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첨가물 중 주용도로 보존료가 제시되어 있는 발색 제 3품목, 보존료 17품목 및 표백제 6품목을 대상으로 가공식품 유형별 사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발색제 3품목 중 아질산나트륨이 257건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양념 젓갈(71.21%), 즉석섭취식품(7.78%), 빵류(7.00%) 등에 사용하였다. 보존료로 사용되는 안식향산류 중 안식향산나트륨의 사용 건수는 1,215건으로 안식향산류(총 1,236건) 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음료베이스(39.51%), 혼합음료 (22.47%), 인삼·홍삼음료(8.89%) 등 음료류에 81.16%를 사용하였다. 데히드로초산나트륨은 총 57건 중 빵류(49.12%) 와 마가린(21.05%)에 주로 사용하였다. 자몽종자추출물은 3,291건 사용되어 보존료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 타났다. 자몽종자추출물은 소스(54.65%), 액상차(10.46%), 기타가공품(5.15%), 인삼·홍삼음료(3.83%) 등 가공식품 식품유형 44종류에 사용되었다.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의 사용 건수는 2,957건으로서 파라옥시안식향산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소스(92.15%), 혼합간장(2.77%), 절임식품 (1.52%) 등의 식품유형에 96.44%를 사용하였다. 프로피온 산류 3종은 거의 대부분 빵류에 사용되었다. 소브산칼륨 은 789건 중 절임식품(40.43%), 어묵(34.09%), 조미건어포 (7.22%), 소스(4.06%) 등 주로 절임식품과 수산물가공식품류(총 47.15%)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브산은 27건의 사용사례 모두 어묵(100%)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백제로 사용되는 아황산염류 6품목 중 산성아황산나트륨과 차아황산나트륨은 주로 과자류, 빵류 또는 떡류에, 메타중아황산칼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및 무수아황산은 주로 과실주 등 주류에, 아황산나트륨은 절임식품에 주로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보존료를 주용도로 하는 식품첨가물을 가공식품에 사용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버려진 굴 패각을 재활용하여 감소시키는 것으로 굴 패각과 해조펄프를 이용하여 식품의 보존에 대한 항산화비드를 활용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파일럿 규격조건으로 설계하고 제조하였다. 둘째는 [A],[B],[C-a],[C-b]화합물에 대한 최적제조 조건을 다루어 확립하고 이들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파일럿 규격 제조는 해조펄프의 분자수식합성과/Cl-전분 그리고 그의 다양한 비드 형태들이 극성용매에서 다양한 중량비율로 액상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부가적으로, 혼합과정에서 해조펄프의 비율이 증가함으로서, 해조펄프/Ag-굴 패각을 섞인 것의 항균성은 감소되었으나 항산화와 비드의 견고성 성질은 증가되었다. 파일럿 규격의 생성라인은 해조 펄프와 Cl-전분을 분자수식으로 합성하였다. 그리고 극성용매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중량비율로 다양한 형태의 비드를 제조하였다.
Daily intakes of 14 preservatives were evaluated by using their maximum permitted levels(MPL) and national food disappearance data in 1998. The estimated daily intake (EDI) of each preservatives were compared with corresponding acceptable daily intakes (ADIs). EDIs of dehydroacetic acid, sodium dehydroacetate, p-hydrobenzoic acid ester, propionic acid, sodium propionate and calcium propionate were leas than 2% of ADI and judged to be safe. However, EDI of sorbic acid and potassium sorbate were 76.61 mg/person/day and it reached 5% of its ADI. EDI of benzoic acid and sodium benzoate were 85.65 mg/person/day and it reached 31% of its ADI. The highest intake of benzoic acid came from carbonated drink.
Analytical method for preservatives in food was develop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Propionic acid, sorbic acid, benzoic acid, ethyl salicylate, ethyl p-hydroxy benzoate, iso-propyl p-hydro benzoate, n-propyl p-hydroxy benzoate, iso-butyl phydroxy benzoate, n-butyl p-hydroxy benzoate, p-hydroxy benzoic acid and dehydro acetic acid were extracted from cooling beverage with diethyl ether. The polar hydroxyl and carboryl groups of food preservatives were derivatized with N-methyl-N-tent-butyldimethylsilyl-trifluoroacetamide (MTBSTFA) to form the corresponding tert-butyldimethyl-silylated derivatives, and submitted to GC/MS analysis. The mass spectra of the derivatives were investigated for the selection of monitoring ions for multi-residue analysis of 11 preservatives by GC/MS. The macro program was also develop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se preservatives in food.
Seyferth 시약인 phenyl(tribromomethyl)mercury 및 diazomethane의 식품보존제인 dehydroacetic acid 및 coumarin과의 발암성과 그 반응기작을 분자 구조적 관점에서 알아보기 위하여 UV/vis 조건과 laser flash photolysis 시켰을 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iazomethane과 phenyl(tribromomethyl) mercury와 dehydroacetic acid와 diazomethane과의 반응은 광화학적 분해 반응에서 생산된 : CBr_2 와 :CH_2 카르벤 중간체의 이탈기 효과에 따라 발암성이 크게 나타났다. 2. Laser flash photolysis 상에서 반응시켰을 때 식품보존제의 발암성이 UV/vis 상에서의 photolysis때보다 크게 나타났다.
Citrus펙틴을 효소로 가수분해시켜 얻은 펙틴분해물은 분해율이 35%가 되면서부터 항균력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하여 70% 이상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완전분해(100%)된 펙틴분해물을 배지에 2.0% 첨가하면 35℃에서 24시간까지 Escherichia coli ATCC l1229의 생육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펙틴분해물의 항균력은 pH 4.9~5.5 범위에서 가장 좋았으며 균종별로는 젖산균을 제외한 대부분의 세균에 대하여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젖산균과 곰팡이류에 대해서는 항균효과가 약하였으며 효모에 대하여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대부분의 세균은 펙틴분해물을 2.0~3.0% 첨가하므로써 35℃에서 48시간까지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Lactococus lactis ATCC 19435, Lactobacillus bulgaricus, Penicllium funiculosum ATCC l1797은 대조구에 비하여 30~40%만이 억제되었으며 Saccharomyces formosensis와 Saccharomyces cerevisiae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glycine, ethanol, sodium ascorbate, sodium chloride 또는 sodium acetate 등의 화학보존료를 병용하면 펙틴분해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항균력이 상승하였다. 김치에 펙틴분해물을 1.0% 첨가하여 4℃에 저장하면 섭취하기에 알맞은 김치의 pH를 유지하는 기간이 대조구에 비하여 적어도 15일 이상 연장되었다. 또한 빵속에 펙틴분해물을 1.0%첨가하면 25℃에서 저장 4일째 대조구에 비하여 4 log cycles 그리고 저장 10일까지도 2 log cycles 정도 균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펙틴분해물은 천연식품보존제로 이용가능하며 특히, 젖산균이나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작용이 미약하거나 없으므로 젖산균이나 효모를 이용하는 발효식품의 품질보존제로서 아주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존의 화학보존료와 병용하므로써 화학보존료의 첨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One kind of fungus was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comtaminated red-ginseng in order to give fundermental data for improving hygienic quality of ginseng product.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Aspergillus sp. Hyphae of the strain had septum structure. The strain showed vesicle and aterigmata structure which were typical characteristics of Aspergillus species. The growth of the strain was slightly inhibited by sodium benzoate and potassium sorbate at a concentration of 0.05%. The strain showed no growth at 4.0% potassium sorbate. The isolated strain Aspergillus sp. showed no significant degradation in the presence of red-ginseng saponins.
저장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감자, 양파, 마늘 및 밤의 장기 저장법 개발을 목적으로 수확후 l개월 이내에 Co-60 감마선을 조사하고 냉동기를 가동하지 않은 자연저온 저장고에 각각 저장하였다. 저장중 시료의 발아는 감자가 150Gy, 양파 및 마늘이 50Gy 밤이 250 Gy의 선량으로 8~10개월간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감마선 조사에 따라 부패율은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중량감소에 있어서도 적정선량의 조사는 네가지 사료에서 6~24%의 감소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발아식품의 품질에 관여하는 성분인 수분, 당 및 비타민 C의 함량은 저장기간의 경과로 비조사구에 비해 조사구가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들 식품의 장기 안전저장을 위해서는 감자, 양파 및 마늘은 50~150 Gy, 밤은 250 Gy 정도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자연저온저장고( R.H. 75~85%)에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방부 또는 살균효과가 있어 떡 등에 첨가되거나 저장 및 포장에 이용되었던 자생식물 15종 21건에 대하여 데하이드로초산(sodium dehydroacetate), 소르빈산(sorbic acid), 안식향산(benzoic acid), 파라옥시안 식향산메틸(m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프로필(iso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부틸(isobut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butyl p-hydroxybenzoate),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솔잎, 망개잎, 대나무잎 등 15종에 대한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솔잎, 대나무잎, 칡잎, 모시잎, 쑥, 잣나무잎 등 6종에서 안식향산, 소르빈산, 프로피온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식향산은 대나무잎, 모시잎, 솔잎, 쑥, 칡잎, 잣나무잎에서 8.201~21.839 mg/kg, 소르빈산은 대나무잎과 칡잎에서 5.630~24.995 mg/kg, 프로피온산은 모시잎에서 61.324~62.726 mg/kg이 검출되었다. 조사 식물 중 망개잎, 토란잎, 조릿대, 연잎, 원추리, 구절초, 떡갈나무잎, 산초잎, 감잎 등 9종에서는 천연보존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The effects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perservation of foods, such as a seaweed soup and sea stoned radish shreds, were studied. Microwave treatment of microbial cell suspensions revealed that viable cells decreased dramatically when heated to 6. However, it was unlikely that microwave treatment to 60 is enough to decrease the viable cell counts efficiently in a seaweed soup and radish shreds. It was thought that microwave heating to at least 7 as a final temperature was an important factor to reduce microbial cell counts in foods. When foods were heated to 7 with a repetitive 15 sec "on" followed by 30 sec "off", no big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viable counts during storage at 2 for 3 days, as compared to those treated with a full power. The microwave treatment with three stages was designed to solve problems associated with variations depending on food volumes and difficulties of heat diffusion in a solid food to be irradiated with a microwave oven. The three stage method was found to have a similar efficiency in the reduction of viable cell counts in foods to microwave treatment at a full power and to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water bath heating or boiling for 3 min with a gas range.in with a gas 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