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of the odorous substances generated in public environment facilities are treated using a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 This study assessed the leakage of odorous substances by measuring design criteria, collected air volume, and complex odor in the unit process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e closer the guideline/design operation airflow ratio of each odor source is to 1.0, the more identical the guideline:design:operation airflow. The average air volume ratio of the facilities under the study was 0.95~0.99 for the MBR process and 0.29~0.68 for the BNR proces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ypes of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the leakage of odorous substances was about 9.7 times higher in the BNR process (192,732 m3/min) than in the MBR process (19,838 m3/ mi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two means are important for the proper collection and prevention of odorous substances. The first is the estimation of collection air volume with consider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dor source (temperature, odor generation condition, etc.). The second is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
        4,000원
        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IMO의 향후 예상 규제 물질 중 하나인 수트를 선박용 엔진을 대상으로는 최초로 배기 수트와 엔진 수트로 구분 하여 구조적 특성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최근 발표되고 있는 배기 수트 재활용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엔진 수트의 재활용 가 능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2,000℃로 열처리를 시행하였고, 열처리 전·후의 수트를 고분해능 전자현미경과 라만분광법을 통해 분석하 였다. 전자 현미경을 통한 분석 결과, 배기 수트와 엔진 수트는 유사한 형태의 나노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배기 수트는 구형의 1차 입자 가 체인형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엔진 수트는 배기 수트에 비해 무정형한 구조가 확인되었다. 라만분광법 분석 결과, 배기 수트와 엔 진 수트 모두 D peak(1,350 cm-1)와 G peak(1,580 ~ 1,600 cm-1)가 확인되었다. 다만, G/D ratio는 엔진 수트에 비해 배기 수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이는 배기 수트가 더 흑연화 된 구조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열처리 후의 분석 결과, 엔진 수트도 배기 수트와 유사하게 흑연화 가 문제없이 진행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선박용 디젤엔진에서 발생하는 배기 수트와 엔진 수트 모두 흑연재료로 재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utdoor air pollution with particulate matter has become more severe in Korea. Ambient particle concentration affects the indoor environment through various routes through building envelop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article exposure in residential buildings. Indoor and outdoor particle sources determined the indoor concentrations and particle exposure. This paper measured indoor particles and CO2 concentrations in two different apartment buildings and conducted the survey for 24 hours. The I/O ratio of the occupant awake period was higher than the asleep period. The I/O ratio in the awake period is 0.93-3.65, while the I/O ratio in the asleep period is 0.31- 0.76.Indoor peak events such as cooking or cleaning temporarily increase the I/O ratio and emit the indoor particle sources. Decay rate constant is 0.49-6.84 (1/h) in the indoor peak event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hood and natural ventilation. The size range of 0.3-0.5 μm size is over half for the proportions of emitted particles (55.6%). Daily exposure is divided into indoor sources (45.2%) and outdoor sources (54.8%). We found the differences for the proportion of particle exposure. The ratio of daily exposure in particles for 0.3-0.5 μm size is 43.1 (indoor)/ 56.9 (outdoor) %. However, indoor sources are higher than outdoor sources for the ratio of daily exposure in particles for the 0.5-10.0 μm size.
        4,000원
        4.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dvanced countries, various policies are being enforced to reduce equipment noise level at it’s source. This paper analyses the problems of domestic noise policies related to noisy equipment, and presents a plan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expansion policy of low noise equipmen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equipment satisfying the compulsory rule be able to use the environmental certification mark, the standards of which are defined in recommended rules, to improve the linkage between the two policy measures. This paper also suggests expanding the range of equipment to be supervised and using new noise label that has grades and shows detailed noise level of the equipment to improve environmental certification system. In addition, supplementing the construction permission system and supporting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are offered to expand the use of low noise equipment.
        4,000원
        5.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brake squeal noise, the wheel’s and block brake’s vibration. The squeal noise, a kind of self-excited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rim of the revolving wheel and the block brak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xperimental the relation between brake squeal noise and vibration mode of railway wheel with block brake to the track of friction surface on tread of railway wheel and the tread rake angle of railway wheel. Experimental results with Mode Analysis and Run Mode Analysis show that vibration mode of railway wheel with block brake is related with brake squeal noise.
        4,000원
        6.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occurrence area and the density of mosquito larvae in Eunpyeong Newtown, Seoul, Korea. Sampling of mosquito larvae was carried out 2 times using a dipping method at 130 points in august, 2014. A total of 1977.6 individuals were collected. Aedini larvae such as Stegomyia albopicta (Skuse) (=Aedes albopictus) or Hulecoeteomyia koreica (Edwards) (=Oclerotatus koreicus) were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than Culex spp. and the Anopheles spp. Mosquito larvae were surveyed in the street inlet (a rain drip box). The positive correlation of the larval density was found with the street inlet point with leaf mold and the depth of water. In the result of spatial statistics analysis, all points larvae collected were clustered and the tendency of spatial autocorrelation was apparent, but points over 20 individuals were dispersed. This result can be assumed that the mosquito larvae are able to occur to stagnant water in all places of this area. To control to mosquito occurrence, we think integrated methods are needed such as biological, ecological, chemical, physical control methods in various aspects.
        4,000원
        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oil CO2 emission characteristic due to rain fall pattern and intensity changes. Using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hambers (AOCCs), we have measured annual soil respiration changes in Pinus koraiensis plant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experimental forest in Mt. Taehwa. In addition, we have monitored heterotrophic respiration at trenching sites (4×6 m). Based on the one year data of soil respiration and heterotrophic respiration, we observed that 24% of soil respiration was derived from root respiration. During the rainy season (end of July to September), soil respiration at trenching site and trenching with rainfall interception site were measure during portable soil respiration analyzer (GMP343, Vaisala, Helsinki, Finland). Surprisingly, even after days of continuous heavy rain, soil water content did not exceed 20%. Based on this observation, we suggest that the maximum water holding capacity is about 20%, and relatively lower soil water contents during the dry season affect the vital degree of trees and soil microbe. As for soil respiration under different rain intensity, it was increased about 14.4% under 10 mm precipitation. But the high-intensity rain condition, such as more than 10 mm precipitation, caused the decrease of soil respiration up to 25.5%. Taken togeth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attern of soil respiration can be regulated by not only soil temperature but also due to the rain fall intensity.
        4,000원
        8.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 서론 산림생태계내 토양호흡은 크게 미생물호흡과 뿌리호흡 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Hanson et al., 2000), 토양생물과 뿌리의 활동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Coleman, 1973). 산 림생태계의 순생태계생산량은 순일차생산량와 미생물 호 흡에 의해 결정되므로, 순생태계생산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는 미생물호흡과 뿌리호흡의 정확한 추정이 중요하다(Lee et al., 2003). 그러나, 전체 토양호흡에 대한 미생물호흡과 뿌리호흡의 기여율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Hanson et al., 2000) 전체 토양호흡 중 발생원별 토양호흡 이 차지하는 기여율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 다. 본 연구는 국내 산림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상수리나무 림에서 미생물호흡량, 뿌리호흡량을 측정하고 전체 토양호 흡 중 발생원별 토양호흡이 차지하는 비율을 파악하여 산림 생태계내 탄소 순환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조사방법 1) 낙엽생산 낙엽생산을 통해 임상으로 유입되는 유기탄소량을 정량 하기 위해 2010년 4월말에 공주시 인근의 상수리나무림내 입구의 넓이가 0.5㎡의 낙엽수거기 10개를 설치하였다. 낙 엽수거기에 연간 회수된 낙엽의 건중량을 기초로 하여 단위 면적(ha)당 낙엽생산량을 계산하였으며, 연간 임상으로 유 입되는 유기탄소량은 낙엽생산량에 유기탄소 함량을 적용 하여 계산하였다. 2) 발생원별 CO2 발생량 측정 발생원별 CO2 발생량을 구분하기 위해 단근처리법을 이 용하여 2009년 11월에 상수리나무림내 방형구(2m×2m) 3 개를 설치하고 방형구내 지피식생을 모두 제거한 후 잘려진 뿌리 분해 및 토양 교란 요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6개월간의 안정화 기간을 거친 후 2012년 5월부터 CO2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발생원별 CO2 발생량은 휴대용 적외선 가스 분석기(IRGA; EGM-4 PP system, UK)를 이 용하여 측정하였으며, 2012년 5월부터 2012년 4월까지 토 양호흡구(Soil respiration plot, n=10), 미생물호흡구 (Microbial respiration plot, n=3)에서 매달 2주에 한번씩 측정하였다. 산림생태계가 안정화 상태일 경우 낙엽생산으로 임상내 유입되는 유기탄소량과 지상부 낙엽(임상 유기물)의 분해 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기탄소량과 동일하다고 가 정을 하고, 조사기간 동안 임상으로 유입되는 유기탄소량을 임상으로부터 분해에 의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기탄소 량으로 추정하였다. 뿌리호흡을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기탄소량은 토양 호흡구와 미생물 호흡구에서 측정한 CO2 발생량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또한, 전체 토양호흡을 통해 방출되는 유기탄소량에 낙엽생산으로 인해 임상으로 유입되는 유기탄소량과 뿌리호흡을 통해 방출되는 유기탄 소량을 뺀 값을 지하부 유기물(토양 유기물)의 분해에 의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기탄소량으로 계산하였다(Sulzman et al., 2005) 3) 유기탄소 분석 및 통계 분석 수거한 낙엽은 잎, 목질부, 생식기관, 기타로 분류한 후 60℃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칭량한 후 유기탄소 분석에 사 용하였다. 식물체내 유기탄소 함량은 작열소실법을 통해 소 실계수를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토양 온도는 T&D Thermo Recorder (TR-71U)를 사용하여 조사기간 동안 토양층 5㎝ 및 15㎝ 깊이에서 1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토양호흡에 영향을 주는 토양 온도와의 관계는 상관분석과 희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토양 온도와 토양 호흡량과의 관계를 나타낼때 널리 쓰이는 토양 온도 민감도(Q10)를 구하기 위해 지수 함수식을 이용하여 희귀분석한 후 그 모형으로부터 산출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조사기간 동안 매 분기별 임상층내 낙엽량 및 유기탄소량 의 경우 조사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낙엽생산으로 임상내 유입되는 유기탄소량이 지상부 유기 물의 분해에 의해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기탄소량과 동 일하다는 가정하에 지상부 유기물 분해가 전체 토양호흡 중 차지하는 비율은 20.28±2.06%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전체 토양 호흡 중 미생물 호흡과 뿌리 호흡을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연평균 유기탄소은 각각 8.02±0.52, 3.52±0.93 ton C ha-1 yr-1 로 나타났다. 지수함수 관계에서 추정된 전체 토양 호흡, 미생물 호흡, 뿌리 호흡의 토양온도 민감도(Q10)는 각각 2.53, 2.94, 2.04로 미생물 호 흡의 토양 온도 민감도가 전체 토양 호흡과 뿌리 호흡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전체 토양 호흡량과 미생물 호흡량 의 차이로 추정한 뿌리 호흡의 전체 토양 호흡에 대한 기여 도는 30.50± 6.98%, 지하부 유기물(토양 유기물)의 분해에 의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기탄소의 경우 전체 토양 호흡 에 49.22±9.04%를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김포시에서 모기성충의 계절적 발생소장과 얼룩날개모기류 유충의 발생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성충모기는 6지점에서 유문등을 이용하여,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8속 16종 48,919마리가 채집되었다. 금빛숲모기(Aedes vexans nipponii)가 43%로 가장 많았고,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s sinensis)가 34%,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14%로 이 3 우점종이 전체의 91%를 차지했다. 얼룩날개모기류의 계절적 발생소장은 작은빨간집모기와 비교하여 다른 피크를 보였다. 얼룩날개모기류 유충은 203지점 중 138지점(63%)에서 확인되었다. 지점당 정량조사 결과에서 평균유충밀도는 연꽃 재배지가 6.9개체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수로가 4.5개체, 미나리꽝이 3.4개체, 유수지가 3.2개체, 휴경논이 3.1개체, 논이 1.8개체, 습지가 1.4개체, 하천이 0.2개체 순이었다. 유충밀도와 용존산소량, 산도, 염분도, 흡밀원(축사, 돈사, 계사) 사이에 유의한 관계성은 없었다. 최근린평균거리분석(ANNA)의 결과에서, 유충 조사지점간 분포패턴은 전체 조사지점간과 4.0개체 이상 확인된 지점간에서 각각 밀집분포와 불규칙분포였다. 하성면에서는 유충이 3.0 개체 이상 확인된 지점간 분산분포를 나타냈다.
        4,000원
        10.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06년 이후 돌발적으로 밀도가 증가하여 포도원에서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꽃매미(L. delicatula White)의 경우, 포도원 인근 야산 등지의 발생원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방제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8월하순이후 포도수확기에 야산에서 포도원으로 이동하는 꽃매미의 밀도를 억제하기 위하여 꽃매미의 이동경로로 추정되는 포도원 인근의 가죽나무를 이용하여 꽃매미를 유인/유살하기 위한 트랩식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트랩식물은 물 1L당 포도당 100g과 꽃매미에 효과적인 약제 10g을 혼합한 액체를 가죽나무에 수간주입하는 방법으로 만들었다. 트랩식물의 효과를 현장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 안성, 충남 연기, 경북 영천, 경산 등 4개 지역에 지역별로 약 40~100그루 정도의 트랩식물을 설치하였다. 트랩식물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안성과 연기지역 포도원에서는 꽃매미의 밀도가 낮아 트랩식물의 효과를 판단하기 어려웠지만, 영천과 경산 지역 포도원의 경우, 트랩식물이 설치된 포도원의 경우 미설치구에 비해 70~80% 꽃매미 유입량이 감소 되었다.
        1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말라리아매개모기인 얼룩날개모기류에 대한 발생원을 파악하고자 김포시 전 지역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9월말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유문 등 조사를 통해 김포시 내 발생하는 모기 성충 밀도 및 종 현황을 조사하였 고, 유충 조사를 통해 발생원을 파악하였다. 모든 조사지점은 휴대용GPS를 이 용하여 지리좌표를 이용해 기록하였고, 그 결과를 ArcGIS(ver9.2)에 투영하여 발생밀도 분석, 기조사된 축사현황, 말라리아환자발생현황등과 비교․분석하 였다. 그 결과, 성충조사를 통해 6속 16종의 서식이 확인하였고, 조사된 모기 개체수 48,919개체 중 얼룩날개모기류는 17,907개체로 36.61%를 차지하였다. 유충 서식이 확인된 지점을 행정구역에 따라 분석하면 통진읍과 월곶면에서 유충의 수가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1지점당 평균개체수는 대곶면이 4.14개체 로 가장 많았다. 유충 발생원을 유형별로 나누어보면 조사된 논의 약 80%에 서 유충이 확인되었고, 수로는 약 55%에서 조사되었으며, 신도시개발지역 등 의 유수지, 묵논, 미나리꽝, 연꽃재배지 등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서식유형 별 1지점당 평균개체수는 수로가 4.5개체, 논이 1.8개체로 수로에서 많은 수가 조사되었다. 수로 유형에서는 수로폭 1-2m 규모의 콘크리트 수로에서 높은 밀 도를 나타내었고 논의 경우 축사인근의 논에서 일반 논보다 밀도가 높았다. 얼룩날개모기류의 주 흡혈원인 대동물 축사 위치와 말라리아환자발생지역에 대한 GIS 분석결과 유의적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12.
        2009.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osure to nitrogen dioxide (NO2) can produce adverse health effects. Various indoor and outdoor combustion sources make NO2 the most ubiquitous pollutant in the indoor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can be affected by indoor sources, ventilation, decay and outdoor levels. Although technologies exist to measure these factors, direct measurements are often difficult. In the present paper, we used a mass balance model and regression analysis, penetration factor (ventilation rate divided by the sum of ventilation rate and deposition constant) and source strength factor (source strength divided by the sum of ventilation rate and deposition constant) were calculated using multiple indoor and outdoor measurements with 10 houses. Subsequently, mean contributions of indoor and outdoor sources were 28.86% and 81.09%,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both indoor and outdoor sources had contributions to indoor concentrations of NO2.
        4,000원
        13.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work, an attempt is made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malodor occurrence for industrial complex area and to settle trouble for a odor complaint. Odor emission sources were sorted into point source and area source group. The odor concentration unit (o.u/㎥) of each major odor emitting industry was actualized by the indirect olfactory method including air dilution sensory test method in Korea and triangle odor bag method in Japanese. As the results, Night-soil disposal plant were measured by the highest of 2,097,992.6 o.u/㎥, and wastewater incinerator plant was analyzed by 315,022.5 o.u/㎥, and food company was analyzed by 210,864 0.u/㎥, and paper products plant was detected by 195,525 o.u/㎥ and chemical product was detected by 13,761.6 o.u/㎥. To evaluate how well the evaluation result of odor made by induced odor concentration (o.u/㎥) can explain the actual odor phenomenon, it was used as the input data of air pollutant diffusion model (ISCST 3) to set model operation time as one hou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dor varying with weather condition at any time. It was confirmed that 2.0 degree of odor intensity could be detected at the neighboring area of industry complex area and 1.7 degree of odor intensity could be detected at the neighboring domestic area. Accordingly, the evaluation result by induced odor concentration (o.u/㎥) could precisely explain the current status of the field with odor problem and sufficiently be used as inputting data for air pollutant diffusion model.
        4,000원
        1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개소의 대중 식당의 음식 찌꺼기의 배출원별 음식물 찌꺼기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음식물 찌꺼기 발생량은 한식, 중식, 일식, 양식, 분식 순이었다. 음식물 찌꺼기 수분함량은 평균 76.9%이었으며, 한식 업태별 수분함량은 80.2%로 타 업소에 비해 다소 높았다. 또한 계절에 따른 음식물 찌꺼기의 유기성분 분석결과 5월, 7월 시료에서 조섬유 함량이 높았으며 1월, 3월 시료에서 T-N과 조단백질 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한편 음식물 찌꺼기의 pH는 평균 4.74였고 C/N율은 15.8, 평균 양이온 및 인산함량은 P 0.43%, K 0.57%, Ca 0.39%, Mg 0.22% 였다. 중금속 함량은 평균 Fe 154.37mg/kg, Zn 24.79mg/kg, Pb 0.27mg/kg, Cu 5.63mg/kg, Cr 5.49mg/kg, Cd 0.31mg/kg, Ni 1.07mg/kg 였다. 또한 음식물 찌꺼기 재활용에 있어 가장 큰 장애 요인 중의 하나인 식염 함량은 3.36%로 다량의 식염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15.
        202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source identification, and health risk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present in particulate matter 10 (PM-10), in Gwangju. PM-1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21 to August 2022 from three sampling sites, one located in each of the following areas: green, residential, and industrial.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PAH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industrial area (9.75±6.51 ng/㎥) than in the green (6.90±2.41 ng/㎥) and residential (6.74±2.38 ng/㎥) areas. Throughout the year and across all sites, five-ring PAH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29.8–34.5%) of all PAHs. The concentrations of PAHs showed distinct seasonal variations,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bserved in winter, followed by autumn, spring, and summer. Source apportionment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diagnostic ratio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which indicated that coal/biomass combustion and vehicle emissions were the primary sources of PAHs in PM-10. The incremental lifetime cancer risk was estimated for all age groups at all sampling sites, and the results revealed a much lower risk level than the standard acceptable risk level (1×10-6).
        16.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의 발생원단위 산정방법은 처리구역 내 인구 대비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말한다. 생활폐기물은 실제 제주특별자치도민의 생활폐기물과 관광객의 관광폐기물이 모두 집계되고 있으며, 실제 도민의 발생원단위는 보고된 발생원단위에 비해 낮을 것으로 사료된다. 관광객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에 관한 기존 반영사례의 경우 관광객수, 관광객 체류기간을 반영하여 도민 1일 발생량과 관광객 1일 발생량을 구분한다. 산정식의 인자는 제주도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 제주도 인구, 제주도 방문 관광객수, 관광객 체류기간이며,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통해 2014년 기준 도민 1.26kg/인・일, 관광객 0.01kg/인・일로 발생원단위 산정이 가능하다. 기존연구는 도민이 관광객에 비하여 과도하게 많은 폐기물을 배출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확한 관광폐기물 발생원단위의 산정을 위하여 관광객의 여행 실태를 고려한 주요 관광폐기물 배출 발생원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관광폐기물량을 활용하여 처리체계 구축 및 감량대책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폐기물 관리 정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부인구 배출 폐기물 발생원을 각 업종별로 검토를 통해 선정하고, 이 중 운수업,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관광업으로 표본업체를 설정하였다. 각 표본별 폐기물량을 서면 및 방문조사하여 외부인구 배출 폐기물 발생량을 파악하고, 폐기물의 발생량 및 발생원단위 보정을 통해 제주특별자치도 도민 실제 발생원단위를 산정하였다. 클린하우스 배출 업체의 경우 폐기물 발생량 추정 불가로 인해 발생원 표본에서는 제외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펜션 등 소규모 숙박시설, 렌트카, 관광버스 등에서 분리되지 않는 재활용품 및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광지역 소재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주변 클린하우스에 다량 배출하여 클린하우스 넘침 현상 유발 등의 문제가 있다. 다량배출사업장 기준 관리 강화 및 실명제 관리, 클린하우스 배출 사업장 제한을 하고, 렌트카 이용자 및 관광버스 승객 대상 재활용품 분리배출 협조요청 교육실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그린텍스(Green tax) 도입으로 개별 배출자에 대한 오염자 부담원칙 제도를 시행하기 위한 기초 분석자료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7.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6년부터 환경부에서 시행된 전국폐기물통계조사는 매 5년을 주기로 조사를 실시하며 폐기물의 종류별 발생 및 처리현황 파악 및 폐기물 발생원에 따른 발생원단위를 산정한다. 사업장 폐기물의 경우 올바로 시스템에 매년 실적보고를 하며 전국폐기물통계조사는 실적보고 자료와 별도의 추가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장의 경제데이터를 확보한다. 제 5차 전국폐기물통계조사에서는 객관성 높은 통계 자료를 얻기 위해 모든 폐기물에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했던 기존의 조사・분석 방법에서 사업장에 특성에 따른 조사를 실시하였고 SAS프로그램을 이용한 무응답 조정 가중치 산출, 캘리브레이션 가중치 산출, 변동계수 산출 등 통계적 기법을 추가하였다. 사업장 일반폐기물은 대기, 수질, 소음진동 등에서 규정하는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배출시설계 폐기물과 배출시설계 외 1일 300 kg이상 배출하는 사업장 생활계폐기물(공사 및 작업관련 폐기물 5톤이상 포함)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출시설계 폐기물과 사업장생활계폐기물이 포함된 사업장 일반폐기물 간의 발생원단위를 비교하였다. 향후 조사에서는 환경영향평가 등에 활용 가능하도록 배출시설계 폐기물의 경우 사업체 규모에 따라 나누어 발생원단위 산정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현재 경제데이터 조사방식인 임의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추가 표본조사 실시를 권장하며, 장기적으로는 법 개정을 통해 올바로시스템 전수조사 방법을 제안한다.
        18.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dentifie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erosol particle sources of PM10 and PM2.5 in the industrial complex of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Samples of PM10, PM2.5 and also soil, were collected in several areas during the year of 2012 to investigate elemental composition. A URG cyclone sampler was used for collection. The sample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each experimental condition, and the analysis method of SEM-EDX was us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each metallic element. The compar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their mass concentration ranged from 1% to 3%. The elements in the industrial region that were above 10% were Si, Al, Fe, and Ca. Those below 5% were Na, Mg, and S. The remaining elements (1% of total mass) consisted of elements such as Ni, Co, Br and Pb. Finally, a statistical tool was applied to the elemental results to identify each source for the industrial region. From 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SPSS, Ver 20.0) performed to analyze the possible sources of PM10 in the industrial region, five main factors were determined. Factor 1 (Si, Al), which accounted for 15.8% of the total variance, was mostly affected by soil and dust from manufacturing facilities nearby, Factors 2 (Cu, Ni), 3 (Zn, Pb), and 4 (Mn, Fe), which also accounted for some of variance, were mainly related to iron, non-ferrous metals, and other industrial manufacturing sources. Also, five factors determined to access possible sources of PM2.5, Factor 1 (Na, S), accounted for 13.5% of the total variance and was affected by sea-salt particles and fuel incineration sources, and Factors 2 (Ti, Mn), 3 (Pb, Cl), 4 (K, Al) also explained significant proportions of the variance. Theses factors mean that the PM2.5 emission sources may be considered as sources of incineration, and metals, and non-ferrous manufacturing industries.
        19.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16 priorit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s) concentrations and emission sources from the soils of three regions (north, mid-south, and east) in Jeollanamdo. Overall PAH concentrations in the east region were higher than in north and mid-south regions and 9.1 times higher for polluted areas. The results of the emission source study indicated that average Ant/(Ant+Phe) and InP/(InP+BghiP) ratios were 0.15-0.22 and 0.36-0.46,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dominant pyrogenic sources in the three regions. For the InP/(InP+BghiP) ratio, various emission sources were shown in the east region where petrochemical facilities and oil storage tanks have been operated.
        2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ir flow patterns affecting the PM10 concentration in Busan and the potential sources within each trajectory pattern. The synoptic air flow trajectories a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by HYSPLIT model and the potential sources of PM10 are estimated by PSCF model for each cluster from 2008 to 2012. The potential source locations of PM10 are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of PM10 anthropogenic emissions in east Asia developed in 2006 for the NASA INTEX-B mission. The annual mean concentrations of PM10 in Busan decreased from 51 ug/m3 in 2008 to 43 ug/m3 in 2012. The monthly mean concentrations of PM10 were high during a spring season, March to May and low during a summer season, August and September. The cluster2 composed of the air trajectories from the eastern China to Busan through the west sea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44 %. The cluster1 composed of the air trajectories from the inner Mongolia region to Busan through the northeast area of China showed the second high frequency, 26 %. The cluster3 and 4 were composed of the trajectories originated in the southeast sea and the east sea of Busan respectively and showed low frequencies. The concentrations of in each cluster were 47 ug/m3 in cluster1, 56 ug/m3 in cluster2, 42 ug/m3 in cluster3 and 37 ug/m3 in cluster4. From these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cluster1 and 2 composed of the trajectories originated in the east and northeast area of China were the causes of high PM10 concentrations in Busan. The results of PSCF and CWT model showed that the potential sources of the high PM10 concentrations were the areas of the around Mongolia and the eastern China having high emissions of PM10 from Beijing, Hebei to Shanghai through Shandong, Jiangsu.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