogatorysence/contempt. Other than the senses of adjects and adverbs reduplication include intensity. However, more attention sho uld be paid that partial reduplications comes from total reduplications.
한자는 매우 복잡한 문자계통으로, 그 변화과정은 상당히 오 랜 여정을 지나왔다. 한자유형의 결구특징을 분석하고 각 유형 의 한자간 상호관계를 규명함은 물론 각 한자유형의 발생과 발 전의 논리순서를 고찰하고 한자발전사에서의 위치를 추론하였 으니, 이는 줄곧 중국 문자학연구에서 주요과제가 되었다. 이러 한 연구의 전개는 한자의 기원과 華夏文明의 기원을 연구하는 데, 모두 중요한 의의가 있다. 漢代3家의 육서명칭에 대한 차이와 是非, 특히 허신의 육서 정의에 대한 曲直과 得失은 이후 약 1,800년 동안의 기나긴 논 쟁을 불려 일으켰고, 이로 인해 중국 문자학연구의 발전을 촉 진시켰다. 20세기에 이르러 唐蘭과 陳夢家는 전통적인 육서조 례의 속박을 타파하고 새로운 ‘三書’로 전통적인 육서이론을 대 체해야 한다고 제창하였다. 漢代에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한자의 결구방식에 관한 논쟁은 주로 육서의 성격과 조례 두 문제에 집중되었다. 따라서 본고 에서는 전통적인 육서와 새로운 삼서의 명칭에 대한 오류를 명 백하게 분별하고 그 義例의 편차를 규명하여 그 정의의 이견을 정리하고 三組六書의 조례를 새롭게 수립하여 합리적인 분류표 준을 확정하였다. 즉, 제1조는 ‘象物’과 ‘象事’로 ‘形符字’이다. 제 2조는 ‘轉義’와 ‘會意’로 ‘義符字’와 ‘意形兼用字’이다. 제3조는 ‘諧聲’과 ‘形聲’으로 ‘音符字’와 ‘音形兼用字’이다. 더욱 엄밀한 한자결구이론을 어떻게 설계하느냐 하는 문제는 지금의 문자학연구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식물공장에서 인공광원에 따른 서로 다른 파장이 ‘Seneca RZ’와 ‘Gaugin RZ’ 반결구 상추의 광합성 특성, 생육 및 기능성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FL(fluorescent lamp), 적색LED와 청색LED 및 백색LED(RBW; red : blue : white = 5 : 4 : 1)와 MH(metalhalide lamp)를 사용하였다. 두 품종 모두 생육 중기에는 RBW에서 광합성속도가 높고 생육 후기에는 ‘Seneca RZ’ 품종은 RBW에서, ‘Gaugin RZ’ 품종은 MH에서 그 생육이 좋았다. 반결구 상추의 생육은 광원에 따라 생육 차이를 보였으나 각각의 광원의 영향은 품종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Seneca RZ’ 품종은 생육 중기에는 MH에서, 생육 후기에는 FL 에서 생육이 좋았고, ‘Gaugin RZ’ 품종은 생육 중기와 후기 모두 MH에서 생육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수확시기에 ‘Seneca RZ’ 품종은 모든 광원 처리에서, ‘Gaugin RZ’ 품종은 FL을 제외한 나머지 광원에서 반결구 상추의 잎끝마름증이 발생하는 결과를 보였다. 생육 단계별로 두 품종 모두 생육 중기가 후기에 비해 전반적으로 생육속도가 빠른 결과를 보였다. ‘Gaugin RZ’ 품종에서 생육 중기에만 광원 종류에 대한 생육속도의 차이를 보였고 생육후기에는 광원의 종류와 품종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광원에 따른 두 품종의 반결구 상추의 영양학적 특성은 대부분의 성분에서 광원의 종류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어 광질이 반결구 상추의 영양학적 품질에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두 품종 모두 RBW에서 4종의 비타민 함량이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β-Carotene의 함량이 ‘Gaugin RZ’ 품종의 MH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공광원의 종류에 따라 반결구 상추의 생육, 광합성 특성 및 영양학적 품질이 차이가 있으나 품종과 기능성 물질에 따라 각 광원의 영향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 식물공장 내에서 재배하는 품종과 증진시키고자 하는 기능성 물질에 따라 광원의 선택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bracket sets which ar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roof, has to meet both requirements which are structural functions and act as an ornamental element. Therefore the bracket sets differ in many types from time and space and has done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with many studies being presented. The first form of the bracket set has been found in the bronze table relics in zhōng shān wáng líng (中山王陵). Through the Eastern Han dynasty (A.D. 25-220) it became more specific in the shique (石闕) and huaxiangshi (畵像石) in the Han dynasty (206 B.C.-A.D. 220). Afterwards, as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the bracket construction techniques shown in the Mogao Caves, Yungang Grottoes, and Longmen Grottoes has given much help for understanding the building techniques of wooden architecture. Especially the Xia-ang structure seen in the Mogao caves shows a vast development in wooden structure and a typical building would be the main hall of Fo Guang Shan monastery in Mt. Wutaishan from the Tang dynasty (A.D. 618-907). This accumulated techniques is inscribed in the 'Ying Zao Fa Shi (營造法式)' wooden structure designs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A.D. 960-1127) and many buildings were constructed following this technique after the publication. During this period, it is assumed that Baek-jae (B.C.18-A.D.660)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used the Xia-ang technique, but there havn't been many studies on this field. In this thesis it is introducing the development of the building techniqu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Xia-ang wooden architecture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y.
본고는 “這些个英雄人物”、“那些个花儿”、“一些个消息” 등에 나타나는 “些个+NP”명사성 수량구의 용법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 속의 “个”에 대해 일부 사전 혹은 문법서에서는 “个”를 “些”의 접미사로 해석하고 있으나 이런 관점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대중국어의 접미사에 대해 고찰한 후, 통사구조, 통사위치, 어법기능 등의 특징을 분석 검토하여, 위 구조 속의 “些”와 “个”가 수량관계임을 밝히고 있다. 즉, “个”는 “些”뒤에 덧붙어 양사의 어법기능을 하는 것이지 접미사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다.
본고는 “這些个英雄人物”、“那些个花儿”、“一些个消息” 등에 나타나는 “些个+NP”명사성 수량구의 용법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속의 “个”에 대해 일부 사전 혹은 문법서에서는 “个”를 “些”의 접미사로 해석하고 있으나 이런 관점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대중국어의 접미사에 대해 고찰한 후, 통사구조, 통사위치, 어법기능 등의 특징을 분석 검토하여, 위 구조 속의 “些”와 “个”가 수량관계임을 밝히고 있다. 즉, “个”는 “些”뒤에 덧붙어 양사의 어법기능을 하는 것이지 접미사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다.
본 연구는 수확시기와 같은 수확 전 요인이 수확 후 신선편이 결구상추의 품질과 미생물 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신선편이 가공업체에서 사용하는 결구상추를 5, 6, 7, 10, 12월에 수확하여 관행적인 방법으로 가공한 뒤 필름에 포장하고 5℃에서 9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조사를 하였다. 미생물 측정을 위한 샘플은 각 단계별(수확, 수송, 가공전, 절단, 1차-세척, 2차-세척, 저장 후 3, 6, 9일)로 수집되었다. 실험 결과 하우스에서 재배되어 5, 10월에 수확된 결구상추는 신선편이 가공 후 포장백 내부의 O2 농도가 낮고 CO2는 매우 높았으며, 제품의 전해질 누출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노지에서 재배된 6, 7월 수확 및 겨울철 하우스재배인 12월에 수확한 원료 는 비교적 낮은 CO2, 전해질 누출 및 갈변을 나타내었다. 원료상태의 미생물수는 7월(6.76 log)에 가장 높았고, 신선편이 가공 후 저장중의 미생물 증식은 5월 시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신선편이 결구상추를 고온, 저습조건의 노지에서 재배되어 6월 상순에 수확한 원료를 사용한 경우 품질과 미생물적 안전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반면, 하우스에서 재배되어 10월에 수확한 결구상추를 원료로 사용한 경우 가공 전과 후의 미생물적 안전성은 모두 우수하였으나, 이취가 빨리 발생하여 품질특성이 나쁘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중 고품질의 신선편이 결구상추 생산을 위해서는 품질과 안전성을 동시에 제어하고 원료의 환경에 따른 품질유지 기간을 달리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understranding the essence of the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jointing methods of architectural members, architectural technologies, etc.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on the Jointing Method of Wooden Members in the period of Unified Silla Architecture. It's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1. A section of column has very close to do with the foundation stone. The structures of foundation stone and column are generally concluded by butt joint, arrow-head joint, housed joint by Grang-e method. Judu is structured by arrow-head joint. And, in general, beam is structured by Sagaematchum Chumcha and sagaljudu of Dori direction. At the head of Pyungju and the body of Goju, Changbang is structed by Jangbumachum with arrow-head joint or by jumukchang- machum. Also, it is surmised that Gyisoseum and Anssolim methods had been applied to columns from former ages. The example can be found at Bagjae Mireuksaji stone pagoda. Bagjae Mireuksaji stone pagoda taking wooden-pagoda form adopts Gyisoseum and Anssolim methods. We can also find such a sort of methods from other stone constructions like Budo, etc. 2. Injahwaban is structured by short Changbumachum with arrowed-head joint at upper members, and by Anjangmachum at the lower part. This sort of Gongpo style can be seen in the mural painting of tomb of Koguryo and in Buplyungsa, Buplyunsa, Bupkisa-located in Japan, which are influenced by Bakjae or Unified Silla. It is considered that at the end of the late United Silla, Injawhaban had been replaced with Chumcha and Soro on the Pyungbang under influence of Dapo style from China.
This study examines on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purlin and beam at Wooden Architecture in Joseon Dynasty(1372~1910). Through the investig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purlin and beam is the technique utilizing tenon joint(통장부맞춤), Sungeoteok joint(숭어턱맞춤), dovetailed tenon joint(주먹장맞춤). And the methods of tenon joint is followed by the Sungeoteok joint, which is used in the buildings after middle Joseon dynasty. The method of tenon joint(통장부맞춤) is to connect the beam with the purlin by carving out the head of the beam as '一' shape. And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Janghyeo(장혀, timber under purlin) and beam is halved joint(반턱맞춤) and tenon joint (통장부맞춤). The buildings in late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adopted the method of tenon joint between purlin and beam. The method of Sungeoteok joint is to connect the beam with the purlins by carving out the head of the beams '凸' shape. And the structural methods between Janghyeo and beams is halved joint(반턱맞춤) and tenon joint(통장부맞춤), the method of tenon and step joint(통장부턱맞춤), dovetailed joint between beam and Janghyeo to increase the security of shear 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