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에 배치되는 수역시설 중 정박지는 대상 선박이 주묘되지 않고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면적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러한 수면적의 계산 시에는 대상 선박의 전장, 수심, 저질 등의 요소를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국내 각 항만의 항만시 설운영세칙(혹은 규정)에는 정박지의 선박수용능력 기준으로 총톤수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톤수 단위의 정박지 선박수용능력 기준을 선박의 전장으로 변환하여 실제 대상 선박의 투묘 중 선회 반경을 계산한 결과, 분석 대상 90개의 정박지 중 25개의 정박지(27.8%) 에서 선회 반경이 지정된 수면적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각 항만의 항만시설운영세칙(혹은 규 정) 상 정박지 선박수용능력 기준을 전장으로 개정하고, 관련 해사 법령의 해당 조항 개정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Although Korea operates various systems and policies for the management of fisheries resources, it is judged that a more systematic resource management policy is needed due to the continuous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coastal and offshore fisheries. In this study, the catch capacity was analyzed using the DEA technique for coastal and offshore fisheries. As a result, despite the decrease in the amount of fisheries resources and the number of fishing vessels, there was a trend of increasing fishing capacity. As of 2019, the total maximum catch of offshore fishery was estimated at 820,007 tons. The actual catch was 548,159 tons and the CU was measured to be about 66.8%, which was analyzed to be an excess of about 33.2% of the catch. The total maximum catch of coastal fisheries was estimated at 187,887 tons. The actual catch was also the same value and the CU was measured to be about 100.0%. Thu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excess in catch. For the management of fisheries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fishing capacity. To this end, policies such as scientific TAC should be promoted as well as expanding the reduction of fishing vessels.
Various elements of Fabrication (FAB), mass production of existing products, new product development and process improvement evaluation might increase the complexity of production process when products are produced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complex production operation makes it difficult to predict production capacity of facilities. In this environment, production forecasting is the basic information used for production plan, preventive maintenance, yield management, and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tried to develop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production capacity forecasting method, which is to estimate production capacity by using a simple trend analysis during short time periods. Specifically, we defined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of facility as a performance measure to represent production capacity. Then, we considered the production capacities of interrelated facilities in the FAB production process during past several weeks as independent regression variables in order to reflect the impact of facility maintenance cycles and production sequences. By applying variable selection methods and selecting only some significant variables, we develope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ecasting model. Through a numerical experiment, we showed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by obtaining the mean residual error of 3.98%, and improving the previous one by 7.9%.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해양오염사고 예방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는 가운데, 지방정부 중심의 해안방제체 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방향 설계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을 진단하고 해안방제 실행력 강화를 위해 필요 한 중앙정부의 정책적 지원방안이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일어났던 대규모 해양오염사고 사례분석을 통해 지방정부가 해안방제를 어떻게 수행했는지를 분석하고, 해안방제에 관한 지방정부의 문제점을 찾아내 어, 향후 발생가능한 대형 해양오염사고의 해안방제 대비에 필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단계별 대응체제 구축, 교육훈련 강화, 인적 네트 워크 활성화, 방제자원 확보근거 마련, 전담부서 신설 등 지방정부의 해안방제능력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방정부 의 해안방제관리능력에 관한 연구가 일천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시험적 연구라고 판단되며,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시험적 연구로서 다음의 후속 연구에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PLLA분해활성을 가진 고온성세균을 우리나라 경작토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양성 간균으로 16S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 Geobacillus caldoxylosilyticus로 동정되었으며,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PLLA분해세균으로 밝혀졌다. 조절화된 퇴비화조건에서 멸균퇴비에 분리균주를 접종하고 58℃에서 40일간 분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균주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 11000, 34000 및 2560
Mn-Fe oxide and Mn-Fe oxide/(50wt%/50wt%) were prepared by ball milling method. XRD data of the prepared samples revealed that hematite and ferrite phase coexisted. Water splitting at 1273K, after thermal reduction at 1573K, was performed 4 times for the samples. Hydrogen production amount was analyzed by GC with TCD detector. Water splitting capacity of Mn-Fe oxide was improved by ball milling with .
Line capacity calculation has been used to determine optimum efficiency and safe train service for train scheduling plan and investment priority order throughout detecting bottleneck section. Because of some problems of Yamagisi and UIC methods for line capacity calculation, developing of the method of line capacity caculation and evaluation for the Korea circumstance is important.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iability improvement on the integrated system of TPS(Train Performance Simulator), PES(Parameter Evaluation Simulator), LCS(Line Capacity Simulator) and simul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for line capacity.
In this paper, 30 years of aged bridge in service used external post-tendons method flexural strengthening, was carried out the loading test and structural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effect before and after strengthening. This experimental test results will be improvement of load carrying capacity for aged bridges
In this paper, the seismic performance of RC frame with deterioration of structural capacity was evaluated by using capacity spectrum method. And the efficiency of retrofit by using infilled masonry was checked from the evaluation of its seismic capacity for various layout.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asonry infill wall increased the stiffness and strength, but reduced ductility.
Recently, retrofit by using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has been widely applied to building structure. However, it loose the retrofit contribution under high temperature due to fire because of its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is manner,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re resistant capacity in FRP retrofit system. Thermal transition of various fire resistant materials were verified by performing high temperature loading te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alcium silicate and alumino silicate had high resistance on the heat transition.
본 논문에서는 기존 건축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공성과 설치 비용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강재댐퍼를 대상으로 기존 개발된 장치와 새로 개발된 형상의 장치에 대한 평가를 해석적으로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는 강도 및 에너지 소산능력으로 평가하였으며, 제안된 내력 산정식의 적용을 아울러 평가하였다. 연구대상 댐퍼의 스트럿 형상은 V형, S형이며, 댐퍼의 스트럿 높이와 각도를 주요 변수로 한 후 ABAQUS를 이용하여 유한요소 해석하였다. 해석은 최대변위를 50mm로 하고 점진적인 이력변위곡선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항복강도, 최대강도, 에너지 소산능력 평가결과, V형 및 S형 모두 우수한 성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또한 스트럿 각도 60° 및 높이 140, 200 mm의 성능이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체적으로는 S형의 응답이 V형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S형 강재댐퍼의 적용성이 V형보다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스톤컬럼 공법의 침하량 저감과 지지력 증진 효과를 파악하고자 연약한 준설매립 지반에 쇄석재료와 슬래그 재료를 이용하여 시험시공 후 지하수위계측 및 현장시험을 진행하였다. 현장실험 결과, 지지력 증진 및 침하량 저감 효과가 파악되었으며 상재하중 없이도 지하수위는 저하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스톤컬럼 공법이 밀도증가 측면과 더불어 액상화 저항에 우수함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이론식을 이용하여 원지반 및 복합지반에 대한 침하량과 지지력 산정 결과, 스톤컬럼 공법은 2.7~5.7배의 지지력 증진 효과와 2~3.5배의 침하량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재하시험은 교량의 내하력을 측정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국내에서 교량의 내하력평가는 계측값과 해석값을 비교하여 산정된 응답보정계수를 사용하여 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통행차량에 의한 응답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차량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기반을 두었다. 제안된 방법과 기존 방법의 비교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교량의 공용 내하력을 비교적 잘 예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력발전소 배수갑문의 형상과 배치에 따른 방류능력을 해석하는데 3차원 수치모의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3차원 수치모형은 RANS를 지배방정식으로 하는 FLOW-3D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배수갑문의 방류능력은 물받이길이와 도류벽의 접근각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의 개선 여부에 따라 이상의 방류량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방류량은 배수문과 수차구조물을 연결하는 구조물의 형상과 물받이 끝 사면