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3.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new strains which can be used as microbial resources for auxin production in the agriculture industry. For the isolation of the new microorganism in the gut of Larimichthys polyactis, a marine agar medium was used and 3 colonies were isolated. Through the 16S-based ID service, isolated strains were identified as 1 strain of Niallia circulans and 3 strains of Proteus mirabilis. Verifying the agriculture industrial values of these isolated strains, the productivity of auxin and activity of various enzymes such as amylase, lipase, and protease were confirmed. As a result, isolated 3 strains showed auxin activity and only protease activities which mean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m to the produc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in the agriculture industry.
        4,000원
        2.
        2021.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옥신의 종류와 처리 농도가 온실 내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 삽목묘의 발근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삽수는 NAD(1- naphthylacetamide), IAA(3-indoleacetic acid), 그리고 IBA (indole-3-butyric acid)에 각각 50, 100, 150, 및 200mg·L -1 농도로 1시간 동안 침지 처리되었다. 무처리는 대조구로 설정 되었다. 삽수들은 2020년 6월 4일에 코이어가 충진된 딸기 육 묘용 트레이에 삽목 되었다. 가습 처리는 2주 동안 처리되었다. 대조구, IBA, 및 IAA는 처리간 발근율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NAD 처리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발근율이 관찰되었다. 생존율은 대조구와 IBA 50mg·L -1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엽수는 IBA 100mg·L -1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IAA 100과 150mg·L -1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더 많은 주근 수가 관찰되었다. 지하 부 건물중은 대조구에서 가장 무거웠다. 총 뿌리길이, 뿌리 표 면적, 근단 수 및 뿌리 분기 수는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대조구, IAA, 그리고 IBA 처리는 유사한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을 보였다. 그러나, NAD 처리는 가장 좋지 않은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을 보였다. 이를 고려하였을 때, NAD 처리는 IAA, IBA와 비교하여 딸기 삽목묘의 발근에 적절하지 않은 생장조절물질로 판단된다.
        4,000원
        3.
        2020.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iming of collecting date and concentration of IBA and NAA, in order to enhance initial activity and seedling quality of domestic strawberry. Strawberry cuttings were separately taken twice, in June 7 and in July 5, and IBA and NAA were treated with the concentrations of 0.025, 0.05 and 0.1% at cutting date, respectively. The seedlings were evaluated for the percentage of survival during 18 days at 6 times after tunnel cultivation. The NAA treatment was inappropriate for strawberry cutting due to the high rate of seedling mortality, regardless of the collecting date. The vitality of the seedlings was highest at IBA 0.1% in June collecting and at IBA 0.05% in July collecting. The seedlings from June collecting had a higher quantum yield at IBA 0.1% and the seedlings from July collecting at IBA 0.05%. Therefore, IBA could be more effectively applied than NAA to promote the vitality and quality with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0.1% at June collecting and 0.05% at July collecting, respectively.
        4,000원
        4.
        2019.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stigma removal from floral organ and treatment of auxin on those regions were evaluated on the fruit growth and quality in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The removal of stigma reduced the fruit weight, fruit length, and fruit width, while fruit growth declined as the number of removed stigma increased. The removal of stigma also resulted in reduced fruit firmness, sugar content,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 and decreased value of Hunter a for red color and increased value of Hunter b for yellow. The number of seeds deceased as the regions of removed stigma increased. The treatment of auxin on the region of removed stigma improved fruit size, while it reduced fruit firmness, sugar content, and anthocyanin content. The delay in fruit ripening was observed from both stigma removal and auxin treatment. The incidence of malformed fruits increased as the regions with removed stigma increased. The treatment of auxin also promoted fruit malformation.
        4,200원
        5.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uxin-producing bacterial strain, designated 4-3, was isolated from waste button mushroom compost in Boryeong-si, Chungnam. The strain 4-3 was classified as a novel strain of Leucobacter tardus, based on chemotaxonomic and phylogenetic analyses. TLC and HPLC the isolated L. tardus strain 4-3 produced indole-3-acetic acid (IAA), the auxin. Maximum IAA productionof 94.3 mg L-1 was detected for bacteria cultured in R2A medium with 0.1% l-tryptophan, incubated for 24 h at 35oC. Negative correlationwas observed between IAA production and pH of the culture medium, indicating that the increase inIAA caused acidification ofthe medium.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l-tryptophan, a known precursor of IAA, was also assessed. production was maximal at 0.1% l, but decreased at lconcentrations above 0.2%. To investigate the plant growth-promoting effects of the bacterium, L. tardus strain 4-3 culture broth was used to inoculate water cultures and seed pots of mung bean. We found thatadventitious root induction and root growth were 2.2-times higher in thethan in the non-inoculated plants.
        4,000원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uxin, cytokinin, and their combined application to hasten their propagation using leaf cuttings. Different hormone levels were evaluated on two Echeveria species (E. subsessilis and E. runyonii). Three levels of auxin as represented by the use of indole-3-butyric acid (IBA) (0, 100, and 500 ppm), three cytokinin levels as represented by Kinetin (Ki) (0, 100, and 200 ppm) and their combination were applied and observed for 8 weeks. The use of 100 ppm IBA resulted in the highest shoot height, diameter, and rooting and shooting rate. Using 500 ppm IBA led the roots to develop the earliest but both species also had the highest mortality. The application of 100 ppm Ki significantly affected the majority of leaf cuttings of E. runyonnii which exhibited the highest and thickest shoots, and the number of leaves. The application of 100 ppm IBA and 100 ppm Ki is recommended to obtain increased shoot growth and development for leaf cuttings. In the case of single hormone use, the application of 100 ppm IBA may be preferable. The combination of auxin and cytokinin significantly stimulated the hastening of production of succulents using leaf cuttings.
        4,000원
        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Florex Gold’ 품종의 측아 기내배양에서 auxin류의 단용처리는 multiple shoot 발생을 유도하지 못했다. Callus 형성은 2,4-D 1.0 mg/L 처리구에서 63.3%로 가장 높았고, multiple shoot 형성은 cytokinin인 zeatin 1.0 mg/L 처리구에서 평균 8.1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Florex Gold’의 증식 실험에서 callus 형성은 NAA 1.0 mg/L와 BA 1.0 mg/L이 혼용처리된 MS 배지에서 26(86.7%)개의 절편체에서 발생해 가장 높았다. 또한 동일한 배지 조건이 multiple shoot발생에도 가장 효과적이었고, 평균 16.9개(평균길이4.6 cm)의 신초가 발생하였다. 3. ‘Florex Gold’ 신초의 발근유도 실험에서 2,4-D 1.0 mg/L처리가 절편체당 평균 6.7(3.2 cm)개의 뿌리를 유도하여 ‘Florex Gold’ 신초의 발근 유도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NAA는 발근유도에 부적합 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로쇠나무, 붉은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나무 실생묘(6년생)의 녹지삽목 대량증식 방법을 밝히기 위해 수종별로 삽목시기, 삽수부위 및 옥신처리를 하여 자동안개관수장치가 설치된 무가온 비닐하우스에 삽목을 실시하였다. 고로쇠나무류의 삽목 후 발근 개시일과 완료일은 고로쇠나무가 20일과 45일, 붉은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나무는 30일과 60일로 나타났다. 3수종의 삽목 발근율에 대한 삽목시기, 삽수부위, 옥신의 처리 효과는 모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P <0.0001)가 나타났고, 뿌리수는 옥신처리간에만 고도의 유의성(P <0.0001)이 인정되었다. 삽목시기의 효과는 7월 1일 삽목의 평균 발근율이 73.0%로 6월 1일 삽목(51.6%)보다 21.4% 이상 높았고 뿌리수와 뿌리길이의 발달도 좋았다. 삽수부위의 효과는 하단부의 발근율(72.4%)이 상단부보다 20.2% 높고, 뿌리수와 뿌리길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각 수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옥신처리는 IBA 100ppm과 무처리로 높은 발근율을 보였으나 뿌리발달은 좋지 않았다. 각 처리에 대한 상호작용의 발근 효과에서 발근율은 3수종 모두 고도의 유의성(P <0.0001)이 인정되었으며, 뿌리수에 대한 상호작용은 수종마다 달랐다. 발근율이 가장 좋은 각 처리간 조합은 고로쇠나무의 경우 7월 1일 삽목시기+하단부+무처리로 발근율이 100%로 나타났고, 붉은고로쇠나무는 7월 1일 삽목+하단부+IBA 100ppm(96.7%)이었으며, 우산고로쇠나무는 7월 1일삽목+하단부+무처리(88.7%)가 가장 좋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4,000원
        9.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의 잎무늬종 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을 원예 및 조경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삽목 시 삽수부위, 용토의 종류 및 오옥신류의 처리가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삽수부위별 처리에 있어서 신초의 정단부보다 중간부와 기부를 삽수로 이용하는 것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에 좋았으며 특히 중간부의 경우, 발근율이 68.3%로 가장 높았다. 삽목용토에 있어서 피트모스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늦었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 발근율과 생존율 모두 낮았던 반면, 버미큘라이트에서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빨랐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도 가장 효과적이 었으며, 발근율 88.3%, 생존율 99.2%로 용토처리 중 가장 좋았다. 오옥신 처리를 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발근 율과 생육이 우수했다. 대조구는 발근율이 41%로 낮았으 나 처리를 한 경우 발근율이 80%이상으로 현저히 높 았다. NAA를 처리한 경우가 IBA를 처리한 것에 비해 근장과 근수를 포함한 지하부의 생육이 좋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과 발근율이 높았으며 지하부의 생 육도 좋았다.
        3,000원
        11.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ndrobium kingianum의 유묘증식(幼苗增殖)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발아(發芽)에 미치는 기본(基本) 배지(培地)의 영향(影響)과 유묘생장(幼苗生長)에 미치는 hyponex의 종류별농도(種類別濃度), auxin 농도(濃度), 당(糖), 한천(寒天) 및 pH의 영향(影響)을 알고자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종자(種子)의 발아(發芽)는 hyponex +peptone 가 함유된 배지(培地)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유묘(幼苗)의 증식(增殖) 및 생장(生長)은 hyponex +peptone 가 함유된 배지(培地)에 IBA , sucrose , agar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multiple shoot가 형성(形成)되었으며 유묘(幼苗)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시키기 위해서는 auxin이 첨가(添加)되지 않은 배지(培地)에 sucrose 한천(寒天) 및 pH는 5.0이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4,000원
        1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duction of adventitious roots derived from root explant of Echinacea angustifolia and its secondary metabolite content were assessed in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auxin. The induction of adventitious roots from root explant cultured in Murashige and Skoog solid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indole -3-butyric acid (IBA) attained highest as 20.87 mg fresh weight and 3.07 mg dry weight per culture but root suspension culture at the same concentration of IBA enhanced biomass production as 3.07 g fresh weight and 0.38 g per culture after 4 weeks in culture. 3.0 mg/L α-naphthalene acetic acid (NAA) treatment had similar effect on root biomass production as 3.07 g fresh weight and 0.38 g per culture with liquid suspension culture, whereas adventitious roots exposed to over 3.0-5.0 mg/L IBA or 5.0 mg/L NAA were less responsive by reducing the number of adventitious roots and/or changing root morphology such as short and thick. The content of secondary metabolites such as phenolic, flavonoids and total caffeic acid in adventitious roots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IBA were attained highest as 27.20, 9.60. 10.67 mg/g dry weight, respectively. Overall, the best production of root biomass and secondary metabolites were given by 1.0 mg/L IBA.
        13.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수의 성숙 종자로부터 캘러스유기 및 재분화 효율 조사하기위하여 수행되었다. 배발생 캘러스 형성을 살펴보기 위해 생장조절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수 성숙종자로부터 캘러스 유기에 적합한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는 2 mg/L 2,4-D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발생 캘러스의 고효율 빈도는 B5 배지에 2 mg/L 2,4-D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BAP와 IBA를 넣은 MS 배지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BAP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재분화가 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수수 기내배양시 신초와 발근 형성에 효과적인 생장조절제 조합은 0.5 mg l-1 BAP와 0.25 mg l-1 IBA인 것으로 나타났다.
        16.
        2001.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carbenicillin on the dedifferentiation and the regeneration efficiency of plant tissues of horseradish(Armoracia rusticana) was evaluated, Inhibition effect for callus initiation was observed when leaf blade, root and petiole segments were grown on MS medium containing 500 mg/L to 2000 mg/L carbenicillin and 0.5 mg/L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The regeneration of horseradish shoots from leaf blade, root and petiole explants were decreased as the addition of carbenicillin increased from 1000 mg/L to 2000 mg/L in MS medium containing 0.5 mg/L of 6-benzylaminopurine (BAP) or kinetin. Especially, 500 mg/L carbenicillin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shoot induction when leaf blade explants were grown on hormone-free MS medium. It was suggested that the toxic effects of combinations of carbenicillin and 2,4-D may be due to high auxin activity levels.
        19.
        199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국내에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신규 식물생장조정제인 brassinolide류와 기존의 auxin류를 혼용하였을 경우 상호작용성을 구명하여 농업적 이용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몇가지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상호작용의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간다. 1. 벼 엽신기부굴절검정에서는 두 화합물의 저농도 혼용조합에서 길항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조합에서는 상가 또는 상승작용을 하였으며, 고농도의 혼용일수록 상승효과가 높았고, IAA가 2, 4-D에 비해 다소 혼용효과가 높았다. 2. 귀리 자엽소신장검정에서는 HBR의 농도에 관계없이 IAA 0.1ppm 이하에서는 상승작용을 하였으나 0.3ppm 이상의 혼용에서는 상가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3. 무 하배축신장검정에서는 자엽의 유무에 의해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자엽을 제거한 절편에서는 IAA 3ppm과 HBR과의 혼용조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혼용조합이 길항적인 반응을 보였다. 4. 이상에서와 같이 검정방법간 혼용효과가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시재료에 따라 상호작용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auxin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생장점을 가진 절편에서는 대체로 길항작용을 보인 반면, 선단부를 제거하여 내생호르몬이 불안정한 절편에서는 상가 또는 상승작용을 보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