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5

        21.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rig˗ ger points(TrPs) on athletes with various sporting background. To achieve the purpose, a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survey from 180 athletes involved in 6 selected sports at Yong-In University. Selected sports included Judo, Taekwondo, Kendo, Ssi-reum(Korean traditional wrestling), Boxing, and Golf. An interview type survey and physical examination were conducted with each thirty athletes from each of the selected sports groups. Technical statistic(SPSS 15.0) was us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TrPs on these athletes. The most common TrPs observed in muscles of Trapezius, Quadratus Lumborum, Quadriceps in Judo. In Taekwondo, it was on the trapez˗ ius and triceps surae. Kendo athletes had TrPs at sites of trapezius, brachioradialis and triceps surae. Ssirem athletes were found to have TrPs on trapezius, deltoid and quadrates lumborum. In boxers, TrPs appearing at trapezius and brachioradialis were observed. Finally, Golf players were seen to have TrPs at trapezius, quadrates lumbo˗ rum and brachioradialis. Hence,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distribution of Tr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sport items of the athlete.
        4,000원
        22.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inematic variables due to the course change in the first serve of high school girl tennis athletes using three dimensional video analysis and to produce kinetic variables using ground reaction force to understa
        5,800원
        2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지시력 (Static Visual Acuity)은 물체와 관찰자가 정지한 상태에서 사물을 볼 수 있는 능력올 의미한다. 이와 탈리 동체시력 (Dynamic Visual Acuity) 은 물체나 관찰 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사물을 볼 수 있는 능력올 의미한다. 즉 정지시력은 주로 눈 의 해상력과 관계가 있으나 동체시력은 안구운동계의 전반적인 능률 (efficiency)과 관 계가 김다. 따라서 동일한 정지시력 (SVA)을 갖고 있더라도 동체시력 (DVA) 은 차이 가 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에 비해 시각적 능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 운 동선수 군으로는 대학야구선수를 일반인 군으로는 본교 재학중인 남학생올 대상으로 동체시력올 측정 비교하였다. 각 군의 통체시력은 틈의 방향이 각기 다른 Landolt C 시표와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회전거울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군의 평 균 동체시력은 남학생 군이 85.71 ::1: 15.05 deg/sec 였으며 운동선수군은 100.63 ::1: 21.75 deg/secc으로 운동선 수군이 일반인 군에 비해 동체시력이 우수하였고, 운동선수군에 서 정지시력파 동체시력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5.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ferences of foreign athletes staying in the Athletic Village for '86 Asian Olympic Games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as served in the restaurant. A survey was conducted to 762 foreign athletes that selected Korean traditional foods in Athletic Village restaurants, from September 16 to 24, 1986. Most people preferred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its taste. Yachae Bokkum (Sauted Vegetable), Jonbok Juk (Rice Porridge of Abalone), Kimchi, Usol Chim (Tongue Stew), Dak Juk (Rice Porridge of Chicken) were preferred by most foreign athletes. Chongpo Muk (Mung Bean Starch Jelly), Toran Guk (Taro Soup) were not preferred. They proposed improvement of salty, hot and strong spicy taste in Korean traditional foods.
        4,000원
        26.
        202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대학팀에 소속된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노력과 보상, 절실함 및 운동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관 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484명의 대학 학생선수들의 자료를 수집한 후 기술통계,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학생선수들의 노력, 보상, 절실함 및 운동지속의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력과 보상의 균형 및 불균형 에 따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노력과 보상은 절실함이 매개될 경우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선수들의 운동에 대한 지속의도를 높 이기 위해서는 선수 자신의 노력하는 태도를 강조하고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제공하여야 하며, 절실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동기유발 전략들이 요구된다.
        27.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교배구 선수들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집단효능감 및 팀 응집력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다. 방법: 2022년도 대한배구협회에 등록된 전국 남녀 고등부 배구선수 422명을 대상으로 스포츠 동기, 집단효능 감, 팀 응집력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 상관 분석 및 회귀 분석 을 실시하였다. 결과: 자기 결정성 동기, 집단효능감의 하위 요인은 팀 응집력의 하위요인과 대부분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응집력은 주로 집단 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집단 효능과 개인 효능 그리고 자 기결정성 동기의 하위요인인 내재 조절에 의해서 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팀 응집력에 대 한 자기결정성과 집단 효능감의 역할을 파악했으며, 팀 퍼포먼스를 향상 시키기 위한 동기 심리와 사회인지 심리 변수 활용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28.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레슬링 선수를 대상으로 해결중심 단기상담 모델을 활용하여 심리기술훈련을 진행하고 그 효과 를 규명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레슬링 국가대표 남자 선수 5명으로 평균 나이 30세, 운동경력 15.6년이었 다. 심리기술훈련은 집단 프로그램과 개인 상담으로 진행되었다. 집단 프로그램에서는 자기관리, 목표설정, 귀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총 7회기로 진행되었다. 개인 상담의 경우, 해결중심 단기상담 모델에 맞춰 5단계 8회기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개인 상담에서 이루어진 심층 면담을 바탕으로 질적자료를 수집하였고 수행전략 검사지 와 자기관리 검사지를 이용해 사전-사후 양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질적자료는 선수 개인이 가진 호소 문제 를 해결해나가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 회기별로 분석하였고 선수별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사전-사후 분 석에서는 일부 선수들에게서 수행전략 요소들과 자기관리 요인들의 평균 점수 변화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 에서 진행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은 선수 개인이 호소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수행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를 통해 선수 개인별 스포츠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구체 화 시키고 종목별로 특화된 심리기술훈련 매뉴얼로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29.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스포츠에서의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관점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스포츠 환경에서 학생선수 를 위한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 관점이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방법: 국내와 해외에서 수행된 ‘청소 년의 긍정적 발달’ 관련 서적 및 논문 고찰을 통해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의 개념, 연구 동향, 주요 타자의 역할, 스포츠와 라이프스킬 프로그램 관련 내용을 제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이 함의하는 4가지 특 성은 (a) 청소년 발달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 (b) 상대적 가소성, (c) 다차원적인 개념구조, 그리고 (d) 순환성이 다. 둘째, 청소년 긍정적 발달 관점에서의 연구 동향은 이론적 모델, 철학적 관점, 긍정적 청소년 발달을 위한 스 포츠 분위기(예: 코치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모의 관여 등),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의 효과 관련 주제로 정리 할 수 있다. 셋째, 학생선수들의 긍정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지도자, 부모, 동료들의 역할이 중요하고 특히, 라이프스킬 프로그램과 같은 체계적인 중재 전략이 적용되어야 한다. 결론: 스포츠에서의 PYD를 이해하고 실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우리나라 학생선수들의 긍정적인 사회심리적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 여할 것이다.
        30.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상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있는 현역 엘리트 선수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방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김창대 등(2011)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이용하였다. 문헌고찰, 전문가 의견 수렴, 예비 연구를 통해 총 6회기의 단기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부상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있는 2명의 현역 엘리트 선수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 건충격척도,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 부상 불안 척도,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를 이용한 단일 사례 사전 사후 실험 설계 방법을 시행하였다. 또한 질적 사례 연구 방식으로 상담 과정 동안 내담자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기술 하였다. 결과: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 A와 B는 모두 사건충격척도, 우울증 선별도구, 부상 불안 척도에서 호전 을 보였다. 심상 노출은 내담자 A, B 모두에게 가장 도움이 된 프로그램이었다. 반면 인지재구성은 내담자 B에 게 가장 도움이 되지 않은 프로그램이었다. 결론: 부상 트라우마 단기 인지행동치료는 비교적 단기간에 진행할 수 있고, 선수들에게 익숙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부상 트라우마를 경험하고 있는 엘리트 선수들을 위해 현장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31.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중학생 선수들을 대상으로 케어링 분위기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라이프스킬 전이의 매개효과 를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운동선수 221명(남자=155명, 여자=66명)으로 평균 15.94세였다. 측정 도구로는 케어링 분위기 척도(CCS), 라이프스킬 전이 척도(KLSTS), 그리고 삶의 만족도 척도(SWLS)가 사용되었 으며, 수집된 자료는 Stata 9.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첫째, 케어링 분 위기는 라이프스킬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킬 전이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케어링 분위기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케어링 분위기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라이프스킬 전이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도자를 포 함한 팀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존중하고 격려하는 분위기는 스포츠에서 개발된 라이프스킬을 다양한 환경으로 전 이하는 데 보탬이 된다. 나아가 전이된 라이프스킬은 삶에 대한 선수들의 전반적인 만족감을 높이므로 지도자는 스포츠 환경 내에서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32.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대학운동선수의 공감능력,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코치-선수관계 유지를 향상 및 강화시키기 위한 공감-기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강원도 소재 K-대학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사전 공 감 질문지를 측정하여 상대적으로 공감에 대한 점수가 낮은(M=3.00미만) 운동선수 6명을 선별하여 연구 참여자 로 선정하였다. 전문가들의 자문을 바탕으로 총 10회기로 공감-기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공감,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코치-선수관계 유지 질문지를 토대로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 분 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모수통계(nonparametric statistics)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 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통해 공감-기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공감-기반 프 로그램은 운동선수 공감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공감-기반 프로그램은 운동선수들의 커뮤니케 이션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공감-기반 프로그램은 코치-선수관계 유지 향상 및 강화에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구성된 공감-기반 프로그램은 스포츠 현장에서 구성원 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일시적으로 역경에 직면했을 때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는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33.
        202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팀 스포츠 운동선수가 지각한 공감,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그리고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를 분석하고 아울러 코치-선수관계와 집단 효능감이 공감과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팀 스포츠 운동선수 345명(남자: 222명, 여자: 123명)을 대상으로 공감, 코치-선수관계, 팀 효능감 그리고 운동선수 탈진 질문지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그리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 도 분석,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팬텀변수를 만들어 특정간접효과를 추정하였다. 결과: 첫째, 공감은 코치- 선수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β=.809). 둘째, 코치-선수관계는 팀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β=.207). 셋 째, 공감은 팀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β=.337). 넷째, 코치-선수관계는 운동선수 탈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β=-.226). 다섯째, 공감은 운동선수 탈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β=-.141). 여섯째, 팀 효능감은 운동선수 탈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β=-.305). 마지막으로 팀 효능감은 공감과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 가 나타났다. 결론: 개인의 성장과 팀의 성공이란 측면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며, 나아가 선 수의 태도와 신념이 강해지고 효율적인 팀으로 변화되기 위한 본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34.
        202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목표내용이론을 바탕으로 청소년 운동선수들이 일생동안 추구하고자 하는 생애목표의 내용을 확 인하고 나아가 생애목표가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학생선수 코칭과 상담에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8개 개인 및 단체종목 남, 여 운동선수 347 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과 직접 현장조사 방식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방법 등을 활용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 운동선수의 생애목표는 내재적 목표 3유 형(개인적 성장과 건강, 관계, 기여)과 외재적 목표 3유형(물질, 명예와 인기, 이미지)으로 수렴되었다. 둘째, 청소 년 운동선수들은 내재적 목표를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내재적 및 외재적 목표내용은 성별, 학교 급(중⋅고), 종목유형(개인⋅단체), 지각된 운동 유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생애목표 내용 은 동기적 특성인 목표중심 자기조절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특히 내재적 생애목표들의 영향력이 컸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학생선수의 생애목표 내용과 생애목표의 동기적 특성에 대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운동이 나 학업 적응을 위한 심리상담과 스포츠 코칭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35.
        202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육상선수의 한국신기록 수립 기여요인을 탐색하고, 탐색한 한국신기록 수립 기여요인을 스포츠 영재성 기반으로 해석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2021년 5월 현재 대한육상경기연맹에 등록된 한국신기록 수 립 선수 57명 중 1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진행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R을 통해 빈 도를 산출하고, UCINET 6의 NetDraw 2를 활용하여 의미연결망으로 시각화하였다. 결과: 첫째, 한국신기록 수립 기여요인을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에 따라 검토하였다. 연결중심성에 따르면, 한국신기록 수립 경기 에서 선수는 시합, 생각, 기록, 도움, 훈련 등의 생각에 집중하고, 근접중심성에 따르면, 한국신기록 수립 경기에 서 선수는 생각, 경기, 기록, 훈련, 컨디션 등이 시합을 중심으로 강하게 연결되며, 매개중심성에 따르면, 한국신 기록 수립 경기에서 선수는 한국신기록, 신기록, 도움, 기록, 집중력 등 시합에 대한 생각으로 연결되고 있다. 둘 째, 한국신기록 수립 기여요인은 시합과 생각을 중심으로 신체지능은 신체의 완성, 체력의 우수, 기술의 안정, 운 동감각의 탁월로, 경기지능은 경기운영의 활용, 경기환경의 적응, 시야의 몰입으로, 심리지능은 심리요인 안정성, 자신감 발현, 집중력 발현, 걱정과 두려움 극복, 목표달성으로, 발화환경은 환경과 날씨의 도움, 시설의 최적화, 라이벌 존재, 경기경험의 집적, 지도자의 지지, 주요타자의 지지와 이들 요인의 상호작용이 한국신기록 수립에 기 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가 한국신기록 수립 기여요인의 이해와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 현장 적용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36.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 시합에 정상적으로 참여했을 때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장 기간 시합에 참여하지 못했을 때 학생선수와 실업선수의 선수 정체성 변화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 상은 코로나19 확산 전 대부분의 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여자탁구선수 65명과 실업탁구선수 35명 이었다. 설문지를 활용하여 선수 정체성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test. 반복측 정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코로나 19로 인한 장기간 시합 미참가는 학생 탁구선수 와 실업 탁구선수의 선수 정체성을 감소시켰는데, 학생선수에 비해 실업선수의 선수 정체성이 더 현저하게 위축 되었다. 또한, 경기력 수준(상비군 경험 유무)에 따라 학생선수와 실업선수의 선수 정체성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 났다. 선수 정체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정서의 경우 상비군 경험이 있는 학생선수들이 상비군 경험이 없는 선 수들에 비해 더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장기간 시합 미참가는 학생과 실업 여자 탁구선수의 선수 정체성이 위축되는데 학생보다 실업 선수가 더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선수 정체성의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무관중 경 기 등으로라도 시합 참가 기회가 꾸준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37.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도구(죽도)를 사용함에 있어 전문성이 있는 검도 선수와 경험이 없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검도 동작에 대한 동작 예측 능력과 대뇌 신경 활성화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검도 선수 15명과 초보자 15명을 대상으로 시간적 차단기법을 활용한 동작 예측 과제를 수행하였다. 제시되는 검도 기술 영상(머리, 손목, 허리치기)을 보고 최종 타격 위치에 대해 정확하고 신속하게 예측하는 것이다. 과제 수행과 함께 동작 예측에 따 른 대뇌 신경 활성화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TMS를 활용한 운동유발전위(MEPs)를 측정하였다. 측정 변인은 예측 정확도와 반응 지연시간(latency) 그리고 운동유발전위이며, 이를 영상 구간에 따라 집단 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초보자와 비교해 검도 선수가 정확하고 짧은 반응 지연시간을 보여주었다. 영상 길이에 따른 집단 간 비교는 1∼5구간에서 검도 선수가 유의하게 정확한 반응을 하였으며, 반응 지연시간에서는 모든 영상 조건에서 검도 선수가 빠르게 수행하였다. 운동유발전위 차이 비교에서는 1∼2구간과 6구간에서 유의하게 검도 선수가 높았으며, 초보자는 10구간에서만 높은 대뇌 활성화를 보여주었다. 결론: 연구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검도 선수의 우수한 예측 능력은 도구를 사용하는 스포츠 환경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동작 예측 능력이 경험을 통해 서 획득된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다시 한번 증명하였다. 동작 예측 중에 나타난 도구 사용 전문가의 증가된 대뇌 활성화는 거울 신경이 단순히 신체 간의 운동 일치에 따라 나타나는 것뿐 아니라, 도구의 움직임도 포함되어 거울 신경 기전이 작동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38.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근대5종 선수들의 종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자는 근대5종 선수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섭외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풍부한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참여자를 A그룹(대학선수)과 B그룹(국가대표)으로 나누어 초점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그룹당 1회기씩 실시하였고, A그룹은 80분, B그룹은 100분이 소요되었다. 면담 내용은 휴대 전자기기에 내장된 녹음기를 이용하여 녹취한 뒤 전사하였다. 수집된 인터뷰 원자료를 질적연구 방법인 주제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5개의 주제와 11개의 요소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주제로는 타인의 혹평, 근대5종에 대한 불만, 근대5종의 매력, 근대5종과 삶, 타인의 호평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요소로 낮은 인지도, 주변의 무시, 긴 경기 시간, 폭 좁은 진로, 한정된 시설, 부족한 홍보, 성취감, 만족감, 삶의 일부, 긍정적인 평가, 주변의 격려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근대5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근대5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비롯해 인프라 및 저변 확대, 선수들을 위한 진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9.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상으로 은퇴한 격투기 선수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PTG)을 이루어내기까지의 과정과 경험을 포토보이스(Photovoice)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해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부상으로 인한 은퇴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을 이룬 전직 격투기 선수 4명을 의 도적 표집인 판단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포토보이스 연구절차에 따라 개인인터뷰와 그룹인터뷰를 포함한 총 6회기의 비대면/대면 만남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한 사진 자료는 포토보이스 분석 방법(사진 고르기, 맥락화, 주제화)에 따라 분석하였고, 인터뷰자료의 분석은 구성주의 근거이론(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의 분석방법으로 보완하여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부상으로 인한 은퇴선수의 PTG 경험을 참여자들의 사진과 함께 삶의 서사로 제시하였다. 둘째, 부상 직후에서부터 PTG에 이르기까지 단계는 총 4단계의 과정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는 ‘부상 직후 : 일상의 상실’, 두 번째는, ‘트라우마, PTSD의 경험 : 심연으로의 칩거’, 세 번째는 ‘성장의 전환점: 다시 찾아낸 원석’, 네 번째 단계는 ‘외상 후 성장: 피워낸 꽃’이다. 이 4단계를 이론적 코딩의 과정을 통해 위기 존(Crisis zone), 고요 존(Silent zone), 원석 존(Gemstone zone), 번영 존(Flourish zone)의 영역으로 구분한 도식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부상으로 인한 격투기 선수의 PTG 과정과 경험을 일반적 PTG의 기존 모델과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포토보이스 연구법을 적 용하여 부상으로 은퇴한 격투기 선수의 PTG 경험을 참여자들의 목소리로 생생하게 밝혀내었다. 또한, 참여자들의 외상에서 성장까지의 과정을 분석하여 영역별로 구분하고 이론적인 도식을 구축하였다. 이 연구가 은퇴선수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끌어내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정책의 개선 등에 실증적 자료로 유용하게 쓰이길 기대한다.
        40.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스포츠 손상 선수의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최소 8주 이상의 재활 기간이 남아있는 D 대학교 야구팀 손상 선수 14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한 요구분석 자료,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 자문 자료를 통합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긍정 심리 프로그램(오리엔테이션, 음미하기, 감사하기, 강점 찾기, 주의집중력, 루틴, 희망 고취하기, 종결)은 주 1-2회, 50∼60분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측정도구로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검사지(PANAS), 자아존중감 검사지(RSE), 행복 검사지(Happiness measures), 재활 능력 검사지(RCQ)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후 프로그램 평가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측정하였다. 결과: 양적 검증 결과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스포츠 손상 선수의 긍정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정서 감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검증 결과는 긍정 심리 프로그램 구성의 적합성과 유효성을 지지해주었다. 결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긍정 심리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