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1.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바이러스 무병묘의 대량 증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포도 '자랑' 품종의 신초와 뿌리의 형성 및 생장에 미치는 배지조성물질과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배지의 무기염 농도가 낮을수록 신초의 형성은 많아지는 경향으로, 특히 1/2MS배지에서 신초의 형성 및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부정근의 형성은 무기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양호하여 2MS배지에서 부정근의 수가 2.1개로 가장 많았다. Sucrose의 경우, 신초의 형성은 1%, 부정근의 형성은 3%, 생장은 1% 농도구에서 가장 좋았다. 활성탄의 0.05% 첨가에 의해 신초의 생장은 양호했으며, 특히,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에 효과적이었다. '자랑'의 대량 증식을 위한 배지의 pH는 6.8이 가장 적합하여 신초의 마디수와 길이가 각각 3.9개와 1.3 cm로 가장 좋았다. 기내 대량증식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으로 BA 1.0 mg/L에서 신초의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NAA 1.0 mg/L에서 절편체당 16.9개의 신초가 형성되어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22.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plant growth regulators effective at ginseng berry set inhibition to help root growth in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PGRs (ethephon, gibberellic acid, maleic hydrazide, coumarin) were applied to field grown 5-year-old Korean ginseng between one and two times, before and during bloom in 2009, 2010. The number of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in ginseng berry set inhibition when used two times compared with one time in GA 1,000 ppm, MH (5,000, 10,000 ppm), coumarin (5,000, 10,000 ppm) treatment. According to treatment period of plant growth regulator, ginseng berry set inhibition rate from 20days before flowering date to 5days after blooming was the highest in MH 5000 ppm showing 99.9% and the lowest in GA 100 ppm showing 32.8%. The spray treatments of Ethephon (50, 150 ppm) and MH (5,000, 10,000 ppm) from 20 days before the flowering bloom up to 5 days before, and coumarin (5,000, 10,000 ppm) from 20 days to 6 days and before blooming that induced the inhibitory effect more than 90% after 12 weeks. Considering ginseng berry set inhibition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period ethephon and coumarin was important about applied period but, MH treatment appeared to effective ginseng berry set inhibition regardless of treatment period.
        23.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se grafting seeding “Torobambica” rootstock “huk Yang”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of eggplants which can be influenced by the bumblebee pollination and plant growth regula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umblebee pollination and plant growth regulators, the yield of eggplant was good at bumblebee pollination with tomatotone flower spray at blooming time, and was good at foliage spray on the treatment of tomatotone and GA3, and was good at flower clusters spray on the treatment of tomatoton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bumblebee pollination and plant growth regulators, the ratio of marketable fruit was good at pollination bumblebee with tomatotone spray on the day they flowered, was good at foliage spray on the treatment of tomatotone and GA3, and was good at flower clusters spray on the treatment of tomatotone. On the mineral element contents of eggplant stems,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were good at tomatotone flower spray at blooming time, the ones of phosphorus, potassium, and magnesium were good at tomatotone foliage spray the rate of three days, the ones of calcium were good at tomatotone flower spray in two or three days before flowering, and ones of ash were good at tomatotone flower spray at blooming time, foliage spray the rate of three days. On the mineral element contents of eggplant fruits,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were good at tomatotone and GA3 foliage spray the rate of six days, the ones of phosphorus were good at tomatotone foliage spray the rate of three days, the ones of potassium, ash were good at tomatotone and GA3 flower spray at blooming time, and the ones of calcium, magnesium were good at tomatotone an GA3 flower spray in two or three days before flowering.
        24.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light resources on the formation of multiple shoot and plant regeneration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Stem and shoot tip were cultured on MS medium or WPM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At the single treatment, the highest shoot formation was obtained when stem explants were cultured on WPM supplemented with kinetin 1.0mg·L-1. MS medium containing NAA 0.1 and TDZ 0.1mg·L-1 gave the best results for shoot induction rate and shoot growth in combination treatments. Of the BAP and kinetin tested, BAP 0.5mg·L-1 on WPM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for shoot growth from shoot tip. Under white fluorescent light treatment, shoot growth was much higher than blue, red LED treatments. Root induction from in vitro growth of plantlet was the best on WPM supplemented with 1.0mg·L-1 IBA. The results suggest that selec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light resources could be important factor to achieve an efficient in vitro growth.
        25.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수체 육성은 육종연한을 단축시키기 위해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는 밀 품종 조기 육성을 위한 반수체 육종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반수체 육성시 식물생장조절제 처리가 배 배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한 것이다. 밀 이삭의 제웅 작업을 수행하고 옥수수와 원연교잡한 후 종자결실은 2,4-D 및 2,4,5-T 150 mg/L, dicamba 50 mg/L 처리에서 가장 좋았으며, 배형성은 2,4-D 및 2,4,5-T 100 mg/L, dicamba 50
        26.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하의 기내 조직배양을 통해 소괴경 생산을 하고자 적합한 식물생장조절제 처리조건, 배지와 처리 농도, 고형지지물의 종류와 농도를 조사하였다. 기내 소괴경 형성에 적합한 식물생장조절물질과 농도 조건을 연구 한 결과 0.1mg/l 2,4-D와 0.5 mg/l BAP 혼합처리에서 잎 (3.9개)과 엽병 (4.7개) 배양모두 최고치의 소괴경을 생산할 수 있었다. 기내 소괴경 형성에 적합한 배지는 SH배지로 나타났으며 잎과 엽병 배양에서 4.5와 5.2개의 소괴경을 생산하였으며, 최적 농도는 SH 배지의 무기염류를 반으로 줄인 1/2 SH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기내 소괴경 생산에 적합한 고형지지물과 그 농도를 조사한 결과, 잎과 엽병 배양 모두 agar보다 gelrite에서 소괴경 형성이 잘 되었으며, 농도별로는 agar 6%, Gelrite는 4% 처리에서최고치의 소괴경을 생산할 수 있었다. 기내에서 생산된 소괴경은 5˚C에서 1개월간 냉장 보관 후에 생장상에서 MS 고형배지가 든 배양용기와 멸균 소독한 상토에 옮겨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MS고형 배지에서 자란 소괴경은 86%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멸균 소독한 상토에서는 43%의 발아율을 보였다. 추후 반하 소괴경의 발아율과 토양 적응성을 높이는 연구보강으로 소경을 번식용 종자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27.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생장조절제의 종류와 농도를 모색하여 할미꽃의 발근 최적 조건을 조사하여 정상적인 재분화체를 획득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최적조건에서 shoot를 유도시킨 후 발근 유도 생장조절제에 바로 옮기면 shoot가 너무 작아 재분화체가 성장하지 못하고 고사되었다. 1/2 MS에서 키운 shoot를 3.0 mg/L NAA를 첨가한 배지에서 3일간 생장시킨 후, 1/3 MS로 옮겨 치상 한 경우, 약 10일 전후에 뿌리의 유도가 관찰되었다. 이렇게 뿌리가 유도된 재분화체는 염의 농도와 설탕의 농도를 동시에 순차적으로 낮추어 순화처리되었다.
        28.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두산에 자생하는 홍경천의 종자를 기내에서 발아시켜 잎 절편으로부터 캘러스를 유도 할 수 있었으며, 식물생장조절제의 처리로 기관분화도 시킬 수 있었다. 토양순화는 약 8주후면 멸균되지 않은 토양에서도 홍경천의 뿌리활착이 활발함을 알 수 있었다. 캘러스의 유도율은 Kinetin 1 mg/L와 NAA 2 mg/L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높은 98%의 캘러스 형성률을 보였다. 캘러스에서 부정아의 유도는 BA가 1 mg/L 첨가된 MS배지에서 96.6%의 높은 부정아형성률을 보였으며 뿌리와 신초의 신장은 옥신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다량으로 유도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토양순화는 100% 성공적 이었다.
        29.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갯방풍의 캘러스 유도와 식물체 재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장조절제에 대한 몇 가지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식물체 조직으로부터 캘러스의 유도에 적절한 배지의 조건은 1∼2 mg/L, 2,4-D와 1∼2 mg/L BA 혼용처리 조합에서 캘러스의 유도율이 높았고, 조직별 캘러스 유도율은 엽조직 보다 엽병에서 우수하였으나, 다른 식물의 부정아 발생 양상과 달리 엽조직에서 발생한 캘러스로부터 부정아와 부정근의 형성을 보였다. 조직별 캘러스의 식물체 분화율은 식물생장 조절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양호하였고 적정농도는 1 mg/L NAA와 2 mg/L BA 이었다. 이후 분화된 식물체를 계대배양하여 대량증식을 위해 multiple shoot를 발생시키고 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발근배지에 옮겨 생육 시킨 후 식물체의 초장에 따라 vermiculite에 순화시켜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높은 생존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30.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ell culture and organogenesis from Sicyos angulatus L. using explants of leaves, stems and cotyledons. Optimal callus induction for S. angulatus was obtained on MS medium with 0.1mg/l BA and 2.0mg/l 2,4 -D from cotyledons, 0.1mg/l BA and 5.0mg/l NAA from leaves explants, Optimal media for subculture and growth of S. angulatus callus were 1/2 MS medium with 0.1mg/l BA and 1.0mg/l 2,4 -D for solid culture, and 0.1mg/l 2,4-D for suspension culture. Many adventitious roots with some shoots were formed were formed from leaf and cotyledon explants of S. angulatus during callus induction with optimal combinations of plants growth regulators.
        32.
        199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활(羌活)(Angelic koreana Max.)의 캘러스 배양(培養)과 식물체(植物體) 재분화(再分化)에 필요한 배양(培養) 조건(條件)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유엽(幼葉) 및 미숙화(未熟花)의 화경(花梗) 배양(培養)에 미치는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sucrose 및 배지(培地) 응고제(凝固劑) 등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유엽(幼葉) 유래(由來) 캘러스 생장은 1 mg/l 2,4-D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왕성하여, 생체중(生體重) 및 건물중(乾物重)이 가장 높았다. 2. 캘러스 생장을 위한 적정 sucrose농도는 2% 였으며, sucro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캘러스 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3. 배지(培地) 응고제(凝固劑)에 따른 캘러스 생장은 1.2% agar, 0.4% Gelrite에서 생체중(生體重) 및 건물중(乾物重)이 가장 높았다. 4. 배지내 10mg/l ABA와 5~10mg/l AgNO3 첨가는 유엽(幼葉) 유래(由來) 캘러스의 갈변화(褐變化)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무처리(無處理)보다 캘러스 활력도 높았다. 5. 미숙(未熟) 화(花)의 화경(花梗) 배양(培養)에서 캘러스 형성율은 NAA보다 2,4-D가 효과적이었으며, 2mg/l 2,4-D를 첨가한 배지에서 81.7%로 가장 높았고, 캘러스 생장도 왕성하였다. 6. 유엽(幼葉) 유래(由來) 캘러스로부터는 식물체(植物體)가 재분화(再分化)되지 않았으나, 미숙(未熟) 화(花)의 화경(花梗) 유래(由來) 캘러스는 0.5 mg/l 2,4-D, 1 mg/l kinetin, 5 mg/l ABA와 5 mg/l AgNO3 첨가배지에서 체세포(體細胞) 배(胚)가 형성되었으며, 이들 체세포(體細胞) 배(胚)로부터 식물체(植物體)가 발생(發生)되었다.
        33.
        199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직배양에 의한 두릅나무 종묘의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체세포배의 발아에 효과적인 배지 및 생장조철제의 적정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지는 MS매지가 채세포배의 발아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65%) 그 중애서도 무기염류의 농도를 1/4로 감소하고 당농도도 1%로 줄인 MS배지에서 발아 및 기관생장인 양호하였다. 2. Gelling agent는 gelrite 0.2~0.3% 처리에서 발아가 촉진되었으며 (65~70%) shoot 및 root의 생장도 양호하였다. 3. Cytokinin은 0.1mg/l의 BA와 kinetin처리에서 발아율(65~70%)과 신초 및 뿌리 의 길이 및 건물중이 높게 나타났다. 4. Polyamine의 효과에 대한 실험결과 putrescine 1mg/l과 5mg/l, spermidine 10mg/l 처리에서 체세포배의 발아(90%) 및 기관생장이 양호하였으며 분화식물의 투명화도 억제되었다.
        34.
        199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기계이앙 어린모 육묘시 생장조절제가 묘의 초장신장 촉진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화성벼를 공시하고 6가지의 생장조절제를 사용하여 종자침종 효과와 6가지의 생장조절제를 사용하여 종자침종 효과와 묘 생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ibberellin과 Metalaxyl은 어린모의 초장신장을 촉진시켰으며, Tetracycle은 초장을 억제하였다. 2. Gibberellin의 엽면분무처리가 종자침종처리보다 어린모의 초장신장에 더 효과적이었다. 3. 어린모의 초장신장 촉진을 위한 Gibberellin의 엽면분무처리의 적정농도는 약 10ppm이었다. 4. Gibberellin의 엽면분무의 적정처리시기는 파종후 3~4일 이었다.
        37.
        199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식물생장 조절제 Hoe 78784를 처리하여 수도의 도복 방지효과를 조사하고, 식물생장 조절제의 농도와 처리 시기를 각기 달리하였을 때 수도의 영양생장, 형태적 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 바 몇가지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Hoe 78784를 수도 신장기에 처리하였을 때 공시된 품종에서 도복 방지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도복성 품종인 IR21820-154-3-2-3에 있어서는 수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생장 조절제 Hoe 78784는 초장 및 절간의 신장을 억제시켰고, 특히 형태학적 특징으로서는 Hoe 78784를 처리함으로써 셋째 및 넷째마디 간의 두께와 직경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줄기속에 유관속의 수도 증가시켜서 도복 방지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되며, 영양 생장기관 및 수량구성 요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처리시기와 농도별로 볼 때 Hoe 78784를 이앙후 30일날 처리하였을 때는 도복 방지효과가 뚜렷하였으며 수장 및 수량구성 요소에 영향을 미쳐 수량을 크게 감소시켰다. 그러나 출수기때 Hoe 78784 처리는 농도에 관계없이 도복 방지효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기타 제형질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38.
        198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추대두형품종을 조파 또는 적파 재배하여 개체당 생육량을 증대시키면서 건실한 생육을 유동하기 위하여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였을 때 이들이 콩의 생육 및 수량형질에 영향하는 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파할 경우 적파에 비하여 주경절수, 분기수, 협수, 100립량 등의 형질들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a당 수량도 8% 증가했다. 2. TIBA 또는 ABA 처리는 경장단축, 경직경증대 및 도복경감 등 건실한 생육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결협률 주당입수를 증대시켜 종실수량이 6% 이상 증가하였다. 특히 TIBA 처리에 의해서는 12%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3. 생장조절제 처리횟수에 있어서는 6엽기에서부터 5일 간격으로 2∼3회 처리하는 것이 건실한 생육을 유도하여 수량이 증대되었으며 3회 처리구에서는 도복경감, 결협률 및 천립량 증대효과가 크게 나타나 16%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4. 본 실험에 사용한 생장조절제 중에서느 TIBA의 효과가 가장 좋아서 조파구나 적파구에서 모두 TIBA 3회 처리구에서 20% 이상의 수량이 증대되었다.
        39.
        198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생장촉진제와 억제제의 처리가 동백의 화아형성과 개화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봄철 맹어후 살포처리한 gibberellin은 shoot의 신장을 촉진시켰으나 화아형성을 억제시켰다. 2. Cycocel(CCC)의 처리는 화아형성에 촉진적으로 작용하였다. 3. 화아에 처리한 gibberellin은 개화시기를 효과적으로 단축시켰다.
        40.
        198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실험 '식물생장조절제의 콩종자처리가 수향 구성요소간의 상관계수에 미치는 영향'은 식물생장조절제의 콩종자처리가 콩의 초기생육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러한 초기영향이 생육후기까지의 지속여부 및 수량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한 종자는 Bragg로서 10ppm의 kinetin, ethrel , IAA and salicylic acid에 침지한 후 근류균 인공접종후 파종하였다. 대조구로는 물에 침지한 종자를 사용하였다. 시료는 주기적으로 포장에서 채취하여 초기성장, 근류균형성 생화학적 변화(엽록소함량, Nitrate Reductase활성도) 및 수량 구성요소 등을 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kinetin, IAA 및 Ethrel은 초기생육을 촉진시켰으나 페놀계통의 SA는 발아과정을 지연시켰으며 가장 낮은 발아율을 보였음. 2. kinetin, ethrel, SA는 근류형성을 촉진했으나 IAA는 초기근류형성을 다소 지연시켰으나 후기에는 촉진시켰음. 3. kinetin, ethrel, IAA는 엽록소함량 및 N-RA에 유의성 있는 증가효과를 보였으나 SA는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음 4. SA는 개화촉진 및 개화수 증가에 가장 효과적이었는데 이는 패놀계통의 화학물질이 작물체의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 단계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음을 보였으며 이러한 생식생장기관의 증대가 수량증대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남. 5. 전처리구에서는 수량 및 수량구생요소(꽃수, 협수, 주당립수)가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나 협당립수 및 결협률에는 유의성이 없었음 6. 수량은 협수(r=-0.962)와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100 립 중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임 (r =-0.634). 7. 100립중의 경우 전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는데 이는 식물생장조절제의 처리가 동화생산기관 (source) 및 저장기관(sink)을 동시에 증가시켜 수량증가효과를 가져왔으나 증가된 생산기관(source)이 증가된 저장기관(sink)에 동화물질을 충분히 공급할 수 없음에 따른 동화물질 분배상의 희석 효과(dilution effect)로 보여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